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4701A - 드럼살균건조기 - Google Patents

드럼살균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4701A
KR20110014701A KR1020110007693A KR20110007693A KR20110014701A KR 20110014701 A KR20110014701 A KR 20110014701A KR 1020110007693 A KR1020110007693 A KR 1020110007693A KR 20110007693 A KR20110007693 A KR 20110007693A KR 20110014701 A KR20110014701 A KR 20110014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lift
dryer
sterilization dryer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4877B1 (ko
Inventor
용 준 권
Original Assignee
용 준 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 준 권 filed Critical 용 준 권
Priority to KR1020110007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4877B1/ko
Publication of KR20110014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4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8Part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살균건조기, 특히 드럼의 지름을 리프트로 분할하여 각각의 반원형 드럼에 피건조물을 분산 투입하여 드럼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운전시 한쪽 반원형 드럼의 리프트는 피건조물을 담아 올리고 반대쪽은 낙하시키는 방법으로, 저속으로 회전하는 드럼 1회전에 피건조물의 상승과 낙하 2가지 동작 효과를 동시에 얻는 에너지 절약형 친환경 드럼살균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건조물을 살균 건조하기 위한 드럼살균건조기는, 상기 드럼살균건조기의 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살균램프;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피건조물을 회전시키는 드럼; 상기 드럼에 부착되어 회전시 피건조물을 담아서 상부로 이송시키는 리프트;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동작하며,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발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투입된 피건조물이 저속으로 회전하는 드럼의 리프트에 담겨져 한쪽은 드럼의 상부로 이송되고, 반대쪽은 자중에 의해 낙하되며 펼처지고 뒤집어지는 과정에 피건조물을 살균과 동시에 건조시키는 드럼살균건조기로, 드럼을 각각 반원으로 분할 사용되게 하고 피건조물을 분산 투입하여 드럼 공간을 효율적 사용하고, 피건조물을 리프트에 담아서 올리는 저속회전 구동방식으로 에너지 절약과 동시에, 줄어든 드럼의 회전수 만큼 의류와 섬유제품 등의 피건조물의 과도한 마찰을 줄여 섬유제품의 손상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드럼살균건조기{DRUM STERILIZING DRYER}
본 발명은 드럼살균건조기, 특히 드럼의 지름을 리프트로 분할하여 각각의 반원형 드럼에 피건조물을 분산 투입하여 드럼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운전시 한쪽 반원형 드럼의 리프트는 피건조물을 담아 올리고 반대쪽은 낙하시키는 방법으로, 저속으로 회전하는 드럼 1회전에 피건조물의 상승과 낙하 2가지 동작 효과를 동시에 얻는 에너지 절약형 친환경 드럼살균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제품의 오염물질 제거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물을 사용한 세탁이고 세탁된 세탁물을 세탁기 내에 부설된 세탁겸용 건조기에서 열풍으로 건조하거나 아니면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세탁물을 실내외의 건조대에서 자연건조시킨다.
그러나, 시간에 쫓기는 바쁜 현대 생활과 아파트와 주상복합 등의 공동주택 문화가 늘어남에 따라 세탁물 건조에 공간의 제약과 시간이 걸리는 자연건조방식이 아니라 공간과 시간의 제약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조 속도가 빠른 열풍건조방식의 세탁겸용 건조기나 일반 건조기를 이용하는 것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드럼건조기는 드럼내 피건조물을 뒤집는 방법으로 드럼을 고속(40~60rpm/분)으로 회전시켜 그 회전에 의한 원심력과, 회전하는 드럼내 작은 리프트에 피건조물이 걸리는 힘으로 드럼내 피건조물이 드럼 내벽에 붙어 상부로 이송되고 정상에서 낙하시켜 뒤집는 방식으로, 드럼의 고속회전에 따른 에너지 사용의 비효율성과, 원형드럼을 한개의 작동 공간으로만 사용하는 공간사용에 비효율성이 문제가 된다.
또한, 종래 드럼건조기는 대형인 경우 분당 40~50회전, 중형인 경우 분당 50~60회전 하여야 피건조물이 원심력 받아 드럼 내벽에 붙어 상승하여 낙하하므로 종래 구동방식의 고속회전은 공동주택에서 심야 사용시 진동과 소음이 문제가 된다.
그리고, 세탁물 평균 건조시간을 50분으로 보고 회전수가 (40~60rpm/분) 이면 한번 건조시키는데 피건조물이 무려 2,000회에서 3,000회 정도 상승되고 낙하되면서 피건조물과 드럼, 피건조물 상호간에 서로 부딪히고 비벼지는 과도한 마찰이 일어나 의류 섬유제품 등 피건조물이 빨리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물이 어느정도 윤활작용도 하는 세탁과정에 비해, 건조과정은 마른 의류나 섬유제품끼리 서로 마찰되어 손상되는 속도가 매우 빠르다. 예로 와이셔츠나 바지를 건조할 때 10~20회 정도 뒤척이면 되는 것을 무려 2.000~3,000회 뒤척여 목의 칼라나 팔 소매 단부가 금방 휘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드럼 회전시 피건조물이 한쪽으로 쏠려 드럼내 무게 균형이 깨지면 진동과 소음이 심해지므로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세탁용량 10KG 드럼세탁건조기의 경우 통상 제품무게가 무려 100KG 내외로 무겁게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모든 문제점의 근원은 세탁을 주기능으로 하여 제작하는 드럼의 작은 리프트에 있으며, 높이가 작은 리프트는 드럼의 회전으로 드럼내 물을 퍼올려 상부에서 낙하시켜 물의 낙하 충격으로 세탁하는 드럼세탁기의 세탁전용 리프트로, 그것을 그대로 건조기능으로 사용하는 데서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물을 퍼올리는 세탁기 기능의 높이가 작음 리프트로는 부피가 큰 피건조물을 퍼올릴 수 없기 때문에 드럼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작은 리프트에 피건조물이 걸려 올라가는 힘과 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동시에 이용하여 원형 드럼내 피건조물을 상승,낙하시켜 피건조물을 뒤집는 구동방식이 상기한 문제점의 원인이다.
또한, 세탁소 등의 건조전용 일반드럼건조기 드럼에도 세탁기용 드럼을 그대로 원용하여 원심력을 이용하는 구동방식을 사용하므로, 소비자 입장에서는 세탁소를 자주이용하는 의류는 빨리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고, 동시에 고속회전에 의한 에너지 낭비와 소음 진동, 그리고 건조기 자체의 진동을 방지를 위한 중량제작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드럼건조기의 고속회전에 의한 에너지 낭비 문제점과, 진동과 소음발생 문제점, 피건조물의 과도한 마찰에 의한 제품 손상 문제점과, 중량제작의 문제점을, 본 발명의 드럼 분할로 2개의 공간에 분산 투입하는 것과 중간이 오목한 형태의 리프트(40)에 담아서 저속회전으로 상승시키고 낙하시키는 구동방식으로 이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피건조물(100)을 살균 건조 시킬때 드럼(30)을 저속회전시키며 피건조물을 뒤집는 방법으로 드럼의 지름을 리프트(40)로 분할하여 각각의 반원형 공간에 피건조물(100)을 분산 투입하여 드럼(30)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드럼살균건조기(1)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고속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이용하지 않고 저속으로 회전하는 드럼(30)에 돌출 부착된 리프트(40)에 담아서 드럼 상부로 이동시켜 낙하시키는 방법으로 운전시 진동과 소음이 없는 정숙한 드럼살균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피건조물(100)을 뒤집는 방법으로 드럼의 고속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이용하지 않키 때문에 피건조물을 뒤집는 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여, 드럼과 피건조물, 피건조물 상호간에 서로 부딪히고 비벼지는 과도한 마찰을 줄여 의류 등 섬유제품 건조시 과도한 손상이 일어나지 않는 드럼살균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피건조물(100)을 뒤집는 방법으로 드럼(30)의 고속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이용하지 않키 때문에 피건조물이 드럼 한쪽으로 쏠려 드럼내 무게 균형이 깨져 진동과 소음이 발생할 이유가 없기 때문에 제품무게가 가벼운 드럼살균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피건조물을 뒤집는 방법으로 드럼의 고속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이용하지 않키 때문에 저속으로 가볍게 뒤집을 수 있어 한두번 입은 의류나 먼지 묻은 인형 침대시트 등 기타 섬유제품 등의 먼지와 폐섬유입자를 분리하고 동시에 살균 건조와 기능성 기능을 추가한 멀티 기능의 드럼살균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건조물을 살균 건조하기 위한 드럼살균건조기는, 상기 드럼살균건조기(1)의 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살균램프(80);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피건조물을 회전시키는 드럼(30); 상기 드럼에 부착되어 회전시 피건조물(100)을 담아서 상부로 이송시키는 리프트(40);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60); 및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동작하며,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발열체(50)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투입된 피건조물(100)이 저속으로 회전하는 드럼(30)의 리프트(40)에 담겨져 한쪽은 드럼의 상부로 이송되고, 반대쪽은 자중에 의해 낙하되며 펼처지고 뒤집어지는 과정에 피건조물(100)을 살균과 동시에 건조시키는 드럼살균건조기로, 드럼(30)을 각각 반원으로 분할 사용되게 하고 피건조물을 분산 투입하여 드럼 공간을 효율적 사용하고, 피건조물을 리프트(40)에 담아서 올리는 저속회전 구동방식으로 에너지 절약과 동시에 줄어든 드럼의 회전수는 의류와 섬유제품 등의 피건조물(100)의 과도한 마찰을 줄여 섬유제품의 손상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트(40a)의 높이를 반경에 가깝게(도7a)하여 드럼의 원형 공간을 인위적으로 반원형 2개의 공간으로 양분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피가 큰 침대시트나 담요 인형 등을 살균 살충 건조할 때에, 상기 리프트(40)에 결합된 힌지를 이용하여 리프트를 반으로 접어 사용하거나, 리프트(40a)의 2개 리프트 중 한쪽을 분리제거하여 1개만 사용하여, 드럼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트(40)(40a)의 중간(403) 부분을 오목하게 하여 피건조물(100)을 쉽게 담을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트의 단부(404) 형상이 오목하고 건조물이 잘 걸릴 수 있도록 단부 가장자리를 요철처리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럼내에 맥반석 등 기타 기능성 물질을 수납할 수 있는 돌출부(90)를 형성하고 원적외선 방출재료 등이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럼은 8~10rpm/분의 저속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은 피건조물(100)을 살균 건조시킬때 드럼(30)을 저속회전시키며 피건조물을 뒤집는 방법으로 드럼의 지름을 리프트(40)로 분할하여 각각의 반원 드럼에 피건조물을 분산 투입하여 드럼(30)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드럼에 돌출 부착된 리프트(40)에 담아서 드럼 상부로 이동시켜 낙하시키는 방법으로 드럼 1회전에 2가지 동작 효과를 동시에 얻는 에너지 절약형 친환경 드럼살균건조(1)로 에너지 효율이 높다.
둘째, 본 발명의 드럼살균건조기(1)는 드럼의 저속회전으로 피건조물(100)과 드럼(30), 피건조물(100) 상호간에 서로 부딪히고 비벼지는 과도한 마찰이 줄어 의류 등 섬유제품의 손상이 줄어든다.
셋째, 본 발명의 드럼살균건조기(1)는 드럼의 저속회전으로 운전에 따른 진동과 소음이 없어 심야에 공동주택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넷째, 본 발명의 드럼살균건조기는 드럼이 저속회전(8~10rpm)으로 운전되므로 고속회전에 의한 진동이 없어 경량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경제적이다.
다섯째, 본 발명의 드럼살균건조기는 드럼(30)내의 리프트 접거나 분리하여 1개로 운전할 수 있고 저속으로 가볍게 뒤집을 수 있어 한두번 입은 부피가 큰 의류나 침대시트, 인형 등 기타 섬유제품 등의 먼지 제거와 살균과 건조를 동시에 할 수 있는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살균건조기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살균건조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살균건조기의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살균건조기의 피건조물 운전 정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살균건조기의 피건조물 상승 운전 정면도.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살균건조기의 피건조물 낙하 운전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살균건조기 리프트에 결합된 힌지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살균건조기 리프트 단부 요철부분 확대도.
도 7a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살균건조기의 피건조물 운전 정면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살균건조기의 피건조물 상승 운전 정면도.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살균건조기의 피건조물 낙하 운전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살균건조기 리프트 결합부 요부 확대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살균건조기 드럼내 돌출부 요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드럼살균건조기(1)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살균건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정면도이며, 도 3은 측면도이고, 도 4는 피건조물 운전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드럼살균건조기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된 도아(20), 상기 하우징 상단에 설치된 살균램프(80),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드럼(30), 상기 드럼 내에 설치된 리프트(40), 건조물을 가열 건조시키기 위해 열풍울 공급하는 발열체(50),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모터와 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60), 및 열풍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7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
먼저, 본 발명의 하우징(10)은 드럼살균건조기(1)의 본체에 해당하는 것으로, 그 내부에 각종 부품이 내장된다. 본 발명의 드럼살균건조기는 저속회전 구동방식으로 운전시 진동이 없어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 재료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아)
본 발명의 도아(20)는 피건조물이 투입되는 입구이고, 실내의 피건조물의 건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체로 제작하는 것이 좋다.
(드럼)
본 발명의 드럼살균건조기는 드럼(30)의 지름을 리프트(40)로 분할하여 각각의 반원형 드럼에 피건조물(100)을 분산 투입하여 드럼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운전시 한쪽 반원형 드럼의 리프트(30)는 피건조물을 담아 올리고 반대쪽은 낙하시키는 방법으로, 저속으로 회전하는 드럼 1회전에 피건조물(100)의 상승과 낙하 2가지 동작 효과를 동시에 얻는 에너지 사용의 효율면에서 경제적인 드럼이다.
이러한 드럼의 공간 구분은 리프트(40a)와 같이 키가 큰 리프트 2개의 인위적 칸막이로 구분하여도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드럼(30)의 내면 또는 후면에 건조공기의 소통을 위한 통기구가 형성되어 발열체(5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자유롭게 소통하여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드럼(30)의 전면부에는 도아(20)가 설치되고 그 후면부에는 드럼(30)을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 설치되어 있다. 드럼(30)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도시하지 않음)는 하우징(10)의 저부에 통상적으로 설치되고, 일반적으로 금속재료로 된 원통형으로 제작된다.
(리프트)
본 발명의 리프트(40)는 종래의 드럼건조기와 특히 차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의 드럼건조기는 드럼의 고속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세탁물을 드럼의 상부로 이동시키고 상부에서 낙하시켜 건조물을 뒤집으며 건조시키는 방식이므로 리프트가 불필요하거나 그 높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드럼살균건조기(1)는 드럼(30)의 고속회전에 의한 원심력이 아니라 저속으로 회전하는 드럼(30)에 돌출 부착된 리프트(40)에 의해 피건조물이 담겨져 드럼(30)의 상부로 이동되고 상부에서 자중에 의해 낙하시키는 방식이므로 종래건조기의 높이가 작은 리프트와는 기능면에서 차별된다.
상기 드럼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드럼(30)의 원형인 공간을 각 반원으로 분리하는 리프트(40)이거나 각 반원 형태로 분할 사용되게 하는 리프트(40A)로 인위적으로 2개의 공간으로 나누는 것과 피건조물(100)을 담는 기능을 동시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리프트이다.
상기 리프트(40a)의 높이는 피건조물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통상 리프트(40a)에 담겨지거나 걸쳐져서 세탁물이 드럼(30)의 상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리프트(40a)의 높이는 10cm 이상이 되어야 한다. 리프트(40a)의 높이가 10cm 미만인 경우 드럼(30)이 저속(8~10rpm)으로 회전하는 경우 피건조물이 드럼(30)의 상부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굴러내리며 오히려 피건조물이 돌돌 말려 오히려 건조를 어렵게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또한 리프트(40a)의 높이가 아주 긴 경우, 예컨대 드럼(30)의 반경을 초과하는 경우 리프트(40a)의 단부(端部)와 맞은편 드럼(30) 사이의 공간이 작아지기 때문에 피건조물의 낙하가 원활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리프트의 높이는 드럼(30)의 반경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a와 도 7a 의 운전정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건조물을 담을 수 있게 리프트(40)(40a)의 중간부분(403) 형상이 오목하여 세탁물을 용이하게 담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도 6의 리프트(40)(40a)의 단부(端部)는 매끄러운 형상 보다 요철부가 형성되어 피건조물이 용이하게 리프트로부터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도 4b와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대시트 처럼 피건조물의 부피가 클 경우 리프트(40)의 힌지를 접어서 1개의 리프트만으로 피건조물을 뒤집으며 살균 건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도 7b와 7c도 도시한 바와 같이 피건조물의 부피가 클 경우 한쪽 리프트(40a)의 (401)에서 (402)를 분리 제거하여 1개의 리프트만으로 피건조물을 뒤집으며 살균 건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발열체)
본 발명에서 피건조물(100)을 건조시키는 발열체(50)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히터를 이용한 열풍건조방식으로 하였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하부에 PTC 히터(50)를 설치하고 송풍기(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열기를 하부에서 상부로 송풍하였다. PTC 히터(50)의 열기에 의해 피건조물이 건조되고 건조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수증기와 페섬유입자는 필터(도시 하지 않음)를 통과하면서 걸러지고 배기관(70)을 통해을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은 PTC 히터(50)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하우징(10)의 내부의 온도가 지나치게 올라가는 경우 내부에 부설된 온도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온도를 감지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60)로 보내 전원을 차단한다.
(제어부)
본 발명의 제어부(60)는 드럼(30)를 구동하는 모터와 자외선 살균램프(80)와 발열체(50)에 전원을 공급하고, 온도센서의 검지결과에 기초하여 하우징(10) 내부의 온도와 동작시간을 제어한다.
(소형 건조기의 동작)
이하, 드럼살균건조기(1)의 사용 상태도인 도 4a 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드럼살균건조기(1)에서의 드럼(30)의 회전에 따른 피건조물의 상승과 낙하 상태를 설명한다.
도 4a 와 같이 원통인 드럼(30)의 원형인 공간을 리프트(40)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2개의 공간으로 나누어 드럼(30) 회전시 건조물이 각각의 반원형 드럼 공간에서 리프트에 의해 한쪽은 올라가고 반대쪽은 떨어지게 하는 것으로 드럼 1회전에 피건조물이 상승하고 낙하하는 2가지 동작이 동시에 일어나게 하는 것으로 원형 한개의 드럼공간을 반원형 2개의 드럼 공간으로 나누면 드럼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면에서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드럼살균건조기이다.
또한, 도 7a 와 같이 드럼의 리프트(40a) 높이를 크게하여 반원형의 2개공간으로 인위적으로 나누어 각 반원 형태로 분할 사용되게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리프트와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도 4b와 4c 그리고 도7와 7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대시트 처럼 부피가 큰 피건조물의 경우 리프트(40)의 힌지를 접거나 리프트(40a)의 결합부분(도8)을 분리하여 1개의 리프트로 대형 피건조물을 뒤집으며 살균 건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드럼(30)의 내면 또는 후면에 건조공기의 소통을 위한 드럼살균건조기는 하우징(10)내에 습도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부착하여 피건조물의 건조상태를 감지하여 이 검지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60)가 동작을 자동 종료시킬 수도 있고, 피건조물의 젖음 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제어부(60)에 부착된 타이머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드럼살균건조기(1)의 동작을 종료시킬 수도 있다.
(변형예)
도 9는 본 발명의 드럼살균건조기(1)의 드럼(30)내 돌출부(90)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 그 내부에 맥반석 등의 원적외선 방출재료와 기타 기능성 재료를 수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기술되었지만, 본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전술한 발명을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서는 피건조물의 건조를 주대상으로 하였지만 살균소독이나 집먼지 진드기의 살충소독과 미세 먼지와 폐섬유입자 제거 등등, 기타 다른 물품도 본 발명의 드럼살균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 살균 살충 먼지제거 섬유조직 정련가공 등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모든 변형을 포함한다.
1: 드럼살균건조기 10: 하우징
20: 도아 30: 드럼
40: 리프트 40a: 리프트
50: 발열체 60: 제어부 70: 배기구 80: 살균램프
90: 돌출부 100: 피건조물
401: 리프트 하단부 402: 리프트 상단부
403: 리프트 중간부분 404: 리프트 단부부분

Claims (6)

  1. 피건조물을 살균 건조하기 위한 드럼살균건조기이 있어서,
    상기 드럼살균건조기의 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살균램프;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피건조물을 회전시키는 드럼;
    상기 드럼내에 돌출 부착되어 드럼 회전시 피건조물을 담아서 상부로 이송시키는 리프트;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동작하며,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발열체;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내 드럼(30)에 투입된 피건조물(100)이 저속으로 회전하는 드럼(30)의 리프트(40)에 담겨져 한쪽은 드럼 상부로 이송되고 반대쪽은 자중에 의해 낙하되며 펼처지고 뒤집어지는 과정에 피건조물을 살균과 동시에 건조시키는 드럼살균건조기로, 드럼(30)의 지름을 리프트(40)로 분할하여 1개의 원형인 드럼 공간을 양분시켜, 반원형 2개의 공간으로 나누어 피건조물(100)을 분산 투입할 수 있게 하여 운전시 에너지사용 효율을 높인 것으로, 드럼(30)의 원형공간을 반원형 2개의 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살균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30)내의 리프트(40a) 높이를 반경에 가깝게 하여 드럼의 원형 공간을 인위적으로 반원형 2개의 공간으로 양분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살균건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40)에 결합된 힌지를 이용하여 리프트를 반으로 접어 사용하거나, 리프트(40a)의 2개 리프트 중 한쪽을 분리제거하여 1개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살균건조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의 중간(403) 부분을 오목하게 하여 건조물을 쉽게 담을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살균건조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의 단부(404) 형상이 오목하고 단부 가장자리를 요철처리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살균건조기.
  6.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내에 맥반석 등 기타 기능성 물질을 수납할 수 있는 돌출부(9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살균건조기.
KR1020110007693A 2011-01-26 2011-01-26 드럼살균건조기 KR101194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693A KR101194877B1 (ko) 2011-01-26 2011-01-26 드럼살균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693A KR101194877B1 (ko) 2011-01-26 2011-01-26 드럼살균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701A true KR20110014701A (ko) 2011-02-11
KR101194877B1 KR101194877B1 (ko) 2012-10-25

Family

ID=43773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693A KR101194877B1 (ko) 2011-01-26 2011-01-26 드럼살균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48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3868A1 (zh) * 2013-07-29 2015-02-05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干衣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566B1 (ko) 2020-07-17 2020-10-19 주식회사 홈세라 미니드럼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3868A1 (zh) * 2013-07-29 2015-02-05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干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4877B1 (ko) 201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67021B2 (ja) 棚型衣類乾燥機
CN106930077A (zh) 智能烘衣柜
KR101194877B1 (ko) 드럼살균건조기
CN204950041U (zh) 一种多功能衣柜
CN2424221Y (zh) 家用自动消毒快速干衣机
CN110953872B (zh) 一种居家用物联网自动晾干毛巾装置
KR101241915B1 (ko) 건조기
KR101265621B1 (ko) 다층 분할식 건조기
TWI395852B (zh) Laundry dryers and washing machines
JP4579311B2 (ja) 電気洗濯機
CN208009097U (zh) 衣物风干机
KR20070024999A (ko) 의류 건조기
CN206646298U (zh) 一种衣物杀菌除湿烘干机
CN205940006U (zh) 一种用于服装加工的烘干机
KR20050115969A (ko) 건조장치가 구비된 드럼 세탁기용 받침대
CN205443671U (zh) 一种晾洗一体式洗衣机
KR20070088012A (ko) 의류 청결 장치
CN209568290U (zh) 一种智能晾晒架主机
CN209260400U (zh) 一种香薰烘干一体机
CN207405382U (zh) 室内用快速干衣装置
TW200307074A (en) Washing machine with dryer functions
KR20080035936A (ko) 다목적용 건조기
KR100809580B1 (ko) 상의 건조기
CN219328284U (zh) 一种蚕丝被用面料整理机
CN217078118U (zh) 一种高效衣服烘干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