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110U - 수리 도구를 구비한 휴대용 시계 - Google Patents
수리 도구를 구비한 휴대용 시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10110U KR20110010110U KR2020100004126U KR20100004126U KR20110010110U KR 20110010110 U KR20110010110 U KR 20110010110U KR 2020100004126 U KR2020100004126 U KR 2020100004126U KR 20100004126 U KR20100004126 U KR 20100004126U KR 20110010110 U KR20110010110 U KR 20110010110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ch
- repair
- unit
- present
- dri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2—Cases for special purposes, e.g. watch combined with ring, watch combined with button
-
- G—PHYSICS
- G04—HOROLOGY
- G04D—APPARATUS OR TOOLS SPECIALLY DESIGNED FOR MAKING OR MAINTAINING CLOCKS OR WATCHES
- G04D1/00—Gripping, holding, or supporting devices
- G04D1/0007—Gripping, hol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ssembly entirely by hand
- G04D1/0028—Screwdri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시계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시계에 문제가 발생된 경우, 신속하게 이를 수리할 수 있는 시계 수리 도구를 구비한 휴대용 시계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시계부와, 시계부 일측에 체결되며, 내부에 시계부 수리 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구를 구비하는 시계 수리부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휴대용 시계의 사용자는 시계의 분해 및 조립이 필요할 경우 별도의 시계용 드라이버를 찾거나 준비할 필요 없이, 휴대용 시계에 구비된 수리 도구를 이용하여 휴대용 시계를 분해할 수 있으므로, 시계 수리 도구의 관리가 용이하며, 언제든지 휴대용 시계의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휴대용 시계의 사용자는 시계의 분해 및 조립이 필요할 경우 별도의 시계용 드라이버를 찾거나 준비할 필요 없이, 휴대용 시계에 구비된 수리 도구를 이용하여 휴대용 시계를 분해할 수 있으므로, 시계 수리 도구의 관리가 용이하며, 언제든지 휴대용 시계의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휴대용 시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시계에 문제가 발생된 경우, 신속하게 이를 수리할 수 있는 시계 수리 도구를 구비한 휴대용 시계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휴대용 시계는 손목 시계, 목걸이 시계, 반지 시계, 회중 시계 등 다양한 종류의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어 소비자들은 기호에 따라 원하는 스타일의 시계를 구매하여 이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휴대용 시계는 사용자가 간편히 휴대할 수 있으며, 패션 아이템으로도 이용할 수 있어 그 활용 범위가 매우 넓다.
한편, 시계를 분해하거나 조립하는 작업에는 별도의 시계용 드라이버가 이용된다. 이러한 시계용 드라이버는 일반적인 매장이나 공구상에서는 구하기 어려우며, 구비하고 있더라도 활용 빈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관리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휴대용 시계 사용자들은 시계용 드라이버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항시 휴대하는 휴대용 시계에 문제가 발생하였거나, 내장된 배터리를 교체하려는 경우, 사용자가 직접 시계를 분해하여 수리 및 점검 하고 싶더라도, 시계용 드라이버를 구하기 어렵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시계 수리점을 찾아 수리를 받아야 한다는 불편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용 시계에 문제가 발생된 경우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용 시계를 분해 및 조립할 수 있는 수리 도구를 구비한 휴대용 시계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시계는 시계부 및 시계 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계부는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시계 수리부는 상기 시계부 일측에 체결되며, 내부에 상기 시계부 수리 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구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시계에 있어서, 상기 시계 수리부는 내부에 상기 도구를 수납하는 수리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구는 상기 시계부의 분해 시 사용되는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시계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는, 막대 형상으로 일단에 드라이버 촉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수리함의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시계에 있어서, 상기 수리함은 내부가 비어있는 관(Pipe)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드라이버 촉이 상기 수리함의 일단으로 삽입되며 상기 수리함과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시계에 있어서, 상기 수리함 일단의 내면과, 상기 수리함과 결합 시 상기 수리함의 일단에 대응하는 상기 드라이버의 외면에는 각각 회전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시계에 있어서, 상기 수리함과 상기 드라이버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자력을 구비하고,상기 자력에 의해 상기 드라이버가 상기 수리함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시계는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시계부와, 상기 시계부의 측면에 체결되는 시계줄과, 상기 시계줄 상에 체결되며, 내부에 상기 시계부 수리 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구를 구비하는 시계 수리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시계에 있어서, 상기 시계줄은 손목시계줄이며, 상기 시계 수리부는 상기 시계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시계줄에 체결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시계에 있어서, 상기 시계줄은 목걸이 줄이며, 상기 시계 수리부는 상기 시계부와 가장 먼 위치에서 상기 목걸이 줄에 체결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용 시계의 분해 및 조립이 필요할 경우 별도의 시계용 드라이버를 찾거나 준비할 필요 없이, 휴대용 시계에 구비된 수리 도구를 이용하여 휴대용 시계를 분해할 수 있으므로, 시계 수리 도구의 관리가 용이하며, 언제든지 휴대용 시계를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시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시계 수리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시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시계 수리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 시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시계 수리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시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시계 수리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 시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휴대용 시계는 일반적으로 몸에 휴대할 수 있는 모든 시계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손목 시계, 목걸이 시계, 반지 시계, 회중 시계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휴대가 가능하고 시계로써의 기능을 구비한 장치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드라이버는 손목시계의 분해 및 조립 시에 사용되는 소형의 시계용 드라이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시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시계 수리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시계(10)는 시계부(20), 시계줄(30), 및 시계 수리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시계부(20)는 일반적으로 시계 자체를 의미하며, 사용자에게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시계줄(30)은 사용자가 시계부를 착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시계부(20)의 일측에 연결된다. 본 고안에 따른 시계줄(30)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시계(10)는 이러한 시계줄(3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시계줄(30)이 손목 시계 줄로 한정되는 경우,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시계(10)는 손목 시계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시계줄(30)이 후술되는 도 6과 같이 목걸이 줄(330)로 한정되는 경우,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시계(10)는 목걸이 시계로 구분될 수 있다. 더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시계줄(30)이 회중시계 줄로 한정되는 경우,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시계(10)는 회중 시계로 구분될 수 있다.
시계 수리부(40)는 시계부(20)의 일측에 체결되며, 케이스 역할을 하는 수리함(41)과, 수리함(41)의 내부에 결합되어 실제 수리에 이용되는 수리 도구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계 수리부(40)는 수리 도구로 드라이버(45)를 구비한다.
수리함(41)은 내부가 비어있는 관(Pipe) 형태로 형성되며, 개방된 일단을 통해 수리 도구인 드라이버(45)가 수납되며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리함(41)의 타단은 먼지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막혀있다. 그러나 개방된 상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리 도구인 드라이버(45)는 막대 형상으로, 일단에 드라이버 촉(46)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손잡이부(48)가 형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48)는 고무 재질로 코팅하거나 표면을 거칠게 형성하여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수리함(41)과 드라이버(45)는 드라이버 촉(46)이 수리함(41)의 일단으로 삽입되며 수리함(41)에 수납되어 결합된다. 이때, 드라이버(45)의 손잡이부(48)는 수리함(41)의 내부에 삽입되지 않고 수리함(41)의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드라이버(45)의 손잡이부(48)를 잡아 드라이버(45)를 수리함(41)으로부터 꺼낼 수 있다.
한편, 드라이버(45)는 필요 시에만 수리함(41)에서 꺼내게 되므로, 일상적인 상황에서는 수리함(41)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수리함(41)과 드라이버(45)를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리함(41)의 일단 내면에는 나사산(42)이 형성되며, 드라이버(45)는 손잡이부(48)의 앞부분 즉, 결합 시 수리함(41)의 나사산(42)과 대응하는 외면에 나사산(47)이 형성된다. 따라서 드라이버(45)는 이 나사산(47)을 따라 수리함(41)에 회전 결합되며, 이로 인해 드라이버(45)는 수리함(41)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수리함(41)과 드라이버(45)가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수리함(41)과 드라이버(45)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자력을 구비하도록 구성하고, 이 자력에 의해 드라이버(45)가 수리함(41)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수리함(41)의 일단에 내면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형성하고, 수리 도구의 외면에 상기한 돌기와 결합되는 홈을 만들어 상호간에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시계 수리부(40)는 수리함(41)이 시계부(20)에 직접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계부(20)와 시계 수리부(40)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며 이는 시계부(20) 제조 시 시계부(20)의 케이스가 수리함(41)을 포함하도록 제조하거나, 시계부(20) 제조 후 용접 등을 통해 수리함(41)을 체결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시계 수리부(40) 체결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시계(100)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로, 이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시계 수리부(140)는 측면에 시계부(120)와 체결되는 고정판(143)이 형성된다. 고정판(143)은 시계부(120)의 일측면에 포개질 수 있도록 시계부(120)의 일측면과 유사한 면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144)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시계부(120)는 삽입홀(144)과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 나사(149)가 체결되는 고정홀(121)이 형성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시계 수리부(140)는 고정 나사(149)가 고정판(143)의 삽입홀(144)을 관통하여 시계부(120)의 고정홀(121)에 체결됨에 따라 시계부(120)에 체결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시계 수리부(140)는 고정 나사(149)를 통해 체결되므로, 필요 시 시계부(120)에서 탈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와 같이 시계 수리부(140)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원하는 경우에만 시계 수리부(140)를 시계부(120)에 부착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에서는 고정 나사(149)를 이용하여 시계 수리부(140)를 탈부착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시계 수리부(140)가 탈부착될 수만 있다면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시계(10, 100)에 시계줄(30, 130)이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시계줄(30, 130)이 없는 휴대용 시계(10)들(예컨대, 벨트 시계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목걸이 시계나 회중 시계의 경우 시계부(20, 120)의 측면이 아닌, 시계부(20, 120)의 뒷면이나, 시계부(20, 120) 내부에 시계 수리부(40, 140)를 체결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시계 수리부(40, 140)가 시계부(20, 120)에 직접 체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시계 수리부(40, 140)가 다양한 위치에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도 4 내지 도 6에 이에 대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휴대용 시계(200)는 도 1의 실시예와 매우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시계 수리부(240)가 체결되는 위치에 있어서만 차이를 갖는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시계 수리부(240)가 체결되는 위치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시계(200)는 손목 시계이다. 그리고 시계 수리부(240)는 시계부(220)의 일측이 아닌, 시계줄(230)에 체결된다. 이때, 시계 수리부(240)는 시계줄(230) 중 시계부(220)와 인접한 위치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시계 수리부(240)가 시계부(220)에 직접 체결된 경우와 매우 유사하게 구성되므로, 시계 수리부(240)가 시계줄(230)에 체결되더라도 사용자가 시계 수리부(240)로 인해 착용에 불편을 느끼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지 않는 다면 시계줄(230) 상의 어느 위치라도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시계 수리부(240)는 너트(244)를 이용하여 시계줄(230)에 체결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시계줄(230)은 시계 수리부(240)가 체결되는 위치에 관통홀(231)이 형성되며, 시계 수리부(240)는 외부에 나사산(42)이 형성된 돌기부(243)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시계 수리부(240)는 돌기부(243)를 시계줄(230)의 관통홀(231)에 관통하도록 삽입한 후, 시계줄(230)을 관통한 돌기부(243)의 끝단에 반구형의 너트(244)를 결합함으로써 시계줄(230)에 체결하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전술한 체결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접착제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며, 시계줄(230)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시계줄(230)의 일부를 시계 수리부(240)로 활용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 시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시계(300)는 목걸이 시계이며, 시계줄(330)은 목걸이 줄이다. 그리고 시계 수리부(340)는 시계부(320)와 근접한 위치가 아닌, 시계부(320)가 가장 먼 위치의 시계줄(330) 상에 체결된다. 또한, 시계 수리부(340)는 시계줄(33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체결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목걸이 시계(300)를 목에 착용한 경우, 시계 수리부(340)는 목의 뒤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사용자의 앞면에서는 시계 수리부(340)가 보이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시계는 수리 도구를 항시 휴대할 수 있으며 별도의 관리가 필요 없으므로, 시계에 문제가 생기거나 배터리를 교환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가 직접 용이하게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예를 들면, 본 고안에서는 시계부의 어느 한 측면, 또는 시계줄의 어느 한 쪽에만 수리 도구가 체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시계부의 양 측면 또는 시계줄 양쪽에 모두 수리 도구를 체결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수리 도구가 시계용 드라이버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시계용 드라이버가 아니더라도, 시계를 분해 및 조립할 수 있는 도구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10, 100, 200, 300 : 휴대용 시계
20, 120, 220, 320 : 시계부
30, 130, 230, 330 : 시계줄
40, 140, 240, 340 : 시계 수리부
41 : 수리함 42, 47 : 나사산
45 : 드라이버 46 : 드라이버 촉
48 : 손잡이부 121 : 고정홀
143 : 고정판 144 : 삽입홀
149 : 고정 나사 231 : 관통홀
243 : 돌기부 244 : 너트
20, 120, 220, 320 : 시계부
30, 130, 230, 330 : 시계줄
40, 140, 240, 340 : 시계 수리부
41 : 수리함 42, 47 : 나사산
45 : 드라이버 46 : 드라이버 촉
48 : 손잡이부 121 : 고정홀
143 : 고정판 144 : 삽입홀
149 : 고정 나사 231 : 관통홀
243 : 돌기부 244 : 너트
Claims (9)
-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시계부; 및
상기 시계부 일측에 체결되며, 내부에 상기 시계부 수리 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구를 구비하는 시계 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시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 수리부는,
내부에 상기 도구를 수납하는 수리함을 포함하며,
상기 도구는 상기 시계부의 분해 시 사용되는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시계.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는,
막대 형상으로 일단에 드라이버 촉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수리함의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시계.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리함은 내부가 비어있는 관(Pipe)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드라이버 촉이 상기 수리함의 일단으로 삽입되며 상기 수리함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시계.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리함 일단의 내면과, 상기 수리함과 결합 시 상기 수리함의 일단에 대응하는 상기 드라이버의 외면에는 각각 회전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시계.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리함과 상기 드라이버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자력을 구비하고,상기 자력에 의해 상기 드라이버가 상기 수리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시계. -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시계부;
상기 시계부의 측면에 체결되는 시계줄; 및
상기 시계줄 상에 체결되며, 내부에 상기 시계부 수리 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구를 구비하는 시계 수리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시계.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줄은 손목시계줄이며,
상기 시계 수리부는 상기 시계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시계줄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시계.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줄은 목걸이 줄이며,
상기 시계 수리부는 상기 시계부와 가장 먼 위치에서 상기 목걸이 줄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시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4126U KR20110010110U (ko) | 2010-04-20 | 2010-04-20 | 수리 도구를 구비한 휴대용 시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4126U KR20110010110U (ko) | 2010-04-20 | 2010-04-20 | 수리 도구를 구비한 휴대용 시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0110U true KR20110010110U (ko) | 2011-10-26 |
Family
ID=72887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4126U KR20110010110U (ko) | 2010-04-20 | 2010-04-20 | 수리 도구를 구비한 휴대용 시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10110U (ko) |
-
2010
- 2010-04-20 KR KR2020100004126U patent/KR20110010110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D555517S1 (en) | Wrist watch case | |
US9318907B2 (en) | Assembled wearable electronic device | |
USD612609S1 (en) | Jewel piece | |
USD536994S1 (en) | Wrist watch | |
USD522900S1 (en) | Wrist watch strap | |
US7246417B1 (en) | Shoe lace | |
USD568175S1 (en) | Wrist watch | |
USD666924S1 (en) | Wristwatch | |
CN106073069B (zh) | 设计成安装在可移除的支承件上的手表 | |
USD545220S1 (en) | Combined watch with USB plug | |
JP5867048B2 (ja) | 連結装置、バンド及びバンドを備える電子機器 | |
USD569276S1 (en) | Watch | |
USD566582S1 (en) | Wrist watch casing | |
USD572620S1 (en) | Front face for a watch dial | |
USD570230S1 (en) | Wristwatch | |
CA112538S (en) | Watch dial | |
USD539170S1 (en) | Wrist watch | |
USD601440S1 (en) | Wristwatch | |
USD591177S1 (en) | Watch case with bracelet | |
EP2749966B1 (en) | Watch with interchangeable member | |
USD572609S1 (en) | Wrist watch | |
USD588023S1 (en) | Wristwatch case | |
WO2020020117A1 (zh) | 用于穿戴设备的连接结构及穿戴设备 | |
USD648807S1 (en) | Plush toy with an elastic wristband | |
USD585307S1 (en) | Combined wristwatch and bracel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