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005U - 흘러내림 방지수단이 강구된 옷걸이 - Google Patents

흘러내림 방지수단이 강구된 옷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005U
KR20110010005U KR2020100003990U KR20100003990U KR20110010005U KR 20110010005 U KR20110010005 U KR 20110010005U KR 2020100003990 U KR2020100003990 U KR 2020100003990U KR 20100003990 U KR20100003990 U KR 20100003990U KR 20110010005 U KR20110010005 U KR 201100100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prevention means
fall prevention
main body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9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1090Y1 (ko
Inventor
엄태웅
Original Assignee
엄태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태웅 filed Critical 엄태웅
Priority to KR20201000039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090Y1/ko
Publication of KR201100100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0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0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0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8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7G25/30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to prevent slipping-off of the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18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for two or more similar garments, e.g. constructed to connect to, or support, a similar hang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8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7G25/36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e.g. paper, board, plastics, g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8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 A47G25/50Hooks on hangers for supporting trousers or ski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29C45/14344Moulding in or through a hole in the article, e.g. outsert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35Garment hanger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흘러내림 방지수단이 강구된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 제작의 간편함은 물론 흘러내림 방지수단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옷의 위생적 보관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고, 또한 독특한 디자인을 구현토록 하면서 걸이부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여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 이러한 흘러내림 방지수단이 강구된 옷걸이로서 옷걸이 본체의 외표면에 고무코팅층을 사출시켜 형성토록 한 것이 있으나 팽창계수의 차로 코무코팅층이 쉽게 분리되는 단점이 있고, 본체에 결합홈을 형성시켜 상기 결합홈에 별도로 성형된 흘러내림 방지수단을 끼워 조립토록 한 것은 조립의 번거로움은 물론 흘러내림 방지수단을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옷걸이에서는, 본체에 내입면을 형성하고 상기 내입면에 이격 간격을 두고 구멍을 형성한 상태에서 인서트 사출 방식을 통하여 사출물이 본체의 구멍과 내입면에 채워져 연결살이 형성되어지는 구조의 흘러내림 방지수단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흘러내림 방지수단이 강구된 옷걸이 {a clothes hanger}
본 고안은 옷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흘러내림 방지수단이 강구된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흘러내림 방지수단이 외력에 의하여도 분리되지 않게 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구현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통상 옷걸이는 옷의 양측 어깨부가 받쳐질 수 있도록 삼각 형체를 이루고 있어 옷의 형태를 가능한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옷걸이는 남자 양복을 걸어 보관할 경우에는 거의 문제가 없으나, 니트 또는 원단 소재가 부드럽거나 얇은 옷의 경우에는 옷의 어깨부분이 옷걸이의 어깨부로부터 미끄러져 고정되지 않고 흘러내리기 때문에 옷걸이에 걸려지지 않는 문제점은 물론, 보관 도중 목 부분이 심하게 늘어져 형태의 변형은 물론 기능성 저하의 문제점까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하여,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옷걸이 본체(100)의 외표면에 고무코팅층(200)을 인서트 사출성형의 방식으로 형성시켜 흘러내림 방지수단이 강구되도록 한 것이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448187호에 제안되어 있으나 이것은 옷걸이 본체에 고무코팅층이 단순한 얇은 코팅층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재질의 특성상 분리가 용이하다는 단점과 또한 강한 부착력이 없기 때문에 외력에 의하여 쉽게 분리된다는 것이고, 이러한 것은 다양한 디자인의 구현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448393호에서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옷걸이 본체(100)에 소정의 이격 간격으로 결합홈(101)을 형성시키고 상기 결합홈(101)에는 결합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부(301)가 형성된 흘러내림 방지수단(300)을 별도로 성형 제작하여 결합홈과 돌출부의 끼움 조립에 의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토록 하였으나, 결합홈에 흘러내림 방지수단의 돌출부를 일일이 끼움 결합시켜야 하는 조립의 번거로움은 이러한 결합이 온도변화에 의하여 임의적인 분리가 발생된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결합은 미새한 틈새가 발생됨으로 이러한 부분에 이물질이 끼이게 되면 옷의 위생적 보관에 지장을 초래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분리를 방지할 수 있고 옷의 위생적 보관이 가능하도록 흘러내림 방지수단을 강구시킨 옷걸이를 제공함으로써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일시에 해소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옷걸이는, 본체에 부착면을 형성하고 상기 부착면에 는 이격 간격을 두고 관통홀을 형성한 상태에서 인서트 사출 방식을 통하여 사출물이 본체의 구멍과 부착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지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의 흘러내림 방지수단이 형성되어진 옷걸이는 흘러내림 방지수단이 옷걸이에 형성된 구멍까지 채워진 상태로 성형되어져 외부 환경에 의한 임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옷걸이 본체에 흘러내림 방지수단이 일체로 성형되어지기 때문에 옷의 위생적 보관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 옷걸이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옷걸이 본체에 구멍이 형성된 상태도.
도3은 본 고안의 옷걸이 본체에 흘러내림 방지수단이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
도4은 종래 옷걸이의 사시도.
도5는 종래의 또 다른 옷걸이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옷걸이는 상측으로는 옷의 양측 어깨부가 받쳐질 수 있도록 양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어깨부(11)와, 상기 어깨부(11)의 상측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옷의 목 부분이 받쳐지는 목부(12)와, 상기 어깨부(11)의 하측단에 일체로 연결되어지는 밑단부(13)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삼각 형체를 이루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목부(12) 상측단에 결합 고정된 고리(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0)에는 표면 마찰에 의하여 옷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흘러내림 방지수단(30)이 형성되어지는 것으로, 상기 흘러내림 방지수단(30)은 본체(10)에 이격 간격을 두고 다수의 구멍(14)이 형성된 상태에서 인서트 사출 방식을 통하여 사출물이 본체의 구멍(14)에 채워져 연결살(31)을 갖는 형태로 성형되어 형성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흘러내림 방지수단(30)은 본체(10)의 어깨부(11) 또는 밑단부(13)에 형성되도록 하거나 또는 어깨부(11)와 밑단부(13) 모두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때 본체(10)의 어깨부(11)와 밑단부(13)의 상면 또는 상면과 측면이 감싸여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성형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어깨부(11)와 밑단부(13)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흘러내림 방지수단(30)이 형성되어질 부분만큼 내입면(18)을 형성시키고, 상기 내입면(18)에 일정 간격의 구멍(14)을 형성시켜 내입면(18)의 표면과 구멍(14) 속으로 흘러내림 방지수단(30) 형성을 위한 성형물이 주입되도록 하여 최소한 내입면(18)만큼의 성형물 두께층으로 견고함은 물론 외관의 슬림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성형물의 두께층은 내입면(18)의 내입높이보다 높게 형성시켜 흘러내림 방지수단(30)이 본체(10)의 표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어깨부(11)의 선단부에 걸림턱(32)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걸림턱(32)에 의하여 끈이 형성되어진 옷을 걸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니트류 같은 옷의 목 부분 상측단이 걸려져 늘어지지 않도록 함은 물론 흘러내림 방지 기능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체(10)는 주로 플라스틱을 소재로 하여 이루어지고, 흘러내림 방지수단(30)은 옷과의 표면 마찰에 의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사출물의 소재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표면 마찰이 큰 고무수지나 폴리우레탄수지를 사용하거나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고무나 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충진제를 넣고 발포시킨 열가소성 올레핀 수지 등을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체(10)에 구멍(14)이 형성되어진 상태에서 사출물이 구멍(14)에 채워져 본체(10) 내부에서 연결살(31)이 형성되어지는 흘러내림 방지수단(30)이 형성되도록 한 본 고안의 옷걸이는, 연결살(31)에 의하여 외부 환경에 의한 분리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인서트 사출 방식이라는 간단한 제작 공정을 통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목부(12)에는 목 부분이 작은 옷을 삽입하여 걸 수 있도록 목부(12)의 일측방을 굴곡되게 절개시킨 만입굴곡부(15)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만입굴곡부(15)를 개구리, 고양이, 사람 등 다양한 캐릭터의 입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목부(12)의 전체적인 형상을 만입굴곡부(15)를 입으로 하는 캐릭터의 형태로 형성토록 함으로써 독특한 디자인의 연출과 동시에 기능성을 갖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목부(12)의 하측으로는 양측 어깨부(11)의 상측을 연결하여 밑단부(13)와 평행되어지는 보조걸이대(16)가 형성되도록 하여 스카프, 넥타이, 벨트 등 옷과 세트를 이루는 소품을 걸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보조걸이대(16)에는 이러한 소품들이 걸려져 좌우로의 유동 방지를 통한 보관의 편리함을 갖도록 하기 위한 걸림홈(16a)이 형성되도록 하여도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어깨부(11)의 하측으로는 탄성편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클립(17)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본체(10)를 형성시켜 상기한 클립(17)을 이용하여 끈을 걸어 고정시키거나 또는 스커트의 허리 부분 양측에 통상 형성되어지는 걸고리를 걸어 스커트를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0: 본체 11: 어깨부
12: 목부 13: 밑단부
14: 구멍 15: 만입굴곡부
16: 보조걸이대 17: 클립
20: 고리 30: 흘러내림 방지수단
31: 연결살 32: 걸림턱

Claims (5)

  1. 어깨부(11)와, 목부(12)와, 밑단부(13)로 이루어지는 삼각 형체의 본체(10)와, 고리(20)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10)에는 흘러내림 방지수단(30)이 형성되도록 한 옷걸이에 있어서, 상기 흘러내림 방지수단(30)은 본체(10)에 부착면에 다수의 통기공(14)이 형성되도록 한 상태에서 인서트 사출 방식을 통하여 성형물이 구멍(14)과 부착면을 감싸면서 형성된 것이 특징인 흘러내림 방지수단이 강구된 옷걸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면은 내입면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흘러내림 방지수단이 강구된 옷걸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물의 두께는 부착면이나 내입면(18)의 내입 높이보다 높게 형성시켜 흘러내림 방지수단(30)이 본체(10)의 표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됨으로써 어깨부(11)의 선단에 걸림턱(32)이 형성되도록 한 흘러내림 방지수단이 강구된 옷걸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12)에는 목부(12)의 일측방을 굴곡되게 절개시킨 만입굴곡부(15)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만입굴곡부(15)는 캐릭터의 입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목부(12)의 전체적인 형상을 만입굴곡부(15)를 입으로 하는 캐릭터의 형태로 형성시킨 것이 특징인 흘러내림 방지수단이 강구된 옷걸이.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12)의 하측으로는 양측 어깨부(11)의 상측을 연결하여 밑단부(13)와 평행되어지는 보조걸이대(16)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보조걸이대(16)에는 걸이홈(16a)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 특징인 흘러내림 방지수단이 강구된 옷걸이.
KR2020100003990U 2010-04-15 2010-04-15 흘러내림 방지수단이 강구된 옷걸이 KR2004610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990U KR200461090Y1 (ko) 2010-04-15 2010-04-15 흘러내림 방지수단이 강구된 옷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990U KR200461090Y1 (ko) 2010-04-15 2010-04-15 흘러내림 방지수단이 강구된 옷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005U true KR20110010005U (ko) 2011-10-21
KR200461090Y1 KR200461090Y1 (ko) 2012-06-28

Family

ID=46875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990U KR200461090Y1 (ko) 2010-04-15 2010-04-15 흘러내림 방지수단이 강구된 옷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090Y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79638U (ko) 1979-06-11 1980-12-24
JPH0562Y2 (ko) * 1987-04-25 1993-01-05
CA2487230A1 (en) * 2003-11-12 2005-05-12 Spotless Plastics Pty. Ltd. Knitwear hanger
KR20090080726A (ko) * 2008-01-22 2009-07-27 김재천 다기능 옷걸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090Y1 (ko) 201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17771B (zh) 具有钩的保持装置
CN104585999B (zh) 整体模制的单件式携带手提包及其制造方法
US8671595B2 (en) Ornamentation for a footwear upper
US9538802B2 (en) Fastening devices and methods
US20110266319A1 (en) Device for fastening a pacifier to the clothing of a child
CN105228921A (zh) 用于可安装和可连接的扎带的系统和方法
JP2006511361A (ja) 成形インサートとして使用するための射出成形された留め物品
KR200461090Y1 (ko) 흘러내림 방지수단이 강구된 옷걸이
US10751261B2 (en) Hygienic pacifier with annular shield folding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20210244135A1 (en) Fastening devices and methods
US20040159686A1 (en) Garment hanger
KR200448187Y1 (ko) 미끄러짐 방지기능을 구비한 옷걸이
EP2696718A1 (en) Decorated slide fastener
KR101298778B1 (ko) 이중압출로 제작이 가능한 미끄럼방지부재를 갖는 미끄럼방지 옷걸이
US7216786B2 (en) Non-slip garment hanger attachment
US20130298927A1 (en) Dual comb hair accessory having planar stretch elements with embedded decorative designs
KR102324631B1 (ko) 미끄럼 방지 스트랩이 구비된 가방
MX2012008493A (es) Montaje de un objeto moldeado que comprende una pluralidad de elementos de gancho sobremoldeados y que comprende adicionalmente una cubierta.
JP4077394B2 (ja) 調理用へらの製造法
JP5088909B1 (ja) グリップ構造体
EP3784859A1 (en) A hanging door stop
KR200428085Y1 (ko) 고무장갑
CN216653323U (zh) 飞盘扣
JP3219963U (ja) 冷菓用スティックおよびスティック付冷菓
KR101124980B1 (ko) 타이 펜던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