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517U - 휨 방지 합판 - Google Patents

휨 방지 합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517U
KR20110009517U KR2020100005309U KR20100005309U KR20110009517U KR 20110009517 U KR20110009517 U KR 20110009517U KR 2020100005309 U KR2020100005309 U KR 2020100005309U KR 20100005309 U KR20100005309 U KR 20100005309U KR 20110009517 U KR20110009517 U KR 201100095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ywood
layer
adhesive
decorative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3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원빈
Original Assignee
장원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원빈 filed Critical 장원빈
Priority to KR20201000053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9517U/ko
Publication of KR201100095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51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board or vene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4Torsion strength; Torsion 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판을 구성하는 제1합판층과 제2합판층 사이에 합판의 평형성을 유지하는 평형층이 더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합판의 표면에 접착층에 의해 접착되는 장식층인 원목장식지 또는 멜라민장식지를 접착하는 공정에서의 냉각접착 또는 열접착에 의해 발생되는 합판의 휨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합판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합판의 표면에 대한 평면성이 고르게 유지될 수 있어 실내의 바닥시공 또는 문이나 싱크대의 제작이 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합판의 견고성이 크게 향상되는 휨 방지 합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하부측에 위치 구성되는 제1합판층(1)과; 상기 제1합판층(1)의 상면에 적층되는 평형층(2)과; 상기 평형층(2)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2합판층(3)과; 상기 제2합판층(3)의 표면에 접착층(4)에 의해 접착되는 장식층(5)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평형층(2)은, 종이로 이루어지거나, PVC, PE, PET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평형층(2)의 두께(T)는 0.5mm ~ 10mm로 형성되며, 상기 제1합판층(1)의 저면에는 본드와 같은 접착제가 인입되는 접착홈(6)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합판층(3)의 표면에 접착층(4)에 의해 접착되는 장식층(5)은, 멜리민장식지, 원목장식지, 방화판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휨 방지 합판{WARPAGE PREVENTION PLYWOOD}
본 고안은 휨 방지 합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루바닥재 또는 문이나 싱크대 등에 사용되는 합판의 내부에 평형층을 구성하여 합판의 표면에 장식층을 냉각접착 또는 열접착에 의해 적층시켜 구성할 때 발생되는 합판이 휘어져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합판의 불량률을 줄이고 합판의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휨 방지 합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 또는 싱크대 등을 제작할 때 사용되거나 또는 실내의 마루바닥재로 사용되는 합판은 여러 장의 단판을 겹쳐 한 장의 판으로 구성한 것으로, 통상 합판의 표면에는 사용처에 따라 원목이나 또는 다양한 색상을 갖는 멜라민장식지를 구성함으로써 합판의 외관이 미려하게 연출되도록 하고 원목의 느낌이 나타나도록 하고 있다.
근자들어서는 실내의 바닥을 시공할 때 바닥의 느낌이 원목마루의 느낌을 갖도록 하기 위해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된 여러 장의 합판을 서로 끼워 맞추는 방식으로 하여 바닥을 시공하고 있으며, 이 때 사용되는 합판의 표면에는 원목의 느낌을 갖는 원목장식지가 더 구성되어 있어 시공된 실내의 바닥이 원목을 이용한 마루바닥의 느낌과 외관을 갖도록 하고 있다.
또한, 문이나 싱크대 등에 사용되는 합판의 경우에는 외관의 미려한 색상 및 질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합판의 표면에 멜라민장식지가 더 구성되는 바, 이러한 장식지의 질감 및 색상에 의해 문이나 싱크대의 다양한 외관이 연출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합판의 표면에 원목장식지를 적층구성하는 방법은, 원목의 느낌을 갖는 원목장식지를 합판의 표면에 합지한 다음 냉각접착에 의해 합지된 원목장식지와 합판이 서로 접착되도록 하고 있으며, 합판의 표면에 멜라민장식지를 적층구성하는 방법은, 다양한 색상 및 질감을 갖는 멜라민장식지를 합판의 표면에 합지한 상태에서 열을 가해 열접착하여 멜라민장식지가 합판의 표면에 접착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합판의 표면에 원목장식지나 멜라민장식지를 냉각접착 또는 열접착에 의해 접착하는 과정에서 합판의 표면에 적층구성되는 원목장식지 또는 멜라민장식지의 냉각 또는 열에 의해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장력과, 합판의 장력이 큰 차이가 발생되어 합판 자체가 휘어지는 이른 바 휨변형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합판의 가공공정에서 휘게 되면, 합판을 이용하여 실내의 바닥재나 문 또는 싱크대의 재료로 사용할 때 휘어진 합판에 의해 시공이 용이하지 못하고 시공 후의 평면성이 고르게 나타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한편,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401150호인 휨방지판이 내장된 고무보도블럭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고무분말로 제조되는 고무보도블럭에 있어서, 중간에 휨방지판을 내장시키므로 햇빛이나 눈과 같은 자연현상에 의하여 고무보도블럭이 휘어지는 현상과 보행자의 하중에 의하여 움푹하게 파이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휨방지판의 두께가 두껍고 고무보도블럭에 한정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실내의 마루바닥재나 문 또는 싱크대를 제작할 때 사용되는 합판에 적용시키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합판의 표면에 원목장식지나 멜라민장식지를 냉각접착 또는 열접착에 의해 접착할 때 나타나는 합판의 휘어짐 현상을 방지하기에는 역부족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합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두께가 두꺼운 합판을 이용하여야 하는 바, 합판의 두께가 최소 1cm 이상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합판의 가격이 비싸질 수 밖에는 없어 양산되는 실내바닥재 또는 문이나 싱크대의 가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얇은 두께를 사용하고자 하는 실내바닥재나 문 또는 싱크대에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 합판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합판을 제1합판층과 제2합판층으로 구성하고 이 제1합판층과 제2합판층의 사이에 평형층을 적층 구성하여 평형층에 의해 합판의 휘어지는 휨성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줌으로써 원목장식지나 멜라민장식지를 표면에 냉각접착 또는 열접착에 의해 접착할 때 합판의 휨변형을 방지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합판의 견고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한 휨 방지 합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휨 방지 합판은, 하부측에 위치 구성되는 제1합판층과; 상기 제1합판층의 상면에 적층되는 평형층과; 상기 평형층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2합판층과; 상기 제2합판층의 표면에 접착층에 의해 접착되는 장식층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평형층은, 종이, PVC, PE, PET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평형층의 두께는 0.5mm ~ 10mm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합판층의 저면에는 본드와 같은 접착제가 인입되는 접착홈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합판층의 표면에 접착층에 의해 접착되는 장식층은, 멜리민장식지, 원목장식지, 방화판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인 휨 방지 합판은, 합판을 구성하는 제1합판층과 제2합판층 사이에 합판의 평형성을 유지하는 평형층이 더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합판의 표면에 접착층에 의해 접착되는 장식층인 원목장식지 또는 멜라민장식지를 접착하는 공정에서의 냉각접착 또는 열접착에 의해 발생되는 합판의 휨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합판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합판의 표면에 대한 평면성이 고르게 유지될 수 있어 실내의 바닥시공 또는 문이나 싱크대의 제작이 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합판의 견고성이 크게 향상된다.
도 1은 본 고안인 휨 방지 합판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인 휨 방지 합판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휩 방지 합판은, 실내의 마감 바닥재나 문 또는 싱크대를 제작할 때 사용되는 합판으로서, 하부측에 위치 구성되는 제1합판층(1)과, 상기 제1합판층(1)의 상면에 적층되는 평형층(2)과, 상기 평형층(2)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2합판층(3)과, 상기 제2합판층(3)의 표면에 접착층(4)에 의해 접착되는 장식층(5)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평형층(2)은, 종이재질이나 또는 PVC(폴리염화비닐), PE(폴리에틸렌), PET(폴리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평형층(2)의 재질이 PVC(폴리염화비닐), PE(폴리에틸렌), PET(폴리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면, 본 고안인 휨 방지 합판을 실내 바닥 마감재로 사용할 때 실내의 바닥에 잔류하거나 발생되는 습기가 외부인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휨 방지 합판을 문 또는 싱크대를 구성하는 합판으로 사용할 때에는 외부의 습기가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크라프트지나 문화용지, 장식지, 장판 전문용 평형지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PVC 막이나 PE 막, PET 막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 때의 평형층(2)의 장력은 상기 장식층(5)의 장력에 대응되는 접촉장력과 같거나 또는 비슷하면 되는 것으로, 상기 평형층(2)의 두께(T)는 0.5mm ~ 10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합판층(3)의 표면에 접착층(4)에 의해 접착되는 장식층(5)은, 멜리민장식지, 원목장식지, 방화판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합판층(1)의 상부측에 제2합판층(3)을 적층 구성하지 않고, 제1합판층(1)의 상면에 상기 평형층(2)을 적층 구성한 다음, 접착층(4)을 바로 평형층(2)의 표면에 도포하여 장식층(5)을 접착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휨 방지 합판은, 합판층(1)(3)에 평형층(2)이 더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평형층(2)에 의해 합판층(1)(3)의 평형성이 유지될 수 있음으로써 접착층(4)을 이용하여 장식층(5)을 접착 구성할 때 냉각접착이나 열접착의 공정 시 합판층(1)(3)들이 휘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실내의 마감 바닥재나 문 또는 싱크대의 제작공정에 사용되는 합판이 휨변형이 방지되어 불량률을 줄이고, 시공시에 작업자가 전체적인 평면을 고르게 유지할 수 있으며 견고성이 크게 향상된다.
다시 말해, 장식층(5)을 접착층(4)을 이용하여 장식층(5)의 종류에 따라 각각 냉각접착이나 열접착으로 합판층의 표면에 접착하는 접착공정 시에 발생되는 온도 차이에 의해 장식층(5)의 장력이 신장되어 장식층(5)이 늘어나더라도 상기 평형층(2)에 의해 합판층(1)(3)의 평형상태가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합판층(1)(3)이 휘어짐에 따라 나타나는 휨변형이 방지된다.
도 2는 본 고안인 휨 방지 합판이 실내 바닥 마감재로 사용될 때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1합판층(1)의 저면에는 본드와 같은 접착제가 인입되는 접착홈(6)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접착홈(6)은, 상기 평형층(2)의 장력과 장식층(5)의 장력을 동일 또는 비슷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평형층(2)을 간섭하지 않는 범위까지의 상기 제1합판층(1)의 저면에 요입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실내의 바닥에 도포되는 본드와 같은 접착제가 실내의 바닥면에 깔려지는 상기 제1합판층(1)의 저면에 형성된 접착홈(6)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어 합판층(1)(3) 및 평형층(2)으로 구성되는 본 고안인 휨 방지 합판이 실내의 바닥에 견고하게 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고안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 : 제1합판층 2 : 평형층
3 : 제2합판층 4 : 접착층
5 : 장식층 6 : 홈
T : 평형층 두께

Claims (6)

  1. 하부측에 위치 구성되는 제1합판층(1)과;
    상기 제1합판층(1)의 상면에 적층되는 평형층(2)과;
    상기 평형층(2)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2합판층(3)과;
    상기 제2합판층(3)의 표면에 접착층(4)에 의해 접착되는 장식층(5)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 방지 합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형층(2)은, 종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 방지 합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형층(2)은, PVC, PE, PET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 방지 합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형층(2)의 두께(T)는 0.5mm ~ 10mm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 방지 합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합판층(1)의 저면에는 본드와 같은 접착제가 인입되는 접착홈(6)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 방지 합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합판층(3)의 표면에 접착층(4)에 의해 접착되는 장식층(5)은, 멜리민장식지, 원목장식지, 방화판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 방지 합판.
KR2020100005309U 2010-03-27 2010-05-20 휨 방지 합판 KR2011000951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309U KR20110009517U (ko) 2010-03-27 2010-05-20 휨 방지 합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20148157.6 2010-03-27
KR2020100005309U KR20110009517U (ko) 2010-03-27 2010-05-20 휨 방지 합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517U true KR20110009517U (ko) 2011-10-06

Family

ID=45597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309U KR20110009517U (ko) 2010-03-27 2010-05-20 휨 방지 합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951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8466B2 (en) Flooring having surface layer of synthetic resin and wood-based board
EP2957691B1 (en) Panel suitable for assembling a waterproof floor or wall covering, method of producing a panel
US11619053B2 (en) Panel suitable for assembling a waterproof floor or wall covering, method of producing a panel
EP3312362B1 (en) Multi-layer elastic floor panel having a reinforced pvc core
DK1938963T4 (en) floor panel
KR20190085007A (ko) 플로어 패널 및 플로어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BR112015008945B1 (pt) Tábua à prova d'água
US20060024465A1 (en) Laminate flooring members
JP2000170361A (ja) メラミンシ―ト積層装飾用床被覆材及びその製造方法
EP2246188A1 (en) Prefabricated modular laminate element for floors
KR101722537B1 (ko)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다기능 마루 바닥재
EP3192939B1 (en) Skirting board, decorative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kirting board
US11975510B2 (en) Engineered plan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755075B1 (ko)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
US20230330980A1 (en) Composite panel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KR101018719B1 (ko) 방수 절곡 내장재,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구 및 건축 구조체 마감방법
KR20110009517U (ko) 휨 방지 합판
KR20110010976U (ko) 휨 방지 합판
JP7282429B2 (ja) 硬質床材
KR20150124159A (ko) Pvc 수지를 이용한 벽장재
JP2009190310A (ja) 防湿合板の製造方法および該防湿合板を用いた床板
KR101277469B1 (ko) 기능성 복합마루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03070U (ko) Diy용 데코타일
TH2101003124A (th) แผงตกแต่งและพื้นตกแต่งประกอบด้วยแผงดังกล่าว
CH698711B1 (it) Pannello di laminato plastico, particolarmente per pavimentazioni per esterno, e struttura portante comprendente uno o più di tali pannel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