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555U - Laptop Computer Support - Google Patents

Laptop Computer Suppo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555U
KR20110010555U KR2020100004709U KR20100004709U KR20110010555U KR 20110010555 U KR20110010555 U KR 20110010555U KR 2020100004709 U KR2020100004709 U KR 2020100004709U KR 20100004709 U KR20100004709 U KR 20100004709U KR 20110010555 U KR20110010555 U KR 201100105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notebook
body coupling
coupling portion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70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준혁
Original Assignee
최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혁 filed Critical 최준혁
Priority to KR20201000047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0555U/en
Publication of KR201100105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555U/en

Links

Image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노트북 받침대는, 노트북 본체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 결합부; 및 본체 결합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접철 동작에 의해 노트북 본체의 후단부를 선단부에 대해 거상시키는 본체 거상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본체 결합부에 대한 본체 거상부의 접철 동작 또는 회동 동작에 의해 노트북 본체의 후단부를 선단부에 비해 거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노트북 사용자가 노트북을 사용할 때 상체를 수그리지 않아도 돼 목 또는 허리 등에 피로가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Notebook b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notebook body; And a main body mounting portion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to raise the rear end portion of the notebook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front end portion by a fold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levate the rear end of the notebook body compared to the tip end by folding or rotating operation of the body upper portion relative to the body coupling portion, so that the notebook user does not have to have the upper body when using the notebook. Fatigue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on the waist and the like.

Description

노트북 받침대{Laptop Computer Support}Laptop Stand {Laptop Computer Support}

본 고안은, 노트북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 결합부에 대한 본체 거상부의 접철 동작 또는 회동 동작에 의해 노트북 본체의 후단부를 선단부에 비해 거상시킬 수 있어 목 또는 허리 디스크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노트북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tebook pedestal, and more specifically, the rear end portion of the notebook body can be raised relative to the distal end portion by the folding or rotating operation of the main body upper portion relative to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so that a neck or a waist disk or the like is generated. It relates to a laptop stand that can be prevented.

노트북 컴퓨터(이하, 노트북이라 명칭함)는 휴대가 간편하기 때문에, 근래 들어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노트북은 데스크탑에 근접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을 정도로 성능이 좋아져 주로 휴대하면서도 사용되지만 데스크탑 대신 가정, 학교 또는 회사 등지에서 채용되고 있다.Since notebook comput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notebook computers) are easy to carry, their use is increasing in recent years. These laptops are so powerful that they can be used to bring them closer to the desktop, but they are often used while being carried, but they are used in homes, schools, or businesses instead of the desktop.

이러한 노트북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노트북은, 키보드 등이 장착된 본체와, 본체의 일측에 대해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니터를 구비한다.Referring to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such a notebook, the notebook has a main body equipped with a keyboard and the like, and a monitor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휴대하여 이동할 때는 본체에 대해 모니터를 접은 상태로 이동하고, 반면에 사용할 때는 본체에 대해 모니터를 소정 각도로 회동시킨 후 노트북을 사용한다.With such a configuration, when carrying and moving, the monitor is moved in a folded stat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On the other hand, the notebook is used after rotating the monitor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노트북에 있어서는, 노트북 본체가 지지부, 예를 들면 수평의 테이블에 놓인 상태에서 소정의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노트북의 위치에 맞추기 위하여 상체를 수그린 상태에서 사용해야 하며, 이에 따라 목 또는 척추 등에 무리가 와 디스크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By the way, in the notebook of such a structure, since a predetermined work is performed while the notebook body is placed on a support, for example, a horizontal table, the user should use the upper body prone to fit the notebook. As a result, there was a problem in the neck or spine, such as a bunch of disks.

이에, 노트북 본체의 후단부를 선단부에 비해 거상시키는 노트북 받침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노트북 받침대는 노트북의 사이즈에 대응되는 사이즈를 갖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또한 별도로 구매해야 하기 때문에 금전적으로 손해가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Thus, a laptop stand that raises the rear end portion of the notebook body compared to the tip portion has been developed and used, but since the laptop stand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notebook, it is not easy to carry and also has to be purchased separately.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occurs.

따라서, 간단한 조작에 의해 노트북의 후단부를 선단부에 비해 거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작업을 할 때 목 또는 허리 등의 신체 부위에 무리한 피로가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노트북 받침대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the rear end of the notebook can be elevated by the simple operation compared to the front end, and accordingly, when the worker is working, the notebook stand of the new structure can prevent excessive fatigue from occurring in the body part such as the neck or waist. Development is needed.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 결합부에 대한 본체 거상부의 접철 동작 또는 회동 동작에 의해 노트북 본체의 후단부를 선단부에 비해 거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노트북 사용자가 노트북을 사용할 때 상체를 과도하게 수그리지 않아도 돼 목 또는 허리 등에 피로가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노트북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levate the rear end of the notebook body compared to the tip end by folding or rotating operation of the body upper portion relative to the body engaging portion, so that the notebook user does not have to overly lean the upper body when using the notebook. It is to provide a laptop stand that can prevent fatigue from occurring in the neck or waist.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노트북을 사용할 때 노트북 본체의 후단부가 지지면에 대해 거상됨으로써 본체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본체의 저면을 통해 외부로 이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노트북 본체의 발열 정도를 줄일 수 있는 노트북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end portion of the notebook body when using the notebook is elevated relative to the support surface heat generated from the main body can be relea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ottom of the body, thereby reducing the heat generation of the notebook body It is to provide a laptop stand that can be.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본체 거상부가 결합된 본체 결합부가 종래의 노트북 받침대와는 달리 노트북에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별도로 노트북 받침대를 휴대하지 않아도 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노트북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main body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detached to the notebook unlike the conventional notebook pedestal, so that you do not have to carry a notebook pedestal separately to facilitate the user's convenience To provide.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받침대는, 노트북 본체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 결합부; 및 상기 본체 결합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접철 동작에 의해 상기 노트북 본체의 후단부를 선단부에 대해 거상시키는 본체 거상부;를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체 결합부에 대한 본체 거상부의 접철 동작에 의해 노트북 본체의 후단부를 선단부에 비해 거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노트북 사용자가 노트북을 사용할 때 상체를 과도하게 수그리지 않아도 돼 목 또는 허리 등에 피로가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Notebook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coupled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notebook body; And a main body mounting portion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to raise the rear end portion of the notebook body with respect to the front end portion by a folding operation.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can be raised relative to the front end, so that the notebook user does not have to overly lean the upper body when using the notebook, thereby preventing the fatigue of the neck or the waist.

여기서, 상기 노트북 본체의 저면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함몰홈이 마련되며, 상기 본체 거상부가 상기 본체 결합부에 접철된 상태일 경우, 상기 본체 거상부 및 상기 본체 결합부는 상기 함몰홈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 거상부가 상기 본체 결합부에 대해 펴진 상태일 경우, 상기 본체 거상부는 상기 함몰홈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노트북 본체의 후단부를 거상시킬 수 있다.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notebook body is provided with a recessed groove recessed inwardly, when the main body rising portion is folded in the main body engaging portion, the main body upper portion and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is located inside the recessed groove The main body rising part may be pulled out of the recessed groove to raise the rear end of the notebook main body when the main body rising part is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coupling part.

상기 본체 거상부는, 상기 본체 결합부의 선단에 대해 절곡되게 연결되되 접철 상태 시 상기 본체 결합부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태인 제1 거상부재; 및 상기 제1 거상부재의 후단에 대해 절곡되게 연결되되 접철 상태 시 상기 본체 결합부와 상기 제1 거상부재의 사이에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거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결합부에 대해 상기 본체 거상부를 펼 때, 상기 제1 거상부재 및 상기 제2 거상부재가 펴지고 상기 제2 거상부재의 일단이 상기 본체 결합부의 후단부 영역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The main body rising part may include: a first rising member connected to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coupling part in a folded state an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main body coupling part in a folded state; And a second coupling member bent to the rear end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and disposed in parallel between the body coupling unit and the first coupling member in a folded state. When the upper portion is unfolded, the first upper member and the second upper member may be unfolded, and one end of the second upper member may be engaged with the rear end region of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상기 제2 거상부재의 일단이 상기 본체 결합부의 후단부 영역에 걸림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결합부의 후단부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이 요철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At least one catching jaw may be provided in a concave-convex shape in the rear end region of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so that one end of the second rising member may be engaged with the rear end region of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상기 본체 결합부 및 상기 본체 거상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 결합부에 대한 상기 본체 거상부의 접철 동작 또는 상기 본체 결합부에 대한 상기 본체 거상부의 펴짐 동작이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본체 결합부 및 상기 본체 거상부는 유연성을 지닌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and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and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and the extension operation of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or the unfolding operation of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are made flexible. The body elevation may be made of a flexible plastic material.

상기 노트북 본체와 상기 본체 결합부는 접착성을 구비한 양면 테이프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notebook body and the body coupling portion may be coupled by a double-sided tape having an adhesive property.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받침대는, 노트북 본체의 저면 중 후단부에 부분적으로 인입되어 제자리에서 축 회전 가능한 한 쌍의 본체 결합부; 및 상기 본체 결합부에 절곡되도록 결합되며, 회동 동작에 따라 상기 노트북 본체의 후단부를 선단부에 대해 거상시키는 본체 거상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체 결합부에 대한 본체 거상부의 회동 동작에 의해 노트북 본체의 후단부를 선단부에 비해 거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노트북 사용자가 노트북을 사용할 때 상체를 과도하게 수그리지 않아도 돼 목 또는 허리 등에 피로가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tebook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that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rear end of the bottom of the notebook body rotatably in place; And a main body rising part coupled to the main body coupling part to be bent and raising the rear end of the notebook body with respect to the front end part according to a rotation operation. By such a configuration, the main body coupling part rotates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coupling part. By operation, the rear end of the notebook body can be raised relative to the front end, and thus the notebook user does not have to excessively lean the upper body when using the notebook, thereby preventing fatigue from occurring in the neck or waist.

상기 노트북 본체의 저면에는 ‘ㄷ’자 형상의 함몰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함몰홈의 양단부에는 상기 한 쌍의 본체 결합부가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 거상부는 상기 함몰홈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본체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notebook body has a recessed groove having a '-' shape formed therein, the pair of main body coupling parts are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ecessed groove, and the body upper portion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recessed groove. It is provided so that both ends can be coupled to the pair of body coupling portion.

또는, 상기 노트북 본체의 저면 중 후단부의 양측부에는 길이 방향을 갖는 한 쌍의 함몰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함몰홈에는 각각 본체 결합부가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 거상부는 상기 함몰홈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본체 결합부 각각에 결합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 pair of recessed grooves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formed in both side portions of the rear end of the bottom of the notebook body, and the body coupling portions may be axially rotatably coupled to the recessed grooves, respectively, and the body elevation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recessed groove. It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and may be coupled to each of the main body coupling parts.

상기 본체 거상부에는 상기 노트북의 전파 송수신의 속도 향상을 위한 안테나가 마련될 수 있다.
The main body may be provided with an antenna for improving the speed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notebook.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결합부에 대한 본체 거상부의 접철 동작 또는 회동 동작에 의해 노트북 본체의 후단부를 선단부에 비해 거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노트북 사용자가 노트북을 사용할 때 상체를 과도하게 수그리지 않아도 돼 목 또는 허리 등에 피로가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end portion of the notebook body can be raised relative to the front end portion by the folding operation or the pivoting operation of the main body upper portion relative to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You don't have to draw it, so you can prevent fatigue from occurring in your neck or back.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노트북을 사용할 때 노트북 본체의 후단부가 지지면에 대해 거상됨으로써 본체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본체의 저면을 통해 외부로 이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노트북 본체의 발열 정도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notebook is used, the rear end of the notebook body is elevated relative to the support surface, the heat generated from the main body can be relea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ottom of the body, accordingly the degree of heat generation of the notebook body Can be reduced.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거상부가 결합된 본체 결합부가 종래의 노트북 받침대와는 달리 노트북에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별도로 노트북 받침대를 휴대하지 않아도 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notebook stand,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main body mount has a structure detachable to the notebook, so that the notebook stand does not have to be carried separately, so that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achieved.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받침대가 노트북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노트북 받침대가 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노트북 받침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받침대가 노트북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받침대가 노트북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받침대가 노트북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otebook stan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notebook.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n extended state of the notebook stand of FIG. 1.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notebook stand shown in FIG. 2.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otebook stan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notebook.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otebook stand is mounted on a noteboo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otebook stand is mounted on a notebook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적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실용신안등록 청구 가능한 본 고안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and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one of several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be claimed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ms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고안의 노트북 받침대는 노트북 제작 시 노트북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노트북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데,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의 노트북 받침대가 노트북에 일체로 결합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laptop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notebook when manufacturing the notebook, but also has a structure that can be coupled to the existing notebook,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tebook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ted into the notebook It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combined case.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받침대가 노트북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노트북 받침대가 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노트북 받침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otebook stand is mounted on a noteboo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unfolded notebook stand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FIG.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laptop stand shown in FIG.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받침대(100)는, 노트북 본체(102)의 저면에 결합되는 본체 결합부(110)와, 본체 결합부(110)에 결합되어 접철 동작에 의해 노트북 본체(102)의 후단부(도 1에 노트북 본체의 선후 방향을 도시함)를 선단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거상시키는 본체 거상부(1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notebook pedest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110 and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110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notebook body 102 And a main body mounting portion 120 for elevating the rear end portion (show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laptop body in FIG. 1) of the notebook body 102 by the folding operation relative to the tip portion.

본 실시예의 본체 결합부(110)와 본체 거상부(120)는 일체로 마련되되, 본체 결합부(110)에 대해 본체 거상부(120)가 접철 상태를 유지할 때, 노트북 받침대(100)가 노트북 본체(102)의 저면에 대해 돌출되지 않도록 노트북 본체(102)의 저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함몰홈(103)이 마련된다. 즉, 본 실시예의 노트북 받침대(100)가 함몰홈(103)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것이다.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110 and the main body mounting portion 120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provided integrally, and when the main body mounting portion 120 is fold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110, the notebook pedestal 100 is a notebook The bottom surface of the notebook body 102 is provided with a recessed groove 103 recessed inward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2. That is, the notebook pedestal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groove 103.

단, 노트북 받침대(100)가 노트북(101)을 균형 있게 거상시킬 수 있도록 본 실시예의 노트북 받침대(100)는 한 쌍의 본체 결합부(110)와, 각각의 본체 결합부(110)에 결합되는 한 쌍의 본체 거상부(120)를 구비하며, 이러한 한 쌍의 본체 결합부(110)는 노트북 본체(102)의 저면 중 후단부 영역의 양측에 형성된 함몸홈(103)에 각각 삽입 결합될 수 있다. However, the laptop pedestal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upled to the pair of main body coupling portion 110 and each of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110 so that the laptop stand 100 can raise the laptop 101 in a balanced manner. A pair of main body 120 is provided, and the pair of main body coupling parts 110 may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recess grooves 103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region of the bottom of the notebook body 102, respectively. have.

다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 결합부(110)가 노트북 본체의 측 방향(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또한 본체 거상부(120)가 본체 결합부(110)의 길이에 대응되게 마련됨으로써 노트북 받침대(100)가 노트북 본체(102)의 후단부 영역을 견고하게 받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ain body coupling part 110 is formed long in the lateral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notebook body, and the main body coupling part 120 corresponds to the length of the main body coupling part 110. As a result, the notebook stand 100 may firmly support the rear end region of the notebook body 102.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본체 결합부(110)는, 노트북 본체(102)의 함몰홈(103)의 내면에 결합된다. 이때 함몰홈(103)의 내면과 본체 결합부(110)의 상면 사이에는 접착성을 지닌 양면 테이프(105)가 개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함몰홈(103)의 내면에 본체 결합부(110)의 상면이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First, the main body engaging portion 110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ssed groove 103 of the notebook body 102. In this case, an adhesive double-sided tape 105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ssed groove 103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coupling part 110. Accordingly, the main body coupling part 11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ssed groove 103. The upper surface of can be firmly attached.

이러한 본체 결합부(110)의 후단부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본체 거상부(120)의 일단이 걸림 결합되는 걸림턱(111)이 마련된다. 다만, 도 2 및 도 3에는 걸림턱(111)이 단수 개로 마련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 결합부(110)의 후단부 영역에 복수 개의 걸림턱(미도시)이 마련됨으로써 본체 거상부(120)의 일단이 걸림턱에 선택적으로 걸림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At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coupling part 110, a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a locking step 111 to which one end of the main body upper part 120 to be described below is engaged is provided. 2 and 3, but the number of the engaging jaw 111 is provided in a single number, but is not limited to this, a plurality of engaging jaw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rear end region of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110, the main body upper portion One end of the 120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locking step.

따라서, 복수의 걸림턱에 본체 거상부(120)를 선택적으로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노트북 본체(102)의 거상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노트북 사용자는 노트북(101)의 높이를 자신에 맞게 조절한 후 사용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목 또는 허리 디스크가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Therefore, by selectively engaging the body upper portion 120 to a plurality of locking jaw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height of the notebook body 102, accordingly, the notebook user adjusts the height of the notebook 101 according to It can be us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neck or waist disk as in the prior art.

한편, 본체 거상부(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결합부(110)의 선단에 대해 절곡되게 연결되되 접철 상태 시 본체 결합부(110)와 평행한 상태를 갖는 제1 거상부재(121)와, 제1 거상부재(121)의 후단에 대해 절곡되게 연결되되 접철 상태 시 본체 결합부(110)와 제1 거상부재(121)의 사이에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거상부재(123)를 포함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main body mounting portion 120 is bent to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110 and has a state parallel to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110 when folded. A second bent member 121 and a second connected bent to the rear end of the first bevel member 121, the second being arranged in parallel between the body coupling part 110 and the first bevel member 121 in a folded state; It includes the raising member (123).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본체 거상부(120)가 본체 결합부(110)에 대해 접철 상태일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결합부(110) 및 본체 거상부(120)는 함몰홈(103)의 내측에 위치되고, 본체 거상부(120)가 본체 결합부(110)에 대해 펴진 상태일 경우 본체 거상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홈(103)으로부터 인출되어 노트북 본체(102)의 후단부를 선단부에 비해 거상시키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main body mounting portion 12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n a folded stat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110, as shown in FIG. 2,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110 and the main body mounting portion 120 are recessed grooves. Located inside the 103, and when the main body mounting portion 120 is in the unfolded stat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110, the main body mounting portion 120 is, as shown in FIG. 3, from the recessed groove 103. It is withdrawn and the rear end of the notebook body 102 is raised relative to the front end.

부연 설명하면, 본체 거상부(120)를 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거상부재(121)가 본체 결합부(110)에 대해 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고, 마찬가지로 제2 거상부재(123)가 제1 거상부재(121)에 대해 펴지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제2 거상부재(123)의 단부를 전술한 본체 결합부(110)의 걸림턱(111)에 걸림 결합시키면 본체 거상부(120)의 펴짐 동작이 완료된다.In detail, when the main body 120 is unfolded, as shown in FIG. 3, the first coarse member 121 is rotated in the unfold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coupling part 110, and the second coarse member ( 123 is rotated in the unfold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oarse member 121. In addition, when the end of the second mounting member 123 is engaged with the locking jaw 111 of the main body coupling unit 110 described above, the extending operation of the main body mounting unit 120 is completed.

이때, 본체 거상부(120)의 접철 동작 및 펴짐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체로 마련되는 본체 결합부(110) 및 본체 거상부(120)는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구비한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력을 지닌 금속 재질의 판스프링 등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At this time, the body coupling portion 110 and the body mounting portion 120 are integrally provided with a plastic material having a certain degree of flexibility so that the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 of the body mounting portion 120 can be performed smoothly. Can b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as a plate spring made of a metal having elasticity.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노트북 본체(102)의 후단부가 본체 결합부(110)에 대한 본체 거상부(120)의 접철 동작에 따라 적절한 높이로 거상됨으로써 노트북 사용자가 노트북(101)을 사용할 때 상체를 과도하게 수그리지 않아도 돼 목 또는 허리 등에 피로가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며 또한 노트북 본체(102)의 조작을 원활하게 수행함으로써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end portion of the notebook body 102 is elevated to an appropriate height according to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body mounting portion 120 with respect to the body engaging portion 110, thereby allowing the notebook user to use the notebook ( When using 101), the upper body does not have to be excessively prone to prevent fatigue from occurring in the neck or the waist, and the operation of the notebook body 102 can be smoothly perform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work. .

또한, 노트북 받침대(100)에 의해 노트북 본체(102)의 후단부를 지지면에 대해 거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노트북 본체(102)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노트북 본체(102)의 저면을 통해 외부로 이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트북 본체(102)의 발열 정도를 종래에 비해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rear end of the notebook body 102 can be elevat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urface by the notebook stand 100, so that the heat generated from the notebook body 102 is relea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ottom of the notebook body 102. By doing so,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heat generation of the notebook body 102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받침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받침대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notebook stan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ame description as that described in the notebook stan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받침대가 노트북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otebook stan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notebook.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받침대(2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노트북 받침대(100, 도 2 참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전술한 제1 일시예와 같이 노트북 본체(102)의 저면에 형성된 함몰홈(103)에 삽입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평평한 형상의 노트북 저면(2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받침대(200)는 기존의 노트북(201)에도 적용 가능하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notebook pedestal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notebook pedestal 100 (refer to FIG. 2)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but the above-described first temporary embodiment Rather than being inserted into the recessed groove 103 formed in the bottom of the notebook body 102 as shown, 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notebook bottom 202 of a flat shape. Therefore, the notebook pedestal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the existing notebook 201.

다만, 노트북 받침대(200)가 노트북 본체(202)의 저면에 견고히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노트북 본체(202)와 본체 결합부(210) 사이에는 접착성을 지닌 양면 테이프(205)가 개재될 수 있다.However, in order to keep the notebook stand 200 firm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notebook body 202, the adhesive between the notebook body 202 and the body coupling portion 210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double-sided tape 205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기존의 노트북(200)에도 노트북 받침대(200)가 적용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노트북(201)을 사용할 때 목 또는 허리 등에 피로가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tebook stand 200 may be applied to the existing notebook 200 to facilitate the user's convenience, and thus, when the user uses the notebook 201, O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occurrence of fatigue, such as back.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받침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고안의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노트북 받침대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notebook stan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ame description as that described in the notebook stan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받침대가 노트북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otebook stand is mounted on a noteboo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받침대(300)는, 노트북 본체(302)의 저면에 인입되어 제자리에서 축 회전 가능한 한 쌍의 본체 결합부(310)와, 한 쌍의 본체 결합부(310)에 절곡되도록 결합되어 회동 동작에 따라 노트북 본체(302)의 후단부를 선단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거상시키는 본체 거상부(3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notebook pedestal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the main body engaging portion 310 is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notebook body 302 and axially rotated in place, a pair It is coupled to be bent to the main body engaging portion 310 of the main body portion 320 to raise the rear end of the notebook body 302 relative to the front en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peration.

본 실시예에서, 노트북 본체(302)의 저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의 함몰홈(303)이 마련되며 함몰홈(303)의 양단부에는 노트북 본체(302)의 폭 방향(좌우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본체 결합부(310)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홈(304)이 마련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ttom surface of the notebook body 302 is provided with a 'c' shaped recessed groove 303 as shown in Figure 5 and the both ends of the recessed groove 303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aptop body 302 It is formed in the recess (left and right direction) is provided with the insertion groove 304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310.

이러한 삽입홈(304)에 본체 결합부(310)는 삽입 결합되되 후술할 본체 거상부(320)의 동작에 따라 본체 결합부(310)는 축 회전할 수 있다.The body coupling part 310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304, but the body coupling part 310 may be axially rot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ody mounting part 320 to be described later.

본체 거상부(3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본체 결합부(310)의 단부에 결합되되 전술한 함몰홈(303)의 ‘ㄷ’자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노트북(301)을 노트북 가방에 넣은 상태로 다닐 시, 또는 본 실시예의 노트북 받침대(3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본체 거상부(320)는 함몰홈(303)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main body upper part 320 is coupled to the ends of the pair of main body coupling parts 310 and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 shape of the recess 303 described above. . Accordingly, when carrying the notebook 301 in a notebook bag or not using the notebook stand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body upper part 320 may maintain the recessed state in the recessed groove 303. have.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특성에 맞게 노트북 본체(302)의 후단부를 거상시킬 때, 본체 거상부(320)는 본체 결합부(310)를 축 중심으로 하여 축 회전함으로써 노트북 본체(302)의 후단부를 선단부에 비해 거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raises the rear end portion of the notebook body 302 according to his or her physical characteristics, the body elevation portion 320 is axially rotated about the body coupling portion 310 to the rear end of the notebook body 302. The wealth can be raised relative to the tip.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의 본체 거상부(320)에는 전파의 송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안테나(미도시, antenna)가 장착될 수 있다. 안테나는 본체 거상부(320) 내측에 장착되되 사용 시 외부로 일부 노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노트북(301)을 사용할 때 인터넷 검색 등의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an antenna (not shown) may be mounted on the main body upper part 320 of the present embodiment so as to smoothly transmit and receive radio waves. The antenna may be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portion 320, but may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when using, so that the user can smoothly search the Internet when using the notebook 301.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 거상부(320)에 안테나가 장착된다고 상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 거상부(320) 자체가 전파의 송수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테나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ntenna is mounted on the main body upper part 32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ain body upper part 320 itself may be provided as an antenna capable of improv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efficiency of radio waves. Do.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결합부(310)의 축 회전을 통해 본체 거상부(320)가 회전됨으로써 노트북 본체(302)의 후단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에 따라 사용자가 모니터를 바라볼 때 목 등에 피로가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노트북 본체(302)의 조작을 원활하게 수행함으로써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such, according to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upper part 320 is rotated through the shaft rotation of the main body coupling part 31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rear end of the notebook main body 302. Accordingly, when the user looks at the monitor, the fatigue of the neck and the like may be reduced, and the operation of the notebook body 302 may be smoothly performed,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work.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받침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고안의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노트북 받침대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notebook stan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ame description as that described in the notebook stan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받침대가 노트북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otebook stand is mounted on a notebook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 결합부(410)는 전술한 제3 실시예의 본체 결합부(310, 도 5 참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전술한 제3 실시예의 본체 거상부(320)는 한 쌍의 본체 결합부(310)를 연결하는 형상을 가진 반면에 본 실시예의 본체 거상부(420)는 각각의 본체 결합부(410)에 결합된다.As shown therein, the main body coupling part 4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main body coupling part 310 (refer to FIG. 5) of the third embodiment. However, the above-mentioned main body upper part 320 of the third embodiment has a shape connecting the pair of main body coupling parts 310, whereas the main body upper part 42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main body coupling part 410. Is coupled to.

이에, 본 실시예의 함몰홈(403)은 본체 거상부(420)의 형상에 대응되는 일자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노트북 받침대(400)를 함몰홈(403)에 인입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 시 본체 거상부(420)를 회동시켜 노트북 본체(402)의 후단부를 선단부에 비해 거상시킬 수 있다.Thus, the recess 403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recessed in a straight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main body portion 420. Therefore, the user can not only retract the notebook pedestal 400 into the recess 403 by a simple operation, but also rotate the main body upper part 420 if necessary to raise the rear end of the notebook main body 402 compared to the front end. have.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의하면, 노트북 받침대(400)의 간단한 회동 동작에 의해 노트북 본체(402)의 후단부를 선단부에 대해 거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에 따라 사용자가 모니터를 바라볼 때 목 등에 피로가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노트북의(401)의 조작을 원활하게 수행함으로써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end portion of the notebook body 402 may be raised relative to the front end portion by a simple pivoting operation of the notebook stand 400, and accordingly, the user may look at the monitor. When the fatigue occurs in the neck and the like, and also by smoothly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he notebook 401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work.

한편,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노트북 받침대 102 : 노트북 본체
110 : 본체 결합부 120 : 본체 거상부
121 : 제1 거상부재 123 : 제2 거상부재
100: notebook stand 102: notebook body
110: main body coupling portion 120: main body upper portion
121: first rising member 123: second rising member

Claims (10)

노트북 본체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 결합부; 및
상기 본체 결합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접철 동작에 의해 상기 노트북 본체의 후단부를 선단부에 대해 거상시키는 본체 거상부;
를 포함하는 노트북 받침대.
A body coupling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notebook body; And
A main body mounting portion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to raise the rear end portion of the notebook body with respect to the front end portion by a folding operation;
Laptop stand includ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트북 본체의 저면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함몰홈이 마련되며,
상기 본체 거상부가 상기 본체 결합부에 접철된 상태일 경우, 상기 본체 거상부 및 상기 본체 결합부는 상기 함몰홈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 거상부가 상기 본체 결합부에 대해 펴진 상태일 경우, 상기 본체 거상부는 상기 함몰홈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노트북 본체의 후단부를 거상시키는 노트북 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bottom of the notebook body is provided with a recessed groove recessed inward,
When the main body rising portion is folded in the main body engaging portion, the main body rising portion and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is located inside the recessed groove,
And the main body rising part is pulled out of the recessed groove to lift the rear end of the notebook main body when the main body rising part is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coupling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거상부는,
상기 본체 결합부의 선단에 대해 절곡되게 연결되되 접철 상태 시 상기 본체 결합부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태인 제1 거상부재; 및
상기 제1 거상부재의 후단에 대해 절곡되게 연결되되 접철 상태 시 상기 본체 결합부와 상기 제1 거상부재의 사이에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거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결합부에 대해 상기 본체 거상부를 펼 때, 상기 제1 거상부재 및 상기 제2 거상부재가 펴지고 상기 제2 거상부재의 일단이 상기 본체 결합부의 후단부 영역에 걸림 결합되는 노트북 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2,
The main body upper portion,
A first coarse member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coupling part in a folded state an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main body coupling part in a folded state; And
It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first coarse member is bent and includes a second coarse member disposed in parallel between the body coupling portion and the first coarse member in the folded state,
When the main body is extended relative to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coarse member is extended, the notebook pedestal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to the rear end region of the body coupling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상부재의 일단이 상기 본체 결합부의 후단부 영역에 걸림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결합부의 후단부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이 요철 형상으로 마련되는 노트북 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3,
At least one locking jaw is provided in the rear end region of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in a concave-convex shape so that one end of the second rising member can be engaged with the rear end region of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결합부 및 상기 본체 거상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 결합부에 대한 상기 본체 거상부의 접철 동작 또는 상기 본체 결합부에 대한 상기 본체 거상부의 펴짐 동작이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본체 결합부 및 상기 본체 거상부는 유연성을 지닌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되는 노트북 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2,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and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and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and the extension operation of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or the unfolding operation of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are made flexible. The base of the main body is made of a flexible plastic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트북 본체와 상기 본체 결합부는 접착성을 구비한 양면 테이프에 의해 결합되는 노트북 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notebook main body and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is a notebook pedestal coupled by a double-sided tape having an adhesive.
노트북 본체의 저면 중 후단부에 부분적으로 인입되어 제자리에서 축 회전 가능한 한 쌍의 본체 결합부; 및
상기 본체 결합부에 절곡되도록 결합되며, 회동 동작에 따라 상기 노트북 본체의 후단부를 선단부에 대해 거상시키는 본체 거상부;
를 포함하는 노트북 받침대.
A pair of main body coupling part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rear end of the bottom of the notebook main body and capable of axially rotating in place; And
A main body mounting portion coupled to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to be bent and raising the rear end portion of the notebook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front end portion according to a rotation operation;
Laptop stand includ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트북 본체의 저면에는 ‘ㄷ’자 형상의 함몰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함몰홈의 양단부에는 상기 한 쌍의 본체 결합부가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 거상부는 상기 함몰홈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본체 결합부에 결합되는 노트북 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ottom surface of the notebook body has a recessed groove having a '-' shape formed therein, the pair of main body coupling parts are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ecessed groove, and the body upper portion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recessed groove. Is provided so that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pair of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트북 본체의 저면 중 후단부의 양측부에는 길이 방향을 갖는 한 쌍의 함몰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함몰홈에는 각각 본체 결합부가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 거상부는 상기 함몰홈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본체 결합부 각각에 결합되는 노트북 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pair of recessed grooves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in both side portions of the rear end of the bottom of the notebook body, and each of the recessed grooves is axially rotatably coupled to the recessed groove, and the body-column elevation portion has a shape of the recessed groove.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notebook pedestal coupled to each of the main body coupling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거상부에는 상기 노트북의 전파 송수신의 속도 향상을 위한 안테나가 마련되는 노트북 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ase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n antenna for improving the speed of the radi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notebook.
KR2020100004709U 2010-05-04 2010-05-04 Laptop Computer Support KR20110010555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709U KR20110010555U (en) 2010-05-04 2010-05-04 Laptop Computer Suppo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709U KR20110010555U (en) 2010-05-04 2010-05-04 Laptop Computer Suppo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555U true KR20110010555U (en) 2011-11-10

Family

ID=72887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709U KR20110010555U (en) 2010-05-04 2010-05-04 Laptop Computer Suppo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0555U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1842A1 (en) * 2018-12-31 2020-07-09 이승민 Foldable phone stand
CN113534901A (en) * 2021-07-23 2021-10-22 深圳华一精品科技有限公司 Notebook computer with support func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1842A1 (en) * 2018-12-31 2020-07-09 이승민 Foldable phone stand
CN113534901A (en) * 2021-07-23 2021-10-22 深圳华一精品科技有限公司 Notebook computer with support function
CN113534901B (en) * 2021-07-23 2023-09-26 深圳华一精品科技有限公司 Notebook computer with support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24918A1 (en) Holder for an electronic device
US8465100B2 (en) Portable footrest
US9354669B2 (en) Electronic device
US8537533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assembly
US20120074286A1 (en) Foldable support base
US20130087517A1 (en) Supporting Device for a Tablet Personal Computer
KR20110010009U (en) Foldable stand for portable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2015019363A (en) Electronic device
TWI326400B (en) Compressed workspace notebook computer
TW201304663A (en) Supporting apparatus of electronic device
CN105299407A (en) Sliding bracket assembly
KR20110010555U (en) Laptop Computer Support
TWI540947B (en) Electronic device
KR200459667Y1 (en)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TWM450947U (en) Cover with multiple stand configurations
CN205118592U (en) Multi -functional trinity support
CN106354235A (en) Portable chain-type notebook computer pad
CN204420498U (en) For supporting supporting structure and the notebook computer of notebook
JP3164950U (en) Flat electronic reader case
TWI446376B (en) An adapter device having mouse pad function and adapted for an electronic device is provided
TW201424538A (en) Electronic device
CN217402206U (en) Support frame
KR101345652B1 (en) Desktop computer
JP4957791B2 (en) Electronics
CN213188619U (en) Notebook computer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