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055U - 슬리퍼의 바닥체 구조 - Google Patents

슬리퍼의 바닥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055U
KR20110009055U KR2020100002735U KR20100002735U KR20110009055U KR 20110009055 U KR20110009055 U KR 20110009055U KR 2020100002735 U KR2020100002735 U KR 2020100002735U KR 20100002735 U KR20100002735 U KR 20100002735U KR 20110009055 U KR20110009055 U KR 201100090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hole
slipper
frict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2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금
Original Assignee
강석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금 filed Critical 강석금
Priority to KR2020100002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9055U/ko
Publication of KR201100090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05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43B3/102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23Profil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8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characterised by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슬리퍼의 바닥체 구조는, 슬리퍼의 바닥을 이루도록 판 형태로 구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표면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되도록 배열되되, 중앙으로 물기가 배출되는 관통구가 마련되어 발바닥과 마찰되는 마찰돌기와, 상기 바닥판에 형성되는 마찰돌기 사이로 물기가 배출을 도모하는 다수개의 배수구와, 상기 바닥판의 하부면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바닥판을 지면과 이격시키는 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바닥판의 표면으로 관통구가 형성된 마찰돌기 및 배수구가 배열되기 때문에, 마찰돌기로 인해 발바닥이 지압되면서도 관통구 및 배수구로 바닥판에 묻은 물기가 쉽게 배출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슬리퍼의 바닥체 구조{The bottom body structure of slipper}
본 고안은 실내 및 욕실에 사용되는 슬리퍼의 바닥체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리퍼를 착용할 때 발바닥이 안착되는 바닥판으로 발바닥의 지압 및 물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관통구가 마련된 마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의 전, 후부로 마찰되는 흡착돌기가 마련되는 패드가 형성됨으로써, 슬리퍼의 물기가 신속히 제거되면서도 미끌림을 방지하는 슬리퍼의 바닥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리퍼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및 욕실, 화장실에서 간단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그 형태는 발이 안착되는 바닥체(1)와 상기 바닥체(1)의 양측으로 발을 고정할 수 있는 밴드(5)가 고정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슬리퍼는 집안이나 화장실 또는 샤워실에 놓고 장소를 한정지어서 보통 사용하고 있는 바, 화장실이나 샤워실 내에서는 세면 및 샤워 등에 의해 슬리퍼의 바닥체에 물이나 수분이 잔존하여 미끄러지기 쉬운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었고, 슬리퍼를 착용하고 나면 발에 물기가 묻어 발주위에 물집이 생기거나 무좀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슬리퍼 바닥체가 배수되는 기술들이 다수 개발되어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20-0145495호가 있으며 상기 등록실용신안 20-0145495호는, 통상의 실내화에 있어서, 바닥의 작은돌기와, 바닥의 큰돌기와, 바닥의 돌기사이에 형성된 배수구멍과 테두리와, 바닥의 큰돌기의 저면의 경사와, 바닥의 작은돌기의 저면은 테두리 저면보다 낮아 형성된 공간과, 테두리저면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돌기와 돌기사이에 배수공이 형성되어 슬리퍼에 묻어 있는 물을 제거하는 효과는 있지만 돌기 사이로만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돌기표면에 묻은 물기는 발과 마찰되면 배수구멍을 통해 배수되지 않고 발에 흡수되어 슬리퍼의 배수효율이 떨어지며 발에 흡수된 물기에 의해 미끌림을 발생시키는 등의 단점이 있어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슬리퍼를 착용할 때 발바닥이 안착되는 바닥판으로 발바닥의 지압 및 물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관통구가 마련된 마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의 전, 후부로 마찰되는 흡착돌기가 마련되는 패드가 형성됨으로써, 슬리퍼의 물기가 신속히 제거되면서도 미끌림을 방지하는 슬리퍼의 바닥체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고안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슬리퍼의 바닥체 구조는, 슬리퍼의 바닥을 이루도록 판 형태로 구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표면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되도록 배열되되, 중앙으로 물기가 배출되는 관통구가 마련되어 발바닥과 마찰되는 마찰돌기와, 상기 바닥판에 형성되는 마찰돌기 사이로 물기가 배출을 도모하는 다수개의 배수구와, 상기 바닥판의 하부면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바닥판을 지면과 이격시키는 지지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찰돌기에 형성되는 관통구의 상측 내주연이 하부로 연장되는 안내부가 형성되어 마찰돌기에 묻은 물기가 안내부로 안내되어 신속히 관통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판의 전, 후부에 하부로 흡착돌기가 형성되는 패드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흡착돌기는 선단으로 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슬리퍼의 바닥체구조는, 바닥판의 표면으로 관통구가 형성된 마찰돌기 및 배수구가 배열되기 때문에, 마찰돌기로 인해 발바닥이 지압되면서도 관통구 및 배수구로 바닥판에 묻은 물기가 쉽게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통구 내주연의 상부로는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마찰돌기가 수축되어도 물기가 안내부로 안내되어 관통구로 신속히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흡착돌기가 마련되는 패드가 바닥판의 전, 후부에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흡착돌기가 지면과 마찰되어 흡착돌기와 지면간의 마찰력이 크게 증가하여 미끌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슬리퍼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슬리퍼의 바닥체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3은 도 2의 A-A부에서 절단된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절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바닥체에 발이 안착된 바람직한 형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바닥판에 흡착돌기가 형성된 패드가 구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a), (b)는 본 고안에 의한 흡착돌기가 형성된 패드가 바닥판에 형성되는 형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통상적인 슬리퍼를 착용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슬리퍼 바닥체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슬리퍼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슬리퍼의 바닥체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저면도로서, 우선 본 고안에 적용되는 슬리퍼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발이 안착되는 바닥체(1)와 상기 바닥체(1)의 양측으로 발을 고정할 수 있는 밴드(5)가 고정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실내 및 욕실, 화장실에서 간단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은 상기 슬리퍼의 바닥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히는 슬리퍼에 묻은 물기가 신속히 제거되면서도 욕실 등의 미끄러운 바닥에서 착용하여도 미끌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를 위해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0) 및 바닥판(10)에 형성되는 마찰돌기(20), 배수구(30), 지지구(40)로 대분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10)은 지면과 마찰됨과 동시에 발이 안착되도록 슬리퍼의 바닥을 이루는 판 형태로 구성되며 일측으로 발을 고정하는 밴드(5)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밴드(5)는 바닥판(10)의 양측에서 접착되어 고정될 수도 있고 밴드(5)의 양측이 바닥판(10)의 양측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마찰돌기(20)는 바닥판의 표면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되도록 배열되며 그 형태는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재질은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퍼를 착용하면 무게에 의해 발바닥의 굴곡에 따라 마찰돌기(20)는 수축되어 발이 안정되게 착용할 수 있으면서도 지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마찰돌기(20)는 중앙으로 물기가 배출되는 관통구(21)가 구성되며 상기 관통구(21)를 통해 슬리퍼에 물기가 잔존된 상태에서 착용하여도 물기는 발바닥에 흡수되지 않고 배출이 이루어진다.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찰돌기(20)에 형성되는 관통구(21)의 내주연 상부로는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부(23)가 형성되어 슬리퍼를 착용된 상태에서 발의 차중에 의해 마찰돌기(20)가 수축되어 관통구(21)의 직경이 변형되어도 안내부(23)에 의해 마찰돌기(20)에 묻은 물기가 안내부(23)로 안내되어 신속히 관통구(21)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바닥판(10)에 형성되는 마찰돌기(20)의 상, 하, 좌, 우 사이로 물기가 배출되는 배수구(30)가 각각 형성되어 마찰돌기(20)의 관통구(21)와 함께 바닥판(10)에 잔존하는 물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10)의 하부면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지지구(40)를 구성하여 바닥판(10)이 지면과 이격됨으로써 슬리퍼를 착용한 사람의 중량에 의해 바닥판(10)이 지면과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여 바닥판(10)에 형성된 배수구(30) 및 마찰돌기(20)의 관통구(21)로 하여금 물기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바닥판(10) 하부면의 관통구(21)와 배수구(30) 사이로 바닥판(10)을 보강할 수 있는 보강띠(50)가 격자형태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실내 및 욕실 등에서 사용하게 되는 슬리퍼가 보강띠(50)를 통해 바닥판(10)에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격이 분산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마찰돌기(10)의 관통구(21) 및 배수구(30)를 통해 바닥판(10)으로 물기가 배출되어도 실내 및 욕실 바닥에 물기로 인하여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판(10)의 일부에 흡착돌기(61)를 형성하여 흡착돌기(61)로 하여금 미끌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더 자세히 설명하면, 하부측으로 흡착돌기(61)가 마련되는 패드(60)가 바닥판(10)의 전, 후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흡착돌기(61)는 선단으로 홈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하부가 지면과 마찰되면 홈 부위의 공기가 밖으로 빠져나가면서 흡착돌기(61)에 압력이 걸려 흡착돌기(61)와 지면간의 마찰력이 크게 증가하여 미끌림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6(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드(60)는 바닥판(10)과 일체형이 될 수도 있고 바닥판(10)의 하부의 양측으로 패드(60)의 탈착이 이루어지는 탈착홈(60h)을 구성하여 패드(60)를 바닥판(10)에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10 : 바닥판 20 : 마찰돌기
21 : 관통구 23 : 안내부
30 : 배수구 40 : 지지구
50 : 보강띠 60 : 패드
61 : 흡착돌기

Claims (4)

  1. 슬리퍼의 바닥을 이루도록 판 형태로 구성되는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표면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되도록 배열되되, 중앙으로 물기가 배출되는 관통구(21)가 마련되어 발바닥과 마찰되는 마찰돌기(20)와,
    상기 바닥판(10)에 형성되는 마찰돌기(20) 사이로 물기의 배출을 도모하는 다수개의 배수구(30)와,
    상기 바닥판(10)의 하부면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바닥판(10)을 지면과 이격시키는 지지구(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퍼의 바닥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돌기(20)에 형성되는 관통구(21)의 상측 내주연에 하부로 연장되는 안내부(23)가 형성되어 마찰돌기(20)에 묻은 물기가 안내부(23)로 안내되어 신속히 관통구(21)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퍼의 바닥체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0) 하부면의 관통구(21)와 배수구(30) 사이로 바닥판을 보강할 수 있는 보강띠(50)가 격자형태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퍼의 바닥체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0)의 전, 후부에 하부로 흡착돌기(61)가 형성되는 패드(60)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흡착돌기(61)는 선단으로 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퍼의 바닥체 구조.
KR2020100002735U 2010-03-17 2010-03-17 슬리퍼의 바닥체 구조 KR2011000905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735U KR20110009055U (ko) 2010-03-17 2010-03-17 슬리퍼의 바닥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735U KR20110009055U (ko) 2010-03-17 2010-03-17 슬리퍼의 바닥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055U true KR20110009055U (ko) 2011-09-23

Family

ID=45090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735U KR20110009055U (ko) 2010-03-17 2010-03-17 슬리퍼의 바닥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905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510A (ko) * 2015-01-23 2016-08-03 골든베어스홀딩스 주식회사 욕실용 슬리퍼
KR102208414B1 (ko) * 2020-01-21 2021-01-27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신발 미끄럼 방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510A (ko) * 2015-01-23 2016-08-03 골든베어스홀딩스 주식회사 욕실용 슬리퍼
KR102208414B1 (ko) * 2020-01-21 2021-01-27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신발 미끄럼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71819A1 (en) Anti-Slippery Footwear
KR20110009055U (ko) 슬리퍼의 바닥체 구조
KR101551482B1 (ko) 욕실화
KR101211468B1 (ko) 욕실용 슬리퍼
KR102029897B1 (ko) 미끄럼 방지 패드
KR20130122357A (ko)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밑창 및 이러한 밑창을 갖는 신발.
KR200430597Y1 (ko) 욕실용 슬리퍼 건조대
KR20090131986A (ko) 신발 밑창
KR20120005130U (ko) 미끄럼 방지 흡착 신발 깔창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200428465Y1 (ko) 욕실화
KR200426121Y1 (ko) 실내 및 욕실용 슬리퍼
KR101647813B1 (ko) 발 세척용 신발
KR20240026312A (ko) 욕실화
KR200163353Y1 (ko) 슬리퍼
CN214016248U (zh) 一种具有按摩和快速排水排沙功能的凉鞋
KR102162929B1 (ko) 물 배수구와 흙이나 물 역유입 방지 구조를 갖춘 슬리퍼
CN215948764U (zh) 一种浴室防滑地板
KR200466775Y1 (ko) 지압수단을 갖는 슬리퍼
KR200494639Y1 (ko) 욕실용 슬리퍼
KR200350457Y1 (ko) 실내화의 밑창 구조
KR200355533Y1 (ko) 다기능 욕실화
KR200320414Y1 (ko) 배수구를 갖는 욕실용 미끄럼 방지판
KR100935888B1 (ko) 물자동배출형 슬리퍼의 밑창 구조
KR200308043Y1 (ko) 목욕탕용 슬리퍼
KR20130030516A (ko) 신발용 중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