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650U -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 Google Patents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650U
KR20110009650U KR2020100003517U KR20100003517U KR20110009650U KR 20110009650 U KR20110009650 U KR 20110009650U KR 2020100003517 U KR2020100003517 U KR 2020100003517U KR 20100003517 U KR20100003517 U KR 20100003517U KR 20110009650 U KR20110009650 U KR 201100096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rol circuit
central control
pressur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5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석
정재은
Original Assignee
고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석 filed Critical 고영석
Priority to KR20201000035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9650U/ko
Publication of KR201100096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65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mass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lgebr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심폐 소생을 교육하기 위한 마네킹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의 심장과 폐의 활동이 멈춘 상황에서 심폐소생 응급 처치를 행함에 있어 흉부의 압박 위치, 압박 강도 및 압박 횟수를 정확하게 실행할 수 있고, 심폐소생 응급 처치의 교육을 입체적으로 제공하여 교육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인체의 상반신 형태를 갖는 상반신 몸체; 상기 상반신 몸체 내에 지지 고정되는 압력검출유닛; 상기 압력검출유닛과 전기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중앙제어회로유닛; 상기 중앙제어회로유닛으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관련 제어 신호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유닛; 상기 압력검출유닛의 검출 신호를 음향 신호로 전환하여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유닛; 및 상기 중앙제어회로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유닛을 포함하는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EDUCATION MANNEQUIN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본 고안은 심폐 소생을 교육하기 위한 마네킹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의 심장과 폐의 활동이 멈춘 상황에서 심폐소생 응급 처치를 행함에 있어 흉부의 압박 위치, 압박 강도 및 압박 횟수를 정확하게 실행할 수 있고, 심폐소생 응급 처치의 교육을 입체적으로 제공하여 교육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응급처치라 함은 다친 사람이나 급성질환자에게 사고 현장에서 즉시 조치를 취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응급처치는 보다 나은 병원 치료를 받을 때까지 일시적으로 도와주는 것일 뿐 아니라, 적절한 조치로 회복상태에 이르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위급한 상황에서 전문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응급센터에 연락하는 것부터 부상이나 질병을 의학적 처지 없이도 회복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행위도 포함한다. 이에 따라서 사람의 삶과 죽음이 좌우되기도 하며, 회복기간이 단축되기도 한다.
또한 의학적 치료 여부에 따라 장애가 일시적이거나, 영구적일 수도 있다. 응급처치는 일반적으로 타인에게 실시하는 것이지만 상대가 본인이나 가족인 경우는 곧 자신을 위한 일이 된다. 이처럼 응급상황을 인지하고 처치할 줄 안다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문제는 응급상황을 인지하지 못하여 기본 증상조차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심장마비 증세가 나타났는데도 상태를 파악하지 못하고 시간을 허비하다가 병원으로 옮겨 지기도 한다. 또한 많은 사람이 응급처치 방법을 모르고 있으며 비록 교육을 통해 응급처치 방법을 아는 사람이라도 실제 응급상황에 접하게 되었을 때는 크게 당황하게 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침착하게 응급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응급처치를 위한 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매우 중요하며, 특히 유년기 때부터의 응급처치에 대한 교육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심폐소생의 응급처치는 심장과 폐의 활동이 멈추어 호흡이 정지되었을 경우에 실시하는 응급처치이다. 심폐소생술은 심장과 호흡이 멈춘 지 4분 이내에 시작하면 살아날 가능성이 높으며, 시간이 갈수록 뇌가 손상되어 사망하게 된다.
또한, 심폐소생을 할 경우, 환자의 흉부 압박 위치나 압박 횟수 그리고 압박 강도를 정확히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하다.
이러한 심폐소생 등의 응급조치는 인체 형상과 유사한 마네킹을 이용하여 교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재 제안되어 있는 마네킹은 응급처치를 임무로 하는 응급처치요원들이나 특정 사람들의 교육을 위한 마네킹으로서, 일반인들에게 있어서는 흉부 압박 위치나 압박 횟수 그리고 압박 강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제안되어 있는 마네킹은 그 제작이 매우 복잡하고, 매우 고가로 범용으로 보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유치원, 초,중,고등학교 때부터 필요한 응급처치에 대한 교육을 위한 마네킹을 보다 저가로 제작하여 범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하고, 이에 따라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흉부의 압박 위치, 압박 강도 및 압박 횟수를 정확하게 실행할 수 있고, 심폐소생 응급 처치의 교육을 입체적으로 제공하여 교육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인체의 상반신 형태를 갖는 상반신 몸체; 상기 상반신 몸체 내에 지지 고정되는 압력검출유닛; 상기 압력검출유닛과 전기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중앙제어회로유닛; 상기 중앙제어회로유닛으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관련 제어 신호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유닛; 상기 압력검출유닛의 검출 신호를 음향 신호로 전환하여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유닛; 및 상기 중앙제어회로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유닛을 포함하는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압력검출유닛은 압전소자로 구성되거나, 상기 중앙제어회로유닛에 포함되는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고정 접점을 갖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접점과 대향하는 가동 접점을 가지며 소정 간격 이격된 이동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이동 플레이트 간을 탄성 지지하도록 고정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 계수는 흉부 압박시 요구되는 압력 값에 상응하는 값을 나타내도록 미리 설정된 탄성 계수를 갖고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제어회로유닛은 상기 상반신 몸체의 흉부 압박 횟수를 카운팅하여 카운팅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으로 전달하는 카운터 적산부; 및 상기 압력검출유닛의 전기 신호를 음향신호로 전환하여 상기 스피커유닛으로 음향을 송출하는 음향신호 송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제어회로유닛은 미리 기억된 흉부 압박 주기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으로 전달하는 주기신호 송출부; 흉부 압박에 요구되는 압력 값을 미리 저장해 놓은 설정압력 저장부; 및 상기 설정압력 저장부에 저장된 압력 값과 상기 압력검출유닛에서 검출된 압력 값을 비교하는 압력 비교부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상기 중앙제어회로유닛은 상기 카운터 적산부로부터 카운팅된 카운터 횟수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중앙제어회로유닛의 주기신호 송출부의 신호를 표시하는 주기신호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피커유닛은 그 디스플레이유닛의 일측에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의 주기신호 발광부는 온/오프 스위치(on-off switch)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유닛은 상기 상반신 몸체에 구비되는 배터리로 구성되거나 상기 상반신 몸체 일측에 형성되는 전원공급단자를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반신 몸체의 흉부의 정확한 압박 위치를 가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흉부위치 표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은 그 제작이 간단하여 저가로 제작할 수 있어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흉부의 압박 위치, 압박 강도 및 압박 횟수를 정확하게 실행할 수 있고, 심폐소생 응급 처치의 교육을 입체적으로 제공하여 교육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을 구성하는 압력검출유닛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을 구성하는 압력검출유닛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을 구성하는 중앙제어회로유닛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본 고안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은 인체의 상반신 형태를 갖는 상반신 몸체(10); 상기 상반신 몸체(10) 내에 지지 고정되는 압력검출유닛(20); 상기 압력검출유닛(20)과 전기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중앙제어회로유닛(30); 상기 중앙제어회로유닛(30)으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유닛(40); 상기 압력검출유닛(20)의 검출 신호를 음향 신호로 전환하여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유닛(미도시); 및 상기 중앙제어회로유닛(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미설명부호 21은 압력검출유닛(20)을 제 위치에서 지지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상반신 몸체(10)는 머리부(11)와 몸통부(1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머리부(11)와 몸통부(12)는 관절 형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머리부(11)와 몸통부(12)를 관절 형태로 연결하는 것은 심폐소생 등의 응급처치를 위한 교육 과정에서 몸통부(12)에 대한 머리부(11)의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정 또는 조절하여 대응할 수 있는 과정을 부가적으로 교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상기 머리부(11)와 몸통부(12)의 연결부가 관절 형태로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실시 예에서, 그 각도 또는 회전위치를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지만, 그 간단한 일 예로서 머리부(11)의 연결부와 이 연결부와 연결되는 몸통부(12)의 연결부에 서로 대응하는 요철 형태의 홈과 돌기를 소정 간격으로 형성시켜 회전각도 또는 위치에 따라 홈으로 돌기가 안착됨으로써 위치 고정되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반신 몸체(10)는 어떠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수지, 고무, 우레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중 PVC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반신 몸체(10) 내부에 구비되는 재료는 그 형상을 신축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재료라면 어떠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예로서 우레탄 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반신 몸체(10)의 제작의 일 예로서 로테이션 몰딩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로테이션 몰딩에 의한 제작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몸체의 형상을 갖는 금형이 준비되고, 상기 금형에 성형물을 주입하여 회전시키면서 몰딩 성형하고, 몰딩된 성형체에 발포제를 발포하여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몸체 내에 수용되는 구성요소들은 발포제가 발포되는 단계에서, 지지장치(지그 등)에 의해 몸체 내에 유지되게 된다.
상기 압력검출유닛(20)은 실제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때 적용되는 흉부의 흉부 압박 위치에 정확히 위치되도록 상반신 몸체(10) 내에서 지지부재(21)에 의해 지지 고정된다.
이는 후술하겠지만, 상기 압력검출유닛(20)을 정확한 위치에서 압박하는 경우, 그 정확한 위치와 압박 정도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교육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압력검출유닛(20)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을 구성하는 압력검출유닛(20)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을 구성하는 압력검출유닛(20)은 압전소자(피에조전기소자)(22)로 구성된다. 이러한 압력소자는 압력을 받으면 압력의 크기에 따라 전류를 발생시키는 수단이다. 발생된 전류는 중앙제어회로유닛(30)으로 전달되고 디스플레이유닛(40)에 관련 신호에 근거하여 해당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을 구성하는 압력검출유닛(20)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을 구성하는 압력검출유닛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을 구성하는 압력검출유닛(20)의 다른 실시 예는 중앙제어회로유닛(30)에 포함되는 회로기판(23) 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고정 접점(24)을 갖는 고정 플레이트(25); 상기 고정 접점(24)과 대향하게 가동 접점(26)을 갖는 소정 간격 이격된 이동 플레이트(27); 상기 고정 플레이트(25)와 이동 플레이트(27) 간을 탄성 지지하도록 고정된 탄성부재(28)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25)와 이동 플레이트(27) 사이의 거리 및 상기 탄성부재(28)의 탄성 계수는 실제 흉부 압박시 요구되는 압력 값에 상응하는 값을 나타내도록 그 거리 및 탄성 계수는 미리 설정되어 설계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을 구성하는 중앙제어회로유닛(40)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을 구성하는 중앙제어회로유닛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중앙제어회로유닛(30)은 교육자 또는 피교육자가 상반신 몸체(10)의 흉부 압박 횟수를 카운팅하여 카운팅 정보를 발생시켜 디스플레이유닛(40)으로 전달하는, 즉 압력검출유닛(20)의 검출 신호의 횟수를 카운팅하여 카운팅 정보를 디스플레이트유닛(40)으로 전달하는 카운터 적산부(31); 흉부 압박 시 요구되는 미리 기억된 주기 신호를 발생시켜 디스플레이유닛(40)으로 전달하는 주기신호 송출부(32); 압력검출유닛(20)의 전기 신호를 음향신호로 전환하여 스피커유닛으로 음향을 송출하는 음향신호 송출부(33); 흉부 압박에 필요한 압박 값을 미리 저장해 놓은 설정압력 저장부(34); 및 상기 설정압력 저장부(34)에 저장된 압력 값과 압력검출유닛(20)에서 검출된 압력 값을 비교하는 압력 비교부(35)를 선택적으로 또는 모두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은 상기 중앙제어회로유닛(30)으로부터 전달받은 해당 신호를 표시하는 것으로, 중앙제어회로유닛(30)의 카운터 적산부(31)로부터 카운팅된 카운터 횟수를 표시하는 표시부(41); 및 상기 중앙제어회로유닛(30)의 주기신호 송출부(32)의 신호를 표시하는 주기신호 발광부(42)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의 주기신호 발광부(42)는 온/오프 스위치(on-off switch)를 통해 그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교육자가 선택적으로 온/오프 스위치를 조작하여, 온/오프 스위치에서 온으로 된 경우, 주기신호 발광부(42)에서 발광하는 주기 신호를 통해 피교육자가 그 주기 신호를 보면서 흉부 압박을 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온/오프 스위치를 오프한 경우에는, 피교육자가 압박 주기를 주기 신호를 보지 않고 실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표시부(41) 및 발광부(42)는 LED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피커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유닛(40)의 일측에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유닛(미도시)은 중앙제어유닛 및/또는 디스플레이유닛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배터리를 통한 내부 전원공급방식으로 구성되거나 중앙제어회로유닛(30)으로부터 전원공급단자가 상반신 몸체(10) 일측에 형성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외부전원공급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반신 몸체(10)의 흉부의 정확한 압박 위치를 가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흉부위치 표시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흉부위치 표시수단은 그 일 예로 상반신 몸체(10)의 흉부의 압박 위치에 탈부착 가능한 마킹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피교육자가 상반신 몸체(10)의 흉부를 압박한다. 이때, 피교육자가 상반신 몸체(10) 내에 고정된 압력검출유닛(20)의 정확한 위치를 압박하는 경우, 중앙제어회로유닛(30)의 음향신호 송출부(33)를 통해 스피커유닛에서 음향을 통지한다. 그러나 압력검출유닛(20)의 위치를 벗어난 위치를 압박하는 경우에는 스피커유닛으로부터 음향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피교육자는 잘못된 위치를 압박하고 있음을 인식하게 된다.
피교육자가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 흉부를 압박하고,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주기신호에 맞춰 흉부 압박을 실시하게 된다. 흉부 압박이 가해지면 압력검출유닛(20)은 그 압박에 따른 검출 신호를 중앙제어회로유닛(30)으로 전달하고 흉부 압박의 횟수는 카운터 적산부(31)를 통해 디스플레이유닛(40)에 적산되어 표시된다.
한편, 이 과정에서 흉부 압박의 압박 정도는 중앙제어회로유닛(30)의 압력 비교부(35)에 의해 비교되어 요구되는 압박 정도를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유닛에는 그 카운터 값을 표시하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은 이 경우에 대해서 요구되는 압박 정도를 달성하지 못하는 회수를 별도로 표시하는 부가 표시부를 디스플레이유닛에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에 따르면, 피교육자로 하여금 심폐소생의 응급처치에 있어서 정확한 흉부 압박 위치, 압박 주기 및 압박 횟수를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하여 교육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필요 정보를 시각적,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교육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의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상반신 몸체
20: 압력검출유닛
30: 중앙제어회로유닛
31: 카운터 적산부
32: 주기신호 송출부
33: 음향신호 송출부
34: 설정압력 저장부
35: 압력 비교부
40: 디스플레이유닛

Claims (11)

  1. 인체의 상반신 형태를 갖는 상반신 몸체;
    상기 상반신 몸체 내에 지지 고정되는 압력검출유닛;
    상기 압력검출유닛과 전기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중앙제어회로유닛;
    상기 중앙제어회로유닛으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관련 제어 신호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유닛;
    상기 압력검출유닛의 검출 신호를 음향 신호로 전환하여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유닛; 및
    상기 중앙제어회로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유닛
    을 포함하는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검출유닛은 압전소자로 구성되는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검출유닛은
    상기 중앙제어회로유닛에 포함되는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고정 접점을 갖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접점과 대향하는 가동 접점을 가지며 소정 간격 이격된 이동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이동 플레이트 간을 탄성 지지하도록 고정된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 계수는 흉부 압박시 요구되는 압력 값에 상응하는 값을 나타내도록 미리 설정된 탄성 계수를 갖고 구성되는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회로유닛은 상기 상반신 몸체의 흉부 압박 횟수를 카운팅하여 카운팅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으로 전달하는 카운터 적산부; 및
    상기 압력검출유닛의 전기 신호를 음향신호로 전환하여 상기 스피커유닛으로 음향을 송출하는 음향신호 송출부를 포함하는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회로유닛은 미리 기억된 흉부 압박 주기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으로 전달하는 주기신호 송출부를 더 포함하는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회로유닛은
    흉부 압박에 요구되는 압력 값을 미리 저장해 놓은 설정압력 저장부; 및
    상기 설정압력 저장부에 저장된 압력 값과 상기 압력검출유닛에서 검출된 압력 값을 비교하는 압력 비교부를 더 포함하는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상기 중앙제어회로유닛은 상기 카운터 적산부로부터 카운팅된 카운터 횟수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중앙제어회로유닛의 주기신호 송출부의 신호를 표시하는 주기신호 발광부를 포함하는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의 주기신호 발광부는 온/오프 스위치(on-off switch)를 포함하는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유닛은 상기 상반신 몸체에 구비되는 배터리로 구성되거나 상기 상반신 몸체 일측에 형성되는 전원공급단자를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는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반신 몸체의 흉부의 정확한 압박 위치를 가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흉부위치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는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KR2020100003517U 2010-04-05 2010-04-05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KR201100096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517U KR20110009650U (ko) 2010-04-05 2010-04-05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517U KR20110009650U (ko) 2010-04-05 2010-04-05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650U true KR20110009650U (ko) 2011-10-12

Family

ID=45596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517U KR20110009650U (ko) 2010-04-05 2010-04-05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965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839A (ko) * 2014-12-29 2016-07-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압력센서를 이용한 심폐소생술 가이드 장치
CN114577375A (zh) * 2022-03-02 2022-06-03 天津天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心肺复苏按压深度的检测方法及其反馈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839A (ko) * 2014-12-29 2016-07-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압력센서를 이용한 심폐소생술 가이드 장치
CN114577375A (zh) * 2022-03-02 2022-06-03 天津天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心肺复苏按压深度的检测方法及其反馈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4040B2 (en) Signal processing device for providing feedback on chest compression in CPR
US7993290B2 (en) Display unit for providing feedback in CPR
US20170087052A1 (en) CPR Assistance Device, Intelligent Terminal, and CPR Assistance System
US20170042762A1 (en) Hand mounted cpr chest compression monitor
US20080146973A1 (en) System for providing feedback on chest compression in CPR
KR101445978B1 (ko) 심폐소생술 교육시스템
JP2006511267A (ja) 胸部圧迫をする人の手と患者の胸との間に置かれる装置
EP1938779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JP2018519137A (ja) 心肺機能蘇生法の間にユーザを支援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EP1933114B1 (en) Display unit for chest compression signals
KR20110011791U (ko) 다기능 응급처치 교육용 마네킹
KR20110009650U (ko)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KR20170013091A (ko) 자동제세동기의 사용 및 교육안내 시스템
KR101986324B1 (ko) 흉부 압박을 보조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87474A (ko) 교육용 마네킹
KR101628073B1 (ko) 응급처치용 cpr플레이트
KR20140140700A (ko) 심폐소생술을 위한 글로브
US20220304890A1 (en) Real tim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feedback with instructions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101251303B1 (ko) 마네킹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심폐소생술 제공 방법
KR20160001260U (ko)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KR101995675B1 (ko) 영아용 흉부 압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영아용 심폐소생술 실습장치
EP1932502A1 (en) System for providing feedback on chest compression in CPR
US2018016123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chest compressions
KR20160041440A (ko)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CN213518884U (zh) 高弹性心肺复苏急救技能培训装置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