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804U - 악취 역류 차단용 육가 - Google Patents

악취 역류 차단용 육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804U
KR20110009804U KR2020100003713U KR20100003713U KR20110009804U KR 20110009804 U KR20110009804 U KR 20110009804U KR 2020100003713 U KR2020100003713 U KR 2020100003713U KR 20100003713 U KR20100003713 U KR 20100003713U KR 20110009804 U KR20110009804 U KR 201100098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or
opening
blocking
water discharge
clo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7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이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호 filed Critical 이영호
Priority to KR20201000037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9804U/ko
Publication of KR201100098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80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2Odour seals combined with additional object-catch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16K15/14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the closure elements being fixed along all or a part of their periphery
    • F16K15/147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the closure elements being fixed along all or a part of their periphery the closure elements having specially formed slits or being of an elongated easily collapsible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16K15/148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the closure elements being fixed in their cent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0Baths, closets, sinks, and spittoons
    • Y10S4/07House plumbing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육가에 탈착하게 개폐부재를 간편히 설치하여 하수구의 악취가 배수구를 통해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게 한 악취 역류 차단용 육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에 따라, 바닥 배수구에 설치되어 머리카락이나 찌꺼기를 거르는 악취 역류 차단 육가에 있어서, 외주 면에 1 이상의 물배출공을 갖는 몸체와; 내주가 상기 몸체의 상부 측 외주에 탈착하게 설치되고, 외주는 상기 물배출공을 상방에서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개폐하는 1 이상의 차단막을 설치한 개폐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악취 역류 차단용 육가{SEWER COVER FOR OFFENSIVE ODOR FLOWING BACKWARD PREVENTION}
본 고안은 악취 역류 차단용 육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육가에 탈착하게 개폐부재를 간편히 설치하여 하수구의 악취가 배수구를 통해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게 한 악취 역류 차단용 육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이나 세면장의 바닥 또는 싱크대, 대소변기, 수세기, 세면기, 욕조 등에는 사용된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배수구 장치의 단부에는 트랩이 설치되어 있다.
배수관 내를 흐르는 물은 일반적으로 중력에 의해 자연히 아래로 흐르므로 급수관과 달리 기구에서 배수를 하지 않을 때에는 관내는 비어 있다. 따라서 하수관의 악취가 관내를 따라서 실내로 들어오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배수구 장치와 배수관 사이에 트랩을 설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종래 배수구 장치는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측면에 관통구가 형성된 원통형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트랩의 기능은 없고 물을 배수관으로 배출하고 머리카락이나 찌꺼기를 거르기 위한 장치로서의 기능을 가졌다.
따라서,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육가를 개발하였지만,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제작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제조비용이 많이 들어 제품의 단가를 높인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복잡한 구조로 인해 고장이 일어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단이 개구되며, 외주 면에 하나 이상의 물배출공을 갖는 육가 몸체의 상부 외주에 개폐부재를 탈착되게 설치하여 육가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상기 물배출공을 개폐하게 한 악취 역류 차단용 육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상부 외주에 오목진 설치홈이 구비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설치를 돕게 한 악취 역류 차단용 육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개폐부재는 탄성을 갖는 연성의 수지재로 이루어진 악취 역류 차단용 육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차단막은 장방형의 커튼 형상으로 된 악취 역류 차단용 육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악취 역류 차단용 육가는,바닥 배수구에 설치되어 머리카락이나 찌꺼기를 거르는 악취 역류 차단 육가에 있어서, 외주 면에 1 이상의 물배출공을 갖는 몸체와; 내주가 상기 몸체의 상부 측 외주에 탈착하게 설치되고, 외주는 상기 물배출공을 상방에서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개폐하는 1 이상의 차단막을 설치한 개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는 상단이 개구된 통체의 외주 면에 관통된 상기 물배출공이 구비되고, 상기 물배출공의 상방의 외주를 따라 상기 개폐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오목진 설치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개폐부재는 탄성을 갖는 연성의 수지재질로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차단막은 장방형의 커튼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용 육가에 의하면, 상단이 개구되며, 외주 면에 하나 이상의 물배출공을 갖는 육가 몸체의 상부 외주에 개폐부재를 설치하여 육가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상기 물배출공을 개폐하게 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제품의 제작이 쉽고 제작 시간을 짧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가 탈착하게 설치되게 함으로써, 재활용을 할 수 있고 구조가 비슷한 육가에도 사용할 수 있게 하여 활용성과 호환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상기 몸체의 상부 외주에 오목진 설치홈이 구비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설치를 도움으로써, 설치상의 간편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례의 육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용 육가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을 절단하여 "A" 방향으로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1에서 몸체만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도 1에서 개폐부재만을 보인 정면도,
도 6은 바닥에 설치된 배수구를 보인 도면,
도 7은 도 6을 "A2" 방향으로 절단하여 본 고안의 악취 역류 차단용 육가가 배수구에 설치되어 악취를 차단하는 것을 보인 도면,
도 8은 도 7에서 물이 악취 역류 차단용 육가를 통과하여 하수관으로 흐르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용 육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용 육가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를 절단하여 "A1" 방향으로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몸체만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서 개폐부재만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악취 역류 차단용 육가는 바닥(b) 배수구(e)에 설치되어 머리카락이나 찌꺼기를 거르는 것으로서, 크게 몸체(10)와 개폐부재(20)로 대분 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으로 외주 면에 관통된 물배출공(11)이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개구된 상부로 물(w)이 유입되면, 상기 물배출공(11)으로 물(w)이 이동하여 하수관(d)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물(w)과 함께 흘러들어온 머리카락이나 찌꺼기는 상기 몸체(10)의 폐쇄된 하부에 적층 되어 물(w)과 함께 하수구(d)로 배출되지 못하게 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상부 외주에는 오목진 설치홈(22)이 형성된다.
상기 개폐부재(20)는 연성 수지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가 원형의 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의 외주에 수지재질의 커튼형 차단막(21)의 상단이 적어도 1개 이상 고정되어 길이를 갖고 하단이 하방으로 늘어지게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개폐부재(20)는 상부가 상기 설치홈(22)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10)에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차단막(21)은 내측면으로 상기 물배출공(11)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물배출공(11)을 폐쇄하게 위치한다.
도 6은 바닥에 설치된 배수구를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을 "A2" 방향으로 절단하여 본 고안의 악취 역류 차단용 육가가 배수구에 설치되어 악취를 차단하는 것을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서 물이 악취 역류 차단용 육가를 통과하여 하수관으로 흐르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b)의 배수구(e)에 설치된 본 고안의 악취 역류 차단용 육가의 상기 차단막(21)은 상기 배수구(e)로 흘러들어오는 물이 상기 몸체(10)의 개구된 상부로 유입되어, 상기 물배출공(11)을 통해 배출될 때 상기 물배출공(11)을 폐쇄하던 상기 차단막(21)이 수압에 의해 개구하게 된다. 그리고 물(w)이 배출되지 않을 때는 상기 물배출공(11)을 텐션에 의해 다시 폐쇄하게 됨으로써, 하수관(d)으로부터 악취(s)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연성 수지재질은 연성의 플라스틱, 고무, 실리콘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밝힌다.
10: 몸체 11: 물배출공
20: 개폐부재 21: 차단막
22: 설치홈

Claims (4)

  1. 바닥 배수구에 설치되어 머리카락이나 찌꺼기를 거르는 악취 역류 차단 육가에 있어서,
    외주면에 1 이상의 물배출공(11)을 갖는 몸체(10)와;
    내주가 상기 몸체(10)의 상부 측 외주에 탈착하게 설치되고, 외주는 상기 물배출공(11)을 상방에서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개폐하는 1 이상의 차단막(21)을 설치한 개폐부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역류 차단용 육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상단이 개구된 통체의 외주 면에 관통된 상기 물배출공(11)이 구비되고, 상기 물배출공(11)의 상방으로 외주를 따라 상기 개폐부재(20)를 설치하기 위한 오목진 설치홈(2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역류 차단용 육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20)는 탄성을 갖는 연성의 수지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역류 차단용 육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21)은 장방형의 커튼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역류 차단용 육가.
KR2020100003713U 2010-04-09 2010-04-09 악취 역류 차단용 육가 KR2011000980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713U KR20110009804U (ko) 2010-04-09 2010-04-09 악취 역류 차단용 육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713U KR20110009804U (ko) 2010-04-09 2010-04-09 악취 역류 차단용 육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804U true KR20110009804U (ko) 2011-10-17

Family

ID=72887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713U KR20110009804U (ko) 2010-04-09 2010-04-09 악취 역류 차단용 육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980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7798B1 (ko) * 2021-10-13 2022-07-05 유정수 머리카락 제거구가 구비된 배수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7798B1 (ko) * 2021-10-13 2022-07-05 유정수 머리카락 제거구가 구비된 배수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2045A (ko) 악취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
EP3002377A1 (en) Floor drain with siphon
JP4709981B2 (ja) 排水トラップ
KR101674159B1 (ko) 욕조 배수장치
KR20110009804U (ko) 악취 역류 차단용 육가
KR100756933B1 (ko) 배수구의 냄새 차단 장치
JP6194505B2 (ja) 自封式弁部材及び継ぎ手部材
KR20120095119A (ko) 세면대 배수관용 거름장치
KR20170064307A (ko) 악취차단 기능을 가지는 실내용 배수트랩
KR200458962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0464725Y1 (ko) 배수구용 육가
JP5106897B2 (ja) 排水トラップにおける目皿
JP3569317B2 (ja) トラップ付き排水装置
KR20050095067A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KR20050055669A (ko) 하수구용 배수장치
JP3112329U (ja) 洗濯機用防水パン
KR101726293B1 (ko) 물을 사용하지 않고 악취를 차단하면서 위생적인 재사용이 가능한 소변기용 카트리지
KR20140088429A (ko) 배수 트랩
KR200461517Y1 (ko) 배수전 내부에 장착되는 악취차단장치
JP6060327B2 (ja) 排水トラップ
KR20090129111A (ko) 배수 트랩 구조물
KR20180122109A (ko) 노출형 세면기 배수트랩
KR200356294Y1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KR101368088B1 (ko) 화장실 좌변기 악취제거장치
KR200493873Y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욕조배수유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