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2260A -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the controlling - Google Patents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the controll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2260A
KR20110012260A KR1020090069904A KR20090069904A KR20110012260A KR 20110012260 A KR20110012260 A KR 20110012260A KR 1020090069904 A KR1020090069904 A KR 1020090069904A KR 20090069904 A KR20090069904 A KR 20090069904A KR 20110012260 A KR20110012260 A KR 20110012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ler
image
display device
key value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9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9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2260A/en
Publication of KR20110012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26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controlling an image display system is provided to control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using a remote controller by storing a preferable action and key value to the remote controller. CONSTITUTION: A remote controller(100) senses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by a user's request. The remote controller transmits a key value matched with a preset motion information to an image display device(200). The image display device receives a preset motion key value from 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key value, the image display device processes a preset image processing.

Description

리모트 컨트롤러를 구비한 영상표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the controlling}Image display system with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the controlling}

본 발명은 영상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모트 컨트롤러를 구비한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a remote controller.

전자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점점 더 많은 종류의 전자장치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최근 보급되는 전자장치들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리모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TV, 오디오, DVD 플레이어, 에어컨, 선풍기 등의 각종 전자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chnology, more and more kinds of electronic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spread. BACKGROUND Recently, electronic devices that are popularized have a function of receiving a remote control signal for the convenience of a user. Accordingly, the user can control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TV, an audio, a DVD player, an air conditioner, a fan, and the like by using a remote controller.

한편, 최근 보급되는 전자장치들은 점점 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다. 따라서, 전자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에도 점점 더 많은 수의 키가 구비된다. 하지만, 리모트 컨트롤러의 키가 너무 많아지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조정하는 키를 찾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키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 자체 사이즈 및 무게도 커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recently popularized electronic devices have more and more various functions. Thus, a larger number of keys are also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However, if there are too many keys on the remote controller,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find a key for adjusting a desired function.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keys increases, the size and weight of the remote controller itself increases.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음성 인식, 움직임 인식 등의 방법으로 원하는 제어 신 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음성 인식으로 동작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경우 주변의 잡음 때문에 정확한 제어를 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움직임 인식으로 동작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경우 움직임이 제조업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상태로 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종래의 리모트 컨트롤러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움직임을 미리 설정하여 둘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움직임 인식 기능을 거의 사용하지 않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prevent this, a remote controller for outputting a desired control signal through a method such as voice recognition and motion recognition has been develop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remote controller operating by voice recognition,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control the noise due to the surrounding noise. In the case of a remote controller operating with motion recognition, since a motion is released in a predetermined state by a manufacturer, it may be difficult for a user to use it. In this case, the conventional remote controller has a problem in that the motion recognition function is hardly used since the user is not provided with means for setting the user's desired motion in advance.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리모트 컨트롤러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표시기기의 영상을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구비한 영상표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display system having a remote controller that allows the user to control the imag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s desired by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

상기한 목절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모트 컨트롤러를 구비한 영상표시기기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요청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러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기 설정된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키값을 영상표시기기에 전송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기 설정된 움지임 키값을 수신하며, 상기 키 값에 따라 기 설정된 영상처리를 수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영상표시기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ideo display device system including a remote controller, the remote controller detecting a movement of a remote controller by a user's request and transmitting a key value corresponding to preset motion information to the video display device. ; And a video display device configured to receive a preset move key value from the remote controller and to display and perform a preset imag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key value.

또한 본 발명은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움직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움직임 정보에 따라 기 저장된 키값을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키값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조정하는 단계; 상기 조정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motion information from a remote controller; Reading a pre-stored key value accor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Adjusting the displayed image according to the read key value; And displaying the adjusted imag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움직임 및 키 값을 리모트 컨트롤러에 저장하고, 이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를 움직이는 것만으로 외부전자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영상 표시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store his or her desired movement and key values in the remote controller, thereby controlling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only by moving the remote controller.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video display device in various ways,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동작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operation of an image display device using a remote controller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에 따르면 영상표시기기(200)가 영상을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리모트 컨트롤러(100)가 좌/우 회전 또는 상하좌우의 움직임 등 다양한 형태로 움직이게 되면 상기 움직임 정보가 영상표시기기(200)에 전송되며 모션 리모트 컨트롤 모드의 설정 및 해제, 영상표시기기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대하여 선택, 확대 및 축소 등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According to FIG. 1, when the remote controller 100 moves in various forms such as left / right rotation or up / down / left / right movement while the image display device 200 is outputting an image, the mo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200. It transmits, sets and cancels the motion remote control mode, and selects, enlarges and reduces the video output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리모트 컨트롤러와 영상표시기기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n image display system including a remote controller and an image display device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시스템은 리모트 컨트롤러(100)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움직임에 따라 제어되는 영상표시기기(200)로 구성된다. The video display devic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mote controller 100 and an image display device 200 controll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100.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감지부(110), 키패드부(120), 저장부(130), 제어부(140) 및 리모콘 신호 출력부(150)을 포함한다. The remote controller 100 includes a detector 110, a keypad 120, a storage 130, a controller 140, and a remote controller signal output unit 150.

감지부(110)는 리모트 컨트롤러(100) 자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감지부(110)ms 리모트컨트롤러(100)의 움직임을 3차원으로 감지하는 3차원 모션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감지센서는 자이로 센서나 지자기 센서 일 수 있다. 이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회전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의미한다. 그 중 지자기 센서는 X축 및 Y축 플럭스게이트를 이용하여 지자기를 검출함으로써, 방위각을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전 방위각과 현재 방위각을 비교하여 리모트 컨트롤러의 움직임을 감지한다.The detector 11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100 itself. The sensing unit 110 may include a three-dimensional motion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100 in three dimensions. The sensing sensor may be a gyro sensor or a geomagnetic sensor. This means a sensor for detecting the rotation state of the remote controller. The geomagnetic sensor may calculate the azimuth angle by detecting the geomagnetism using the X-axis and Y-axis fluxgates. Accordingly,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is detected by comparing the current azimuth with the previous azimuth.

키패드부(120)는 다양한 종류의 키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영상표시기기의 기능을 조정하기 위한 다양한 키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모션 리모트 컨트롤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설정키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모션 리모트 컨트롤 모드에서 소정키 입력과 함께 리모트 컨트롤러의 움직임에 따라 화면의 영상을 선택, 확대 및 축소 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keypad 120 is provided with various kinds of keys. In more detail, various keys for adjusting the function of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 setting key for operating in a motion remote control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parately provided. It can perform a function to select, enlarge and reduce the image of the scree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ontroller.

저장부(130)는 기 설정된 움직임에 대한 움직임 정보 및 이에 대응되는 키 값이 저장된다. 예를 들어 키패드 부(120)의 소정키 입력과 함께 리모트 컨트롤러의 움직임에 따라 그에 대응되게 키값을 저장하고, 해당 키값을 영상표시기기(100)에 전송하여 상기 영상표시기기(100)에서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30 stores movement information on a preset movement and key values corresponding thereto. For example, the key value is stor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along with a predetermined key input of the keypad 120, and the corresponding key value is transmit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o perform the operation i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Can be done.

리모콘 신호 출력부(150)는 감지부(110)에 의해 감지된 움직임에 대응되는 키값을 저장부(130)로부터 독출하여 리모트 컨트롤러의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remote control signal output unit 150 reads a key valu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110 from the storage unit 130 and transmits a signal of the remote controller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한편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0)로부터 수신되는 움직임 정보에 따라 동작하는 영상표시기기(100)는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 영상/오디오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25), 영상처리부(230), 영상 출력부(235), 저장부(210), 감지부(215), 입력부(220) 및 제어부(205)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operating accor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100 may include a receiver 225, an image processor 230, and an image output unit that receive broadcast signals and video / audio signals from the outside. 235, a storage 210, a detector 215, an input 220, and a controller 205.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225)는 튜너부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수신부(225)는 후술할 제어부(205)의 튜닝 제어 신호에 따라 특정 주파수 대역의 방송 채널을 선국하여 해당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수신부(225)는 안테나, 케이블 커넥터, 셋톱박스 등의 수신장치, 튜너, 복조기 디코더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Receiving unit 22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uner. The receiver 225 tunes a broadcast channel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according to a tuning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205 to be described later and receives a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broadcast channel. The receiver 225 may be implemented as an antenna, a cable connector, a receiver such as a set top box, a tuner, a demodulator decoder, or the like.

영상처리부(230)는 수신부(225)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중 영상신호와 오디오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전달받은 신호를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 등을 포함하는 영상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되거나, 저장부(210)에 녹화물로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The image processor 230 receives an image signal and an audio signal among the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225 and outputs or stores the received signal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120 including a display unit and a speaker. The unit 210 may be stored as a recording.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처리부(11)는 영상신호를 디코딩하는 비디오 디코더와 디코딩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의 규격에 맞는 수직주파수, 해상도, 화면 비율 등에 맞도록 변환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0)로부터 수신되는 움직임 정보에 따라 영상의 소정 영역을 선택 및 해제, 확대 및 축소하여 영상 출력부(235)로 출력하도록 한다. In particular, the image processing unit 1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ideo decoder for decoding the image signal and a scaler for converting the decoded image signal to match the vertical frequency, resolution, aspect ratio, etc.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of the display unit. . 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area of the image is selected, released, enlarged and reduced accor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100 to output to the image output unit 235.

저장부(210)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읽기 전용 장치인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으로 구성될 수 있다.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210)는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움직임 정보에 대한 키값에 대응되는 동작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즉, 리모트 컨트롤러(100)로부터 수신되는 움직임 정보에 따른 키값에 대응하여 영상의 선택 및 해제, 확대 및 축소, 모션 리모트 컨트롤모드의 설정 및 해 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storage unit 210 is a means for storing a variety of data, and may be configured as an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which is an electronic erase and program read-only device. 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0 stores ope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key value of mot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100. That is, in response to the key value accor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100, the function of selecting and releasing, enlarging and reducing the image, and setting and releasing the motion remote control mode are stored.

입력부(220) 및 감지부(225)는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신호출력부(150)로부터 수신되는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에 대한 키 값을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input unit 220 and the sensing unit 225 receive motion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100 received from the signal output unit 150 of the remote controller 100 and check a key value for the information. do.

이하에서는 상기한 리모트 컨트롤러(100)를 구비한 영상표시기기(200)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200 having the remote controller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 동작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동작 흐름도이고,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 움직임에 의한 영상표시기기 제어 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예시도 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A to 4F illustrate screens displayed whe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is controlled by a movement of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영상표시기기(200)의 제어부(205)는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210)에 기 저장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305단계) 제어부(205)는 리모트 컨트롤러(100)로부터 모션 리모트 컨트롤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모션 리모트 컨트롤 동작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310단계) The control unit 205 of the image display device 200 controls to operate in an image output mode that outputs an image received from the outside or pre-stored in the storage unit 210. (Step 305) The control unit 205 controls the remote controller 100. In step 310, if a signal for operating in the motion remote control mode is detected, the controller performs the motion remote control operation mode.

상기 모션 리모트 컨트롤 모드는 사용자 요청에 의해 상기 모드로 동작되도록 메뉴 진입을 수행하여 설정하거나 리모트 컨트롤러(100)로부터 상기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소정의 키 입력에 의해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The motion remote control mode may be set by performing a menu entry to operate in the mode by a user request or by a predetermined key input to operate in the mode from the remote controller 100.

이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205)는 리모트 컨트롤러(100)로부터 움직임 정보가 입력됨을 감지하면(315단계) 상기 저장부(210)에 저장된 움직임에 따른 키 설정값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320단계) 모션의 재입력 요청을 수행하거 나(330단계) 상기 입력된 움직임에 대응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여 영상을 조정하도록 한다.(325단계) Accordingly, when the controller 205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detects that motion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ler 100 (step 315), it determines whether a key sett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motion stored in the storage 210 is input. In step 320, a motion re-input request is performed (step 330) or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motion is performed to adjust the image (step 325).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0)로부터 수신되는 움직임 정보에 따른 영상의 조정 동작에 대해 도 4a 내지 도 4e의 화면 예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화면 예시도는 모션 리모트 컨트롤 모드에서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움직임에 따른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An operation of adjusting an image based on mo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creen examples of FIGS. 4A to 4E. The exemplary screen is an exemplary screen for displaying an imag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100 in the motion remote control mode.

도 4a는 모션 리모트 컨트롤 모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에 대한 확대 동작 요청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리모트 컨트롤러(100)로부터 소정키 입력신호와 함께 좌우 또는 상하로의 움직임 정보를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수신하면, 제어부(205)는 상기 수신되는 움직임 정보에 대응되는 키값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도 4a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서 (b)와 같이 소정영역(405)을 선택 및 확대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4A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when a magnification operation request for a region selected by a user in a motion remote control mode is performed. Whe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receives the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motion information from the remote controller 100 along with a predetermined key input signal, the controller 205 checks a key valu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motion information and accordingly, In the image displayed as shown in (a) of 4a, the predetermined region 405 is selected and enlarged as shown in (b) to be displayed.

이때 확대되는 크기 및 방향은 리모트 컨트롤러(100)로부터 입력되는 움직임 정보에 따라 상하좌우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해당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움직임 정보가 좌/우/상/하 이동은 확대 및 축소할 영역이 선택되며, 우로 회전은 확대 좌로 회전은 축소 동작으로 하여 상기 선택된 영역의 영상을 조정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enlarged size and direction may be enlarged or reduced in at least one of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ler 100. For example, a region to which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100 moves to the left, right, up, and down is selected to be enlarged and reduced, and the rotation of the right to left is enlarged and the rotation to the left is reduced to adjust the image of the selected area. .

도 4b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가로바 영역의 선택 및 조정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리모트 컨트롤러(100)로부터 소정의 키입력과 함께 소정 영역을 선택하도록 하는 움직임 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메뉴에 의해 가로바 선 택 항목을 입력받아 해당 영역(410a)을 선택할 수 있다. 4B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displayed by selection and adjustment of a horizontal bar area of a displayed image. The region 410a may be selected by receiving motion information for selecting a predetermined region from the remote controller 100 or selecting a horizontal bar selection item through a menu.

이후 상기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100)로부터 입력되는 움직임 정보에 좌 또는 우로의 이동 또는 회전 신호가 입력됨을 감지하면 해당 방향에 따라 선택된 영역에 대한 확대 또는 축소를 수행한다.(410b)Thereafter,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left or right movement or rotation signal is input to the mo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ler 100 as described above, an enlargement or reduction of the selected area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direction (410b).

또한 도 4c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세로바 영역의 선택 및 조정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한 가로바 영역의 선택 및 조정 동작 과 유사하다. 즉, 리모트 컨트롤러(100)로부터 소정의 키 입력과 함께 소정 영역을 선택하도록 하는 움직임 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메뉴에 의해 세로바 선택 항목을 입력받아 해당 영역(415a)를 선택할 수 있다. 4C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displayed by selection and adjustment of a vertical bar area of a displayed image. It is similar to the selection and adjustment operation of the horizontal bar region described above. That is, the remote controller 100 may receive movement information for selecting a predetermined region with a predetermined key input or receive a vertical bar selection item through a menu to select the corresponding region 415a.

이후 상기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100)로부터 입려괴는 움직임 정보에 좌 또는 우로의 이동 또는 회전신호가 입력됨을 감지하면 해당 방향에 따라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한 확대 또는 축소를 수행한다.(415b)Thereafter, when the remote controller 100 detects that the movement or rotation signal to the left or right is input to the movement information that is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100, the selected area is enlarged or reduc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direction (415b).

도 4d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서 소정 영역을 확대한 후 사용자 임의대로 또는 원래의 상태로 축소하는 경우에 도시되는 화면 예시도이다. 리모트 컨트롤러(100)를 통해 선택받은 소정영역(420a)을 확대하고 상기한 영상의 확대 동작과 유사하게 축소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해당 영역의 영상(420b)이 축소되도록 한다. 이때 리모트 컨트롤러의 움직임 횟수에 따라 축소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4D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shown in a case in which a predetermined area is enlarged in a displayed image and then reduced in an arbitrary state or an original state. The image 420b of the corresponding region is reduced by enlarging the predetermined region 420a selected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100 and performing a reduction operation similar to the enlargement operation of the image. At this time, the reduction ratio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movements of the remote controller.

도4e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서 소정 영역을 확대한 경우 영상의 확대에 따라 초점이 맞지 않는 등의 흐릿하게 디스플레이되는 경우(425a) 리모트 컨트롤러의 움직임, 예를 들어 임의의 방향으로 두드림과 같은 동작을 소정 횟수 진행하는 등 의 소정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해당 영역의 영상을 소정 알고리즘을 통해 보정하도록 한다. 상기의 알고리즘은 영상의 보정 알고리즘 등 일반적인 알고리즘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FIG. 4E illustrates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for example, tapping in an arbitrary direction when the predetermined area is enlarged in the displayed image, when the image is blurred, such as being out of focus according to the enlargement of the image. By perform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such as progressing the number of times, the image of the corresponding region is corrected through a predetermined algorithm. The above algorithm may be performed through a general algorithm such as an image correction algorithm.

상기한 바와 같이 모션 리모트 컨트롤 모드에서 리모트 컨트롤러(100)로부터 상,하, 좌,우, 회전, 두드림 동작 등과 같은 기 설정된 다양한 움직임 정보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대한 선택 및 해제, 확대/축소 및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motion remote control mode, the user selects and releases, enlarges / reduces and displays the image displayed by receiving various preset motion information such as up, down, left, right, rotation, and tapping operation from the remote controller 100. Calibration can be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동작을 나타낸 모식도.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trol operation of an image display device using a remote controller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영상표시기기의 시스템 블록 구성도.2 is a system block diagram of a video display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 동작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동작 흐름도. .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 움직임에 의한 영상표시기기 제어 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예시도4A to 4E illustrate screens displayed when the image display device is controlled by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리모트 컨트롤러를 구비한 영상표시기기 시스템에 있어서, In the video display device system having a remote controller, 사용자 요청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러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기 설정된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키값을 영상표시기기에 전송하는 리모트 컨트롤러;A remote controller for detecting a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 user request and transmitting a key value corresponding to the preset movement information to the image display device;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기 설정된 움지임 키값을 수신하며, 상기 키 값에 따라 기 설정된 영상처리를 수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영상표시기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시스템.And a video display device configured to receive a preset move key value from the remote controller and to display and perform a preset imag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key valu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mote controller 사용자가 소지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부;A detector for detecting a movement of a remote controller possessed by a user;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음직임 정보를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전송하는 리모콘 신호 출력부;A remote controller signal output unit which transmits the audio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to the video display device;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영상표시기기를 제어하는 모션 리모트 컨트롤러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키를 구비한 키패드;A keypad having at least one key for performing an operation with a motion remote controller controlling the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상기 움직임 정보에 따른 신호를 상기 리모콘 신호 출력부를 통해 영상표시기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시스템.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a signal accor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video display device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signal output uni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움직임 정보에 대응되는 키값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시스템. The image display device system of claim 2, wherein the remote controller further comprises a storage unit which stores a key value correspon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모션 리모트 컨트롤러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별도의 키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시스템. The video display device syste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keypad has a separate key for operating in a motion remote controller mode. 제 1항에 있어서, 영상표시기기는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image display device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되는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입력부;A signal input unit for receiving mo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상기 입력된 신호에 대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신호 감지부;A signal detector for detecting an operation of a remote controller with respect to the input signal;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따른 미리 설정된 키 값을 저장하는 저장부;A storage unit for storing a predetermined key value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etection unit; 상기 저장된 키값을 독출하여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움직임에 따른 영상을 조정하는 영상처리부;An image processor configured to read the stored key value and adjust an imag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출력부;An image output unit displaying an image;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부터 수신되는 움직임 정보를 확인하여 그에 따른 미리 저장된 키값에 대응되는 영상 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시스템. And a controller which checks the mo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s to perform image processing corresponding to a pre-stored key value accor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 터 소정키 입력과 함께 움직임 정보가 입력되면 영상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해당 영역이 선택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시스템. The image display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of the image display device controls to select a corresponding region of an image output from the image output unit when motion information is input together with a predetermined key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ler. Appliance system. 영상표시기기에 있어서, In the video display device,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움직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Receiving motion information from a remote controller; 상기 움직임 정보에 따라 기 저장된 키값을 독출하는 단계;Reading a pre-stored key value accor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상기 독출된 키값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조정하는 단계;Adjusting the displayed image according to the read key value; 상기 조정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Displaying the adjusted image; and controlling the image display device system.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입력되는 움직임 정보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 기 저장된 키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시스템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o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ler is a key value pre-stored in 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동작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영상 제어는 모션 리모트 컨트롤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시스템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mage control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operates in a motion remote control mod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동작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영상 제어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가 모션 리모트 컨트롤러로 동작하도록 하는 키값과 움직임 키값이 수신되면 상기 모션 리모트 컨트롤 모드로 동작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시스템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mage control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operates in the motion remote control mode when a key value and a motion key value for allowing the remote controller to operate as a motion remote controller are received. Video display system control method.
KR1020090069904A 2009-07-30 2009-07-30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the controlling KR2011001226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904A KR20110012260A (en) 2009-07-30 2009-07-30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the controll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904A KR20110012260A (en) 2009-07-30 2009-07-30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the controll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260A true KR20110012260A (en) 2011-02-09

Family

ID=43772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904A KR20110012260A (en) 2009-07-30 2009-07-30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the controll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226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4847A (en) * 2012-05-07 2013-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ratus and terminal apparatus based on user's voice and gesture
WO2014119812A1 (en) * 2013-02-04 2014-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Video display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4847A (en) * 2012-05-07 2013-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ratus and terminal apparatus based on user's voice and gesture
WO2014119812A1 (en) * 2013-02-04 2014-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Video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4294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US20110187731A1 (en) Marker display control device, integrated circuit, and marker display control method
EP2626771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mounted on a display apparatus
US1144929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EP1983407A2 (en)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1501742B2 (en) Display device
US9148687B2 (en) Passing control of gesture-controlled apparatus from person to person
KR20170006576A (en) Display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521353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US20100001957A1 (en) Display apparatus
EP2587479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8000431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back multimedia contents
KR20110012260A (en)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the controlling
US20070008430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525453A1 (en) Display device
KR20110032365A (en)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the controlling
JP2008306509A (en) Display device
JP4763369B2 (en) Electronic program guide creation system, electronic program guide creation method, electronic program guide creation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160147578A (en)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599530B1 (en) Broadcast receiver controlled by screen remote controller and space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5037060B2 (en) Sub-screen display device
JP2009092728A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program
KR20110062703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0587567B1 (en) Apparatus for control bar display and method for numerical control using by apparatus for control bar display
KR10046260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undo/red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