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977A - Mixed coffee packing including stirring bar - Google Patents
Mixed coffee packing including stirring ba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08977A KR20110008977A KR1020090066561A KR20090066561A KR20110008977A KR 20110008977 A KR20110008977 A KR 20110008977A KR 1020090066561 A KR1020090066561 A KR 1020090066561A KR 20090066561 A KR20090066561 A KR 20090066561A KR 20110008977 A KR20110008977 A KR 201100089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ckage body
- package
- coffee mix
- chopsticks
- coffe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4634 feeding behavior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598 endocrine disruptor Substances 0.000 abstract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40088597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5556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1000735235 Ligustr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01700037716 MTMR9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41001122767 The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271 drink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19430 Betula pendu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962 Nicotiana taba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637 Nicotiana taba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5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435 Prunus domestica subsp. insitit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38 Tear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171 hot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94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5 polyester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4—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or accessories
- B65D75/545—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or accessories the inserts or accessories being located within a pouch or envelope attached to the exterior of the packages, e.g. shipping mail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B65D77/32—Tearing-strings or like flexible elements
- B65D77/34—Tearing-strings or like flexible elements enclosed in a mouth se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젓개가 내부에 포함된 커피믹스 포장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커피믹스를 컵에 부어 뜨거운 물을 부어서 커피를 타 먹을때 커피분말과 설탕 및 프림이 고르게 물에 녹을 수 있도록 저을 수 있도록 하는 젓개의 일측단이 커피믹스 포장체 중 봉합부에 일체적으로 함께 결합되어 포장체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커피믹스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mix package containing a saucer, and specifically, a coffee mix may be poured into a cup and poured with hot water to stir coffee powder, sugar, and prim to be dissolved in water evenly when the coffee is consumed. One side end of the chopsticks so that the coffee mix package is integrally coupled together in the sealing portion of the coffee mix package is embedded in the package.
일반적으로 커피믹스는 가정은 물론 회사나 야외에서 간단히 커피를 타서 마시기 위해 커피와 설탕 및 프림이 고루 섞인 1회분의 량만큼을 소량의 스틱형 또는 봉지형 포장체에 담아 판매되고 있는 제품으로서, 통상적으로 뜨거운 물에 분말커피를 녹여서 간편하게 타먹기 위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다만, 커피믹스를 이용하여 커피를 음용할 경우에는 커피분말이나 커피분말과 함께 포장되는 설탕과 프림이 완전히 물에 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반드시 뜨거운 물에 녹여 마셔야 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외부 온도의 영향이나 분말 자체의 특성으로 인해 분말덩어리를 형성시키거나 가루가 물위에 뜬다든가 하는 등 뜨거운 물에도 부분적으로 잘 녹지 않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경우에는 분말덩어리를 없애고 물에 뜬 가루를 충분히 뜨거운 물에 골고루 녹이도록 하기 위하여 막대나 스푼과 같은 젓개가 별도로 필요하게 된다. In general, Coffee Mix is a product that is sold in small stick-type or encapsulated packages of coffee, sugar and prim evenly mixed at home, at work, or outdoors. It is widely used to dissolve powdered coffee in hot water and eat it easily. However, when drinking coffee using a coffee mix, it must be dissolved in hot water in order to completely dissolve the sugar and prim packed together with the coffee powder or coffee powder. 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wder itself, a phenomenon occurs that the powder does not melt well even in hot water, such as forming a lump of powder or floating on the water. In this case, to remove powder clumps and to dissolve the powders in water evenly in hot water, a stick or spoon, such as a spoon, is required separately.
일반적인 식당이나 가정집 혹은 사무실에서는 티스푼과 같이 젓개를 대용할 식기구를 갖추고 있는 경우가 많아 위생적으로 별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야외와 같이 티스푼을 별도로 구비하기가 어려운 곳이나 상기 사무실 등에서도 티스푼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커피믹스가 제대로 녹지 않은 채로 커피를 마셔야만 하는 경우가 빈발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티스푼이 구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커피믹스 분말이 물에 골고루 녹도록 하기 위하여 젓개를 대용하여 속이 비어 있는 커피믹스 포장체 자체를 젓개로 이용하여 티스푼의 대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많은 문제점이 따른다. 즉, 합성수지 재질의 커피믹스 포장체 그 자체로도 인체의 호르몬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유기화합물과 같은 유해물질이 녹아나온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며, 더욱이 뜨거운 물속에서는 상기와 같은 유해물질의 용출량이 더욱 많아지게 된다. 또한 커피믹스 포장체의 표면에는 제조자인 회사의 브랜드나 로고가 인쇄된 상태이며, 이 인쇄된 잉크는 합성수지에서 배출되는 유해성분에 비해 더욱 해로운 유해성분이 많이 방출된다는 것이 최근에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위험에도 불구하고 일반 국민들은 그 간편성으로 인해 커피믹스 포장체를 그대로 뜨거운 물속에 집어넣어 티스푼을 대용하는 젓개로 널리 활용하고 있으므로 일반국민들이 환경호르몬으로 작용할 수 있는 인체에 유해한 유해물질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포장체의 외부면을 직접 음용하는 커피에 닿도 록 함으로써 위생적으로도 안전하지 못한다는 위험성을 그대로 가지고 있어 국민건강의 보호에 커다란 문제점이 되고 있었다. In general restaurants, homes or offices are often equipped with a tableware to replace the chopsticks, such as teaspoons do not cause any problems hygienically, but teasoons are also available in places where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separate teaspoon, such as outdoors If you haven't done so, you'll often have to drink coffee when it doesn't melt properly. Therefore, in order to dissolve the coffee mix powder evenly in the state without the teaspoon is used as a substitute for teaspoons by using the empty coffee mix package itself as a spoon. However, this method has many problems. In other words, it is well known that the coffee mix package made of synthetic resin itself melts harmful substances such as organic compounds that may adversely affect the hormones of the human body. It will increase. 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coffee mix package is printed with the manufacturer's brand or logo, and it has recently been found that the printed ink emits more harmful substances than harmful substances emitted from the synthetic resin. Despite these dangers, the general public is using the coffee mix package in hot water as a substitute for a teaspoon because of its simplicity, so the public is exposed to harmful substances that can be harmful to the human body that can act as environmental hormones. Not only that, but also the risk that it is not sanitary and safe by bringing the outer surface of the package directly into drinking coffee has become a big problem for the protection of national health.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328657호에서는 포장지의 외면에 스푼이 부착되어 있는 커피믹스 포장지를 제안한 바 있으나 포장지의 외부 환경에 그대로 스푼이 노출되어 있어 위생적으로 안전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08301호에서는 커피믹스 포장체 내부에 단순히 스틱 형태의 커피스틱이 포함된 커피믹스를 제안한 바 있으나 커피믹스를 용량이 큰 컵에 담을 때에는 자칫 커피스틱도 함께 물에 잠기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28657 proposed a coffee mix wrapping paper with a spoon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wrapping paper, but the spoon is exposed to the outside environment of the wrapping paper, which is not hygienic and saf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0408301 proposed a coffee mix that simply includes a stick-shaped coffee stick inside the coffee mix package, but when you put the coffee mix in a large cup, Had a problem locked up.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654617호에서는 커피믹스 포장체에 수용부가 별도로 마련되어 스틱이 내장되는 스틱이 내장된 커피믹스팩을 제안한 바 있으나, 상기와 같은 커피믹스 팩의 경우 포장체를 제작하는 데 별도의 수용부를 내부에 포켓 형태로 부수하여 제작하여야 하므로 포장체의 제작비가 비쌀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도 복잡해진다는 문제점은 여전히 가지고 있었다.Meanwhil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664617 has proposed a coffee mix pack having a stick in which a stick is provided in the coffee mix package, but in the case of the coffee mix pack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manufacture a separate accommodating part to be produced in the form of a pocket inside,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ackaging is expensive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커피믹스 빈 봉지를 티스푼 대용품으로 사용할 때 문제될 수 있는 커피믹스 포장체 및 인쇄면에서 용출되는 환경호르몬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나고 위생상 청결하게 커피믹스를 이용하여 커피를 음용할 수 있도록 젓개가 커피믹스 포장체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커피믹스 포장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avoid the danger of environmental hormones that dissolve in the coffee mix packaging and printing surface that can be a problem when using a coffee mix empty bag as a teaspoon and the hygiene to drink coffee using the coffee mix hygienically clea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ffee mix package contained in the coffee mix package.
또한, 본 발명은 젓개가 간편하게 커피믹스 포장체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나 커피믹스 포장체 중 봉합부를 뜯어서 내용물을 이용할 때 젓개도 함께 내용물과 분리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그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포장체의 제작비용 및 생산성을 높여 활용가치가 높은 젓개가 커피믹스 포장체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커피믹스 포장체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asily integrated with the coffee mix packaging body, but when using the contents by tearing off the sutures of the coffee mix package, the saucer is also separated from the contents to be used conveniently, the structure is simpl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ffee mix package containing a high-value chopsticks inside the coffee mix package to increase the production cost and productivity of the package.
본 발명에 의한 젓개가 내장되어 있는 커피믹스 포장체는, 커피믹스용 분말을 내장시키는 포장체 본체; 상기 포장체 본체의 양측단에 표면과 이면이 동시에 압착 접착되며 일체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봉합부; 일측단이 상기 봉합부를 이루는 표면과 이면 사이에 함께 끼워져 일체적으로 접착 결합되며 상기 포장체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는 스틱 형태의 젓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ffee mix package in which the chopsti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corporated includes a package body for embedding a powder for coffee mix; A suture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ackage body at the same time by pressing and bonding the front and back surfaces thereof and integrally extending; One side end is inserted between the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forming the seal portion is integrally adhesively coupl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ick-shaped chopstick located in the interior of the package body.
이때, 젓개의 길이는 포장체 본체 길이의 1/2~2/3인 것이 바람직한데, 젓개의 길이가 포장체 본체 길이의 1/2 미만인 경우 젓개로서의 역할을 할 수가 없기 때문이며 젓개의 길이가 포장체 본체 길이의 2/3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봉합부에 일체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포장체 본체에서 분리해낼 때 타 측단이 포장체 본체 내부에 걸려 비스듬히 꺼내기가 용이하기 않기 때문이다.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salted fish is preferably 1/2 to 2/3 of the length of the package body, because if the length of the salted fish is less than 1/2 the length of the body of the package, it is not possible to act as a salted fish. This is because if the length of the sieve body exceeds 2/3, the other end is caught easily inside the body of the package body when it is detached from the body of the package body while being integrally coupled to the sealing unit.
한편, 본 발명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 중 상기 젓개는 일측단은 상기 봉합부에 일체적으로 접착결합되어 있는데, 포장체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는 타측단이 타원 형태의 취식부가 형성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티 스푼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커피믹스 이외에 물에 잘 용해되지 않은 분말 형태의 차를 본 발명에 의한 포장체 본체에 내장시키는 경우 상기 젓개의 타측단을 스푼의 취식부와 같이 타원 형태로 넓게 형성시킴으로 인해 젓개를 이용하여 컵에 담긴 내용물을 용이하게 섞을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컵 바닥에 가라앉은 내용물을 직접 떠서 먹을 수도 있게 한다. 다만, 상기 취식부의 가로 길이는 반드시 포장체 본체의 폭 길이 보다는 짧아야 젓개가 포장체 본체의 내부에 포함되어 위치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one side end of the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adhesively bonded to the sealing portion, the other end located in the interior of the package body is formed of an oval-shaped eating portion is a tea spoon as a whole It may be formed to form. Therefore, when the tea in the form of powder, which is not well dissolved in water other than the coffee mix, is embedded in the packag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end of the chopsticks is formed in an elliptical form, such as a spoon, and the cup is formed using a chopstick. You can easily mix the contents in the pan and, if necessary, scoop the contents that have sunk on the bottom of the cup. However,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eating portion must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width of the package body can be located in the interior of the package body.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젓개가 내장되어 있는 커피믹스 포장체는 상기 봉합부와 포장체 본체의 경계에는 봉합부가 상기 포장체 본체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떨어지도록 하기 위한 분리유도천공라인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coffee mix package containing the chopsti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separation-induced perforation line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eal and the package body so that the seal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package body. desirable.
상기 분리유도천공라인은 최근에 들어 커피믹스를 포함한 포장체에 봉합부를 쉽게 떼어내면서 포장체를 개봉하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포장체 본체의 내부에 담긴 커피믹스 분말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봉합부의 표면과 이면을 잡은 후 간단하게 잡아 뜯기만 하면 봉합부가 포장체 본체로부터 쉽게 떨어져 분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미세하게 레이저로 천공을 하여 절단용 천공라인을 형성시킨 상기 분리유도천공라인이 필요하다. 한편, 상기 분리유도천공라인으로 인해 포장체 본체로부터 분리된 봉합부의 절단면은 일정하게 오돌토돌한 요철면이 형성되게 되는데, 이러한 요철면은 나중에 봉합부가 포장체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젓개의 손잡이 역할을 할 때 젓개가 컵 내부로 미끄러져 빠지지 않도록 걸림지지부 역할도 함께 하게 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분리유도천공라인의 형태를 직선 형태가 아닌 상하로 요철 형태가 되도록 형성시킬 수 있다. The separation-induced perforation line has recently been widely used as a means for opening a package while easily removing the seal in a package including a coffee mix, and the coffee mix powder contained in the inside of the package body does not leak out. In order to prevent the seam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package body by simply grabbing the surface and the back of the seam, the separation induction drilling line is formed by finely drilling the laser to form a cutting perforation line. . On the other hand, the cut surface of the suture portion separated from the package body due to the separation induction perforation line is to form a concave-convex surface irregularly uniformly, such a concave and convex surface is later separated from the package body to serve as a handle of the chopsticks The handle will also act as a stopper to prevent the chopstick from slipping into the cup. At this time, if necessary, the separation guide hole may be formed to have a concave-convex shape up and down instead of a straight line.
한편, 상기 분리유도천공라인 대신 상기 봉합부와 포장체 본체의 경계에는 포장체 본체로부터 봉합부가 떨어져 분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분리실을 내부에 포함하고 있는 절개유도라인을 상기 포장체 본체의 둘레를 따라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미세한 분말로 된 재료를 포장할 때 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분리실을 통해 봉합부와 포장체 본체가 쉽게 분리되도록 하여 젓개가 일체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봉합부를 떼어낼 수 있도록 하였다.On the other hand, instead of the separation-induced perforation line, a cut-induction line including a separation chamber therein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ackage body so as to separate the seal from the package body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ealing unit and the package body instead of the separation-induced perforation line. It is also possible. This is mainly used to package the fine powder material, so that the sealing unit and the package body can be easily separated through the separation chamber so that the sealing unit can be detached in the state where the chopsticks are integrally combined.
한편, 봉합부와 포장체 본체의 분리가 잘 되도록 하고 절개유도라인을 형성하는 분리실의 측단을 쉽게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절개유도라인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일측 이상에는 쐐기 형태의 분리유도홈이 더 형성시키는 것이 좋다. On the other hand, the wedge-shaped separation of any one or more of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induction guide line in order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of the sealing body and the package body and to easily hold the side end of the separation chamber forming the induction guide line. Induction grooves are better to form.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젓개가 내장되어 있는 커피믹스 포장체는 상기 봉합부와 포장체 본체를 굳이 뜯어서 분리할 필요 없이 처음부터 상기 봉합부와 포장체 본체를 분리시킨 후에 상기 분리되어 있는 포장체 본체와 봉합부의 경계의 외주면을 따라 접착되어 있으며 상기 포장체 본체와 봉합부를 함께 접합시키는 접합밴드 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접합밴드를 살짝 뜯어내는 것만으로도 별다른 힘의 부가할 필요도 없이 봉합부와 포장체 본체를 분리시켜 젓개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ffee mix package body with a built-in chopsti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separating the seal unit and the package body from the beginning without having to peel off the seal unit and the package body, the separated package body body And is bon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undary of the seal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onding band for bonding the package body and the sealing portion together.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use the chopsticks by separating the sealing unit and the package body without the need of adding extra force just by slightly tearing off the joining band.
본 발명에 의한 젓개가 내장되어 있는 커피믹스 포장체를 사용하는 경우, 커피믹스 빈 봉지를 티스푼 대용품으로 사용할 때보다 환경호르몬의 위험이나 위생상 청결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커피믹스 포장체를 제공함에 그 장점이 있다. In the case of using a coffee mix package having a built-in stra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ffee mix package that can escape from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hormones and sanitary cleanliness than using a coffee mix empty bag as a teaspoon substitute There is an advantage in providing.
또한, 본 발명은 젓개의 일측단이 커피믹스 포장체 중 봉합부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포장체의 제작시 공정이 간편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젓개부의 일측단이 봉합부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포장체 본체로부터 봉합부를 떼어내서 분리할 때 봉합부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젓개도 용이하게 포장체 내부에 담겨져 있는 내용물과 분리되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젓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피믹스 포장체를 제공할 수 있다는 다른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end of the chopsticks is integrally combined with the suture portion of the coffee mix package, so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and one side of the chopsticks portion is integral with the suture portion. Since it is combined, the chopsticks, which are integrally combined with the seals, are easily separated from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package when the seal is separated from the package body,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chopsticks conveniently. There is another advantage of providing a sieve.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젓개는 일측단이 상기 봉합부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봉합부가 분리유도라인을 통해 포장체 본체로부터 절단 분리되면 그 절단면에 요철면이 생성되므로 봉합부 자체가 젓개의 손잡이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용량이 큰 머그컵 등 젓개의 길이보다 깊은 컵에 커피믹스를 부은 후에 젓개를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라도 상기 요철면이 젓개가 컵 내부로 잘 미끄러져 빠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지지구 역할을 하는 커피믹스 포장체를 제공할 수 있다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one side end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suture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uture is cut and separated from the package body through a separation guide line, an uneven surface is formed on the cut surface, so that the suture part itself is closed. In addition to serving as a handle, the uneven surface also prevents the chopsticks from slipping into the cup even if the chopsticks are used after pouring the coffee mix into a cup deeper than the length of the chopsticks. Another advantage is that it can provide a coffee mix package.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젓개가 내장되어 있는 커피믹스 포장체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a coffee mix package having a built-in stra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중 포장체 본체와 봉합부의 경계에 분리유도천공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1 shows that the separation-inducing perforation line is formed at the boundary of the package body and the suture por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통상적으로 커피믹스 포장체는 포장체 본체(100)와 상기 포장체 본체(100)의 상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봉합부(200)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에 의한 젓개가 내장되어 있는 커피믹스 포장체는 상기 포장체 본체와 봉합부 외에 상기 봉합부(200)에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스틱 형태의 젓개(3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Typically, the coffee mix package is composed of the
상기 젓개(300)는 통상적으로 뜨거운 물에 닿아도 환경호르몬을 유출시키지 않으면서도 젓개로 활용할 정도의 굳기를 가지는 합성수지재료 또는 종이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합성수지 중에서는 통상적인 포장체 본체의 원료가 되는 폴레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잘 열접착이 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원 재료로 하여 통상적으로 뜨거운 음료의 빨대로 사용되는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젓개(300)의 일측단은 먼저 포장체 본체의 양 측단을 형성하는 표면 또는 이면 중 어느 일면에 먼저 젓개(300)의 일측단이 부착된 후에 다시 핫 프레스 방식의 열융합 접착 방식으로 포장체 본체 양 측단의 표면과 이면을 접합시켜 봉합부(200)를 형성시킬 때 한번에 같이 봉합부와 젓개가 핫프레스 방식으로 접착결합시키는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젓개(300)의 일측단은 상기 봉합부(200)의 좌우측 중 어느 위치에 결합시켜도 무방하다. 젓개(300)를 봉합부(200)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일측에 편향시켜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젓개의 손잡이의 역할 보다는 젓개가 컵 내부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컵 입구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지지구의 역할에 충실하며, 젓개(300)를 봉합부(200)의 중심 부분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손잡이로서의 역할에 충실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도에서는 봉합부의 중심부분에 젓개의 일측단이 함께 접착결합되어 있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도시하였다.It is preferable to use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paper material having a hardness enough to be utilized as a salted fish pad without the spilling of environmental hormones, even if the salted
한편, 젓개의 타측단에는 타원 형태로 이루어지며 분말가루나 내용을 담을 수 있는 취식부(310)를 추가적으로 형성시켜 물에 잘 용해되지 않은 가루나 컵의 바닥에 가라앉아 있는 덩어리 등을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통상의 커피믹스의 경우에는 스틱 형태의 통상적인 젓개 만으로도 그 역할을 충분히 다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한 포장체 내부에 물에 용해되지 않는 견과류나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는 분말을 내장시키는 경우에는 젓개의 타측에는 상기와 같은 취식부(310)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of the salted fish saucer is formed in an oval shape and additionally forms an
본 도에서 좌측은 봉합부(200)를 포장체 본체(100)와 분리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인데, 이 경우 봉합부(200)가 포장체 본체(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젓개가 결합되어 있는 봉합부(200)와 포장체 본체(100)의 경계 부분에는 레이저로 천공을 시켜 형성된 분리유도천공라인(400)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분리유도천공라인(400)은 포장체 본체(100)를 한 손으로 잡고 다른 손의 엄지와 집게 손가락 끝으로 봉합부(200)를 잡은 후 잡아 당기듯이 힘을 주는 경우 쉽게 떨어져서 떼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In this figure, the left side shows a state in which the
한편, 본 도에서 우측은 젓개(300)가 결합된 봉합부(200)가 포장체 본체(100)로부터 분리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봉합부(200)가 포장체 본체(100)로부터 분리되면, 양자의 경계에 형성되어 있던 분리유도천공라인이 각각 봉합부의 하단면과 포장체 본체의 상단면에 오돌토돌하게 요철면을 형성시키게 되며 상기 보합부의 하단면에 형성된 요철면(210)은 젓개(300)를 컵에 사용할 경우에 컵의 입구 가장자리에 봉합부가 걸쳐져 있어 걸림지지구로 사용될 때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마찰면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On the other hand, the right side in this figure shows a state after the sealing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중 포장체 본체와 봉합부의 경계에 분리실이 포함되어 있는 절개유도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2 shows that an induction induction line is formed in which the separation chamber is formed at the boundary of the package body and the sutur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도 1에서 도시한 것과는 달리 봉합부(200)와 포장체 본체(100) 사이에 분리실(510)을 포함하고 있는 절개유도라인(500)을 형성시켜 손쉽게 담배 포장지를 뜯듯이 절개유도라인을 커피믹스 포장체의 둘레를 따라 뜯으면 손쉽게 봉합부(200)가 포장체 본체(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is figure is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FIG. 1, the
본 도에서 좌측에 도시한 것은 젓개(300)가 결합되어 있는 봉합부(200)가 포장체 본체(100)와 분리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봉합부(200)와 포장체 본체(100)와의 경계에는 분리실(510)을 포함하고 있는 절개유도라인(50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좌측 상단부분에는 상기 봉합부(200)와 포장체 본체(100)의 경계에 절개유도라인(500)이 형성된 부분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였는데, 상기 절개유도라인(500)이 잘 뜯어지도록 하고 분리실(510)의 측단을 손으로 잘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절개유도라인(500)의 상부 또는 하부의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는 쐐기 형태의 분리유도홈(600)을 추가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The left side of the figure shows a state before the
본 도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절개유도라인(500)을 통해 봉합부(200)와 포장체 본체(100)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커피믹스 포장체 내부에 습기가 스며들면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거나 부패가 우려되는 경우로서 분말제품과 외부 공기와의 소통을 단절하여야 하는 경우에 주로 활용될 수 있다.As shown in this figure, when separating the
본 도의 우측에 도시한 것은 분리실(510)과 함께 절개유도라인(500)을 따라 젓개(300)가 결합되어 있는 봉합부(200)와 포장체 본체(100)와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분리실(510)의 끝부분을 잡고 커피믹스 포장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절개유도라인(500)을 통해 봉합부(200)와 포장체 본체(100)를 분리한 후 봉합부(200)를 손잡이 처럼 활용하여 포장체 본체(100)의 내부에서 젓개(300)를 꺼내듯이 분리하면 된다. Shown on the right side of the figure is a state in which the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예로서 포장체 본체와 분리된 후 손잡이로 사용되고 있는 봉합부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컵 입구의 가장자리에 걸쳐져 있는 젓개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3 shows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package body and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suture is used as a handle and shows a spoon over the edge of the cup inlet.
본 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컵(10)의 입구 가장자리에 젓개(300)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봉합부(200)가 걸쳐져 있게 된다. 이때 봉합부(200)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면(210)으로 인해 젓개(300)의 길이가 컵(10)의 높이보다 짧아도 젓개가 컵 내부로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젓개(300)의 타 측단에는 역시 타원 형태의 취식부(3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였다. As shown in this figure, the seal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중 포장체 본체와 봉합부의 경계에 분리유도천공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1 shows that the separation-inducing perforation line is formed at the boundary of the package body and the suture por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중 포장체 본체와 봉합부의 경계에 분리실이 포함되어 있는 절개유도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2 shows that an induction induction line is formed in which the separation chamber is formed at the boundary of the package body and the sutur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예로서 포장체 본체와 분리된 후 손잡이로 사용되고 있는 봉합부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컵 입구의 가장자리에 걸쳐져 있는 젓개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3 shows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package body and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suture is used as a handle and shows a spoon over the edge of the cup inle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컵 10: cup
100 : 포장체 본체 100: package body
200 : 봉합부 210 : 요철면200: suture 210: uneven surface
300 : 젓개 310 : 취식부300: salted fish 310: eating section
400 : 분리유도천공라인 400: Separation Induction Drilling Line
500 : 절개유도라인 510 : 분리실500: incision guide line 510: separation chamber
600 : 분리유도홈600: separation guide groove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6561A KR20110008977A (en) | 2009-07-21 | 2009-07-21 | Mixed coffee packing including stirring ba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6561A KR20110008977A (en) | 2009-07-21 | 2009-07-21 | Mixed coffee packing including stirring ba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8977A true KR20110008977A (en) | 2011-01-27 |
Family
ID=43614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66561A KR20110008977A (en) | 2009-07-21 | 2009-07-21 | Mixed coffee packing including stirring ba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08977A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5236B1 (en) * | 2011-04-21 | 2013-02-25 | 송현승 | Coffee mix |
KR101300588B1 (en) * | 2011-10-21 | 2013-08-28 |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Packaging body having built-in stick |
CN103662403A (en) * | 2013-11-26 | 2014-03-26 | 南通宝田包装科技有限公司 | Stirring tea powder bag |
KR101513851B1 (en) * | 2013-12-12 | 2015-04-21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Coffee mix with stick |
KR20160001036U (en) * | 2016-02-05 | 2016-03-30 | 김도담 | Stick type teabag and tea goods comprising the same |
KR102515288B1 (en) * | 2022-07-06 | 2023-03-29 | 박재호 | Packing bags for powdered food |
-
2009
- 2009-07-21 KR KR1020090066561A patent/KR20110008977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5236B1 (en) * | 2011-04-21 | 2013-02-25 | 송현승 | Coffee mix |
KR101300588B1 (en) * | 2011-10-21 | 2013-08-28 |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Packaging body having built-in stick |
CN103662403A (en) * | 2013-11-26 | 2014-03-26 | 南通宝田包装科技有限公司 | Stirring tea powder bag |
KR101513851B1 (en) * | 2013-12-12 | 2015-04-21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Coffee mix with stick |
KR20160001036U (en) * | 2016-02-05 | 2016-03-30 | 김도담 | Stick type teabag and tea goods comprising the same |
KR102515288B1 (en) * | 2022-07-06 | 2023-03-29 | 박재호 | Packing bags for powdered fo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008977A (en) | Mixed coffee packing including stirring bar | |
US9888797B2 (en) | Dual-purpose dispensing container and utensil | |
KR20110092803A (en) | Zipper bag | |
KR200405406Y1 (en) | Packing case including a spoon | |
KR101513851B1 (en) | Coffee mix with stick | |
KR101512778B1 (en) | Holder for packing vessel of reusable food | |
KR200423798Y1 (en) | The package beg for one time with tea spoon function | |
KR200443066Y1 (en) | One Time Packing Courage for Soluble or Extract Drink | |
KR101957553B1 (en) | Extract packing container | |
KR200328657Y1 (en) | Coffee mix wrap | |
KR20120004466U (en) | coffee-mix including coffee-stick | |
US20180028411A1 (en) | Baby Food Canteen | |
KR101807858B1 (en) | Package for beverage powder with stirrer | |
KR101235236B1 (en) | Coffee mix | |
JP2004155467A (en) | Additive serving method, additive serving device, cup lid for the device, and additive container | |
KR20110016357A (en) | Muddler, stick, straw or spoon in tea bag | |
KR200184997Y1 (en) | A paper bag of instant food in which a spoon for onetime use is inserted | |
JP3158138U (en) | Beverage bag | |
EP1818276A1 (en) | Disposable contain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disposable container | |
KR200358522Y1 (en) | The spoon adhere to paper cup | |
JP2002240854A (en) | Pack for beverage or the like | |
KR20130005918U (en) | Coffe mix with sugar stick inside | |
RU106224U1 (en) | PACKAGING FOR PREPARING A DRINK (OPTIONS) | |
JP3162773U (en) | Food-encapsulated capsule | |
CN110679801A (en) | Fruit mixed ju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