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2704A - Ground construction method using displacement-control pile - Google Patents
Ground construction method using displacement-control pi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12704A KR20110012704A KR1020090070535A KR20090070535A KR20110012704A KR 20110012704 A KR20110012704 A KR 20110012704A KR 1020090070535 A KR1020090070535 A KR 1020090070535A KR 20090070535 A KR20090070535 A KR 20090070535A KR 20110012704 A KR20110012704 A KR 201100127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cement control
- pile
- displacement
- ground
-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10—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 E02D5/105—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f prestresse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25—Draining membranes, sheets or fabric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ith dimp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1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soil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46—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in situ by forcing bonding agents into gravel fillings or the soi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8—Prestressed concrete p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변위조절용 파일을 이용한 지중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철근콘크리트 파일 등 파일을 지중에 연속하여 설치하여 지중벽체를 시공하되, 시공과정 및 완성 후 발생할 수 있는 지중벽체의 변위를 제어할 수 있고, 지중벽체 배면의 유수를 효율적으로 배수할 수 있도록 하여 지하수 등에 의한 수압으로 인한 측압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변위조절용 파일을 이용한 지중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wall using a displacement control pile.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construct underground walls by continuously installing piles such as reinforced concrete piles in the ground, and to control the displacement of underground walls that may occur after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completion, and to efficiently drain the flow of the back surface of the underground wall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ground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a displacement control pile to prevent an increase in side pressure due to water pressure caused by groundwater.
통상 절개지 등에 연속된 벽체를 시공하는 이유는 벽체 전면부에 도로와 같은 구조물을 길이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시공하기 위함이라 할 수 있다.In general, the reason for constructing a continuous wall such as an incision can be said to stably construct a structure such as a roa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wall front face.
말하자면, 산 기슭등을 절개하여 도로를 시공할 때, 절개된 부위가 붕괴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붕괴를 벽체를 이용하여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road is constructed by cutting off the foot of a mountain, the cut-out part may collapse so that the collapse can be prevented by using a wall.
이에 상기 벽체는 도로와 같은 구조물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방식으로 시공되는데, 이러한 벽체는 옹벽구조물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all is constructed in a continuous mann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structure such as a road, and such a wall may be constructed in various ways such as a retaining wall structure.
이러한 벽체 시공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 시공되는 것이 통상적인데, 거푸 집을 설치하고 일정한 두께를 가진 벽체구조물를 시공하기 위하여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작업을 수반하는 경우, 현장에서 작업이 번거로워 다양한 형태의 프리캐스트 구조물로 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Such wall construction is usually constructed with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and in the case of installing concrete and installing concrete on the site in order to construct a wall structure having a certain thickness, the work is cumbersome in the field and various forms of precast structures How to construct a wall is introduced.
도 1a는 특히 상기 벽체를 PHC 파일(프리텐션에 의한 고강도 중공 파일)을 이용하여 시공하는 예를 도시한 것인데, 지반에 일정한 방향으로 연속되게 PC 파일(10)을 시공하게 된다. 이는 개개의 PC 파일을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도록 해야 벽체의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FIG. 1A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wall is constructed using a PHC file (high strength hollow file by pretension), and the
통상은 지반에 천공홀을 형성시키고 천공홀에 PC 파일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벽체를 시공하게 된다. 이에 파일을 연속하여 지반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벽체를 시공한다는 의미에서 벽체를 지중벽체라 지칭하기도 한다.In general, a wall is constructed by forming a drilling hole in the ground and inserting a PC file into the drilling hole. Thus, the wall is also referred to as the underground wall in the sense of constructing the wall by inserting the file continuously into the ground.
이때 서로 인접한 PC 파일을 구조적으로 일체화시키기 위하여 PC 파일의 연결접면부에는 연결대(20) 또는 돌기(30)를 설치하기도 하는데 이는 PC 파일에 의한 벽체가 구조적으로 일체화되도록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in order to structurally integrate the PC files adjacent to each other, a connecting table 20 or a
이에 지중에 벽체가 PC 파일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PC 파일에 의한 벽체의 전면부를 굴착하여 상기 굴착된 공간에 소정의 구조물(도로 등)을 설치하게 된다.In this way, the wall is continuously formed by the PC pile in the ground, and the front part of the wall by the PC pile is excavated to install a predetermined structure (road, etc.) in the excavated space.
도 1b는 특히 PC 파일이 아닌 철골이 내부에 형성된 합성파일(50)을 지중벽체용 파일로 이용하는 예를 도시한 것인데, 이러한 합성파일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지중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은 PC 파일과 크게 다르지 않다.FIG. 1B illustrates an example of using a
이와 같이 PC 파일 또는 합성파일을 이용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은 상 기 파일들이 연직방향으로 똑바로 시공되도록 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The problem that occurs when using a PC file or a composite file as described above is that it is not easy to allow the files to be installed stra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러한 문제점은 This problem
첫째, 시공오차에 기인할 수 있다. 말하자면 파일을 지반에 시공할 때, 여러 가지 이유로 연직으로 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파일이 기울어지게 되고 이로서 지중벽체도 기울어져 시공되는 것이다.First, it may be due to construction errors. In other words, when the pile is installed on the ground, the pile is inclined because it cannot be installed vertically for a variety of reasons.
둘째, 파일은 제대로 시공했음에도 지중벽체의 전면부 굴착 및 배면부에 작용하는 토압, 수압 등에 의한 하중에 의하여 지중벽체가 기울어 질 수 있다.Second, even if the pile is properly constructed, the ground wall can be inclined due to the excavation of the front part of the underground wall and the load caused by the earth pressure and water pressure acting on the rear part.
이렇게 지중벽체가 연직으로 똑바로 시공되지 않더라도 구조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외관상으로 불안감을 유발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지중벽체가 기울어져 시공되는 것은 반드시 관리되어야 한다.Even if the underground wall is not constructed vertically, it may not be a structural problem, but since it may cause anxiety in appearance, it must be managed when the underground wall is tilted.
하지만, 지중벽체 시공 완료 후 이러한 문제점이 발견될 경우 사실상 이를 제어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f such problems are foun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underground wall,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almost impossible to control them.
이에 본 발명은 파일을 이용하여 지중벽체를 시공함에 있어서, 시공과정 및 시공이후에도 연직으로 파일을 시공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는 변위조절용 파일을 이용한 지중벽체 시공방법 제공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wall construction using a displacement control file that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vertical wall even after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construction in the construction of the underground wall using the pile as a technical problem to solve the problem. do.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첫째, 지반에 시공된 파일이 여러 이유에 의하여 기울어져 특정 방향으로 변위가 발생할 경우, 이러한 변위를 상쇄시키기 위하여 상기 변위가 발생하는 반대방향으로 상기 긴장재에 의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였다.First, when the pile installed on the ground is inclined for a variety of reasons and a displacement occurs in a specific direction, the prestress by the tension member is introduc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which the displacement occurs to cancel the displacement.
말하자면, 상기 프리스트레스에 의하여 여러 가지 이유로 똑바르게 기울어져 형성된 파일의 변위를 상쇄시킬 수 있도록 미리 파일에 긴장재를 배치시켜 놓은 것이다.In other words, the tension member is disposed on the pile in advance so as to cancel the displacement of the pile formed by being inclined straight due to the prestress.
이때, 상기 파일의 변위는 통상 파일의 배면부로부터 전면부로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긴장재는 파일의 배면부 일측에 미리 설치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displacement of the pile usually occurs from the rear portion of the pile to the front portion, the tension member is installed in advance on one side of the rear portion of the pile.
상기 파일은 연속적으로 지중벽체를 구성한 이후에도 여러 가지 이유로 추가로 변위가 발생할 수 있다.Even after the piles are continuously constructed, the pile may further cause displacement.
이에 상기 긴장재는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를 설치하되, 필요할 때 일부가 시기를 달리하여 긴장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지중벽체에 발생하는 변위를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하게 된다.Therefore, the tension member is installed at least two or more, so that some of the tension can be tensioned when necessary to offset the displacement occurring in the underground wall.
둘째, 상기 지중벽체는 지중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지중에 포함된 지하수 등에 의한 수압을 받기 마련이다. 이러한 수압도 지중벽체에 있어 변위를 일으키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가급적 상기 수압으로부터 지중벽체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Second, since the underground wall is to be installed in the ground, it is prepared to receive water pressure by groundwater contained in the ground. Since such water pressure also causes displacement in the underground wall,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underground wall from being affected by the water pressure as much as possible.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특히 파일의 배면부로부처 측면부로 연장되어 지하수 등이 유도될 수 있는 배수홈 또는 드레인보드를 직접 파일 배면부에 형성시켜 상기 배수홈을 통해 유입수등을 배수될 수 있도록 하였다.To this end,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e side portion from the back portion of the pile to form a drainage groove or a drain board directly in the pile rear portion to induce groundwater or the like so as to drain inflow water through the drainage groove.
본 발명에 의하여 파일을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지중벽체를 시공할 때, 연직으로 시공되지 못하여 발생하는 시공오차를 제어 할 수 있기 때문에 지중벽체의 시공 및 품질관리에 매우 효율적이게 되며,When the underground wall is constructed by continuously installing the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onstruction error caused by not being vertically constructed, which makes it very efficient in the construction and quality control of the underground wall.
또한, 지중벽체의 변위 발생의 요인에 관계없이 그 변위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특별한 장비없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PC 긴장재 및 유압잭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인 변위 제어가 가능하며,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splacement irrespective of the cause of the displacement of the underground wall, and it is very economical to control the displacement because it uses a PC tension member and a hydraulic jack which are commonly used without any other special equipment.
또한, 지중벽체의 배수에 있어서도 파일 자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배수처리에 의한 지중벽체의 사용관리도 매우 효율적이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pile itself can be used for drainage of the underground wall, the use of the underground wall by the drainage treatment is also very efficient.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에 의한 변위조절용 파일을 이용한 지중벽체 시공방법의 각 단계별 공종은 도 5a 내지 도 5h를 기준으로 하고, 그 세부도면으로 도 2, 도 3a 내지 도 3e를 기준으로 살펴본다.Each step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underground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displacement control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5a to 5h, with reference to Figures 2, 3a to 3e in detail.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지중벽체(A)를 시공하기 위한 변위조절용 파일(100)을 준비하게 된다. First, to prepare a
이러한 변위조절용 파일(100)은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PC 파일이 이용될 수도 있고, 합성파일이 이용될 수 도 있다.The
이러한 철근콘크리트 파일(말뚝)은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단면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지중벽체용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타원형 등의 단면적이 큰 단면 형태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The reinforced concrete pile (pile) may have a variety of cross-sectional shapes, such as round, square, it is desirable to be formed in a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large cross-sectional area, such as oval in consideration of the ground wall.
먼저, 도 2와 같이 변위조절용 파일(100)로서 철근콘크리트 파일을 제작하게 되는데 이러한 철근콘크리트 파일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긴장재(110)가 더 배치된다.First, as shown in Figure 2 to produce a reinforced concrete pile as a
이러한 긴장재(110)는 철근콘크리트 파일에 당초 배치된 PC 강재 또는 철근과 별도로 추가로 배치되도록 하며, 강봉 또는 PC 강선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이러한 긴장재(110)의 하단(철근콘크리트 파일의 하부 내부)은 고정구(130)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고, 상단은 철근콘크리트 파일의 상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인출되도록 배치된다. The lower end of the tension member 110 (the lower inside of the reinforced concrete pile) is fixed by the
물론 상기 긴장재(110)의 추후 긴장 및 정착을 위한 정착구(120)를 철근콘크리트 파일 상부 내부에 미리 형성되도록 하여 언제든지 긴장재(110)를 긴장, 정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Of course, the
이때, 상기 강봉 또는 PC 강선은 쉬스관(140)을 미리 철근콘크리트 파일 내부에 세팅한 후, 상기 쉬스관(140) 내부에 강봉 또는 PC 강선에 의한 긴장재가 배치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steel bar or PC steel wire is set in advance in the reinforced concrete
이때 중요한 것은 상기 긴장재(110)의 배치 위치이다.What is important at this time is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즉, 철근콘크리트 파일은 지중에 설치되고 그 전면부는 일정한 깊이까지 굴착된다. 이는 도로와 같은 구조물 시공을 위한 공간 확보를 위함임은 살펴본 바와 같다.In other words, the reinforced concrete pile is installed in the ground and its front part is excavated to a certain depth. This is to secure the space for the construction of structures such as roads as described above.
이에 상기 전면부 굴착 시, 철근콘크리트 파일의 전면부를 지지하고 있는 지반이 배제되므로, 철근콘크리트 파일의 배면부로부터 전면부로 토압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토압은 철근콘크리트 파일을 전면부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원인이 된다.Therefore, when the front part is excavated, the ground supporting the front part of the reinforced concrete pile is excluded, so that earth pressure is generated from the rear part of the reinforced concrete pile to the front part, which causes the reinforced concrete pile to be inclined to the front part. .
이러한 변위는 철근콘크리트 파일을 기울어지게 하므로 철근콘크리트 파일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시공되는 지중벽체도 역시 기울어져 시공된다.Such a displacement causes the reinforced concrete pile to be inclined, so that the underground wall, in which the reinforced concrete pile is continuously formed and constructed, is also inclined.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철근콘크리트 파일에 발생하는 변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변위가 발생하도록 상기 긴장재(110)의 위치가 세팅된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 position of the
즉, 철근콘크리트 파일의 배면측에 긴장재(110)가 위치되도록 하여 긴장재의 상단을 긴장 및 정착시켜 상하방향의 프리스트레스가 상기 배면측에 도입되도록 하여 철근콘크리트 파일에 발생하는 상기 수평 변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이때 상기 철근콘크리트 파일에 발생하는 변위는 시공과정에서 발생하기도 하고, 시공 이후에 발생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displacement occurring in the reinforced concrete pile may occur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r may occur after the construction.
따라서, 상기 긴장재(110)는 쉬스관에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변위가 발생할 때, 긴장재(110)를 긴장 및 정착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긴장재(110)는 1개의 철근콘크리트 파일에 다수 설치하여 필요한 양 만큼 시기를 달리하여 필요할 때 각각 긴장 및 정착될 수 있도록 하여, 변화가 많은 현장여건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Therefore, the
또한, 상기 철근콘크리트 파일의 배면부 표면에는 배수홈(150)이 더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배수홈(150)은 지반에 시공된 철근콘크리트 파일의 배면부에는 토압 뿐만 아니라 지하수 등에 의한 수압도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이러한 수압도 철근콘크리트 파일을 기울어지게 하는 요인이 될 수도 있고, 이로 인하여 철근콘크리트 파일에 측압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수압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수압의 발생요인이 되는 지하수 등을 철근콘크리트 파일 전면부로 배수시키는 것이다.The hydraulic pressure may also cause the reinforced concrete pile to be inclined, and because of this, side pressure may occur in the reinforced concrete pile, so that groundwater, which is a cause of the hydraulic pressure, is drain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reinforced concrete pile in order to control the hydraulic pressure. It is to let.
이에 상기 배수홈(150)은 그 명칭과 같이 홈의 형태로서 철근콘크리트 파일 의 배면부에 다수가 형성되어 철근콘크리트 파일의 측면부로 연장되도록 하여 결국, 상기 배수홈(150)에 의하여 지하수 등이 철근콘크리트 파일 전면부로 유도 배수되도록 하게 된다.The
이러한 배수홈(150)은 철근콘크리트 파일의 표면에 파여진 홈의 형태로 형성되므로 토사 등에 의하여 폐색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배수홈(150)은 부직포로 덮여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또한 상기 배수홈(150)을 대신하여, 철근콘크리트 파일의 배면부에 드레인보드를 설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stead of the
이러한 드레인보드는 지중벽체의 배면부에 통상적으로 설치되는 유도배수수단인데 이러한 드레인보드를 철근콘크리트 파일에 부착시키고, 이러한 드레인보드에 의하여 유도된 지하수등을 역시 철근콘크리트 파일의 측면부에 형성시킨 배수홈(150)을 통해 철근콘크리트 파일의 전면부로 유도되도록 하게 된다.The drain board is an induction drainage means usually installed at the rear part of the underground wall, and the drain board is attached to the reinforced concrete pile, and the drainage grooves formed with the groundwater induced by the drain board are also formed on the side of the reinforced concrete pile ( 150) to be guid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reinforced concrete pile.
이에 본 발명에 의한 변위조절용 파일(100)이 준비되면 이러한 변위조절용 파일(100)을 지반(200)에 시공하여 지중벽체(A)를 시공하게 되며 이는 도 5 및 도 3a 내지 도 3d를 기준으로 살펴본다.When the
먼저, 도 3a 및 도 5a, 도 5b와 같이 지중벽체(A)를 시공할 위치에 천공홀(210)을 각각 일렬로 시공하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S. 3A, 5A, and 5B, the perforation holes 210 are installed in a line at positions where the underground wall A is to be constructed.
이러한 천공홀(210)은 일정한 깊이(H)로 시공하게 되는데, 도 3a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 변위조절용 파일(100)을 삽입시켜 설치하게 된다. The
상기 변위조절용 파일(100)은 긴장재(110) 상단이 노출되도록 설치된 상태이 므로 달리 항타에 의한 방법을 사용할 수 없어 천공홀(210)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시공하게 된다.Since the
또한 상기 천공홀(210)은 지반의 상태에 따라 케이싱을 먼저 천공홀(210)에 삽입하여 천공홀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변위조절용 파일(100)의 전면부는 소정의 깊이(H2)로 굴착하게 되는데 이러한 깊이는 계획굴착선(L)으로 미리 정해두어 추후 전면부 지반 굴착후 철근콘크리트 파일 전면부의 개방된 공간은 도로와 같은 구조물 시공을 위한 공간으로 이용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ront portion of the
다음으로는 도 3b 및 도 5c와 같이 상기 변위조절용 파일(100) 하부 저면으로부터 계획굴착선(L)까지 모르타르, 시멘트페이스트와 같이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경화되는 그라우팅재(300)를 충진시키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S. 3B and 5C, the
상기 그라우팅재(300)를 충진시키는 이유는 그라우팅재(300)가 경화된 높이(H1)까지 변위조절용 파일(100)이 지반(200)과 일체화되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filling the
이에 일정한 높이(H1)까지 지반에 고정화된 변위조절용 파일(100)은 마치 하단이 고정된 캔틸레버 보 구조물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추후 계획굴착선(L)까지 변위조절용 파일(100) 전면부가 굴착되는 경우 변위조절용 파일(100)에 작용하는 토압등에 의한 변위를 캔틸레버 보 구조물로서 상기 변위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Thus, it can be seen that the
이때, 상기 그라우팅재(300)가 경화되기 이전에 설치된 케이싱은 제거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asing installed before the
이와 같이 변위조절용 파일(100)과 그라우팅재(300) 충진작업을 반복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지중벽체(A)를 도 4 및 도 5d와 같이 시공하게 된다.As such, the filling of the
이때 상기 그라우팅재(300)의 높이 제어작업은 본 발명의 경우 2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At this time, the height control operation of the
첫째는 변위조절용 파일(100)을 제작할 때 미리 개략 중앙에 계획굴착선(L) 정도까지 연장되는 중앙파이프와 상기 중앙파이프 하부로부터 변위조절용 파일(100) 외부로 연통된 분기파이프를 설치한다.First, when the
이때, 상기 분기파이프는 계획굴착선(L) 약간 상부에 노출되도록 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branch pipe is to be exposed slightly above the planned drilling line (L).
이에 상기 분기파이프를 통해 계획굴착선 상부에 주입된 그라우팅재를 중앙파이프로 유입되도록 한 후 이를 펌핑하여 배출시킴으로서 그라우팅재(300)의 높이를 계획굴착선(L)까지 제어하는 경우이다.This is the case of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말하자면, 도 6a와 같이 변위조절용 파일(100) 하부 저면으로부터 계획굴착선(L)까지 모르타르, 그라우팅재(300)를 정밀하게 충진시키는 작업은 현장에서 쉽지 않기 때문에 그라우팅재(300)를 천공홀(210)과 변위조절용 파일(100) 사이의 공간에 천공홀(210) 전체 깊이(H)에 충진시키게 된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6a, since the operation of precisely filling the mortar and
이에 변위조절용 파일(100)의 상기 중앙파이프에 연결된 분기파이프를 그라우팅재(300)가 강제 흡입되도록 중앙파이프 상단에 흡입펌프를 설치하고, 상기 흡입펌프에 의하여 계획굴착선(L) 상부에 충진된 그라우팅재(300)가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The suction pipe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center pipe so that the
둘째, 천공홀(210)과 변위조절용 파일(100) 사이의 공간에 말뚝 전면부와 배면부에 직접 펌핑호스를 계획굴착선 까지 삽입하여 계획굴착선 상부에 주입된 그라우팅재를 펌핑하여 배출시킴으로서 그라우팅재(300)의 높이를 제어하는 방법이다.Second, the grouting material by inserting a pumping hose directly into the pil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in the space between the
이러한 방법은 그라우팅재(300)를 천공홀(210)과 변위조절용 파일(100) 사이의 공간에 충분히 충진시켜 놓은 상태에서, 도 6b와 같이 그라우팅재(300)가 계획굴착선(L)까지만 형성되도록 흡입펌프를 통해 다시 천공홀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In this method, the
이는 변위조절용 파일(100) 제작여건 및 현장여건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면 되고, 결국 그라우팅재가 계획굴착선(L)까지 충진되도록 하여 일정한 높이(H1)까지 지반에 고정화된 변위조절용 파일(100)이 하단이 고정된 캔틸레버 보 구조물로서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라 할 수 있다.This may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and site conditions for the
이와 같이 지중벽체(A)가 시공되면 도 3c 및 도 5e와 같이 변위조절용 파일(100)에 배치된 긴장재(110)를 긴장 및 정착시키게 되는데, 이때 변위조절용 파일(100)의 하부는 그라우팅재(300)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긴장재(110)의 긴장 및 정착에 의한 프리스트레스는 계획굴착선(L)으로부터 변위조절용 파일(100)의 상부까지의 높이(H2)에 대하여만 변위를 발생시키게 된다.When the underground wall (A) i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이러한 변위는 도 3c를 기준으로 우측으로 변위조절용 파일(100)의 변위를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H1 높이에 해당하는 수평방향 지반반력계수(K2)가 H2 높이에 해당하는 수평방형 지반반력계수(K1)보다 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H2 높이에 해당하는 변위조절용 파일(100)이 우측으로 변위발생되는 메커니즘을 가지게 된 다.Such a displacement causes a displacement of the
이에 그라우팅재(300)에 의한 변위조절용 파일(100)의 하부 고정 과정이 없다면 긴장재(110)에 의한 프리스트레스에 의하여 변위조절용 파일(100) 전체에 걸쳐 불특정 변위가 발생할 수 있어, 긴장재(110)에 의한 프리스트레스에 의하여 변위조절용 파일(100)의 수평방향 변위를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Therefore, if there is no lower fixing process of the
이러한 유도된 변위는 결국 추후 지중벽체(A) 전면부 지반 굴착에 의하여 발생하는 지중벽체의 변위와 반대의 방향이 되어 결국 지중벽체의 기울어짐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This induced displacement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splacement of the underground wall caused by the ground excavation of the ground wall (A) in the future to eventually manage the inclination of the ground wall.
다음으로는 도 3d 및 도 5f와 같이, 계획굴착선(L)까지 변위조절용 파일(100)의 전면부를 굴착하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S. 3D and 5F, the front portion of the
이러한 굴착이 완료되면 상기 굴착된 전면부 지반이 배제되기 때문에 높이 H2에 해당하는 변위조절용 파일(100) 배면부 토압이 저항없이 변위조절용 파일(100)에 작용하게 된다.When the excavation is completed, the excavated front ground is excluded, so that the earth pressure of the rear surface of the
이에 상기 토압에 의하여 변위조절용 파일(100)은 긴장재에 의한 변위가 상쇄되게 됨을 알 수 있으며 이에 지중벽체(A)의 기울어진 정도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이때, 긴장재에 의한 변위 제어와 전면부 굴착에 의한 변위조절용 파일(100)의 변위는 서로 그 크기가 다를 수 있으므로, 긴장재(110) 중 긴장, 정착되지 않은 긴장재를 이용하여 도 5g와 같이 미세한 변위차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 하다.At this time, the displacement of the
이에 긴장재(110)는 시기와 양을 달리하여 시공과정에 있어 긴장 및 정착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The
이에 도 4 및 도 5h와 같이 시공된 지중벽체(A)는 기울어짐 없이 연직방향으로 똑바로 시공되어 짐을 알 수 있으며, 그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캡빔(400)를 더 형성시켜 지중벽체의 형상을 완성시킴과 더불어 지중벽체의 일체성을 제고하여 완성시키게 된다.4 and 5h, the underground wall A constructed as shown in FIG. 4 and 5h can be seen to be installed stra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out inclination, and further formed a
이에 지중벽체(A)가 최종 완성되면, 계획굴착선(L)까지 굴착된 공간에 도로 등 필요한 구조물을 시공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underground wall (A) is finally completed, the required structures such as roads are constructed in the space excavated to the planned excavation line (L).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지중벽체 사용되는 파일의 일 예를 도시한 평면도 및 사시도이고,1A and 1B are a plan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ile used in a conventional underground wall,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변위조절용 파일의 일 예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고,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displacement control fil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는 본 발명의 변위조절용 파일을 이용하여 지중벽체를 시공하는 순서도이고,3a, 3b, 3c and 3d is a flow chart for constructing the underground wall using the displacement control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변위조절용 파일을 이용하여 지중벽체의 일 예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underground wall using the displacement control fi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변위조절용 파일을 이용하여 지중벽체의 시공순서를 상세하 도시한 것이다.Figure 5 shows the construction sequence of the underground wall using the displacement control fi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도 6a 및 도 도 6b는 본 발명의 변위조절용 파일과 천공홀 사이에 그라우팅재의 높이를 제어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6A and 6B illustrate an example of a method of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grouting material between the displacement adjusting pile and the drilling hole of the present invention.
<주요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major reference numerals>
100: 변위조절용 파일 110: 긴장재100: displacement control pile 110: tension material
120: 정착구 130: 고정구120: fixing unit 130: fixing unit
140: 쉬스관 150: 배수홈140: sheath pipe 150: drain groove
200: 지반 300: 그라우팅재200: ground 300: grouting material
400: 캡빔400: kabbeam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0535A KR101081790B1 (en) | 2009-07-31 | 2009-07-31 | Ground construction method using displacement-control pi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0535A KR101081790B1 (en) | 2009-07-31 | 2009-07-31 | Ground construction method using displacement-control pi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2704A true KR20110012704A (en) | 2011-02-09 |
KR101081790B1 KR101081790B1 (en) | 2011-11-10 |
Family
ID=43772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0535A KR101081790B1 (en) | 2009-07-31 | 2009-07-31 | Ground construction method using displacement-control pi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81790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00031A1 (en) * | 2017-06-26 | 2019-01-03 | Armour Wall Group Pty Limited | Top-to-bottom construction system |
CN114232603A (en) * | 2022-01-26 | 2022-03-25 | 金小荣 | Real-time active servo underground diaphragm wall construction method pil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9588Y1 (en) * | 2000-02-25 | 2000-07-15 | 이영대 | Drain board for reinforced wall |
KR200293048Y1 (en) * | 2002-08-03 | 2002-10-25 | 삼성물산 주식회사 | shoring structure using prestressed retaining wall |
US10309075B2 (en) * | 2005-10-21 | 2019-06-04 | Loadtest,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force needed to move a pile axially |
-
2009
- 2009-07-31 KR KR1020090070535A patent/KR101081790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00031A1 (en) * | 2017-06-26 | 2019-01-03 | Armour Wall Group Pty Limited | Top-to-bottom construction system |
CN114232603A (en) * | 2022-01-26 | 2022-03-25 | 金小荣 | Real-time active servo underground diaphragm wall construction method pi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81790B1 (en) | 2011-11-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13569B1 (en) | Phc pile for retaining wall | |
KR101652163B1 (en) | Concrerte pannel for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
KR100851356B1 (en) |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n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 |
KR20100068597A (en) | A shoring method using arch plate pile and h-pile | |
KR101662072B1 (en) | Temporary retaining wall using underground wall and connector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
KR20160144111A (en) | Foundation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reinforcing method of base ground using it | |
KR20140013497A (en) | Method for constructing block type reinforced retaining wall in cut site | |
JP5229913B2 (en) | Slope reinforcement method | |
KR101136240B1 (en) | made of iron soil retaining plate and its support structure for form and retaining-wall vertical reinforcement | |
KR101021915B1 (en) | A method for constructing cut-off temporary structure for sheathing work | |
KR20100065521A (en) | A shoring method using arch plate pile and h-pile | |
KR101386275B1 (en) | Reformed sheet plate and the method of installation of the same | |
KR100710867B1 (en) | Method of upward type base reinforced a substitute for horizontal drainage and that of structure | |
KR20110051474A (en) | Eco-friendly retaining wall using phc pile | |
KR101081790B1 (en) | Ground construction method using displacement-control pile | |
KR101181619B1 (en) | Building method of high wall block for large scale underground structure using earth anchor represtressing | |
KR101078080B1 (en) | Earth retaining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precast pile and ground reinforcement | |
KR102247848B1 (en) | Cast-in-place pile using Pressurized grouting and construction method | |
KR20170000551U (en) | Foundation block for retaining wall | |
KR100984128B1 (en) | Ground construction method using displacement-control pile | |
KR200362565Y1 (en) |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Precast Concrete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984040B1 (en) | Method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for cutting face through double reinforcing execution | |
KR101021913B1 (en) | A method for constructing cut-off temporary structure for sheathing work | |
KR20180112453A (en) | Soil Retaining Wall using PHC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 |
JP2011157719A (en) | Earth retain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