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4435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4435A
KR20110014435A KR1020090072103A KR20090072103A KR20110014435A KR 20110014435 A KR20110014435 A KR 20110014435A KR 1020090072103 A KR1020090072103 A KR 1020090072103A KR 20090072103 A KR20090072103 A KR 20090072103A KR 20110014435 A KR20110014435 A KR 20110014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urrent
power
converter
input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2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4435A/ko
Publication of KR20110014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44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5Motor contro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1Invert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11Fan speed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ctifier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인터리빙 방식의 dc/dc 컨버터 사용시 ac 교류전원의 입력전원을 검출하기 용이하도록, 본 발명은 ac 교류전원을 정류한 dc 정류전원이, 상호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제1, 2 패스로 입력되고, 상기 제1, 2 패스 각각으로 입력된 상기 dc 정류전원을 dc 링크전원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 상기 제1, 2 패스 각각에 입력된 상기 dc 정류전원에 대한 제1, 2 입력전류를 검출하는 입력전류검출부 및 상기 제1, 2 입력전류를 기초로, 상기 ac 교류전원의 ac 입력전류를 산출하여 상기 제1, 2 패스가 형성되도록 상기 dc/dc 컨버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Figure P1020090072103
컨버터, 인버터, 전류센서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터리빙 방식의 dc/dc 컨버터 사용시 ac 교류전원의 입력전원을 검출하기 용이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방, 거실, 사무실 또는 영업 점포 등의 공간에 배치되어 공기의 온도, 습도, 청정도 및 기류를 조절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공기조화기는 일반적으로 일체형과 분리형으로 나뉜다. 일체형과 분리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일체형은 냉각과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설치한 것이고, 분리형은 실내측에는 냉/난방을 수행하는 실내기를 설치하고 실외측에는 방열과 압축 기능을 수행하는 실외기를 설치한 후 서로 분리된 두 기기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다.
한편, 공기조화기에는 압축기, 팬 등에 전동기가 사용되며, 이를 구동하기 위한 전동기 구동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전동기 구동장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고, 직류 전압을 소정 주파수의 상용 교류 전원으로 변 환하여 전동기에 공급함으로써, 압축기, 팬 등의 전동기를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공기조화기의 고성능과 고효율에 요구사항이 커짐에 따라 고조파 전류, 입력역률, EMC 등과 같은 문제가 이슈화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리빙 방식의 dc/dc 컨버터 사용시 ac 교류전원의 입력전원을 검출하기 용이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ac 교류전원을 정류한 dc 정류전원이, 상호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제1, 2 패스로 입력되고, 상기 제1, 2 패스 각각으로 입력된 상기 dc 정류전원을 dc 링크전원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 상기 제1, 2 패스 각각에 입력된 상기 dc 정류전원에 대한 제1, 2 입력전류를 검출하는 입력전류검출부 및 상기 제1, 2 입력전류를 기초로, 상기 ac 교류전원의 ac 입력전류를 산출하여 상기 제1, 2 패스가 형성되도록 상기 dc/dc 컨버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ac 교류전원을 정류한 dc 정류전원을 병렬연결되어 상호 교호적으로 제1, 2 패스를 형성하는 제1, 2 부스트 컨버터 각각에 흐르는 제1, 2 입력전류를 검출하는 2개의 전류센서를 형성하며, 제1, 2 입력전류를 기초로 ac 교류전원에 대한 입력전류를 산출함으로써, 입력전류 산출 시간을 감소할 수 있으며, 2개의 전류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 구성시, 2개의 전류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공기조화기(50)는 크게 실내기(I)와 실외기(O)로 구분된다.
실외기(O)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2)와, 압축기를 구동하는 압축기용 전동기(2b)와,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키는 역할을 하는 실외측 열교환기(4)와, 실외 열교환기(4)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외팬(5a)과 실외팬(5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5b)로 이루어진 실외 송풍기(5)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는 팽창기구(6)와, 압축된 냉매의 유로를 바꾸는 냉/난방 절환밸브(10)와, 기체화된 냉매를 잠시 저장하여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한 뒤 일정한 압력의 냉매를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3) 등을 포함한다.
실내기(I)는 실내에 배치되어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실내측 열교환기(9)와, 실내측 열교환기(9)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내팬(9a)과 실내팬(9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9b)로 이루어진 실내 송풍기(9) 등을 포함한다.
실내측 열교환기(9)는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2)는 인버터 압축기, 정속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50)는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난방시키는 히트 펌프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에서의 전동기는 도면에서 도시한, 공기 조화기의 실외팬, 압축기 또는 실내 팬을 동작시키기 각 전동기(2b,5b,9b)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실내기(I)와 실외기(O)를 각각 1개씩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동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개의 실내기와 실외기를 구비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한 개의 실내기와 복수개의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등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전동기 제어장치(200)는, 정류부(210), dc/dc 컨버터(220), 인버터(230), 제어부(240), 평활 커패시터(C) 및 입력전류검출부(A)를 포함한다.
또한, 전동기 제어장치(200)는 dc단 전압검출부(D) 및 출력전류검출부(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류부(210)는 ac 교류전원(Vac)을 공급하는 전원부(205)와 연결되어, 입력되는 ac 교류전원(Vac)을 dc 정류전원(Vdc_1)로 정류한다.
여기서, 정류뷰(210)는 복수의 다이오드(미도시)가 브리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전원부(205)는 단상의 ac 교류전원(Vac)을 공급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삼상의 ac 교류전원일 수 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단상의 ac 교류전원(Vac)인 것으로 설명한다.
dc/dc 컨버터(220)는 dc 정류전원(Vdc_1)을 입력받아 dc 링크전원(Vdc_2)로 변환하여 평활 커패시터(C)로 공급한다.
여기서, dc/dc 컨버터(220)는 역률 보정(Power Factor Correction; PFC) 컨버터, 부분 스위칭 동작에 부분 스위칭 컨버터(Partial Switching Converter; PSC)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dc/dc 컨버터(220)는 제1, 2 부스트 컨버터(222, 224)가 병렬연결되며, 제1, 2 부스트 컨버터(222, 224)는 상호 교호적으로 동작하여 제1, 2 패스(미도시)를 형성하여, dc 정류전원(Vdc_1)을 dc 링크전원(Vdc_2)로 변환한다.
여기서, 제1 부스트 컨버터(222)는 제1 위상동안 dc 정류전원(Vdc_1)이 평활 커패시터(C)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1 패스를 형성하여, 제1 입력전류(IL1)이 흐르게 되며, 제2 부스트 컨버터(224)는 제2 위상동안 dc 정류전원(Vdc_1)이 평활 커패시터(C)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2 패스를 형성하여, 제2 입력전류(IL2)이 흐르게 된다.
제1 부스트 컨버터(222)는 상기 제1 위상동안 제1 입력전류(IL1)를 축적하는 제1 인덕터(L1), 제1 인덕터(L1)와 제1 접점(j1)에서 병렬연결되며, 상기 제2 위상동안 스위치 온되는 제1 스위치(Q1) 및 제1 접점(j1)에 연결되며 dc 정류전원(Vdc_1)을 출력하는 제1 다이오드(D1)를 포함한다.
제2 부스트 컨버터(224)는 상기 제2 위상동안 제2 입력전류(IL2)를 축적하는 제2 인덕터(L2), 제2 인덕터(L2)와 제2 접점(j2)에서 병렬연결되며, 상기 제1 위상동안 스위치 온되는 제2 스위치(Q2) 및 제2 접점(j2)에 연결되며 dc 정류전원(Vdc_1)을 출력하는 제2 다이오드(D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2 부스트 컨버터(222, 224)는 서로 교호적으로 상기 제1, 2 패스를 형성함으로써, 역률개선 및 dc 정류전원(Vdc_1)의 리플을 개선하며 노이즈를 감소시킬수 있다.
입력전류검출부(A)는 제1, 2 부스트 컨버터(222, 224)의 입력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1, 2 전류센서(A1, A2)를 포함한다.
제1 전류센서(A1)는 제1 인덕터(L1)에 축적되는 제1 입력전류(IL1)를 검출하도록 제1 인덕터(L1)의 입력단에 연결된다.
제2 전류센서(A2)는 제2 인덕터(L2)에 축적되는 제2 입력전류(IL2)를 검출하도록 제2 인덕터(L2)의 입력단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1, 2 전류센서(A1, A2) 각각은 검출된 제1, 2 입력전류(IL1, IL2)를 제어부(240)으로 전달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2 전류센서로 설명하였으나, CT(current trnasformer), 션트 저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2 입력전류(IL1, IL2)는 dc 정류전원(Vdc_1)의 리플 전류를 감소시키고, 리플 주파수가 ac 교류전원(Vac) 주파수의 2배가 됨으로써, 노이즈 성분을 감소시킬 수 있다.
평활 커패시터(C)는 dc/dc 컨버터(220)의 출력단에 접속된다. dc/dc 컨버터(220)에서 출력되는 dc 링크전원(Vdc_2)을 평활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dc/dc 컨버터(220)의 출력단을 dc단 또는 dc링크단이라고 한다. 상기 dc단에서 평활된 dc 링크전원(Vdc_2)은 인버터(230)에 공급된다.
인버터(230)는 복수개의 스위치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치 소자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평활된 dc 링크전원(Vdc_2)를 소정 주파수의 ac 구동전원(Vac_1)으로 변환하여, 전동기(250)에 출력한다.
즉, 인버터(230)는 각각 서로 직렬연결되는 상암 스위치 소자(Sa_1, Sb_1, Sc_1) 및 하암 스위치 소자(Sa_2, Sb_2, Sc_2)가 한쌍이 되며, 총 세쌍의 상, 하암 스위치 소자(Sa_1, Sb_1, Sc_1, Sa_2, Sb_2, Sc_2)가 서로 병렬연결된다. 또한, 상, 하암 스위치 소자(Sa_1, Sb_1, Sc_1, Sa_2, Sb_2, Sc_2)에는 다이오드가 병렬로 연결된다.
dc단 전압검출부(미도시)는 평활 커패시터(C)의 양단인 dc단 전압, 즉 dc 링크전원(Vdc_2)의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dc단 전압검출부는 저항 소자, 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되는 상기 dc단 전압은,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dc/dc 컨버터(220)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부(240)에 입력된다.
출력전류검출부(E)는 인버터(230)와 전동기(250) 사이에 흐르는 출력전류(Io)를 검출한다. 즉, 출력전류검출부(E)는 각 상의 출력전류를 모두 검출할 수 있으며, 또는 삼상 평형을 이용하여 한상 또는 두상의 출력전류를 검출할 수도 있다.
출력전류검출부(E)는 인버터(230)와 전동기(2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전류 검출을 위해, 전류센서, CT(current trnasformer), 션트 저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션트 저항은 인버터(230)의 3개의 하암 스위칭 소자(Sa_2, Sb_2, Sc_2)에 일단이 각각 접속될 수 있다.
검출된 출력전류(Io)는,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제어부(240)에 인가될 수 있으며, 검출된 출력전류(Io)에 기초하여 인버터(230)의 상, 하암 스위치 소자(Sa_1, Sb_1, Sc_1, Sa_2, Sb_2, Sc_2)가 제어된다.
제어부(240)는 입력전류검출부(A)에서 검출되는 제1, 2 입력전류(IL1, IL2)를 통하여 ac 교류전원(Vac)의 ac 입력전류(Ii)를 산출하여 dc/dc 컨버터(220)로 컨버터 제어신호(CS)를 인가하여 제어하며, 출력전류검출부(E)에서 검출되는 출력전류(Io)를 통하여 인버터(230)로 인버터 제어신호(IS)를 인가하여 제어한다.
즉, 제어부(240)는 ac 입력전류(Ii) 및 출력전류(Io)를 기초로, dc/dc 컨버터(220) 및 인버터(230)에 포함된 스위치 소자들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전동기(250)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내의 팬용 전동기 또는 압축기용 전동기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내의 팬용 전동기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200)는 ac 교류전원(Vac)의 입력전압을 검출하는 입력전압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전압검출부는 저항 소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검출되는 입력전압은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다.
한편, 상술한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200)가, 예를 들어, 실외기에 사용되는 팬용 전동기 또는 압축기용 전동기를 구동하기 위한 경우, 제어부(240)는 실외기 제어부로서, 실내기에 별도로 배치될 수 있는 실내기 제어부와의 통신을 더 수행하 는 것도 가능하다. 실외기 제어부는, 실내기 제어부와의 통신에 의해 운전 지령을 수신하며, 수신된 운전 지령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속도 지령치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200)의 제어부(240)는, 실외기에 사용되는 팬용 전동기 및 압축기용 전동기를 동시에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도 2의 ac 교류전원 및 dc 정류전원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3의 (a)는 ac 교류전원(Vac)은 180도 주기로 (+) 반주기 및 (-) 반주기로 변환하는 단상 교류전원이다.
여기서, 정류부(210)은 브리지 형태의 복수의 다이오드 소자에 의해 정류된 dc 정류전원(Vdc_1)를 출력한다.
(b)는 dc 정류전원(Vdc_1)를 나타낸 것이며, (+) 반주기에 반전된 (-) 반주기에 의해 직류형태의 정류전원을 형성한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제1, 2 부스트 컨버터의 제1, 2 스위치에 대한 스위치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1, 2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제1 패스를 형성하는 제1, 2 부스트 컨버터를 나타내는 동작도이고, 도 6는 도 4의 제1, 2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제2 패스를 형성하는 제1, 2 부스트 컨버터를 나타내는 동작도이고, 도 7은 도 5 및 도 6에서 검출되는 제1, 2 입력전류 및 ac 입력전류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dc 정류전원(Vdc)에 대한 파형도와 같이 설명한다.
도 4의 제1 스위치(Q1)은 dc 정류전원(Vdc_1)의 (+)반주기 동안 스위치 오프 되며, 제2 스위치(Q2)는 (+) 반주기 동안 스위치 온된다.
또한, 제1 스위치(Q1)은 dc 정류전원(Vdc_1)의 (-)반주기 동안 스위치 온되며, 제2 스위치(Q2)는 (-) 반주기 동안 스위치 오프된다.
즉, 도 3 및 도 4에 따르면, 제1, 2 스위치(Q1, Q2)는 180도 위상 주기로 상호 교호적으로 스위치 온 동작하는 것을 알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제1, 2 스위치의 스위치 동작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부스트 컨버터(222)는 제1 스위치(Q1)이 스위치 오프된 상태로 dc 정류전원(Vdc_1)가 제1 인덕터(L1) 및 제1 다이오드(D1)를 통하여 평활 커패시터(C)로 공급하는 제1 패스(Ps1)를 형성하여 제1 입력전류(IL1)가 흐르게된다.
이때, 제2 부스트 컨버터(224)는 제2 스위치(Q2)가 스위치 온된 상태로 dc 정류전원(Vdc_1)가 제2 인덕터(L2) 및 제2 스위치(Q2)를 통하여 그라운드(G)로 패스하도록 패스경로(Pa1)를 형성하여 제2 입력전류(IL2)가 흐르게된다.
여기서, 제1 인덕터(L1)에는 dc 정류전원(Vdc_1)의 (+) 반주기동안 제1 입력전류(IL1)를 축적하고, 제2 인덕터(L2)에는 이전 (-) 반주기동안 축적된 제2 입력전류(IL2)가 방전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부스트 컨버터(222)는 제1 스위치(Q1)가 스위치 온된 상태로 dc 정류전원(Vdc_1)가 제1 인덕터(L1) 및 제1 스위치(Q1)를 통하여 그라운드(G)로 패스하도록 패스경로(Pa2)를 형성하여 제1 입력전류(IL1)가 흐르게된다.
이때, 제2 부스트 컨버터(224)는 제2 스위치(Q2)이 스위치 오프된 상태로 dc 정류전원(Vdc_1)가 제2 인덕터(L2) 및 제2 다이오드(D1)를 통하여 평활 커패시터(C)로 공급하는 제2 패스(Ps2)를 형성하여 제2 입력전류(IL2)가 흐르게된다.
여기서, 제2 인덕터(L2)에는 dc 정류전원(Vdc_1)의 (-) 반주기동안 제2 입력전류(IL2)를 축적하고, 제1 인덕터(L1)에는 이전 (+) 반주기동안 축적된 제1 입력전류(IL1)가 방전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5 및 도 6에 형성된 제1, 2 전류센서(A1, A2)에서 검출된 제1, 2 입력전류(IL1, IL2) 및 제어부(240)의 의해 산출된 ac 입력전류(Ii)를 나타낸다.
제1, 2 전류센서(A1, A2)는 제1, 2 스위치(A1, A2)의 스위치 온 또는 오프에 따라 제1, 2 인덕터(L1, L2)으로 축적 및 방전하는 제1, 2 입력전류(IL1, IL2)를 측정한다.
도한, 제어부(240)는 입력되는 제1, 2 입력전류(IL1, IL2)를 가감하여 ac 입력전류(Ii)를 산출하게된다.
(a)는 제1 전류센서(A1)에서 검출된 제1 입력전류(IL1)를 나타내며, (b)는 제2 전류센서(A2)에서 검출된 제2 입력전류(IL2)를 나타낸다.
즉, 제1, 2 입력전류(IL1, IL2)는 서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주기가 상호 교호하게 된다. 이는, 제1, 2 스위치(Q1, Q2)가 상호 교호하게 스위치 온 또는 오프하기 때문에, 제1, 2 인덕터(L1, L2)에 축적 및 방전되는 전류가 상이한 주기를 가지기 때문이다.
(c)는 제1, 2 입력전류(IL1, IL2)를 합하여 직선 형태의 ac 입력전류(Ii)를 산출한 것이다.
즉, 제어부(240)는 제1, 2 입력전류(IL1, IL2)를 합한 값이 평균 값 이상 또는 이하인 경우 ac 교류전원(Vac)의 이상 유무를 판별할 수 있으며, dc/dc 컨버터(220) 및 인버터(230)를 제어하는 컨버터 제어신호(CS) 및 인버터 제어신호(IS)를 생성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c 교류전원 및 dc 정류전원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제1, 2 부스트 컨버터의 제1, 2 스위치에 대한 스위치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2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제1 패스를 형성하는 제1, 2 부스트 컨버터를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6는 도 4의 제1, 2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제2 패스를 형성하는 제1, 2 부스트 컨버터를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서 검출되는 제1, 2 입력전류 및 ac 입력전류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Claims (13)

  1. ac 교류전원을 정류한 dc 정류전원이, 상호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제1, 2 패스로 입력되고, 상기 제1, 2 패스 각각으로 입력된 상기 dc 정류전원을 dc 링크전원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
    상기 제1, 2 패스 각각에 입력된 상기 dc 정류전원에 대한 제1, 2 입력전류를 검출하는 입력전류검출부; 및
    상기 제1, 2 입력전류를 기초로, 상기 ac 교류전원의 ac 입력전류를 산출하여 상기 제1, 2 패스가 형성되도록 상기 dc/dc 컨버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c/dc 컨버터는,
    제1 위상동안 상기 제1 패스를 형성하는 제1 부스트 컨버터; 및
    상기 제1 부스트 컨버터와 병렬연결되며, 제2 위상동안 상기 제2 패스를 형성하는 제2 부스트 컨버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스트 컨버터는,
    상기 제1 위상동안 상기 제1 입력전류를 축적하는 제1 인덕터;
    상기 제1 인덕터와 제1 접점에서 병렬연결되며, 상기 제2 위상동안 스위치 온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1 접점에 연결되며 상기 dc 정류전원을 출력하는 제1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스트 컨버터는,
    상기 제2 위상동안 상기 제2 입력전류를 축적하는 제2 인덕터;
    상기 제2 인덕터와 제2 접점에서 병렬연결되며, 상기 제1 위상동안 스위치 온되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2 접점에 연결되며 상기 dc 정류전원을 출력하는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전류검출부는,
    상기 제1 부스트 컨버터로 공급되는 상기 dc 정류전원에 대한 상기 제1 입력전류를 검출하는 제1 전류센서; 및
    상기 제2 부스트 컨버터로 공급되는 상기 dc 정류전원에 대한 상기 제2 입력전류를 검출하는 제2 전류센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전류센서는,
    변류기(current transform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입력전류는,
    위상차가 18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2 입력전류를 가감하여 상기 ac 입력전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c 입력전류와 설정전류 비교하여 상기 제1, 2 패스가 서로 교호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dc/dc 컨버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c 교류전원을 상기 dc 정류전원으로 변환하는 복수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정류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c 링크전원을 평활하는 평활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활 커패시터로부터 평활된 상기 dc 링크전원을 소정 주파수의 ac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전동기를 구동하는 인버터;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복수의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ac 구동전원에 의한 ac 구동전류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스위치 소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90072103A 2009-08-05 2009-08-05 공기조화기 KR201100144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103A KR20110014435A (ko) 2009-08-05 2009-08-05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103A KR20110014435A (ko) 2009-08-05 2009-08-05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435A true KR20110014435A (ko) 2011-02-11

Family

ID=43773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103A KR20110014435A (ko) 2009-08-05 2009-08-05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443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8118A (ko) * 2012-09-07 2015-04-08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공기 조화기의 인버터 장치
KR20150141085A (ko) * 2014-06-09 2015-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EP3046244A4 (en) * 2013-10-16 2017-05-17 Daikin Industries, Ltd. Power converter and air conditioner
US11530858B2 (en) * 2016-04-12 2022-12-20 Atlas Copco Airpower, Naamloze Vennootschap Controller for compresso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8118A (ko) * 2012-09-07 2015-04-08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공기 조화기의 인버터 장치
EP3046244A4 (en) * 2013-10-16 2017-05-17 Daikin Industries, Ltd. Power converter and air conditioner
US9722488B2 (en) 2013-10-16 2017-08-01 Daikin Industries, Ltd. Power converter and air conditioner
KR20150141085A (ko) * 2014-06-09 2015-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US11530858B2 (en) * 2016-04-12 2022-12-20 Atlas Copco Airpower, Naamloze Vennootschap Controller for compress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79406B1 (en) Power converter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20110014435A (ko) 공기조화기
KR20140112297A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20100102965A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
KR20090039482A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102058042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20140096627A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20100003580A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101054439B1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
KR101054438B1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
KR20090031074A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100940097B1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100947609B1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66586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2102756B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20090081914A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102130591B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20100133635A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
KR102099130B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20110081594A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
KR101049930B1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
KR100956434B1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제어장치
KR102201579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공기조화기
KR20100133636A (ko) 공기조화기의 전동기 구동장치
KR102080517B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