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652U - Picture frame of led lighting - Google Patents

Picture frame of led ligh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652U
KR20110010652U KR2020100004832U KR20100004832U KR20110010652U KR 20110010652 U KR20110010652 U KR 20110010652U KR 2020100004832 U KR2020100004832 U KR 2020100004832U KR 20100004832 U KR20100004832 U KR 20100004832U KR 20110010652 U KR20110010652 U KR 201100106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frame
guide plate
light guide
in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83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원철
Original Assignee
박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철 filed Critical 박원철
Priority to KR20201000048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0652U/en
Publication of KR201100106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652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2Supporting legs or fe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8Office articles, e.g. bookmarks, desk lamps with drawers, stands for books or music s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2/00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2/08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a fuel-cell type and a half-cell of the secondary-cell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2001/147Photograph stands with illumin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3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은 사진(20)이 수용되는 수용부(40a)가 중앙에 형성된 메인프레임(40)과, 상기 메인프레임(40) 의 전면에 설치되는 전방보호판(10)과 상기 메인프레임(40)의 내부에 내장된 도광판(30)과, , 상기 메인프레임(40)에 설치된 지지대(50)과, 상기 도광판(20)으로 조사되는 빛이 발생되는 복수개의 엘이디(61)가 구비되며 그 엘이디(61)에서 발생되는 빛이 도광판(20)의 측면으로 조사되도록 메인프레임(40)의 내부 일측에 내장된 조명수단(60)과, 상기 엘이디(61)에서 발생되는 빛이 도광판(30)의 전면으로 반사되도록 도광판(30)의 배면의 반사판(31)및 측면에 감싸여지게 설치된 측면반사판(32)과, 상기 엘이디(61)에서 발생되는 빛이 도광판(30)의 전면으로 확산되도록 도광판(30)의 표면에 형성된 확산패턴과, 상기 조명수단(6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메인프레임(40)의 후면에 설치되고 TTA(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표준충전기(70)의 충전단자(7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입력단자(63),전원을 공급하고 차단할 수 있는 스위치구조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in frame 40 is formed in the center receiving portion 40a is accommodated in the photo, the front protection plate 10 and the main frame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main frame 40 The light guide plate 30 embedded in the inside of the 40, a support 50 installed on the main frame 40, and a plurality of LEDs 61 to emit light irradiated to the light guide plate 20 are provided. The lighting means 60 embedded in one side of the main frame 40 and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ED 61 are irradiated from the LED 61 to th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20. In order to reflect the front of the light guide plate 30 so that the reflecting plate 31 and the side reflector 32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light guide plate 30,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61 is diffused to the front of the light guide plate 30 The diffusion patter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30 and the main to supply power to the lighting means 60. An input terminal 63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frame 40 and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terminal 71 of the TTA standard charger 70, and a switch structure for supplying and cutting off power. It was included.

Description

엘이디 조명액자 {PICTURE FRAME OF LED LIGHTING }LED lighting frame {PICTURE FRAME OF LED LIGHTING}

본 고안은 휴대폰 충전용 단자를 갖는 LED 조명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LED lighting frame having a terminal for charging a mobile phone, and more

상세하게는 조명기구의 내부에 내장된 엘이디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장치 있어서 TTA표준충전기 단자와 이에 상응하도록 조명기구에 맞게 설계된 LED조명 전원을 공급하는 입력단자, 전원을 공급 차단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는 스위치로 이루워 진 조명액자 구조에 관한 것이다.
In detail, in the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LED module embedded in the luminaire, the input terminal for supplying the TTA standard charger terminal and the corresponding LED lighting power designed for the luminaire, and serves to cut off the power supply. It relates to a light frame structure made of a switch to make.

일반적으로 사진 또는 전시물(이하 사진으로 통칭)을 책상 등에 올려놓고자 할 때에는 소형 액자를 사용하고 있고.이에 사용되는 재질로는 유리액자,크리스탈 액자,수지액자,아크릴 액자등 다양한 형태의 액자가 있었다. 이러한 소형액자의 대부분은 중앙부에 사진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프레임이 마련되어 있고, 그 프레임의 전면에는 전방보호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는 액자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전방보호판과 커버의 사이에 사진을 내장하는 것이다.
In general, a small picture frame is used to place a photo or exhib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hoto) on a desk.There are various types of picture frames such as glass frames, crystal frames, resin frames, and acrylic frames. . Most of the small frame is provided with a frame formed with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 picture in the center, the front of the frame is provided with a front protective plate, the back of the frame is provided with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frame as the front The picture is embedded between the cover plate and the cover.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액자는 주간 또는 별도의 조명이 제공될 경우에는 액자에 내장된 사진을 확인할 수는 있지만 야간및 조명이 제공되지 않는 실내에서는 액자에 보관된 사진의 전시효과가 확실하게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와 같이 조명이 제공되지 않는 실내에서 액자에 보관된 사진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조명을 반드시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frame can check the picture embedded in the frame when daytime or separate lighting is provided, but the effect of exhibiting the picture stored in the frame does not appear clearly at night and indoors where no lighting is provided. As such, there was a problem in that separate lighting must be provided in order to check a picture stored in a frame in a room where lighting is not provided.

사진의 밝기를 조절해 주기 위해서 기존의 백열등이나 형광등을 사용한다면, 백열등이나 형광등으로부터 나오는 열로 인하여 전시물의 손상이 불가피해진다. 게다가, 기존의 백열등이나 형광등의 경우 수명이 짧고, 전력 소모가 많기 때문에 유지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If an existing incandescent or fluorescent lamp is used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picture, the heat from the incandescent or fluorescent lamp will inevitably damage the exhibit. In addition, conventional incandescent and fluorescent lamps have a short lifespan and high power consumption, and thus have a disadvantage of high maintenance costs.

그러나,환경보존및 에너지효율화 추세에 따른 LED칩 및 조명산업의 급속한 변화에 발맞추어 자연스럽게 저전력 발광 다이오드모듈을 활용한 조명액자가 나오게 되었고 이에 따라서 조명에 필요한 전원공급장치에도 많은 관심을However, in line with the rapid changes in the LED chip and lighting industry due to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energy efficiency trends, lighting frames using low-power light emitting diode modules have naturally emerged.

기울이게 되었다. 통상적으로 직류전원 어댑터를 사용하게 되었다. 한편, 최근에는 정보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휴대폰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휴대폰에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를 구비하고 있다. 한국내에서는Tipped. Typically, a DC power adapter is used.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industry has increased the number of mobile phone users, these mobile phones are equipped with a charger for charging the battery. In Korea

2002년 TTA(한국 정보통신 기술협회) 24핀 규격으로 통일되어 이전의 전용 휴대폰 충전기를 대신하고 있다.In 2002, it was unified to TTA (Kore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ssociation) 24-pin standard, replacing the previous dedicated mobile phone charger.

따라서,수많은 엔진니어들은 전원을 공급하는 어댑터를 별도로 공급하지 않고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비싼 직류전원 어댑터보다 값싼 표준충전기를 조명액자를 비롯 피디에이,MP3,PMP등 여러가지 휴대기기에 쓰고자 하는 시도를 십여년 전부터 해왔었다
Therefore, many engineers have tried to use a standard charger cheaper than existing expensive DC power adapters for lighting devices, PDs, MP3, PMP, etc. I've been

그러나 , 지금까지 사용되지 못하고 조명액자에서 실용 화가 되지 못하고 있는데. However, it has not been used so far and has not been put into practical use in lighting frames.

그 이유로는, 첫 번째로는 휴대전화 외부단자 접속 통합 표준(안)에 따라, For that reason, firstly, according to the mobile phone external terminal integration standard,

표준 충전기로 부터 전원이 나오기 위해서는 밧테리의 초기 전압과 아이디가 필요하다. 즉, 밧테리 초기전압을 확인하여 어떤 모드로 The battery's initial voltage and ID are required for power from the standard charger. In other words, check the battery initial voltage

어떤 전압/전류로 충전할 것인지 결정하는데 장착되어 있는 LED모듈은 밧테리가 없기 때문에 전원을 공급할수없고 . 또한 밧테리 아이디를 보고 The LED module mounted to determine which voltage / current to charge can not supply power because there is no battery. Also look at the battery ID

최대 충전 전류를 얼마로 설정할 것인지 결정하게 되어 있다.It is decided to set the maximum charge current.

따라서, 우리가 흔히 아는 표준충전기는 위의 밧테리에 대한 2가지 조건이 없을 경우 전원이 나오지 않거나 나오더라도 일정시간 후에 끊어지기 때문에 전원으로 사용할 수가 없는 것이다."두번째로는. 핸드폰이 슬림화되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24핀중 사용하지 않는 핀이 발생된 것과 같은 이유이다.  이때문에 동종업계인 휴대폰 제조회사에서는 24핀 커넥터를 사용하지 않고, 핀 수를 줄여 비표준 핀을 사용하게 되었고.제조회사는 TTA 표준을 지켜야 했으므로 비표준 커넥터와 24핀 커넥 터를 변환하는 변환잭을 제공하게 되었다. 향후는 업체마다 규격이 달라 소비자 불편과 자원 낭비를 초래하고 있는 휴대폰 충전기를 2012년까지 하나의 세계 표준으로 단일화 될 전망이다.
Therefore, the standard charger we usually know cannot be used as a power source if it doesn't come out or if it doesn't come out after 2 hours without the two conditions for the above battery. ” Second . This is the same reason that unused pins have been used among 24 pins, which is why cell phone manufacturers in the industry do not use 24 pin connectors, and reduce the number of pins to use non-standard pins. The TTA standard had to be followed , providing a conversion jack to convert non-standard connectors and 24-pin connectors . In the future, mobile phone chargers, which have different specifications and cause consumer inconvenience and waste of resources, will be unified into one global standard by 2012.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액자의 내부에 조명수단을 내장하고 그 조명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을 TTA표준충전기(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인증 표준충전기:이하 TTA표준충전기)의 전원을 이용하여 엘이디 조명을 할수 있도록 TTA 표준충전기에서 구성하고 있는 24핀 단자에서 전원공급에 필요한 단자만을 받아 들일수 있도록 한 별도의 입력단자(디른명칭:변환젠더)와 스위치를 구성하고 LED조명액자에 이를 수납할수 있도록 고안 설치함으로써 기존의 TTA표준충전기를 활용할수 있도록 하는 조명액자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power supply means for embedding a lighting means inside the frame and supplying power to the lighting means. : A separate input terminal (different name: conversion gender) that accepts only the terminals necessary for power supply from the 24-pin terminal configured in the TTA standard charger to enable LED lighting using the power of the following TTA standard charger. It is to provide a lighting frame that can utilize the existing TTA standard charger by constructing a switch and designing and installing it to be stored in the LED lighting frame.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은 사진(20)이 수용되는 수용부(40a)가 중앙에 형성된 메인프레임(40)과, 상기 메인프레임(40) 의 전면에 설치되는 전방보호판(10)과 상기 메인프레임(40)의 내부에 내장된 도광판(30)과, , 상기 메인프레임(40)에 설치된 지지대(50)과, 상기 도광판(20)으로 조사되는 빛이 발생되는 복수개의 엘이디(61)가 구비되며 그 엘이디(61)에서 발생되는 빛이 도광판(20)의 측면으로 조사되도록 메인프레임(40)의 내부 일측에 내장된 조명수단(60)과, 상기 엘이디(61)에서 발생되는 빛이 도광판(30)의 전면으로 반사되도록 도광판(30)의 배면의 반사판(31)및 측면에 감싸여지게 설치된 측면반사판(32)과, 상기 엘이디(61)에서 발생되는 빛이 도광판(30)의 전면으로 확산되도록 도광판(30)의 표면에 형성된 확산패턴과, 상기 조명수단(6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메인프레임(40)의 후면에 설치되고 TTA(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표준충전기(70)의 충전단자(7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입력단자(63),전원을 공급하고 차단할 수 있는 스위치구조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말하면, TTA표준충전기(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인증 표준충전기:이하 TTA표준충전기)의 전원을 이용하여 엘이디 조명을 할수 있도록 TTA 표준충전기에서 구성하고 있는 24핀 단자에서 전원공급에 필요한 단자만을 받아 들일수 있도록 한 별도의 입력단자(디른명칭:변환젠더) 역할을 할수 있도록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in frame 40 is formed in the center receiving portion 40a is accommodated in the photo, the front protection plate 10 and the main frame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main frame 40 The light guide plate 30 embedded in the inside of the 40, a support 50 installed on the main frame 40, and a plurality of LEDs 61 to emit light irradiated to the light guide plate 20 are provided. The lighting means 60 embedded in one side of the main frame 40 and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ED 61 are irradiated from the LED 61 to th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20. In order to reflect the front of the light guide plate 30 so that the reflecting plate 31 and the side reflector 32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light guide plate 30,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61 is diffused to the front of the light guide plate 30 The diffusion patter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30 and the main to supply power to the lighting means 60. An input terminal 63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frame 40 and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terminal 71 of the TTA standard charger 70, and a switch structure for supplying and cutting off power. It was included. More specifically, only the terminals required for power supply are provided at the 24-pin terminal that is configured in the TTA standard charger so that the LED lighting can be performed by using the power of the TTA standard charger (standard information charger certified by the Kore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ssociation: TTA standard charger). To act as a separate input terminal (called the conversion gender)

5핀 전용 컨넥터와 수지 등을 이용한 몰딩 케이스를 조합하여 일체화를 하고Integrate with 5 pin connector and molding case using resin

이를 수납 할수 있는 프레임구조를 고안하였다.아울러 전원을 공급하고 차단하는 Designed frame structure that can accommodate it.

스위치를 전원 배선 사이에 구성하고 LED조명액자에 이를 수납 할 수The switch can be configured between the power lines and stored in the LED lighting frame.

있도록 고안 설치함으로써 기존의 TTA 표준 충전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Designed to take advantage of existing TTA standard chargers

조명액자를 제공하였다.
A lighting frame was provided.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일반적인 직류전압 어댑터를 사용하지 않고 TTA표준충전기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게 되므로 시중에 널려있는 TTA표준충전기를 휴대폰 충전기뿐만 아니라 조명액자에 대치할 수 있는 이중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또한 저전압 4.2볼트 전원에 따른 저 소비전력으로 액자에 내장된 조명수단에서 발생되는 빛이 사진의 표면으로 조사되어.어두운 곳에서 사진이나 그림 작품을 환상적으로 연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소형 안내판이나 각종 홍보용 전시판 인테리어 제품 등에 다양하면서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침실, 거실조명용이나 수면등, 무드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TTA standard charger without using a general DC voltage adapter, it can be used as a dual-use that can replace the TTA standard charger on the market as well as a mobile phone charger. In addition, with low power consumption due to the low voltage 4.2 volt power,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means built into the frame is irradiated to the surface of the picture. It can be used effectively for a variety of interiors such as information boards and various promotional display boards, and can be used for bedrooms, living room lighting, sleeping lights, and moods.

도1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액자를 나타낸 결합 상태 배면사시도
도2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액자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액자를 나타낸 정면도,좌측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액자를 나타낸 배면도 좌측면도이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액자의 도광판 블록 어셈블리 분해도이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액자의 입력단자와 PCB 결합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액자의 입력단자 조립 사시도
도8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액자의 전원공급장치 사시도
도9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액자의 메인프레임 사시도
도10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액자의 전원공급장치 장착 단면도
도1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액자의 전방보호판(10)을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12은 본 고안에 따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준충전기 형상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ed state showing the ligh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gh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a left side view showing a ligh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rear view left side view showing the ligh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view of a light guide plate block assembly of an illumination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CB coupling diagram with the input terminal of the ligh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y of the input terminal of the ligh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wer supply device of a ligh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frame of the ligh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wer supply device of the ligh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removing the front protective plate 10 of the illumination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hematic view of a standard charger generally u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휴대폰 충전용 단자를 갖는 조명액자는 사진(20)이 수용되는 수용부(40a)가 중앙에 형성된 메인프레임(40)과, 상기 메인프레임(40) 의 전면에 설치되는 전방보호판(10)과 상기 메인프레임(40)의 내부에 내장된 도광판(30)과, , 상기 메인프레임(40)에 설치된 지지대(50)과, 상기 도광판(20)으로 조사되는 빛이 발생되는 복수개의 엘이디(61)가 구비되며 그 엘이디(61)에서 발생되는 빛이 도광판(20)의 측면으로 조사되도록 메인프레임(40)의 내부 일측에 내장된 조명수단(60)과, 이때 발생되는 열을 배출하기 위한 방열판(상기 엘이디(61)에서 발생되는 빛이 도광판(30)의 전면으로 반사되도록 도광판(30)의 배면의 반사판(31)및 측면에 감싸여지게 설치된 측면반사판(32)과, 상기 엘이디(61)에서 발생되는 빛이 도광판(30)의 전면으로 확산되도록 도광판(30)의 표면에 형성된 확산패턴과, 상기 조명수단(6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메인프레임(40)의 후면에 설치되고 TTA표준충전기(70)의 충전단자(7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입력단자(63),전원을 공급하고 차단할 수 있는 스위치(62)구조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Lighting frame having a mobile phone charging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main frame 4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eceiving portion 40a is accommodated in the photo 20, the front of the main frame 40 Light to be irradiated by the front guard plate 10 and the light guide plate 30 built into the main frame 40, the support 50 installed on the main frame 40, and the light guide plate 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Ds 61 and the lighting means 60 is built into one side of the main frame 40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61 is irradiated to th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20, and this occurs Heat dissipation plate for dissipating the heat (side reflector plate 32 is installed to be wrapped around the reflecting plate 31 and the side of the back of the light guide plate 30 so that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ED 61 is reflected to the front of the light guide plate 30) And,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ED 61 is diffused to the front of the light guide plate 30 And a diffusion patter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30 and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terminal 71 of the TTA standard charger 70 and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frame 40 to supply power to the lighting means 60. Input terminal 63 formed as, including the switch 62 structure that can supply and cut off pow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거울기능을 구비한 액자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icture frame having a mirror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1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액자를 나타낸 결합 상태 배면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ed state showing the ligh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액자를 나타낸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gh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액자를 나타낸 정면도,좌측면도.Figure 3 is a front view, a left side view showing a ligh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액자를 나타낸 배면도 좌측면도이다Figure 4 is a rear view left side view showing the ligh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액자의 도광판 블록 어셈블리 분해도이다.5 is an exploded view of a light guide plate block assembly of an illumination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액자의 입력단자와 PCB 결합도Figure 6 is a PCB coupling diagram with the input terminal of the ligh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액자의 입력단자 조립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y of the input terminal of the ligh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8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액자의 전원공급장치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wer supply device of a ligh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9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액자의 메인프레임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frame of the ligh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0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액자의 전원공급장치 장착 단면도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wer supply device of the light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액자 전방보호판(10)을 제거한 사시도이다 11 is a perspective view of removing the illumination frame front protection plat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2은 본 고안에 따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준충전기 형상도면이다
12 is a schematic view of a standard charger generally u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메인 프레임(40)의 내부에는 도광판(30)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전방보호판(10)과 도광판(30)의 사이에는 사진(20)이 끼워지도록 되는데, 상기 메인프레임(40)의 상면에 사진(20)을 끼울 수 있는 사진 인출 틈새(40e)가 형성되The light guide plate 30 is built in the main frame 40, and the photo 20 is inserted between the front protection plate 10 and the light guide plate 30, and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frame 40. The picture taking-out gap 40e to which the picture 20 can be inserted is formed.

있어 가능하다. 여기서, 전방보호판(10)은 유리나 아크릴 등의 투명한 재질로 만든다. 사진(20)은 백릿 필름 또는 조명용 인화지재질을 사용하여 조명 빛에 의해 투과될 수 있도록 한다 도광판(30) 재질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수지종류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메인프레임(40)은 수지,합성수지, 엠디에프등의 재질을 사용하여 구성한다. It is possible. Here, the front protective plate 1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glass or acrylic. The photograph 20 may be transmitted by illumination light using a backlit film or a photo paper for illumination. The light guide plate 30 is made of polymethyl methacrylate acrylic resin. The main frame 40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resin, synthetic resin, MD.

먼저, 설치할 때에는 전방보호판(10)윗면과 도광판(30)윗면의 사이에 형성되 있는 메인 프레임 홈(40e)에 사진(20)을 끼우고 메인 프레임(40)에 설치된 지지대(50)를 이용하여 액자를 책상 등의 상부에 소정각도 유지되게 올려놓는 것이다.First, in installation, the photo 20 is inserted into the main frame groove 40e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protection plate 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30, and the frame is formed using the support 50 installed on the main frame 40. It is to pu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desk or the like.

또한 사진(20)을 교환하고자 할 때에는 메인 프레임(40)에 형성된 홈(40a)에 보이는 사진(20)일부를 손이나 핀센등을 이용해 잡아당기면 사진을 끄집어 낼 수 있고 다른 사진을 교환해 삽입하면 쉽게 교환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you want to replace the photo 20, pull the part of the photo 20 shown in the groove (40a) formed in the main frame 40 by using a hand or pinsen, you can take out the photo, if you insert another photo It is easy to exchange.

한편, 도광판(30)의 배면 및 측면에는 이후에 설명할 조명수단에서 발생된 빛을 전면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배면반사판(31),측면반사판(32)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도광판(30)의 표면에는 빛을 균일하게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패턴이 배면에 마련되어 있어 전면으로 빛이 확산되도록 되어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ck and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30 is provided with a back reflector 31, a side reflector 32 for reflecting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ing means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front,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30 A diffusion pattern is provided on the back to diffuse the light uniformly so that the light is diffused to the front.

조명수단(60)과 도광판(30)을 고정시키고 조명수단에서 발생하는 열을 발산시키기 위한 열확산 테이프(34),방열판(35)가 도광판 블록 어셈블리를 이루고 있다
The light diffusion plate 34 and the heat radiating plate 35 for fixing the luminaire 60 and the light guide plate 30 and dissipating heat generated by the luminaire form a light guide plate block assembly.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40)의 전면에는 도광판(30)이 흔들림이나 충격에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양면테이프(81)이 설치되어 있고, 그 메인 프레임 (40)에는 본 고안의 액자가 세워진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대(50)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frame 40 is provided with a double-sided tape 81 for fixing the light guide plate 30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shake or impact, the main frame 40 in the frame of the subject innovation A support 50 for supporting is provided.

상기 지지대(50)는 도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40)에 형성되 있는 가이드부(40d)를 따라 움직이며 본 액자의 서있는 기울기를 조정하게 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support 50 moves along the guide portion 40d formed in the main frame 40 to adjust the standing inclination of the frame.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40)의 내부 측면에는 도광판(20)의 저면으로 부터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엘이디(61)가 구비된 조명수단(60)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조명수단(60)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입력단자(63)가 그림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메인 프레임 배면에 형성된 수납부(40b)에서 충전기출력단자가 삽입되도록 함입되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입력단자(63)는 도5-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TTA표준충전기(70)의 충전단자)를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TTA표준충전기의 충전단자와 조명액자의 전원공급에 필요한 개수만큼의 단자가 대응 설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inner side of the main frame 40 has a built-in lighting means 60 provided with an LED 61 to irradiate light from the bottom of the light guide plate 20, the lighting means 60 is a power source As shown in Figure 5, the input terminal 63 for supplying the charger is inserted into the charger output terminal is inserted in the receiving portion 40b formed on the back of the main frame, as shown in Figure 5, the input terminal 63 is As shown in 5-1, the number of terminals required for power supply of the charging terminals and the lighting frame of the TTA standard charger is formed so as to use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TTA standard charger 70.

한편, 상기 메인 프레임(40)의 배면에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62)가 설치되어 있고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back of the main frame 40 is provided with a switch 62 for selectively supplying power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그림5-1에서 보는바와 같이 표준충전기 24핀 단자에서 밧테리 충전에 관련된 핀들은 5핀으로서 다음과 같다As shown in Figure 5-1, the pins related to battery charging at the 24-pin terminal of the standard charger are 5 pins.

#1 밧테리 아이디 입력신호 충전# 1 Battery ID Input Signal Charging

#4 파워 (+5.0 - 5.5V) 전원 충전# 4 power (+5.0-5.5V) power charging

#12 파워 그라운드 전원 충전# 12 Power Ground Power Charging

#19 파워그라운드 전원 충전# 19 Power Ground Power Charging

#21 파워 (+4.2V) 전원 충전 / 단말기로부터 전원공급# 21 Power (+ 4.2V) Power Charging / Powering from Terminal

(22 POWER (+4.2V) 전원 충전 / 단말기로부터 전원공급)(22 POWER (+ 4.2V) Power Charging / Power Supply from Terminal)

이중에서 밧테리 저항값을 체크해 출력 전류값을 결정하는 #1핀을 제외하고 Except for # 1 pin, which checks the battery resistance and determines the output current.

2핀을 사용 직접 공급하는 전용 공급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한편 회로적으로 고안 설계함으로써 표준충전기 소자와 연동 제어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Use a dedicated supply that directly supplies 2 pins. On the other hand, by designing circuitry, it is possible to control interlocking with standard charger element.

그림5-2는 입력단자(63)이 사진(20)을 장착하거나 교환시 간섭되지 않도록 Figure 5-2 shows the input terminal 63 so that it does not interfere when the photo 20 is mounted or exchanged.

입력단자에 케이스(64)를 조립한 형태이다The case 64 is assembled to the input terminal.

한편, 메인 프레임(40)내부에 장착할 경우에 케이스에 조립하지 않고 단순히 입력단자(63)와 인쇄회로기판과의 조립 또는 와이어(65)에 납땜이나 후크,링등의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ounted inside the main frame 40, the assembly of the input terminal 63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or the soldering, hooking, ring, etc. of the input terminal 63 and the wire 65 are not simply assembled in the case.

체결,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직접 연결 배선할 수 있다 Can be directly connected and wired by fastening or insert molding method

그림5-3은 입력단자가 조명수단(60))까지 연결되는 전원공급장치 배치도이다
Figure 5-3 is a layout view of the power supply to which the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lighting means (60)

그림6은 입력단자(63)와 스위치(62)가 메인 프레임(40)에 장착된 조립도에서 전방 보호판(10)을 제거한 정면도이다
Fig. 6 is a front view with the front guard plate 10 removed from the assembly drawing in which the input terminal 63 and the switch 62 are mounted on the main frame 40.

한편,그림5 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40)에 설치된 입력단자(63)에 TTA표준충전기(70)의 충전단자(71)를 끼우면 TTA표준충전기(70)의 충전단자(71)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며, 이때 스위치(62)를 온 상태로 절환하면 조명수단(60)에 설치된 엘이디(61)가 점등되어 빛이 발생되고 그 엘이디(61)에서 발생되는 빛은 도광판(30)의 저면으로부터 조사되는 것이며, 그 빛은 도광판(30)의 배면 및 측면에 설치된 배면반사판(31)및 측면반사판(32)에 의해서 반사되므로 도광판(30)의 전면으로 반사된다.
Meanwhile, when the charging terminal 71 of the TTA standard charger 70 is inserted into the input terminal 63 installed in the main frame 40 in FIG. 5,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charging terminal 71 of the TTA standard charger 70. In this case, when the switch 62 is turned on, the LED 61 installed in the luminaire 60 is turned on to generate light, and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ED 61 is irradiated from the bottom of the light guide plate 30. Since the light is reflected by the back reflector 31 and the side reflector 32 provided on the back and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30, the light is reflected to the front of the light guide plate 30.

그림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확산패턴은 브이 컷 방식이나 실크 인쇄방식,또 다른 레이저가공으로 형태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ure 4, the diffusion pattern can be realized by V-cutting, silk printing, or other laser processing.

그림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스위치는 다른 형태의 누름 스위치나As shown in Figure 5, the slide switch is a different type of push switch or

변경 설치 하는 것도 가능하다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installation

본 입력단자는 그림 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40)의 배면에 입력단자가 설치됨으로서 조명수단(60)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입력단자(63)가 벽걸이용이 아닌 탁상용일때 발생하는 지지대의 가로 세로 설치방향에 따라 간섭되는 충전기 배선과의 문제점을 해결토록 하였다
This input terminal is a support that is generated when the input terminal 63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ing means 60 is a tabletop rather than a wall hanging as the input terminal is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main frame 40 as shown in Figure 5 This solves the problem of charger wiring interfering wit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installation direction of

한편,. 그림 6 에서보는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입력단자의 설치방향은 수직인데 반해 본 고안의 실시 예와 다른 메인프레임(40) 테두리 방향인 측면에서 표준충전기(70)을 출력 단자를 삽입할 수 있게 수평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As shown in Figure 6,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inpu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vertical, while the standard charger 70 is horizontal to insert the output terminal from the side of the main frame 40 border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상술한 바와 같이 확산패턴을 도광판(30)에 형성한 경우에는 엘이디(61)에서 발생되는 빛의 균일도가 유지되어 사진(20)의 배면을 조명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diffusion pattern is formed on the light guide plate 30 as described above, the uniformity of the light generated by the LED 61 is maintained to illuminate the rear surface of the picture 20.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액자에 내장된 조명수단에서 발생되는 빛이 사진의 전면으로 조사되어 사진의 전시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다.
As su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ing means built into the picture frame is irradiated to the front of the picture to increase the display effect of the picture.

본 고안은 가정용 침실, 거실조명용이나 수면등, 무드등으로 활용할 수 있를 뿐 아니라 일반 회사의 소형 안내판이나 각종 홍보용 전시판 인테리어 제품 등에 다양하면서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나아가 공공기관들의 거리 표시판,일반상점등의 산업용 광고용에도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 활용을 할 수 있다는데 장점을 갖고 있다고 본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for home bedroom, living room lighting, sleeping light, mood, etc., but also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small information boards of general companies or various interiors of promotional exhibition boards. I think that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use the installation at low cost for advertisement.


10 : 전방보호판
20 : 사진
30 : 도광판 31 : 배면반사판 32 :측면반사판 33:측면반사판
34 : 열확산테이프 35 :방열판
40 : 메인프레임 40a: 수용부 40b:가이드부 41:양면테이프
50 : 지지대
60 : 조명수단 61 : 엘이디 62 : 스위치 63 : 입력단자 64: 입력단자 케이스
70 : TTA표준충전기
80 : 양면테이프 81: 양면테이프
90: 표준충전기
10: front shield
20: pictures
30 light guide plate 31 back reflection plate 32 side reflection plate 33 side reflection plate
34: thermal diffusion tape 35: heat sink
40: main frame 40a: receiving portion 40b: guide portion 41: double-sided tape
50: support
60: lighting means 61: LED 62: switch 63: input terminal 64: input terminal case
70: TTA standard charger
80: double sided tape 81: double sided tape
90: standard charger

Claims (3)

사진(20)이 수용되는 수용부(40a)가 중앙에 형성된 프레임(410)과, 상기 메인프레임(40)에 형성된 수용부(40a)의 전면에 설치되는 전방보호판(10)과, 상기 메인프레임(40)의 내부에 내장된 도광판(20)과, 상기 메인프레임(40)에 설치된 지지대(50)와, 상기 도광판(30)으로 조사되는 빛이 발생되는 복수개의 엘이디(61)가 구비되며그 엘이디(61)에서 발생되는 빛이 도광판(30)의 측면으로 조사되도록 프레임(40)의 내부 일측에 내장된 조명수단(60)과, 상기 엘이디(61)에서 발생되는 빛이 도광판(30)의 전면으로 반사되도록 도광판(30)의 배면 및 측면에 감싸여지게 설치된 배면반사판(31),측면반사판(32)과, 상기 엘이디(61)에서 발생되는 빛이 도광판(30)의 전면으로 확산되도록 도광판(30)의 표면에 형성된 확산패턴과, 상기 조명수단(6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메인프레임(40)의 측면에 설치되고 TTA표준충전기(70)의 충전단자(7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입력단자(63)가 메인 프레임 (40의수납부(40b)에 수납 될수 있도록 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조명액자.
Frame 410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ceiving portion 40a is accommodated in the photograph 20, the front protection plate 10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receiving portion 40a formed in the main frame 40, and the main frame A light guide plate 20 embedded in the inside of the 40, a support 50 installed in the main frame 40, and a plurality of LEDs 61 to emit light irradiated to the light guide plate 30 are provided. The lighting means 60 embedded in one side of the frame 40 and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ED 61 are irradiated from the LED 61 to th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30. The rear reflector 31, the side reflector 32,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61 are installed on the rear and side surfaces of the LGP 30 so as to be reflected to the front of the LGP 30. The diffusion patter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30 and the side of the main frame 40 to supply power to the lighting means 60 Installation is illuminated, characterized in a structure so that TTA input terminal 63 is form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terminals 71 of the standard charger (70) be received in the main frame (40 prosthetic housing (40b) on the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40)의 배면에 입력단자가 설치됨으로서 조명수단(60)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입력단자(63)가 벽걸이용이 아닌 탁상용일때 발생하는 지지대의 가로 세로 설치방향에 따라 간섭되는 충전기 배선과의 문제점을 해결한 입력단자가 메인프레임(40) 수납부(40b)에 수직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TTA표준충전기에 대응하는 입력 단자를 갖는 조명액자.
.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put terminal is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main frame 40, the horizontal and vertical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support that occurs when the input terminal 63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ing means 60 is not for the wall hanging The lighting frame having an input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TTA standard charg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terminal to solve the problem of the interference with the charger wiring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main frame 40, the receiving portion (40b).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40)의 배면에서 조명수단(60)으로 전원을 절환할수 있도록 하기위한 스위치(62)가 메인프레임에 형성된 수납부(40c)에 수납될수 있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TTA표준충전기에 대응하는 입력 단자를 갖는 조명액자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witch 62 for switching the power to the lighting means 60 from the back of the main frame 4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can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40c formed in the main frame Lighting frame having input terminal corresponding to TTA standard charger

KR2020100004832U 2010-05-07 2010-05-07 Picture frame of led lighting KR20110010652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832U KR20110010652U (en) 2010-05-07 2010-05-07 Picture frame of led ligh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832U KR20110010652U (en) 2010-05-07 2010-05-07 Picture frame of led ligh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652U true KR20110010652U (en) 2011-11-15

Family

ID=72887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832U KR20110010652U (en) 2010-05-07 2010-05-07 Picture frame of led ligh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0652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486Y1 (en) * 2012-07-25 2013-01-03 이종문 A illumination picture frame having guide and radia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486Y1 (en) * 2012-07-25 2013-01-03 이종문 A illumination picture frame having guide and radiator
WO2014017726A1 (en) * 2012-07-25 2014-01-30 Lee Jong-Moon Illuminated frame provided with heat resistant portion and guide por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69844B (en) Illuminating apparatus
US20140313780A1 (en) Field-serviceable flat panel lighting device
US20150036387A1 (en) Field-serviceable flat panel lighting device
US8443535B2 (en) Emergency exit indicator
CN206130761U (en) Light source module group and lighting device
US10534186B2 (en) Lens strip, LED wall washer with lens strip
KR20100012172A (en) The two-sided illumination led lenses and led modules and led two-sided illuminating systems which use this
US20060209569A1 (en) Soft glow nightlight
CN201269941Y (en) Lens collar structure having flashing light
CN201382280Y (en) LED illumination device
KR20110010652U (en) Picture frame of led lighting
KR100945173B1 (en) Led lighting apparatus
CN211502361U (en) LED lamp
US20060061983A1 (en) Lighting device for housing
CN206817299U (en) A kind of emergency LED Down lamp
US8529091B2 (en) T-bar lamp
KR102652951B1 (en) Assembly type LED lighting apparatus for lamp post of street lamp
CN209458807U (en) LED light
KR102208659B1 (en) Lens module for led lighting apparatus
KR101648162B1 (en) led illumination lamp
CN209558197U (en) LED light
KR101648163B1 (en) led illumination lamp
CN213686287U (en) Conical corn lamp
CN203533329U (en) LED panel light
CN210688061U (en) LED night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