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4931A - 로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망, 메시지 서버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망의 메시지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로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망, 메시지 서버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망의 메시지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4931A
KR20110014931A KR1020090072546A KR20090072546A KR20110014931A KR 20110014931 A KR20110014931 A KR 20110014931A KR 1020090072546 A KR1020090072546 A KR 1020090072546A KR 20090072546 A KR20090072546 A KR 20090072546A KR 20110014931 A KR20110014931 A KR 20110014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roaming
communication network
transmission method
receiv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형
원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072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4931A/ko
Publication of KR20110014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49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6Message adaptation to terminal or network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로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망, 메시지 서버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망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은 로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망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송신 단말로부터 메시지 전송이 요청되면, 상기 메시지의 수신 단말이 로밍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신 단말이 로밍중인 경우, 상기 수신 단말이 로밍된 통신망의 메시지 처리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로밍된 통신망의 메시지 처리 모드에 따라, 상기 메시지의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기술에 따르면, 해외 로밍된 단말에 대한 메시지 서비스 제공시, 해외망의 메시지 처리 모드에 따라 메시지의 전송 방식을 결정함으로써, 메시지의 전송 실패 및 재전송에 따른 메시지 전송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을 방지하여 국제망 회선료를 절약할 수 있다.
이동통신망, 로밍 서비스, SMS

Description

로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망, 메시지 서버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망의 메시지 전송 방법{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ROVIDING ROAMING SERVICE, MESSAGE SERV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OF MOBILE COMMUICATION NETWORK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로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로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망, 메시지 서버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망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사업자는 이동통신 가입자들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편리하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로밍 서비스(roaming service)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로밍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통화 서비스 뿐만 아니라 단문 메시지, 멀티 미디어 메시지 등의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 우, 장비 및 통신 전송 방식의 한계에 의해 원활하게 메시지를 전송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 및 메시지 전송 방법을 살펴본 후, 그에 따른 문제점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망은 HLR(Home Location Register;홈 위치 등록기;100), GLR(Gateway Location Register;중계 위치 등록기;110), 코어망(120) 및 RAN(Radio Access Network;무선접속망;130)을 포함한다.
HLR(100)은 이동통신망에 속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를 등록한 데이터 베이스를 운용하며, 이동 단말의 위치가 변동되는 경우 이를 업데이트한다. 따라서, HLR(100)을 통해,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이동 단말이 로밍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GLR(110)은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장비로서, 해외의 이동통신망으로 로밍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태를 관리한다. 즉, 해외의 이동통신망으로 로밍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태가 GLR(110)을 통해 국내의 이동통신망의 HLR(100)로 전달된다. 따라서, 국내 이동통신망의 HLR(100)에서 해외의 이동통신망으로 로밍된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 및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코어 망(120)은 MSV(Mobile Switching Center Server;교환기;122) 또는 SGSN(Serving GPRS Service Node;GPRS 망 서비스 노드;124)을 포함한다. 여기서, MSV(122)는 회선 채널을 이용하는 CS(Circuit Switch;회선 교환) 모드로 데이터를 처리하며, SGSN (124)는 데이터(패킷) 채널을 이용하는 PS(Packet Switch;패킷 교환) 모드로 데이터를 처리한다.
RAN(130)은 기지국(Node-B;132) 및 RNC(Radio Network Controller;제어기;134)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은 기지국(132)의 중계를 통해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또한, RNC(134)는 무선 자원의 스케줄링에 따른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기능 및 셀간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핸드오프(handoff) 기능 등을 수행하여, CS 모드의 서킷 트래픽(circuit traffic) 또는 PS 모드의 패킷 트래픽(packet traffic)이 목적지 이동 단말, 유선 전화, 응용서버 등으로 적절히 송수신 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국내의 이동통신망에서 운용되는 이동통신서비스를 해외의 이동통신망으로 로밍된 이동 단말에 대하여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로서, 특히, 홈망(국내 이동통신망)에 속하는 단말A가 해외망(로밍 서비스가 지원되는 국가의 이동통신망)으로 로밍된 단말B에 대해 단문메시지(SMS)를 전송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먼저, 단말A(200)로부터 SMS 전송이 요청되면(S110),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210)는 PS 모드로 SMS를 GLR(220)에 전달 한다(S120).
이어서, GLR(210)은 PS 모드로 SMS를 해외망으로 전달한 후(S130), 해당 SMS 전송과 관련하여 해외망으로부터 ACK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 소정 시간 동안 대기한다.
이때, 해외망에서 MSV(230)만을 구비하거나, SGSN의 서비스가 불안정한 경우, 해외망은 PS 모드로 전송된 SMS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하므로, ACK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는다. 따라서, 소정 시간 내에 해외망으로부터 ACK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GLR(220)은 SMS 전송이 실패한 것으로 간주하여 PS 모드로 SMS를 재차 전송한다.
최종적으로 PS 모드의 SMS 전송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되면, SMSC(210)는 CS 모드로 SMS를 GLR(220)에 전달한다(S140). 이어서, GLR(220)은 CS 모드로 SMS를 해외망의 MSV(230)로 전달한다(S150). 해외망의 MSV(230)는 CS 모드의 SMS를 정상적으로 수신한 후, GLR(220)로 ACK 메시지를 전달한다(S160). GLR(220)은 수신된 ACK 메시지를 SMSC(210)로 전달하고(S170), 해외망의 MSV(230)는 수신된 SMS를 단말B(240)로 전달한다(S180).
이로써, 해외 로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B(240)에 대해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르면, 해외 로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B(240)에게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메시지 전송 처리 장비 및 전송 방식의 한계에 의해 원활하게 메시지를 전송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첫째,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속도가 저하된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우선 PS 모드로 SMS 전송을 시도하고, 전송이 실패하면 CS 모드로 SMS를 재전송한다. 그런데, 해외망은 일반적으로 CS 모드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MSV(230)를 이용하기 때문에, PS 모드로 SMS를 전송할 경우 실패할 확률이 높다. 또한, 해외망에서 PS 모드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SGSN을 구비하더라도, 서비스가 불안정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결국 CS 모드로 SMS를 재전송하게 된다.
즉, PS 모드로 SMS를 전송하고 ACK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뿐만 아니라, SMS 전송 실패시 SMS를 재전송하는 등의 시간으로 인하여 단문 메시지의 서비스 속도가 느리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국제망 회선료가 증가한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우선 PS 모드로 SMS 전송을 시 도하고, 전송이 실패하면 CS 모드로 SMS를 재전송하기 때문에, 일단 PS 모드로 SMS를 전송하는 과정을 반드시 거치게 된다. 뿐만 아니라, PS 모드의 SMS 전송에 대한 ACK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PS 모드의 SMS를 재차 전송하거나, CS 모드의 SMS를 재전송하여야 한다.
따라서, SMS를 복수회에 걸쳐 재전송하는 불필요한 과정을 반복하게 되며, 그에 따라, 불필요한 데이터를 수차례 반복하여 해외망으로 전송하게 되어 국제망 사용에 따른 회선료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해외 로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에 대해 효율적으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비 및 메시지 전송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해외 로밍된 단말에 대한 메시지 서비스 제공시, 해외망의 메시지 처리 모드에 따라 메시지의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이동 통신망, 메시지 서버 및 그를 이용한 메시지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로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망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송신 단말로부터 메시지 전송이 요청되면, 상기 메시지의 수신 단말이 로밍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신 단말이 로밍중인 경우, 상기 수신 단말이 로밍된 통신망의 메시지 처리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로밍된 통신망의 메시지 처리 모드에 따라, 상기 메시지의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로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망의 메시지 서버에 있어서, 메시지 전송이 요청되면, 상기 메시지의 수신 단말이 로밍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로밍 여부 판단부; 상기 메시지의 수신 단말이 로밍중인 경우, 상기 수신 단말이 로밍된 통신망의 메시지 처리 모드를 확인하는 메시지 처리 모드 확인부; 및 상기 로밍된 통신망의 메시지 처리 모드에 따라, 상기 메시지의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메시지 전송 방식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로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 단말로부터 메시지 전송이 요청되면, 상기 메시지를 PS 모드 또는 CS 모드로 글로벌 로밍 게이트 웨이 장치에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의 수신 단말이 로밍중인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에 상기 메시지를 CS 모드로 전송하도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글로벌 로밍 게이트웨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외 로밍된 단말에 대한 메시지 서비스 제공시, 해외망의 메시지 처리 모드에 따라 메시지의 전송 방식을 결정한다. 따라서, 메시지의 전송 실패 및 재전송에 따른 메시지 전송 지연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을 방지하여 국제망 회선료를 절약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서버(300)는 로밍 여부 판단부(310), 메시지 처리 모드 확인부(320) 및 메시지 전송 방식 결정부(330)를 포함하며, 메시지 전송부(3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밍 여부 판단부(310)는 전송이 요청된 메시지의 수신 단말이 로밍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 단말 정보를 확인한 후, 이를 이용하여 수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수신 단말이 로밍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 단말의 로밍 여부는 예를 들어, HLR에 등록된 수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확인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소정 단말이 해외의 이동통신망으로 로밍되는 경우, GLR(Gateway Location Register;중계 위치 등록기)을 통해 로밍된 단말의 위치 정보가 국내의 이동통신망의 HLR(Home Location resister;홈 위치 등록기)로 전달된다. 따라서, 국내 이동통신망의 HLR에서 해외의 이동통신망으로 로밍된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 및 상태를 관리할 수 있게 되며, 로밍 여부 판단부(310)는 HLR에 수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이를 확인함으로써, 현재 수신 단말이 국내에 위치하는지 또는 해외 로밍 서비스를 이용중인지 판단할 수 있다.
메시지 처리 모드 확인부(320)는 로밍 여부 판단부(310)에 의해 수신 단말이 로밍 서비스를 이용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신 단말이 로밍된 해외망의 메시지 처리 모드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메시지 처리 모드는 PS(Packet switch) 모드 또는 CS(Circuit Switch) 모드일 수 있다.
메시지 전송 방식 결정부(330)는 수신 단말이 로밍된 해외망의 메시지 처리 모드에 따라 메시지의 전송 방식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해외망에서 PS 모드로 메시지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PS 모드로 메시지 전송 방식을 결정하고, 해외망에서 CS 모드로 메시지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CS 모드로 메시지 전송 방식을 결정한다.
만약, 해외망에서 복수의 메시지 처리 모드를 지원하는 경우, 각 처리 모드의 메시지 수신율 즉, 메시지 전송 성공률을 확인하여 메시지 전송 성공률이 더 높은 메시지 처리 모드로 메시지의 전송 방식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해외망에서 PS 모드와 CS 모드를 모두 지원하는 경우, PS 모드와 CS 모드의 메시지 수신율을 각각 확인하여 메시지 수신율이 더 높은 모드로 메시지 전송 방식을 결정한다.
단, 종래기술에 따르면, 해외망에서 주로 MSV(Mobile Switching Center Server;교환기)를 주로 사용하고, SGSN(Serving GPRS Survice Node;GPRS망 서비스 노드)을 구비하더라도 서비스가 불안한 경향이 있으므로, 메시지 처리 모드 확인부(320)에 의해 수신 단말이 로밍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바로 CS 모드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해외망의 메시지 처리 모드를 확인하는 등의 데이터 처리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시지 전송부(340)는 메시지 전송 방식 결정부(330)에 의해 결정된 메시지 전송 방식에 따라 메시지를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로밍 서비스를 이용중인 단말에 대한 메시지 서비스 제공시, 수신 단말이 로밍된 해외 단말의 메시지 처리 모드를 미리 확인하여 그에 적합한 모드로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메시지를 보다 빠르게 전송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을 방지함으로써, 국제망 회선료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메시지 서버는 메시지 전송에 사용되는 모든 장비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SMSC(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또는 로밍 게이트 웨이 장치(GLR)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로서, 메시지 서버에서의 데이터 처리 순서를 나타낸다.
먼저, 송신 단말로부터 메시지 전송이 요청되면(S410), 로밍 여부 판단부(310)는 메시지의 수신 단말이 로밍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20). 여기서, 수신 단말이 로밍중인지 여부는 HLR에 수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확인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로밍 여부 판단부(310)의 판단 결과, 수신 단말이 로밍중이 아닌 경우, 즉, 홈망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메시지 전송 방식과 동일하게 메시지를 처리한 다.
만약, 로밍 여부 판단부(310)의 판단 결과, 수신 단말이 로밍 서비스를 이용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메시지 처리 모드 확인부(320)는 수신 단말이 로밍된 해외망에서의 메시지 처리 모드를 확인한다(S430).
이어서, 메시지 전송 방식 결정부(330)는 메시지 처리 모드 확인부(320)에 의해 확인된 해외망의 메시지 처리 모드에 따라 메시지 전송 방식을 결정한다(S440). 이때, 해외망이 복수의 메시지 처리 모드를 지원하는 경우에는 메시지의 수신율이 높은 메시지 처리 모드로 메시지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로밍 여부 판단부(310)에 의해 수신 단말이 로밍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CS 모드로 메시지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메시지 전송부(340)는 메시지 전송 방식 결정부(330)에 의해 결정된 메시지 처리 모드에 따라 메시지를 전송한다(S450).
여기서, 각 단계의 구체적인 사항은 앞서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로서, 특히, 앞서 설명한 메시지 서버가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홈망(국내 이동통신망)은 SMSC(510) 및 GLR(520)를 포함하고, 해외망(로밍 서비스가 지원되는 국가의 이동통신망)은 MSV(530)를 포함한다. 물론, 홈망 및 해외망은 이 밖에도 코어 망, RAN 등을 포함하지만, 본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통신망의 구성 중 일부만을 도시하였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홈망에 속하는 단말A(500)가 해외망으로 로밍된 단말B(540)로 단문메시지(SMS)를 전송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홈망에 속하는 단말A(500)로부터 SMSC(510)로 SMS 전송이 요청되면(S510), SMSC(510)는 로밍 여부 판단부(310)에 의해 SMS의 수신 단말인 단말B(540)가 로밍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20).
로밍 여부 판단부(310)의 판단 결과, 단말B(540)가 로밍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SMSC(510)는 메시지 처리 모드 확인부(320)에 의해 해외망의 메시지 처리 모드를 확인하여, 메시지 전송 방식 결정부(330)에 의해 메시지 전송 방식을 결정한다. 이어서, SMSC(510)는 메시지 전송부(340)에 의해 해외망의 메시지 처리 모드에 따라 GLR(520)로 SMS를 전송한다(S530).
이어서, GLR(520)는 수신된 SMS를 해외망의 MSV(530)로 전송한다(S540). 이때, 해외망의 메시지 처리 모드를 미리 확인하여 그에 적합한 모드로 메시지가 전송되므로, MSV(530)는 안정적으로 SMS를 수신할 수 있다. SMS가 성공적으로 수신되면, MSV(530)는 GLR(520)로 ACK 메시지를 전송하고(S550), GLR(520)은 SMSC(510)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S560). 또한, MSV(530)는 수신된 SMS를 단말B(540)로 전송한다(S570). 이로써, SMS 전송이 완료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 한 순서도로서, 특히, 앞서 설명한 메시지 서버가 로밍 게이트웨이 장치(GLR)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홈망은 SMSC(610) 및 GLR(620)를 포함하고, 해외망은 MSV(630)를 포함한다. 물론, 홈망 및 해외망은 이 밖에도 코어 망, RAN 등을 포함하지만, 본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통신망의 구성 중 일부만을 도시하였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홈망에 속하는 단말A(600)가 해외망으로 로밍된 단말B(640)로 단문메시지(SMS)를 전송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홈망에 속하는 단말A(600)로부터 SMSC(610)로 SMS 전송이 요청되면(S610), SMSC(510)는 소정 모드로 GLR(620)로 SMS를 전송한다(S620). SMSC(610)는 예를 들어, PS 모드 또는 CS 모드로 SMS를 전송할 수 있는데, 본 도면에서는 PS 모드로 전송한 경우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이어서, GLR(620)은 SMS가 수신되면, 로밍 여부 판단부(310)에 의해 SMS의 수신 단말인 단말B(640)가 로밍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630). 로밍 여부 판단부(310)의 판단 결과, 단말B(640)가 로밍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GLR(620)는 메시지 처리 모드 확인부(320)에 의해 해외망의 메시지 처리 모드를 확인하여, 메시지 전송 방식 결정부(330)에 의해 메시지 전송 방식을 결정한다.
이때, 메시지 전송 방식 결정부(330)에 의해 결정된 메시지 처리 모드와 SMSC(61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의 처리 모드가 상이한 경우, GLR(620)은 SMSC(610)로 해외망의 메시지 처리 모드에 따른 SMS를 재요청한다(S640). 예를 들어, GLR(620)은 SMSC(610)로 PS 모드의 SMS 전송이 불가함을 알리는 에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GLR(620)은 SMSC(610)로부터 수신된 SMS를 해외망의 MSV(630)로 전송하기에 앞서, SMSC(610)로부터의 SMS 전송 모드와 해외망의 메시지 처리 모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 SMS를 재요청한다. 따라서, 종래와 달리 해외망의 MSV(630)로부터 ACK 메시지의 전송을 대기할 필요가 없으며, 그에 따라, 메시지 서비스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SMSC(610)는 GLR(62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해외망의 메시지 처리 모드에 적합한 방식으로 SMS를 GLR(620)로 재전송한다(S650). 예를 들어, CS 모드의 SMS를 GLR(62)로 재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GLR(620)은 수신된 SMS를 해외망의 MSV(630)로 전송한다(S660). 이때, 해외망의 메시지 처리 모드를 미리 확인하여 그에 적합한 모드로 메시지가 전송되므로, MSV(630)는 안정적으로 SMS를 수신할 수 있다. SMS가 성공적으로 수신되면, MSV(630)는 GLR(620)로 ACK 메시지를 전송하고(S670), GLR(620)은 SMSC(610)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S680). 또한, MSV(630)는 수신된 SMS를 단말B(640)로 전송한다(S690). 이로써, SMS 전송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 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메시지 전송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버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Claims (13)

  1. 로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망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송신 단말로부터 메시지 전송이 요청되면, 상기 메시지의 수신 단말이 로밍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신 단말이 로밍중인 경우, 상기 수신 단말이 로밍된 통신망의 메시지 처리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로밍된 통신망의 메시지 처리 모드에 따라 상기 메시지의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의 메시지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메시지의 전송 방식에 따라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의 메시지 전송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 방식 결정 단계는,
    상기 로밍된 통신망이 복수의 메시지 처리 모드를 지원하는 경우, 메시지의 수신율이 높은 메시지 처리 모드로 상기 메시지의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이동통신망의 메시지 전송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 방식 결정 단계는,
    상기 수신 단말이 로밍중인 경우, CS 모드로 상기 메시지의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이동통신망의 메시지 전송 방법.
  5. 로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망의 메시지 서버에 있어서,
    메시지 전송이 요청되면, 상기 메시지의 수신 단말이 로밍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로밍 여부 판단부;
    상기 메시지의 수신 단말이 로밍중인 경우, 상기 수신 단말이 로밍된 통신망의 메시지 처리 모드를 확인하는 메시지 처리 모드 확인부; 및
    상기 로밍된 통신망의 메시지 처리 모드에 따라 상기 메시지의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메시지 전송 방식 결정부
    를 포함하는 메시지 서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메시지 전송 방식에 따라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서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 방식 결정부는,
    상기 로밍된 통신망이 복수의 메시지 처리 모드를 지원하는 경우, 메시지의 수신율이 높은 메시지 처리 모드로 상기 메시지의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메시지 서버.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 방식 결정부는,
    상기 수신 단말이 로밍중인 경우, CS 모드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서버.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서버는,
    로밍 게이트웨이 장치인
    메시지 서버.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서버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인
    메시지 서버.
  11. 로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 단말로부터 메시지 전송이 요청되면, 상기 메시지를 PS 모드 또는 CS 모드로 글로벌 로밍 게이트 웨이 장치에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의 수신 단말이 로밍중인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에 상기 메시지를 CS 모드로 전송하도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로밍 게이트웨이 장치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밍 게이트웨이 장치는,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부터 메시지 전송이 요청되면, 상기 메시지의 수신 단말이 로밍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로밍 여부 판단부;
    상기 메시지의 수신 단말이 로밍중인 경우, 상기 수신 단말이 로밍된 통신망의 메시지 처리 모드를 확인하는 메시지 처리 모드 확인부; 및
    상기 로밍된 통신망의 메시지 처리 모드에 따라, 상기 메시지의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메시지 전송 방식 결정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로밍 게이트웨이 장치는,
    상기 결정된 메시지 전송 방식에 따라 상기 수신 단말이 로밍된 통신망으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KR1020090072546A 2009-08-06 2009-08-06 로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망, 메시지 서버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망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201100149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546A KR20110014931A (ko) 2009-08-06 2009-08-06 로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망, 메시지 서버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망의 메시지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546A KR20110014931A (ko) 2009-08-06 2009-08-06 로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망, 메시지 서버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망의 메시지 전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931A true KR20110014931A (ko) 2011-02-14

Family

ID=43773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546A KR20110014931A (ko) 2009-08-06 2009-08-06 로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망, 메시지 서버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망의 메시지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49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07317B (zh) 全异通信网络中的消息转发
US11483744B2 (en) Methods and computing device for splitting traffic across multiple accesses
CN1613242A (zh) 向不具有至网络的有效数据连接的无线设备传输数据的方法
KR20040023442A (ko) 공중 이동통신망과 연동되는 사설 무선망의 단문 메시지서비스 서버 및 방법
KR2016002650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서비스 연결을 유지하는 장치 및 방법
US20090280813A1 (en) Handover Procedure Between Radio Access Networks
US6597910B1 (en) Method for making network direct system selection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KR20180122699A (ko) 데이터 전송 방법과 장치 및 세션 관리 설비
US20110059721A1 (en) Method of handling emergency-purposed short message ser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lated apparatus
JP5079014B2 (ja) 位置基盤マルチメディアメッセージ伝送サービス方法及びその装置
US8712411B1 (en) Varying latency time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629043B2 (en) Wireless messaging method and mobile station
CN114916042B (zh) 呼叫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WO2002093945A2 (en) Communication service provisioning method
WO2006073686A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rerouting of information when a target is busy
WO2011069279A1 (en) Network entity for mobile communications
KR20110014931A (ko) 로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망, 메시지 서버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망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894361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호 처리 방법
KR101202993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미수신 통화내역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미수신 통화내역제공 서비스서버
KR100609591B1 (ko) 단문메시지 전송확인 기능이 개선된 단문메시지관리시스템과, 이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단문메시지 전송확인 방법
KR101161080B1 (ko) 국제로밍차단 가입자에 대한 안내 문자 또는 재난 문자를 전송하는 관문 위치 등록기 및 방법
KR101328728B1 (ko) 네트워크장치 및 그 동작 방법과, 단말장치
KR10068190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처리 방법
KR20100109690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통신 시스템
KR101430238B1 (ko) 착신 성공률 개선을 위한 호 처리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