KR20110015933A -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5933A
KR20110015933A KR1020090073388A KR20090073388A KR20110015933A KR 20110015933 A KR20110015933 A KR 20110015933A KR 1020090073388 A KR1020090073388 A KR 1020090073388A KR 20090073388 A KR20090073388 A KR 20090073388A KR 20110015933 A KR20110015933 A KR 20110015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ed
bracket
building
suppor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김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성 filed Critical 김종성
Priority to KR1020090073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5933A/ko
Publication of KR20110015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9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3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걸림축이 형성되어 콘크리트 벽체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된 고정브래킷의 고정 지지홈 상에 걸림 지지되어지되 외장재측 앵커볼트의 고정볼트 후단부 외주면 상에 체결되어 정역회전에 의해 외장재측 앵커볼트의 전후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벽체와 외장재 사이의 간격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일정크기의 건축 외장재를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하가 열린 다각형 관체의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후면 상부측 중심부에 장홈으로 관통 형성되어 벽체에 설치 고정된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고정홈이 구비된 일정크기의 고정브래킷; 고정브래킷의 전면에 상부측이 열린 상태로 일정깊이 전후로 관통 형성되는 고정 지지홈; 외장재의 후면에 설치 고정된 앵커볼트의 고정볼트에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되어지되 고정브래킷의 고정 지지홈에 대응하는 외경으로 걸림축이 형성되어 고정 지지홈 상에 걸림 지지를 통해 외장재를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조절너트; 및 조절너트의 걸림축의 전후에는 걸림홈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지되 간격은 고정브래킷의 전면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되어 조절너트의 걸림홈을 고정브래킷의 고정 지지홈에 삽입 결합시 고정브래킷의 전면 전후에 위치되는 걸림뭉치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외장재, 석판, 앵커볼트, 조절너트, 조절너트

Description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facing}
본 발명은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장재 후면의 천공홀 상에 결합 고정된 앵커볼트의 고정볼트 상에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되는 조절너트를 통해 건축물의 벽면에 앵커볼트를 통해 고정된 고정브래킷의 지지홈 상에 걸림 지지되어 외장재의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조절너트의 정역회전을 통해 건축물의 벽면과 외장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의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라 함은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에 각종 외장재나 구조물을 설치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는 대리석(석판)과 같은 외장재의 후면과 벽체의 전면에 결합 고정된 앵커볼트를 통해 고정브래킷을 연결하여 콘크리트 벽체에 외장재를 결합 고정시킨다. 즉,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는 콘크리트 벽체에 외장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의 종래 기술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를 보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10)는 콘크리트 벽체(50)와 외장재(60)의 후면에 각각 체결된 고정수단(20, 20a), 고정수단(20, 20a)에 의해 고정되는 수직면과 수직면으로부터 상호 대향 방향으로 절곡되어 일정길이 형성되어지되 장홈의 연결홈(32, 32a)이 형성된 수평면으로 구성된 연결 플레이트(30, 30a) 및 두 연결 플레이트(30, 30a)의 일치된 연결홈(32, 32a)에 체결되어 벽체(50)에 외장재(60)의 고정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40)으로 구성되어진다. 이때, 고정수단(40)은 고정볼트와 고정너트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10)의 구성에서 콘크리트 벽체(50)와 외장재(6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고정수단(40)의 고정볼트와 고정너트의 조임을 느슨하게 해제한 상태에서 두 연결 플레이트(30, 30a) 각각의 수평면 상에 형성된 장홈의 연결홈(32, 32a) 범위 내에서 조절한 다음, 고정수단(40)의 고정볼트와 고정너트의 조임을 통해 콘크리트 벽체(50)와 외장재(6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를 통해 콘크리트 벽체와 외장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작업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고정수단의 고정볼트와 고정너트의 조임을 느슨하게 해제한 상태에서 두 연결 플레이트 각각의 수평면 상에 형성된 장홈의 연결홈 범위 내에서 콘크리트 벽체와 외장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 후에 고정수단의 고정볼트와 고정너트의 조임을 하는 과정을 통해 콘크리트 벽체와 외장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때문에 작업의 어려움이 있 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는 통상 콘크리트 벽체와 외장재 사이에 다수 개가 설치되어 외장재를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를 조절하여 외장재와 콘크리트 벽체 사이의 간격을 맞추는 작업에 어려움이 있어 외장재의 평형을 맞추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을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걸림축이 형성되어 콘크리트 벽체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된 고정브래킷의 고정 지지홈 상에 걸림 지지되어지되 외장재측 앵커볼트의 고정볼트 후단부 외주면 상에 체결되어 정역회전에 의해 외장재측 앵커볼트의 전후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벽체와 외장재 사이의 간격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걸림축이 형성되어 콘크리트 벽체의 앵커볼트를 통해 고정된 고정브래킷의 고정 지지홈 상에 걸림 지지되어지되 외장재측 앵커볼트의 고정볼트 후단부 외주면 상에 체결되어 정역회전에 의해 외장재측 앵커볼트의 전후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장재의 평형을 보다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걸림축이 형성되어 콘크리트 벽체의 앵커볼 트를 통해 고정된 고정브래킷의 고정 지지홈 상에 상부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삽입하는 구조로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외장재를 콘크리트 벽체에 보다 용이하게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는 일정크기의 건축 외장재를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하가 열린 다각형 관체의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후면 상부측 중심부에 장홈으로 관통 형성되어 벽체에 설치 고정된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고정홈이 구비된 일정크기의 고정브래킷; 고정브래킷의 전면에 상부측이 열린 상태로 일정깊이 전후로 관통 형성되는 고정 지지홈; 외장재의 후면에 설치 고정된 앵커볼트의 고정볼트에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되어지되 고정브래킷의 고정 지지홈에 대응하는 외경으로 걸림축이 형성되어 고정 지지홈 상에 걸림 지지를 통해 외장재를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조절너트; 및 조절너트의 걸림축의 전후에는 걸림홈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지되 간격은 고정브래킷의 전면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되어 조절너트의 걸림홈을 고정브래킷의 고정 지지홈에 삽입 결합시 고정브래킷의 전면 전후에 위치되는 걸림뭉치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조절너트의 전방측 걸림뭉치는 스패너를 통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육각형으로 형성됨이 보다 양호하다.
한편, 본 발명의 구성에서 조절너트를 고정브래킷의 고정 지지홈 상에 삽입 결합시 용이한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고정브래킷의 고정 지지홈 상단의 양측단은 확장된 구조로 이루어짐이 보다 양호다.
본 발명의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에 따르면 걸림축이 형성되어 콘크리트 벽체의 앵커볼트를 통해 고정된 고정브래킷의 고정 지지홈 상에 걸림 지지되어지되 외장재측 앵커볼트의 고정볼트 후단부 외주면 상에 체결되어 정역회전에 의해 외장재측 앵커볼트의 전후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구조를 통해 콘크리트 벽체와 외장재 사이의 간격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걸림축이 형성되어 콘크리트 벽체의 앵커볼트를 통해 고정된 고정브래킷의 고정 지지홈 상에 걸림 지지되어지되 외장재측 앵커볼트의 고정볼트 후단부 외주면 상에 체결되어 정역회전에 의해 외장재측 앵커볼트의 전후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장재의 평형을 보다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걸림축이 형성되어 콘크리트 벽체의 앵커볼트를 통해 고정된 고정브래킷의 고정 지지홈 상에 상부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삽입하는 구조로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외장재를 콘크리트 벽체에 보다 용이하게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현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름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름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를 통해 콘크리트 벽체에 외장재의 고정을 보인 단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름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를 통해 콘크리트 벽체와 외장제 사이의 간격조절을 보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100)는 고정수단(20)에 의해 건축물의 벽체(50)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110) 및 외장재(60)의 후면에 고정된 앵커볼트(20a)의 고정볼트(22a) 외주면 상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브래킷(110) 상에 걸림 지지를 통해 외장재(60)를 건축물의 벽체(50)에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100)는 상하가 열린 다각형 관체의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후면 상부측 중심부에 장홈으로 관통 형성되어 벽체(50)에 설치 고정된 고정수단(20)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고정홈(112)이 구비된 일정크기의 고정브래킷(110), 고정브래킷(110)의 전면에 상부측이 열린 상태로 일정깊이 전후로 관통 형성되는 고정 지지홈(114), 외장재(60)의 후면에 설치 고정된 앵커볼트(20a)의 고정볼트(22a)에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되어지되 고정브래킷(110)의 고정 지지홈(114)에 대응하는 외경의 걸림축(122)이 형성되어 고정 지지홈(114) 상에 걸림 지지를 통해 외장재(60)를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조절너트(120) 및 조절너트(120)의 걸림축(122)의 전후에는 걸림축(122)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으 로 형성되어지되 간격은 고정브래킷(110)의 전면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되어 조절너트(120)의 걸림축(122)을 고정브래킷(110)의 고정 지지홈(114)에 삽입 결합시 고정브래킷(110)의 전면 전후에 위치되는 걸림뭉치(124)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100)는 건축물의 벽체(50)에 고정된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브래킷(110)을 건축물의 벽체(50)에 고정시킨 다음, 조절너트(120)를 외장재(60)의 후면에 고정된 앵커볼트(20a)의 고정볼트(22a)에 체결한 상태에서 조절너트(120)의 걸림축(122)을 고정브래킷(110)의 전면에 형성된 고정 지지홈(114) 상에 삽입 결합을 통해 건축물의 벽체(50)에 외장재(60)의 고정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외장재(60)의 후면에 고정된 앵커볼트(20a)의 고정볼트(22a)에 체결된 상태에서 고정브래킷(110)의 고정 지지홈(114) 상에 삽입 결합되어 건축물의 벽체(50)에 외장재(60)의 고정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조절너트(120)는 고정브래킷(110)의 고정 지지홈(114) 상에 걸림이 이루어진 상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조절너트(120)를 정역 회전시키게 되면 조절너트(120)는 고정브래킷(110)의 고정 지지홈(114) 상에서 정역 회전이 이루어지는 반면, 이에 따라 외장재(60)의 후면에 고정된 앵커볼트(20a)의 고정볼트(22a)가 전후로 이동되어 건축물의 벽체(50)와 외장재(6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어진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100)를 구성하는 고정브래킷(110)과 조절너트(120)는 외장재(60)를 건축물의 벽체(50)에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한편, 조절너트(120)의 정역 회전을 통해 앵커볼트(20a)의 고정볼트(22a)가 전후로 조절너트(120)의 회전량만큼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축물의 벽체(50)와 외장재(6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기술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100)의 구성에서 건축물의 벽체(50)에 고정된 고정수단(20)은 고정볼트(22)와 고정너트(24)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건축물의 벽체(50)에 고정된 고정볼트(22)는 고정브래킷(110)의 고정홈(112)으로 삽입 결합되어 고정너트(24)의 체결을 통해 고정브래킷(110)을 건축물의 벽체(50)에 고정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브래킷(110)은 건축물의 벽체(50)에 고정되어 앵커볼트(20a)의 고정볼트(22a)에 체결되는 조절너트(120)의 걸림 지지를 통해 건축물의 벽체(50)에 외장재(60)를 고정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고정브래킷(110)은 도 2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가 열린 다각형 관체의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후면 상부측 중심부에 장홈으로 관통 형성되어 건축물의 벽체(50)에 설치 고정된 고정수단(20)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고정홈(112)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고정브래킷(110)은 전방측에 비해 후방측으로 확장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한편, 고정브래킷(110)의 후면에 형성된 고정홈(112)은 좌우 방향의 장홈으로 형성되어 고정홈(112)의 범위 내에서 건축물의 벽체(50)에 고정브 래킷(110)을 고정시 좌우로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고정브래킷(110)은 건축물의 벽체(50)에 고정된 고정수단(20)의 고정볼트(22)와 고정너트(24)에 의해 건축물의 벽체(50)에 고정되어진다. 즉, 건축물의 벽체(50)에 고정된 고정수단(20)의 고정볼트(22)를 고정브래킷(110) 후면에 형성된 장홈의 고정홈(112)으로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너트(24)를 체결함으로써 건축물의 벽체(50)에 고정브래킷(110)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정 지지홈(114)은 조절너트(120)의 걸림축(122)과 결함에 의한 걸림뭉치(124)와의 걸림을 통해 조절너트(120)를 고정 지지함으로써 건축물의 벽체(50)에 외장재(60)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고정 지지홈(114)은 도 2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래킷(110)의 전면에 상부측이 열린 상태로 일정깊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고정 지지홈(114)의 하단은 반원의 형태로 이루어져 고정 지지홈(114)으로 삽입 결합되는 걸림축(122)이 구비된 조절너트(12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고정 지지홈(114)의 상단부 양측단은 조절너트(120)를 고정브래킷(110)의 고정 지지홈(114) 상에 삽입 결합시 용이한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확장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조절너트(120)는 고정브래킷(110)의 고정 지지홈(114) 상에 걸림 지지되어 외장재(60)를 건축물의 벽체(50)에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한편 정역 회전을 통해 벽체(50)와 외장재(6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 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조절너트(120)는 도 2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재(60)의 후면에 설치 고정된 앵커볼트(20a)의 고정볼트(22a)에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되어지되 고정브래킷(110)의 고정 지지홈(114)에 대응하는 외경으로 걸림축(122)이 형성되어 고정 지지홈(114) 상에 걸림 지지를 통해 고정브래킷(110)에 의해 외장재(60)의 고정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조절너트(120)의 걸림축(122) 전후에는 걸림축(122)에 비해 직경이 큰 구조의 걸림뭉치(124)가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걸림뭉치(124)는 걸림축(122)이 고정브래킷(110)의 고정 지지홈(114)에 삽입 결합시 고정 지지홈(114)의 전후단에 위치되어 전후로의 걸림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브래킷(110)의 고정 지지홈(114) 상에 조절너트(120)의 걸림 지지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걸림뭉치(124)는 도 2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너트(120)의 걸림축(122) 전후에 걸림축(122)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지되 간격은 고정브래킷(110)의 전면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되어 조절너트(120)의 걸림축(122)을 고정브래킷(110)의 고정 지지홈(114)에 삽입 결합시 고정브래킷(110)의 전면 전후에 위치되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조절너트(120)의 전방측 걸림뭉치(124)는 스패너와 같은 도구를 통해 조절너트(120)를 정역 회전시킬 수 있도록 육각형으로 형성되어진다. 물론, 조절너트(120)는 손으로도 회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축(122)과 걸림뭉치(124)의 구조로 이루어진 조절너 트(120)는 외장재(60)의 후면에 고정된 앵커볼트(20a)의 고정볼트(22a)에 체결된 상태로 고정브래킷(110)의 고정 지지홈(114) 상에 삽입 결합되어 건축물의 벽체(50)에 외장재(60)의 고정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고정브래킷(110)의 고정 지지홈(114) 상에 걸림축(122)이 삽입 결합되어 고정 지지홈(114)의 전후단에 걸림뭉치(124)의 걸림이 이루어진 상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조절너트(120)를 정역 회전시키게 되면 조절너트(120)는 고정브래킷(110)의 고정 지지홈(114) 상에서 정역 회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외장재(60)의 후면에 고정된 앵커볼트(20a)의 고정볼트(22a)가 전후로 이동되어 건축물의 벽체(50)와 외장재(6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벽체(50)와 외장재(6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된 후에는 조절너트(120)와 앵커볼트(20a)를 구성하는 고정볼트(22a)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너트(130, 140)가 조절너트(120)의 선단과 앵커볼트(20a)를 구성하는 고정볼트(22a)의 외장재(60) 측으로 체결되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고정브래킷(110)과 조절너트(120)를 통해 벽체(50)에 외장재(60)의 고정 지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조절너트(120)의 정역회전을 통해 건축물의 벽체(50)와 외장재(60) 사이의 간격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름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름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를 통해 콘크리트 벽체에 외장재의 고정을 보인 단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름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를 통해 콘크리트 벽체와 외장제 사이의 간격조절을 보인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외장재 고정장치 110. 고정브래킷
112. 고정홈 114. 고정 지지홈
120. 조절너트 122. 걸림축
124. 걸림뭉치

Claims (3)

  1. 일정크기의 건축 외장재를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하가 열린 다각형 관체의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후면 상부측 중심부에 장홈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벽체에 설치 고정된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고정홈이 구비된 일정크기의 고정브래킷;
    상기 고정브래킷의 전면에 상부측이 열린 상태로 일정깊이 전후로 관통 형성되는 고정 지지홈;
    상기 외장재의 후면에 설치 고정된 앵커볼트의 고정볼트에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되어지되 상기 고정브래킷의 고정 지지홈에 대응하는 외경으로 걸림축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 지지홈 상에 걸림 지지를 통해 상기 외장재의 고정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조절너트; 및
    상기 조절너트의 걸림축 전후에는 상기 걸림축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지되 간격은 상기 고정브래킷의 전면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절너트의 걸림축을 상기 고정브래킷의 고정 지지홈에 삽입 결합시 상기 고정브래킷의 전면 전후에 위치되는 걸림뭉치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너트의 전방측 걸림뭉치는 스패너를 통해 회전 시킬 수 있도록 육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너트를 고정브래킷의 고정 지지홈 상에 삽입 결합시 용이한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고정브래킷의 고정 지지홈 상단의 양측단은 확장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
KR1020090073388A 2009-08-10 2009-08-10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 KR201100159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388A KR20110015933A (ko) 2009-08-10 2009-08-10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388A KR20110015933A (ko) 2009-08-10 2009-08-10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933A true KR20110015933A (ko) 2011-02-17

Family

ID=43774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388A KR20110015933A (ko) 2009-08-10 2009-08-10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59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37552A1 (en) Side mounted drill bolt and threaded anchor system for veneer wall tie connection
US9303669B2 (en) Wall fastener and methods for its use
US9945511B2 (en) Adjustable panel mount
EP2499440A2 (en) Modular support construction
KR20200109559A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US9470254B2 (en) Combination having an anchor for panel-like components, and a fixing arrangement
BR112021003957A2 (pt) montagem de fixação e âncora combinada para ancorar um objeto em uma estrutura de concreto, sistema de montagem de plataforma de âncora para ancorar um objeto em uma estrutura, montagem de plataforma de âncora, e método para ancorar um objeto em uma estrutura de concreto
JP3194864U (ja) 高さ調整式杭
KR100862071B1 (ko) 건축 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20180097038A (ko) 건축외장재 설치구
KR102100754B1 (ko) 단열재가 부착된 건축물의 외부 벽면 상에 외장재를 시공하기 위한 쐐기형 외장재 고정 장치
KR20100010115A (ko) 건축물 외장용 석재판 고정장치
KR101057832B1 (ko)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
KR20110015933A (ko) 건축 외장재용 고정장치
KR101028425B1 (ko) 건축물 외장용 석재판 고정장치
KR100901261B1 (ko) 상인방 벽돌 조적용 가설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상인방벽돌 조적 방법
JPH04315644A (ja) 石材等構造物の連結装置
US20100219310A1 (en) Plumbing fixture mounting bracket assembly
KR200389550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JP3483699B2 (ja) 外壁パネルの支持構造
JP5440475B2 (ja) 出隅用パネル取付金具及び出隅用パネル取付構造
KR20200012460A (ko) 셋트앙카를 이용한 전방가벽시스템
CN215907032U (zh) 一种建筑墙板之间固定连接结构
PL226478B1 (pl) Zespół do mocowania płytowych elementów elewacji
CN212743056U (zh) 一种可调平的地脚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