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993U - 유아용 샴푸의자 - Google Patents

유아용 샴푸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993U
KR20110011993U KR2020100006604U KR20100006604U KR20110011993U KR 20110011993 U KR20110011993 U KR 20110011993U KR 2020100006604 U KR2020100006604 U KR 2020100006604U KR 20100006604 U KR20100006604 U KR 20100006604U KR 20110011993 U KR20110011993 U KR 201100119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pedestal
chair body
infant
fit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6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근
Original Assignee
신한에이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에이엠(주) filed Critical 신한에이엠(주)
Priority to KR20201000066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1993U/ko
Publication of KR201100119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99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6Children's chairs dismoun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2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detach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22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A47K3/024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for children or bab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샴푸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유아의 등이 안착되는 등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등안착부의 상단에 목을 받쳐주는 목지지부가 형성된 의자본체와, 상기 의자본체를 지지하는 의자다리와, 상기 의자본체에 결합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유아용 샴푸의자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저면 상단에는 일정 길이 하향 연장되는 끼움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의자본체에는 일정 길이 하향 연장되며 상기 끼움부재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다수 개의 지지부재가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끼움부재와 지지부재의 삽입구조를 통해 받침대가 의자본체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이 되므로 사용상의 안전성이 향상됨과 함께 결합부분이 파손될 염려없이 장시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아용 샴푸의자 {Shampoo chair for infant}
본 고안은 유아용 샴푸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상의 안전성을 향상시켜 유아를 보다 안전하게 샴푸시킬 수 있으며 파손의 염려없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샴푸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등학교에 취학하기 이전인 1 ∼ 7세 정도의 유아들은 스스로 머리를 감기가 어려워 보통 부모가 유아들의 머리감기를 행하게 된다.
즉, 부모가 유아를 손으로 안고 뒤로 눕힌 채 머리를 감기거나, 좀 더 성장한 유아의 경우에는 쪼그려 앉아 머리를 숙이게 한 후 머리를 감기게 된다.
그런데, 이렇게 유아의 머리를 감기는 경우 유아들이 샴푸와 물에 친숙하지 않기 때문에 유아들이 머리감는 것을 매우 꺼려하며, 이러한 유아들의 머리를 감기는 일이 부모들의 입장에서는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이에, 이러한 유아의 머리감는 문제점을 인식하여 유아가 보다 편리하게 머리를 감을 수 있도록 하는 샴푸의자가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샴푸의자가 등록실용신안공고 20-0374452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종래의 샴푸의자는 유아의 목과 등이 본체에 안착된 상태에서 머리를 감길 수 있기 때문에 기존보다 머리를 감기는데 힘이 덜 들고, 또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대를 사용하여 유아의 키에 따라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샴푸의자는 받침대의 결합부가 의자본체의 결합홈에 단순히 걸리면서 받침대가 의자본체에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받침대를 지지하는 힘이 약하여 머리감는 동안 유아가 심하게 움직이는 경우 받침대의 결합부가 파손될 우려가 크며, 또한 받침대의 결합과 분리를 계속하면서 사용하게 되면 역시 받침대의 결합부가 파손되어 장시간 안전하게 사용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종래 개시된 샴푸의자는 편리하게 유아의 머리를 감길 수 있는 장점을 갖지만, 안전성과 장시간 파손의 염려없이 사용이 가능한가의 측면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며, 따라서 사용대상이 매우 약한 유아인 점을 고려하여 보다 안전성을 높이고 파손의 염려없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사용상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파손의 염려없이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야용 샴푸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샴푸의자는,
유아의 등이 안착되는 등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등안착부의 상단에 목을 받쳐주는 목지지부가 형성된 의자본체와, 상기 의자본체를 지지하는 의자다리와, 상기 의자본체에 결합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유아용 샴푸의자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저면 상단에는 일정 길이 하향 연장되는 끼움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의자본체에는 일정 길이 하향 연장되며 상기 끼움부재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다수 개의 지지부재가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끼움부재가 상기 지지부재보다 길게 형성되어 삽입시에 끼움부재의 하단부가 지지부재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샴푸의자는,
끼움부재와 지지부재의 삽입구조를 통해 받침대가 의자본체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이 되므로 사용상의 안전성이 향상됨과 함께 결합부분이 파손될 염려없이 장시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고안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샴푸의자에 있어 받침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있어 받침대와 의자본체의 결합구조를 보이기 위한 의자본체의 주요부분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샴푸의자에 있어 받침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있어서 받침대와 의자본체의 결합구조를 보이기 위한 의자본체의 주요부분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샴푸의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는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샴푸의자의 사시도로서, 상기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샴푸의자는 의자본체(10)와, 받침대(20)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성은 종래 샴푸의자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의자본체(10)에는 유아의 등이 안착될 수 있도록 등안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등안착부(11)의 상단에는 유아의 목을 받쳐줄 수 있는 목지지부(12)가 형성된다.
이러한 등안착부(11)는 유아가 누웠을 때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곡면형상을 갖게 되며, 상기 목지지부(12) 또한 유아의 목을 잘 받쳐 지지하도록 부드러운 곡면 형상을 갖게 된다.
상기한 의자본체(10)의 저면 상측에는 의자다리(13)가 형성되어 의자본체(10)를 일정한 경사각으로 지지하게 되는데, 상기 의자다리(13)는 의자본체(10) 자체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의자본체(10)와 의자다리(13)는 사출 성형을 통해 일체로 제작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20)는 상기 의자본체(10)에 결합되어 유아의 엉덩이를 받쳐줌으로써 유아가 안정적으로 누워 머리를 감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받침대(20)는 사용하는 유아의 키에 따라 그 결합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받침대(20)의 저면 상단부분에는 끼움부재(21)가 형성되고, 상기 의자본체(10)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지지부재(14)가 형성된다.
상기 끼움부재(21)는 받침대(20)의 저면에서 일정한 길이로 하향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14)는 상기 끼움부재(21)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마찬가지로 의자본체(10)에서 일정한 길이로 하향 연장이 되면서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끼움부재(21)와 지지부재(14)의 단면 형상은 도면들에 도시된 것처럼 사각형태를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형, 타원형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재(21)의 길이가 지지부재(14)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렇게 끼움부재(21)의 길이가 지지부재(14)보다 길면 도 4와 같이 삽입된 경우 끼움부재(21)의 하단부가 지지부재(14)의 하측으로 돌출이 되며, 그에 따라 이탈될 염려없이 보다 견고하게 받침대(20)가 의자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일정한 길이를 갖는 끼움부재(21)가 일정한 길이를 갖는 지지부재(14)의 내부로 삽입됨에 의해 상기 받침대(20)가 의자본체(10)에 결합이 되므로, 단순히 결합홈에 결합부가 걸리는 방식으로 받침대가 결합되는 종래 샴푸의자에 비하여 보다 튼튼하고 견고하게 받침대(20)가 의자본체(10)에 결합이 되며, 그에 따라 유아의 움직임이 심하거나 잦은 사용을 하더라도 받침대(20)의 결합부분이 파손되지 않고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는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의자본체
11: 등안착부
12: 목지지부
13: 의자다리
14: 지지부재
20: 받침대
21: 끼움부재

Claims (2)

  1. 유아의 등이 안착되는 등안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등안착부(11)의 상단에 목을 받쳐주는 목지지부(12)가 형성된 의자본체(10)와, 상기 의자본체(10)를 지지하는 의자다리(13)와, 상기 의자본체(10)에 결합되는 받침대(20)를 포함하는 유아용 샴푸의자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20)의 저면 상단에는 일정 길이 하향 연장되는 끼움부재(21)가 형성되고, 상기 의자본체(10)에는 일정 길이 하향 연장되며 상기 끼움부재(21)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다수 개의 지지부재(14)가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샴푸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21)가 상기 지지부재(14)보다 길게 형성되어 삽입시에 끼움부재(21)의 하단부가 지지부재(14)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샴푸의자.
KR2020100006604U 2010-06-23 2010-06-23 유아용 샴푸의자 KR2011001199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604U KR20110011993U (ko) 2010-06-23 2010-06-23 유아용 샴푸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604U KR20110011993U (ko) 2010-06-23 2010-06-23 유아용 샴푸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993U true KR20110011993U (ko) 2011-12-29

Family

ID=45569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604U KR20110011993U (ko) 2010-06-23 2010-06-23 유아용 샴푸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199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2498A1 (ko) * 2015-11-11 2017-05-18 정은경 인체용 지지대
KR102325193B1 (ko) * 2021-06-03 2021-11-11 주식회사 어스트 샴푸 의자 및 헤어시술 및 샴푸가 가능한 샴푸 의자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2498A1 (ko) * 2015-11-11 2017-05-18 정은경 인체용 지지대
KR102325193B1 (ko) * 2021-06-03 2021-11-11 주식회사 어스트 샴푸 의자 및 헤어시술 및 샴푸가 가능한 샴푸 의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39066S1 (en) Neck support for washing infant's and toddler's hair in a bathtub
JP5507068B2 (ja) 揺り椅子
US20120043359A1 (en) Baby carrier
US20180228298A1 (en) Adjustable seat for baby or child float
KR20110011993U (ko) 유아용 샴푸의자
CN203619157U (zh) 多功能儿童餐椅
TW200607469A (en) Baby carrier
KR20080002877U (ko) 기능성 베개
CN108968475A (zh) 一种凳子的凳面拼接结构
CN102763991A (zh) 椅子
TWI543734B (zh) Improved back
CN208808312U (zh) 折叠浴桶
KR101834290B1 (ko) 다용도 목욕 의자
KR101872244B1 (ko) 인체용 지지대
US20100186160A1 (en) Child shampooing lounger
KR101406920B1 (ko) 움직이는 착석부를 구비한 좌식의자
KR20120057802A (ko) 영유아용 모빌 지지대
CN203934928U (zh) 多功能椅子
CN202567984U (zh) 婴儿淋浴床
CN102727005B (zh) 婴儿床
CN201088299Y (zh) 一种可调节高低的椅子
CN203506081U (zh) 一种护栏式椅子
CN210581772U (zh) 新型防滑浴室凳
CN209750407U (zh) 一种喇叭形地平坐椅
KR20120065060A (ko)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