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203A - 하트비트 신호 발생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트비트 신호 발생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203A
KR20110009203A KR1020107026880A KR20107026880A KR20110009203A KR 20110009203 A KR20110009203 A KR 20110009203A KR 1020107026880 A KR1020107026880 A KR 1020107026880A KR 20107026880 A KR20107026880 A KR 20107026880A KR 20110009203 A KR20110009203 A KR 20110009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heartbeat
heartbeat signal
generating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6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6293B1 (ko
Inventor
넬슨 세토
피터 몬네스
토마스 앤드류 헨게벨드
Original Assignee
파인 밸리 인베스트먼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인 밸리 인베스트먼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파인 밸리 인베스트먼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09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5Maintenance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0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 H04L43/103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with adaptive polling, i.e. dynamically adapting the polling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3Termination or inactivation of sessions, e.g. event-controlled end of session
    • H04L67/145Termination or inactivation of sessions, e.g. event-controlled end of session avoiding end of session, e.g. keep-alive, heartbeats, resumption message or wake-up for inactive or interrupted s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하트비트 신호 발생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방법(30)은 통신 조건을 판정하는 단계(38) 및 판정된 통신 조건에 기초하여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42)를 포함한다. 시스템(20)은 복수의 통신 셀(26) 및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디바이스(28)를 포함한다.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레이트는 (i)서비스 우선순위 또는 사용자 그룹 및 (ii)복수의 통신 셀의 각각에 대한 네트워크 유형에 대한 통신 요건 중 하나에 기초한다.

Description

하트비트 신호 발생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HEARTBEAT SIGNAL GENERATION}
본원에 개시된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 시스템내에서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등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통신 디바이스간 정보를 통신하기 위하여 복수의 통신 채널이 제공된다. 통신 채널의 각각은 다수의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는 특정량의 대역폭을 제공한다. 특정 채널상에서 통신하기 위해서 디바이스는 채널을 사용하여 링크를 확립한다. 디바이스에 의한 채널로의 지속적 액세스는 디바이스가 여전히 채널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네트워크에 디바이스가 나타낼 것을 필요로 한다. 디바이스가 여전히 채널에 액세스하고 있다는 인디케이션을 디바이스로부터 네트워크가 수신하지 않으면, 시스템은 커넥션을 종료할 것이다. 그러므로, 특정 네트워크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채널로의 커넥션을 유지하도록 하트비트 신호를 보낸다.
제너럴 패킷 라디오 서비스(GPRS) 네트워크와 같은 어떤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다른 커넥션이 이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회로 스위치드 커넥션은 2개의 통신 디바이스간과 같이 네트워크에서의 2개의 엔드-포인트간 이용될 수 있다. 셀룰러 디지털 패킷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패킷 데이터 커넥션도 이용가능하다. 이들 다른 커넥션은 다른 레이턴시를 제공할 수 있다. 패킷 데이터 커넥션을 유지하기 위하여, 하트비트 신호는 패킷 데이터 커넥션을 사용하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어야 한다. 하트비트 신호가 (네트워크에 의해 판정되는 바와 같이) 패킷 데이터 커넥션의 미사용의 소정 시간에 송신되지 않으면, 커넥션은 타임아웃 될 수 있고 디바이스는 패킷 데이터 커넥션을 잃을 수 있다(커넥션이 공유되기 때문). 패킷 데이터 커넥션으로의 액세스는 재획득될 수 있지만 전형적으로는 어떤 시간 이후에만 가능하고 따라서 통신에 레이턴시를 부가한다.
그러므로, 디바이스와 시스템간 하트비트 신호는 디바이스와 시스템의 데이터 링크 커넥션을 유지하기 위해 요구된다. 요구되는 하트비트 신호의 빈도는 시스템 설정이다.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 및 하트비트 신호 요건을 설정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알려져 있는 것은 정적이고 비유연성인 것이 전형적이여서 시스템 자원의 비효율적 사용의 결과를 초래한다.
본 솔루션은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에 의해 제공된다. 이 방법은 통신 조건을 판정하고 판정된 통신 조건에 기초하여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솔루션은 다른 통신 요건에 대한 하트비트 발생 레이트(heartbeat generation rate)를 판정하고 현재의 통신 요건에 대응하는 레이트로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제공된다.
또한 본 솔루션은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디바이스 및 복수의 통신 셀을 포함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다.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레이트는 (i)서비스 우선순위 또는 사용자 그룹 및 (ii)복수의 통신 셀의 각각에 대한 네트워크 유형에 대한 통신 요건 중 하나에 기초한다.
도 1은 하트비트 신호가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블록선도,
도 2는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동적 하트비트 신호 발생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레디니스 레벨에 기초한 가변 하트비트 신호 발생 파형을 예시하는 그래프,
도 4는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우선순위 또는 사용자 그룹에 기초하여 하트비트 레이트를 설정하는 방법의 흐름도, 및
도 5는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베어러 유형에 기초하여 하트비트 레이트를 설정하는 방법의 흐름도.
본원발명의 특정 실시예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전술한 개요도 첨부 도면과 결합하여 읽으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면은 다양한 실시예의 기능적 블록선도를 예시하는 정도이고, 기능적 블록은 반드시 시스템 컴포넌트 또는 하드웨어 회로 사이의 구분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기능적 블록 중 하나 이상(예를 들어 프로세서들 또는 메모리들)은 단일체의 하드웨어(예를 들어 범용 신호 프로세서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등)에서 구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프로그램은 자립형 프로그램일 수도 있고, 운영체제에 서브루틴으로 편입될 수도 있고, 설치된 소프트웨어 패키지에서의 함수들일 수도 있는 등등이다. 다양한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된 배치 및 수단에 국한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형으로 인용되는 엘리먼트 또는 단계는 배제한다고 명시적으로 설명이 없으면 복수의 엘리먼트 또는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나아가, 본원발명의 "일실시예"의 언급은 인용된 특징을 또한 편입하고 있는 부가적인 실시예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시적으로 반대로 설명되고 있지 않으면, 특정 속성을 갖는 복수의 엘리먼트 또는 하나의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또는 "갖는" 실시예는 그 속성을 갖지 않는 부가적인 그러한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방법은 자동으로 그리고 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하트비트 신호의 발생은 다른 레이트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하트비트 신호의 더 낮은 레이트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소시켜 통신 디바이스 예를 들어 셀룰러 전화기 또는 랜드 모바일 라디오(LMR)의 배러티 수명을 절약할 수 있는 특정 시간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하트비트 신호라는 용어는 네트워크 커넥션 또는 채널을 유지시키기 위해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되는 임의의 신호를 말한다. 나아가, 여기서 사용되듯이, 동적 또는 동적으로 발생시킨다는 용어는 변화하는 조건 또는 다른 요인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하트비트를 다른 레이트로 발생시키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는 동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은 특정 조건 또는 요인에 기초하여 하트비트의 발생 레이트를 변경 또는 수정하는 것 및 동적 변경이 자동으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동적 발생은 프리셋 프로파일(preset profile), 소정 시간 등에 기초하는 것과 같이 임의의 이유로 하트비트 발생 레이트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룰러 통신 시스템(20)과 같은 다른 유형의 통신 시스템들에서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셀룰러 통신 시스템(20)은 복수의 셀룰러 데이터 네트워크 기지국(22) 및 복수의 음성 서버(24)를 포함한다. 음성 서버(24)는 음성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VNIC) 서버와 같은 메인 음성 서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될 수 있음을 유념하여야한다. 또한, 음성 서버(24)는 음성 서버(24)가 다른 셀과 다른 시간에 연관될 수 있음을 나타내도록 도시되어 있고 일실시예에서는 음성 서버가 중앙 데이터 센터(도시하지 않음)에 물리적으로 위치되어 있다. 복수의 셀룰러 데이터 네트워크 기지국(22)의 각각은 대응하는 셀룰러 데이터 네트워크 통신 커버리지 에어리어(26; 통신 셀 또는 셀이라 불리기도 한다)를 갖는다. 셀룰러 데이터 네트워크 통신 커버리지 에어리어(26; coverage area)는 어떤 위치에서는 중첩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통신 유닛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UE; 28) 또는 다른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가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공유 채널(예를 들어 데이터 패킷 채널)을 사용하는 것과 같이 다른 UE(28)와 통신하게 하고,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그 채널로의 커넥션을 유지하게 한다. UE(28)는, 예를 들어, 셀룰러 데이터 통신 패킷을 송신 및 수신함으로써 제너럴 패킷 라디오 서비스(GPRS) 시스템을 통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 랜드 모바일 라디오일 수 있다.
하트비트 신호 발생 예를 들어 자동화된 동적 하트비트 신호 발생을 위한 방법(30)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방법(30)은 하트비트 신호가 발생되는 레이트를 조절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단계(32)에서는 특별 사용자 장비 예를 들어 특별 사용자 디바이스를 위한 하트비트 신호 발생에 대한 하나 이상의 프리셋 프로파일이 액세스된다. 프리셋 프로파일은 사용자 디바이스상에(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미리 로딩된) 또는 네트워크상에(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서버내에 저장된) 상주할 수 있다. 옵션으로서, 사용자 디바이스에의 주기적 업데이트는 프리셋 프로파일의 업데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셋 프로파일은 하트비트 신호를 위한 다른 알고리즘일 수 있고, 변화될 수 있다. 프리셋 프로파일이 액세스된 후에, 단계(34)에서 다른 프리셋 프로파일이 식별되고, 프로파일의 각각에 대한 특정 특성, 요건 또는 조건을 식별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다른 프리셋 프로파일을 초기화하고 실행하기 위한 특정 요건(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에 이용가능한 서비스의 유형) 또는 조건(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의 시간 및 위치 조건)이 식별될 수 있다.
단계(34)에서의 식별에 기초하여, 단계(36)에서는 현재 이용가능한 프리셋 프로파일에 관하여 판정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어떤 프리셋 프로파일은 가입(또는 비용)을 위해 이용될 수 있을 뿐일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와 연관된 특별한 사용자에 이용될 수 있을 뿐일 수도 있다. 그 이후, 현재의 통신 조건이 단계(38)에서 판정된다. 판정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현재의 정체 레벨, 사용자 디바이스의 위치, 시각, 우선순위 레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참조로써 편입되고 동시 계류중인 출원에 설명되어 있다.
선택사항으로서, 이력상의 네트워크 행동(historical network behavior) 또는 이력상의 사용자 행동은 현재의 통신 조건의 인수가 될 수 있다.
현재의 통신 조건이 단계(38)에서 판정된 이후에, 판정된 통신 조건에 기초한 프리셋 프로파일이 단계(40)에서 선택된다. 예를 들어, 프리셋 프로파일과 연관된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알고리즘이 선택된다. 프리셋 프로파일은 하트비트 신호가 발생되는 가변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발생 빈도를 정의할 수 있다. 그후에, 단계(42)에서 하트비트 신호는 선택된 현존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발생된다. 특히, 특정 사용자 디바이스는 선택된 사용자 프로파일에 의해 정의된 프로그램, 프로시저, 알고리즘 등에 기초하여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후 단계(44)에서 통신 조건이 변경되었는지에 관하여 판정이 이루어진다. 통신 조건이 변경되지 않았다면 그때는 선택된 프리셋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현재의 하트비트 발생이 유지된다. 그러나, 단계(44)에서 통신 조건이 변경되었다는 판정이 이루어지면, 그때는 변경 유형에 의존하여, 새로운 프리셋 프로파일이 단계(40)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하트비트 신호가 선택된 프리셋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발생되되는데, 하트비트 신호는 이전의 하트비트 발생 빈도로부터 빈도가 변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는,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자동화된(예를 들어 자동으로 수행되는) 그리고 동적인 방법이 제공된다. 다른 프리셋 프로파일의 다양한 실시예 및 예시가 이제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다양한 실시예는 이하 설명되는 예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수정/변화가 고려됨을 유념하여야 한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는 하트비트 신호의 발생 빈도 또는 발생 레이트 등 하트비트 신호의 발생에서의 임의의 자동화된 및/또는 동적인 변경을 제공한다. 여기서는 프리셋 프로파일을 언급하지만 다양한 실시예는 프리셋 프로파일에 국한되지 않음을 유념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임의 유형의 프로세스 또는 프로시저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프리셋 프로파일은 무선 시스템의 데이터 링크 유지 설정에 기초한 시간동안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전형적으로 시스템 설정은 패킷 데이터 커넥션으로의 현재의 커넥션을 유지하기 위한 것과 같이 현재의 시스템 데이터 링크 액세스 상태를 유지하도록 사이클 당 소정 수의 하트비트(예를 들어, 2개의 하트비트)를 정의한다. 따라서, 프리셋 프로파일은 사이클 당 요구되는 수로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패킷이 손실되는 것을 회피하도록 리던던시를 위해 부가되는 더 많은 하트비트 신호가 존재할 수 있음을 유념하여야 한다. 어떤 상황에서, 소정 수는 시스템이 데이터 링크상의 높은 트래픽 부하를 갖는 때 및 시스템이 하트비트 신호 레이트를 감소시키도록 및/또는 리던던트 하트비트 신호를 보내지 않아 네트워크 트래픽을 낮추고/낮추거나 디바이스의 배터리 수명을 증가시키도록 사용자에게 요청하거나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는 경우 등에서 변경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 문턱값 설정은 발생된 하트비트 신호 레이트에 링크된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프리셋 프로파일은 업링크 커넥션 및 다운링크 커넥션 양자 상에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하트비트 신호는 각각의 링크상에서 다른 레이트로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디바이스에 미리 정의된 레이트로 하트비트 신호를 송신하도록 요청한다. 다운링크상에서의 하트비트 신호의 송신은 디바이스간 커넥션을 유지시키고 디바이스를 위한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시간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다운링크상의 하트비트 신호 레이트는 업링크상의 하트비트 신호 레이트와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커넥션을 위한 하트비트 발생 레이트는 업링크 커넥션을 위한 하트비트 발생 레이트보다 더 높을 수도 더 낮을 수도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프리셋 프로파일은 소망의 또는 요구되는 전송 레디니스 레벨(readiness level)에 기초하여 하트비트 신호의 발생 레이트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가변 하트비트 신호 발생 파형(50)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데이터를 송신할 요구되는 또는 소망되는 레디니스 레벨에 의존하여, 하트비트 신호에 대한 발생 레이트는 수정된다. 특히, 하트비트 레이트가 늘어짐에 따라, 교섭된 디바이스 상태는 고쳐지고,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의 푸시 투 토크(PTT) 기능의 레이턴시 또는 응답 시간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요구되는 또는 소망되는 레디니스 레벨이 증가함에 따라(예를 들어 더 빠른 액세스 시간), 하트비트 펄스의 발생 레이트는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지능형 또는 적응적 하트비트 발생 레이트가 제공된다. 다른 네트워크 상황에 대한 다른 프로파일은 더 지능적인 또는 동적인 하트비트 발생 및 송신 행동을 감안하도록 시스템 및/또는 디바이스에 부가될 수 있음을 유념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정체 동안, 하트비트 레이트는 모든 디바이스가 여기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사한 시각에서 리사이클링할 시스템 재시작 이벤트와의 비교에 기초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프리셋 프로파일은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에 기초하여 하트비트 레이트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하트비트 레이트는 통신 디바이스가 전송하고 있는 통신 셀 ID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임의의 정보는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를 판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셋 프로파일 또는 알고리즘은 동적 하트비트 신호 발생 또는 송신 행동을 감안하도록 시스템 및/또는 디바이스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하트비트 레이트 또는 프리셋 프로파일에서의 변경은 위치 커버리지 에어리어에 기초할 수 있다. 예로서, 어떤 에어리어에서의 네트워크 정체는 더 두드러질 수 있고 다른 하트비트 레이트 또는 프리셋 프로파일은 덜 정체된 에어리어와 비교하여 정의되고 사용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프리셋 프로파일은 시간에 걸쳐 네트워크 트래픽의 스프레딩을 허용하도록 하트비트 레이트를 랜덤화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이 재시작하는 경우에 있어서, 시스템은 일부 또는 모든 접속된 디바이스가 재시작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그러한 재시작이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하여 동시에 일어난다면(디바이스로의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그때 하트비트 신호는 동시에 일어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주기적 인터발에서의 트래픽의 집중 및 허용될 수 없는 트래픽 레이트가 초래된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시스템이 재시작한 후에, 하트비트 레이트는 다른 시간 동안 랜덤화된다. 예를 들어, 하트비트 레이트는 시스템이 리셋된 후에 제1 시간동안 랜덤화될 수 있다. 이러한 랜덤화는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하여 또는 수개의 다른 디바이스에 대하여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는 랜덤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하트비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균적으로, 하트비트 인터발의 90 퍼센트가 고정될 수도 있고 10 퍼센트가 고정될 수도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프리셋 프로파일은 이력상의 네트워크 행동에 기초하여 하트비트 레이트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하루, 일주일 또는 일년 동안의 어떤 시간에 네트워크 정체는 더 두드러질 수 있고 다른 시간/날짜에 비하여 이들 시간에는 다른 하트비트 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하트비트 레이트는 이력상으로 더 또는 덜 정체된 통신 트래픽을 갖는 시간 또는 날짜(예를 들어, 러시 아워 또는 늦은 밤 동안)에 기초하여 변화된다. 그러나, 변화되는 하트비트 레이트는 특정 데이터 트래픽 트렌드 등 다른 이력상의 네트워크 행동 또는 정보에 기초할 수도 있음을 유념하여야 한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프리셋 프로파일은 이력상의 사용자 행동에 기초하여 하트비트 레이트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사용자는 연이어 많은 PTT 통화를 하는 경향을 가질 수 있고 또는 하루 중 특별한 시간 동안 다수의 연속적인 통화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프리셋 프로파일은 사용자의 디바이스가 데이터 링크(예를 들어 패킷 데이터 링크)를 유지하도록 통화의 각각에 이어 하트비트 신호를 송신하게 하고 그리하여 성능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PTT 통화가 이력상으로 더 분산되는 사용자는 PTT 통화의 종료에 이어 그러한 높은 하트비트 레이트로 프로비젼닝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따라서, 하트비트 레이트는 사용자 행동에 기초하여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하나의 통화를 끝낸 직후에 적어도 하나의 통화를 하는 이력의 사용자에 대하여, 이러한 프리셋 프로파일은, 고속 커넥션으로 재접속해야할 때 지연을 초래하게 되는 고속 커넥션으로부터의 단절을 회피하도록 더 긴 시간 동안 고속 통신 커넥션을 유지하는 레이트로 하트비트 신호의 송신을 계속한다. 예를 들어, 통화 후에, 하트비트 신호 발생은 5초와 같이 소정 시간 동안 고속 커넥션을 유지하도록 더 높은 레벨로 남아있을 수 있다. 이후에, 통화가 개시되지 않으면 하트비트 레이트는 낮아져서 고속 커넥션이 종료된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프리셋 프로파일은 서비스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하트비트 레이트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요구되는 또는 소망되는 서비스의 유형(예를 들어 스탠다드 또는 프리미엄)에 기초하여 하트비트 레이트는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경찰 통신 유닛에 대하여는, 특히 긴급비상 동안, 또는 프리미엄 서비스에 대해 지불하는 사용자에 대하여는 하트비트 레이트가 증가된다. 대조적으로, 그리고 예를 들어, 택시 캡 통신 또는 선불 서비스와 같은 스탠다드 사용에 대하여는, 하트비트 레이트가 긴급비상 서비스를 위한 레이트보다 더 낮은 레이트로 유지되거나 감소된다. 그러므로,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다수의 문턱값은 다른 하트비트 레이트를 판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프리셋 프로파일은 사용자 그룹에 기초하여 하트비트 레이트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구급대원, 특수 경찰 등과 같은 하나의 그룹은 PTT 시스템상에서 낮은 레이턴시 응답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이들 유형의 그룹에 대한 통신 디바이스는 더 높은 하트비트 발생 레이트로 설정될 수 있다. 개인 그룹, 교통 순경 등과 같은 다른 그룹에 대하여는 더 높은 레이턴시가 허용될 수 있다. 이들 유형의 그룹에 대한 통신 디바이스는 더 낮은 하트비트 발생 레이트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하트비트 레이트는 특별 사용자에 의해 정의되는 그룹에 기초하여 결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우선순위 또는 사용자 그룹에 기초하여 하트비트 레이트를 변경하는 프리셋 프로파일에 관하여, 도 4에 도시된 방법(60)이 제공될 수 있다. 방법(60)은 단계(62)에서 하나 이상의 통신에 대하여 서비스 우선순위 또는 사용자 그룹 정보 중 하나를 판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통신 셀내에서 통신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그룹 우선순위 또는 서비스 우선순위에 관하여 판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판정의 결과는 서비스 우선순위 또는 그룹 우선순위에 의해 분류된 사용자의 리스트일 수 있다. 이후, 대응하는 하트비트 레이트, 그리고 특히, 통신 셀내의 다른 사용자들에 대한 대응하는 하트비트 발생 레이트가 판정된다. 판정은 사용자 그룹 또는 서비스 우선순위의 각각에 대한 프리셋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의 각각에 대한 하트비트 발생 레이트는 단계(66)에서 설정된다. 특히,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통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LMR)를 위한 하트비트 발생 레이트는 이후 설정된다. 예를 들어, 다른 커넥션 상태(예를 들어 고속 커넥션, 저속 커넥션 등)는 식별된 서비스 우선순위 또는 사용자 그룹 및 그에 따라 설정된 대응하는 하트비트 발생 레이트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연관될 수 있다. 그러므로, 더 높은 우선순위 통화(예를 들어 긴급비상 통화 또는 프리미엄 서비스)에 대하여 하트비트 발생 레이트는 고속 커넥션을 유지하도록 더 높은 레벨로 설정되고 더 낮은 우선순위 통화에 대하여 하트비트 발생 레이트는 고속 커넥션이 반드시 유지되는 것은 아니도록 또는 유지되지 않도록 더 낮은 레벨로 설정된다. 각각의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하트비트 발생 레이트의 설정은 통신 셀내의 다른 통신 디바이스를 고려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통신 디바이스를 고려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사용자의 커넥션은 고속 커넥션을 유지하도록 하트비트 발생 레이트가 설정되는 더 높은 우선순위 통신에 대하여 대역폭이 필요할 때 하트비트 발생 레이트를 낮춤으로써 열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그때 단계(68)에서 더 높은 우선순위 통신이 통신 셀에 지금 존재하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통신 셀내에 더 높은 우선순위 통신이 존재하지 않으면, 그후 단계(70)에서 모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현재의 하트비트 발생 레이트가 유지된다. 통신 셀내 새로운 긴급비상 커넥션과 같이 우선순위 통신에 변경이 있거나 어떤 통신이 긴급비상 통화로 되면, 단계(66)에서 하트비트 발생 레이트는 다시 설정된다(또는 변경된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프리셋 프로파일은 데이터 베어러(data bearer)에 기초하여 하트비트 레이트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하트비트 레이트는 통신 디바이스가 통신하고 있는 특정 프로토콜 또는 네트워크 표준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 및 셀룰러 통신 표준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디바이스는 PTT 애플리케이션 정보의 베어러에 의존하여 다른 하트비트 레이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른 네트워크에 의해 서비스될 수 있는 다른 통신 셀을 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가 이동할 때와 같이 변경될 수 있는 네트워크 커넥션에 대한 프로토콜 또는 표준에 기초하여 하트비트 레이트는 하트비트를 송신하는 것으로부터 하트비트를 송신하지 않는 것으로 또는 하트비트를 더 높은 레이트로 송신하는 것으로부터 하트비트를 더 낮은 레이트로 송신하는 것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는 어떤 특정 네트워크로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유념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는 GSM 에볼루션용 인핸스트 데이터 레이트(EDGE) 네트워크,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네트워크, 유니버설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 시스템(UMTS) 네트워크, 광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CDMA) 네트워크, 제너럴 패킷 라디오 서비스(GPRS) 네트워크 또는 일반적으로 임의의 2G, 3G, 4G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다른 셀룰러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베어러에 기초하여 변하는 프리셋 프로파일에 관하여, 도 5에 나타낸 방법(80)이 제공될 수 있다. 방법(80)은 단계(82)에서 현재의 베어러 유형을 판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현재의 네트워크 유형 또는 프로토콜은 판정되는데,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휴대용 LMR 유닛)가 W-CDMA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 셀에 있다는 것일 수 있다. 이후, 단계(84)에서 특정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대한 하트비트 발생 레이트 요건 또는 프리셋 프로파일이 식별된다. 예를 들어, W-CDMA 네트워크 통신 셀에서, 배터리 절약/공유 대역폭 하트비트 발생 모드, 통화 종료 하트비트 발생 모드, 청취 하트비트 발생 모드 및 연장된 듀레이션 하트비트 발생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다른 하트비트 발생 요건이 식별될 수 있다. 이들 하트비트 발생 모드의 각각에 대하여, 다른 하트비트 발생 레이트가 요구되거나 또는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 열거된 발생 레이트는 예시적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이고 다른 값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그리고 예를 들어, 배터리 절약/공유 대역폭 모드에서 다른 여러 하트비트 레이트는 다음과 같이 제공될 수 있다.
비유휴 상태로 유지: 30분마다 발생되는 하트비트 신호.
배터리 절약 상태: 10분마다 발생되는 하트비트 신호.
공유 채널 상태: 10초마다 발생되는 하트비트 신호.
통화 종료 하트비트 발생 모드에서 다른 여러 하트비트 레이트는 다음과 같이 제공될 수 있다.
통화의 바로 직후: 고속 커넥션을 유지하도록(예를 들어 1-2초마다) 발생되는 하트비트 신호.
통화 후 소정 시간 후(통화 후 5-10초): 공유 채널을 유지하도록 10초마다 발생되는 하트비트 신호.
청취 하트비트 발생 모드에서 하트비트 레이트는 다음과 같이 제공될 수 있다.
활성 통화 동안 통신되는 데이터/음성 없음: 단절되는 커넥션 이전의 소정 시간(예를 들어 고속 커넥션 통화 단절 시간의 반) 또는 20초마다 발생되는 하트비트 신호.
연장된 듀레이션 하트비트 발생 모드에 있어서 하트비트 레이트는 다음과 같이 제공될 수 있다.
24시간 동안 통신되는 데이터/음성 없음: 8시간마다(예를 들어 콘텍스트 커넥션을 잃은 동안의 시간의 3분의 1) 발생되는 하트비트 신호.
하트비트 신호 발생에 대한 다양한 레이트는 다른 W-CDMA 시스템에 대하여 변화될 수 있음을 유념하여야 한다.
다시 방법(80)을 보면, 하트비트 발생 레이트는 각각의 모드에 대하여 식별되는 레이트를 만족시키도록 설정된다. 또한, 통신 디바이스의 현재 모드 및 그에 따라 설정되는 하트비트 레이트에 관하여 판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가 배터리 절약/공유 대역폭 모드에 있으면, 하트비트 신호는 배터리 전원을 절약하도록 또는 위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의 공유 대역폭을 유지하도록 발생된다.
이후에, 단계(88)에서 베어러 유형이 변경되었는지에 관하여 판정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다른 통신 셀내로 이동하는 통신 디바이스의 결과로 네트워크 유형 또는 프로토콜이 변경되었는지에 관하여 판정이 이루어진다. 통신 디바이스가 여전히 동일한 통신 셀에 있거나 동일한 네트워크 유형 또는 프로토콜을 갖는 다른 통신 셀로 이동하였다면, 단계(90)에서 현재의 하트비트 발생 레이트는 유지된다. 그러나, 다른 네트워크 유형 또는 프로토콜을 갖는 다른 통신 셀로 통신 디바이스가 이동하였다면 또는 네트워크 유형 또는 프로토콜이 현재의 통신 셀에서 변경되었다면, 단계(84)에서 다른 모드에 대한 하트비트 발생 레이트 요건이 판정된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가 W-CDMA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통신 셀로부터 EDGE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통신 셀로 이동하면, 그때 다른 하트비트 발생 레이트가 정의되거나, 어떤 모드는 제거되거나 또는 어떤 모드는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CDMA 통신 셀로부터 EDGE 통신 셀로 이동할 때 배터리 절약/공유 대역폭 모드는 제거된다.
다른 가변 또는 동적 하트비트 레이트가 제공될 수 있음을 유념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문턱값 등에 기인하여) 통신 타임아웃에 이어서, 하트비트 레이트 및/또는 프리셋 프로파일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다른 레벨의 하트비트 레이트를 갖는 다수 레벨의 서비스도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공될 수 있음을 유념하여야 한다. 부가적으로, 다양한 프리셋 프로파일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는 다른 프로파일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도록 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양한 실시예는 자동화된/자동 및/또는 동적 하트비트 신호 발생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 시스템 또는 통신 디바이스, 또는 거기의 컨트롤러 등의 다양한 실시예 또는 컴포넌트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예를 들어 인터넷에 액세스하기 위해 컴퓨터, 입력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통신 버스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리드 온리 메모리(ROM)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광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탈부착 저장 드라이브 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일 수 있는 저장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 디바이스는 컴퓨터 시스템내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다른 명령어를 로딩하기 위한 다른 유사한 수단일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컴퓨터"라는 용어는 마이크로컨트롤러, 축소 명령 세트 회로(RISC),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논리 회로, 및 여기 설명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회로 또는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시스템을 포함하는 임의의 프로세서 기반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들은 예시적일 뿐이고 그러므로 "컴퓨터"라는 용어의 정의 및/또는 의미를 결코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컴퓨터 시스템은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저장 엘리먼트에 저장되어 있는 일세트의 명령어를 실행한다. 또한 저장 엘리먼트는 소망대로 또는 요구대로 데이터 또는 다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엘리먼트는 프로세싱 머신내 물리적 메모리 엘리먼트 또는 정보 소스의 형태일 수 있다.
명령어 세트는 프로세싱 머신으로서의 컴퓨터에게 본원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방법 및 프로세스와 같은 특정 연산을 수행하도록 명령하는 다양한 커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 세트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형태일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와 같은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나아가, 소프트웨어는 개별 프로그램들의 모음, 더 큰 프로그램내의 프로그램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의 일부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형태로 모듈러 프로그래밍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싱 머신에 의한 입력 데이터의 처리는 사용자 커맨드에 응답하여, 또는 이전의 처리 결과에 응답하여, 또는 또다른 프로세싱 머신에 의해 행해진 요청에 응답하여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듯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는 교환될 수 있고 RAM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및 비휘발성 RAM(NVRAM) 메모리 등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해 메모리에 저장된 임의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 유형은 예시적일 뿐이고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에 사용될 수 있는 메모리의 유형에 관하여 그렇게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고,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및/또는 그 태양)는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더하여, 본원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그 교시에 특정 상황 또는 소재를 적응시키도록 많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방법에 인용된 단계의 순서는 명시적으로 진술하거나 묵시적으로 요구되는 것(예를 들어, 하나의 단계는 이전 단계의 산물 또는 결과가 이용될 수 있도록 요구한다)이 아니라면 특정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여기서 설명된 소재의 유형 및 디멘션은 본원발명의 파라미터를 경계지으려는 것은 아니며, 그것은 결코 제한하는 것도 아니며, 예시적인 실시예이다. 상기 설명의 검토 및 이해로 많은 다른 실시예가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함께 그러한 청구항에 부여되는 균등물의 전 범위를 참조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첨부한 청구항에서, "포함하는" 및 "거기서"라는 용어는 "이루어진" 및 "그안에"라는 각각의 용어의 평이한 영어의 등가로 사용된다. 더하여, 이하의 청구항에서,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는 단지 라벨로 사용될 뿐이고, 그 대상에 수치적 요건을 부과하려는 것은 아니다.

Claims (20)

  1. 통신 조건을 판정하는 단계(38); 및
    판정된 통신 조건에 기초하여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3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트비트 신호를 자동으로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30).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42)는 발생 레이트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30).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트비트 신호는 하나 이상의 통신 조건에 기초하여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레이트를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셋 프로파일(36)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30).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42)는 데이터 링크 유지 설정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30).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42)는 업링크 통신 및 다운링크 통신의 각각에 대하여 다른 레이트로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30).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조건은 전송 레디니스 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30).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조건은 통신 디바이스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30).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트비트 신호는 랜덤하게 발생된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30).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조건은 이력상의 네트워크 행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30).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조건은 이력상의 사용자 행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30).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조건은 서비스 우선순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30).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우선순위는 통신의 우선순위 레벨 및 서비스의 유형 중 하나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30).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조건은 사용자 그룹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30).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조건은 데이터 베어러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30).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어러는 통신 셀의 네트워크 유형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42)는 네트워크 유형의 각각내의 다른 모드에 기초하여 하트비트 신호 레이트를 변경하는 단계(8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30, 80).
  17. 다른 통신 요건에 대한 하트비트 발생 레이트를 판정하는 단계(36); 및
    현재의 통신 요건에 대응하는 레이트로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30).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통신 요건은 하나 이상의 통신에 대한 동작 특성에 의해 정의되는 통신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30).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는 배터리 절약/공유 대역폭 하트비트 발생 모드, 통화 종료 하트비트 발생 모드, 청취 하트비트 발생 모드 및 연장된 듀레이션 하트비트 발생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각각의 모드는 다른 동작 특성에 대하여 다른 하트비트 발생 요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30).
  20. 복수의 통신 셀(26); 및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디바이스(28);를 포함하고,
    하트비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레이트는 (i)서비스 우선순위 또는 사용자 그룹 및 (ii)복수의 통신 셀의 각각에 대한 네트워크 유형에 대한 통신 요건 중 하나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20).
KR1020107026880A 2008-05-02 2009-04-29 하트비트 신호 발생 방법 및 시스템 KR101256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010408P 2008-05-02 2008-05-02
US61/050,104 2008-05-02
US12/431,606 2009-04-28
US12/431,606 US8724486B2 (en) 2008-05-02 2009-04-28 System and method for heartbeat signal generation
PCT/US2009/002731 WO2009134453A1 (en) 2008-05-02 2009-04-29 System and method for heartbeat signal gene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203A true KR20110009203A (ko) 2011-01-27
KR101256293B1 KR101256293B1 (ko) 2013-04-18

Family

ID=40887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880A KR101256293B1 (ko) 2008-05-02 2009-04-29 하트비트 신호 발생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724486B2 (ko)
EP (1) EP2286630B1 (ko)
JP (1) JP5148748B2 (ko)
KR (1) KR101256293B1 (ko)
CN (1) CN102217402B (ko)
AU (1) AU2009241693B2 (ko)
CA (1) CA2722156C (ko)
MX (1) MX2010011906A (ko)
RU (1) RU2461998C2 (ko)
WO (1) WO20091344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537B1 (ko) * 2017-12-20 2019-04-29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하둡 분산 파일 시스템에서의 하트비트 교환 주기 관리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06748B2 (en) 2009-01-28 2013-03-26 Headwater Partners I Llc Adaptive ambient services
US8402111B2 (en) 2009-01-28 2013-03-19 Headwater Partners I, Llc Device assisted services install
US8832777B2 (en) 2009-03-02 2014-09-09 Headwater Partners I Llc Adapting network policies based on device service processor configuration
US8346225B2 (en) 2009-01-28 2013-01-01 Headwater Partners I, Llc Quality of service for device assisted services
US8391834B2 (en) 2009-01-28 2013-03-05 Headwater Partners I Llc Security techniques for device assisted services
US8589541B2 (en) 2009-01-28 2013-11-19 Headwater Partners I Llc Device-assisted services for protecting network capacity
US8275830B2 (en) 2009-01-28 2012-09-25 Headwater Partners I Llc Device assisted CDR creation, aggregation, mediation and billing
US8630192B2 (en) 2009-01-28 2014-01-14 Headwater Partners I Llc Verifiable and accurate service usage monitoring for intermediate networking devices
US10798252B2 (en) 2009-01-28 2020-10-06 Headwater Research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notifications
US10779177B2 (en) 2009-01-28 2020-09-15 Headwater Research Llc Device group partitions and settlement platform
US9706061B2 (en) 2009-01-28 2017-07-11 Headwater Partners I Llc Service design center for device assisted services
US10326800B2 (en) 2009-01-28 2019-06-18 Headwater Research Llc Wireless network service interfaces
US10484858B2 (en) 2009-01-28 2019-11-19 Headwater Research Llc Enhanced roaming services and converged carrier networks with device assisted services and a proxy
US9980146B2 (en) 2009-01-28 2018-05-22 Headwater Research Llc Communications device with secure data path processing agents
US9572019B2 (en) 2009-01-28 2017-02-14 Headwater Partners LLC Service selection set published to device agent with on-device service selection
US11985155B2 (en) 2009-01-28 2024-05-14 Headwater Research Llc Communications device with secure data path processing agents
US10237757B2 (en) 2009-01-28 2019-03-19 Headwater Research Llc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offloading
US9565707B2 (en) 2009-01-28 2017-02-07 Headwater Partners I Llc Wireless end-user device with wireless data attribution to multiple personas
CN102685768B (zh) * 2011-03-08 2016-02-03 华为技术有限公司 心跳消息的处理方法、心跳周期的获取方法及接入网设备
WO2012174006A1 (en) * 2011-06-14 2012-12-2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Efficiently maintaining communications connectivity for a plurality of applications
US9137268B2 (en) * 2012-01-17 2015-09-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terminal, and server for obtaining heartbeat period
CN103209089B (zh) * 2012-01-17 2016-06-08 华为技术有限公司 心跳周期的获取方法及终端、服务器
JP2013207495A (ja) * 2012-03-28 2013-10-07 Kddi Corp 回線監視方法および方式
CN103514039B (zh) * 2012-06-25 2018-07-06 联想(北京)有限公司 操作控制方法及电子设备
JP6183373B2 (ja) * 2012-10-31 2017-08-23 日本電気株式会社 配信装置、通信システム、負荷分散方法および負荷分散プログラム
CN103856954B (zh) * 2012-11-28 2017-11-28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探测游牧终端心跳周期的方法、系统、游牧终端与服务器
CN104243719B (zh) * 2013-06-08 2017-09-01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移动通信网络中长连接的心跳周期确定方法、系统和装置
CN104159306B (zh) * 2014-07-22 2018-05-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空口资源的方法、设备及系统
CN105307139B (zh) * 2014-07-31 2019-02-26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一种传输应用心跳信号的方法、移动终端和系统
CN107124598B (zh) * 2017-04-21 2019-12-06 青岛海信网络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交通信息播放控制方法和播放控制器
CN112868216A (zh) 2018-10-18 2021-05-28 昕诺飞控股有限公司 确定超时时段的长度
US11258862B2 (en) * 2019-08-12 2022-02-22 Addigy, Inc. Intelligent persistent mobile device management
CN111311851A (zh) * 2020-03-10 2020-06-19 北京意锐新创科技有限公司 适用于支付设备的心跳发送方法和装置
CN111641703B (zh) * 2020-05-27 2023-10-27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确定终端设备tcp心跳周期的方法、终端设备及服务器
CN113873017B (zh) * 2021-09-06 2023-12-26 绿盟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心跳周期调整方法、装置、客户端以及服务器
KR20230106865A (ko) 2022-01-07 2023-07-14 울산과학기술원 스레드 할당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컴퓨터 프로그램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94791B2 (en) 1997-12-17 2008-07-0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ulti-detection of heartbeat to reduce error probability
US7002970B1 (en) * 1999-05-19 2006-02-21 Edge Access, Inc. Private dialing plan for voice on a packet-based network
US7006530B2 (en) * 2000-12-22 2006-02-28 Wi-Lan, Inc.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ly obtaining bandwidth allocation requests
WO2001092992A2 (en) * 2000-06-01 2001-12-06 Bbnt Solu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varying the rate at which broadcast beacons are transmitted
GB0108041D0 (en) * 2001-03-30 2001-05-23 Nokia Networks Oy Presence service in IP multimedia
US6996393B2 (en) * 2001-08-31 2006-02-07 Nokia Corporation Mobile content delivery system
US6763013B2 (en) 2002-09-04 2004-07-13 Harris Corporation Intelligent communication node object beacon framework including neighbor discovery in a mobile ad hoc network
JP3577067B2 (ja) * 2002-12-24 2004-10-13 一 福嶋 動的ipアドレス割当てを受けた機器を管理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6947409B2 (en) * 2003-03-17 2005-09-20 Sony Corporation Bandwidth management of virtual networks on a shared network
JP2006101428A (ja) 2004-09-30 2006-04-13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無線ネットワーク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8068467B2 (en) * 2004-10-22 2011-11-29 Motorola Soulutions, Inc. Multi-tier WLAN and method for propagating beacons in a multi-tier WLAN thereof
US20070112954A1 (en) 2005-11-15 2007-05-17 Yahoo! Inc. Efficiently detecting abnormal client termination
US8149771B2 (en) * 2006-01-31 2012-04-03 Roundbox, Inc. Reliable event broadcaster with multiplexing and bandwidth control functions
US7738392B2 (en) * 2006-09-20 2010-06-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nd apparatus to provide services over integrated broadband communication systems
US8116783B2 (en) 2006-09-22 2012-02-14 Rockstar Bidco Lp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wireless client device on a wireless network
KR100911146B1 (ko) * 2006-11-15 2009-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22707B1 (ko) * 2006-12-01 2008-04-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합망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품질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US7983179B2 (en) * 2007-07-27 2011-07-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Network monitoring by customer premises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537B1 (ko) * 2017-12-20 2019-04-29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하둡 분산 파일 시스템에서의 하트비트 교환 주기 관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17402B (zh) 2014-12-03
CA2722156A1 (en) 2009-11-05
RU2461998C2 (ru) 2012-09-20
WO2009134453A1 (en) 2009-11-05
RU2010145042A (ru) 2012-06-10
US8724486B2 (en) 2014-05-13
JP5148748B2 (ja) 2013-02-20
AU2009241693A1 (en) 2009-11-05
AU2009241693B2 (en) 2013-11-07
CA2722156C (en) 2015-06-02
EP2286630A1 (en) 2011-02-23
CN102217402A (zh) 2011-10-12
JP2011523525A (ja) 2011-08-11
MX2010011906A (es) 2011-01-21
US20090274058A1 (en) 2009-11-05
KR101256293B1 (ko) 2013-04-18
EP2286630B1 (en) 2015-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6293B1 (ko) 하트비트 신호 발생 방법 및 시스템
US9826430B2 (en) Controlling uplink conges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260372B2 (en) Traffic monitoring for regulating states of a terminal
EP2897437B1 (en)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andomising network access time
US20050032555A1 (en) Method of intermittent activation of receiving circuitry of a mobile user terminal
US20150223252A1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Device
US7843873B2 (en) Dynamic compensation for resource stealing in communication systems
CN110225546B (zh) 一种双连接中辅节点控制方法及基站
US10327196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scheduling in hybrid networks based on client identity
CN109548167B (zh) 覆盖范围自适应调整方法、装置、计算机存储介质及设备
US20180324890A1 (en) Event-triggered mode switching for a mobile terminal
KR2016008865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선호 정보의 선택 방법 및 장치
CN110636559B (zh) 一种QoS承载能力信息上报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1294899A (zh) 用于drx的不活动定时器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基站
CN107409435B (zh) 移动终端、通信系统及控制移动终端的方法
CN100446606C (zh) 一种寻呼信道中测量寻呼消息丢失的方法及装置
US20040192286A1 (en) Adaptive dispatch paging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114077213A (zh) 节能控制方法及装置
CN112584452A (zh) 5g nsa的上行通信控制方法、装置及终端
JP2021502751A (ja) 時間的電力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CN105393615A (zh) 辅助信息上报的方法及其设备、通信系统
WO2022267811A1 (zh) 快速返回测量任务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US20230337184A1 (en) Paging monitoring method,terminal, and computer device
CN109286952B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6848942A (zh) 用于侧链资源选择的方法、设备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