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860U - 고리를 구비하는 전기 플러그 - Google Patents

고리를 구비하는 전기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860U
KR20110008860U KR2020100002495U KR20100002495U KR20110008860U KR 20110008860 U KR20110008860 U KR 20110008860U KR 2020100002495 U KR2020100002495 U KR 2020100002495U KR 20100002495 U KR20100002495 U KR 20100002495U KR 20110008860 U KR20110008860 U KR 201100088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ring
electric
electrical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24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민
Original Assignee
전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민 filed Critical 전상민
Priority to KR20201000024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8860U/ko
Publication of KR201100088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86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리를 구비하는 전기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전선과 연결되며 상기 전선 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연결부의 끝단 양측에 각각 위치하며 사람의 두 손가락이 각각 끼워질 수 있는 제1 고리 및 제2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고리를 구비하는 전기 플러그 {ELECTRIC PLUG WITH LOOP}
본 고안은 전기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리를 구비하는 전기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각종 전자 제품은 긴 전선으로 연장된 전기 플러그를 구비한다. 전기 플러그가 전기 콘센트에 결합됨으로써, 전원이 해당 전자 제품에 제공된다. 전자 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등 필요에 따라 전기 플러그는 전기 콘센트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있게 된다. 전기 플러그가 전기 콘센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기 플러그를 전기 콘센트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 전기 플러그가 잘 분리되지 않거나 전기 플러그에 연결된 전선을 잡아 당기는 경우 전선의 피복이 벗겨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전기 플러그를 전기 콘센트로부터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분리하기 위한 구조가 요구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 플러그를 전기 콘센트로부터 안전하고 편리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전기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전선과 연결되며 상기 전선 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연결부의 끝단 양측에 각각 위치하며 사람의 두 손가락이 각각 끼워질 수 있는 제1 고리 및 제2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구성을 따르면, 앞서서 기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기 플러그의 몸체에 형성된 전선과 연결되는 연결부의 끝단에 양측에 사람의 두 손가락이 각각 끼워질 수 있는 제1 고리 및 제2 고리가 마련되므로, 전기 플러그를 전기 콘센트로부터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러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플러그의 평면도로서 전기 콘센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러그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플러그의 평면도로서 전기 콘센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러그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러그(100)는 몸체(110)와, 제1, 제2 플러그 핀(120a, 120b)과, 제1, 제2 고리(130a, 130b)를 구비한다. 사용자는 제1 고리(130a)와 제2 고리(130b)를 이용하여 전기 콘센트(10)에 결합된 전기 플러그(100)를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다.
몸체(110)는 그 내부에 해당 전자 제품(미도시)으로부터 연장된 전선(20)과 제1 , 제2 플러그 핀(120a, 120b)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조를 구비하는데, 이 구조는 종래의 전기 플러그에서 사용되는 구조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몸체는 전선(20)과 제1, 제2 플러그 핀(120a, 120b)이 결합된 부분을 보호한다. 몸체(110)의 일단부에는 전선(20)과 연결되는 연결부(111)를 구비한다. 연결부(111)는 전선(20) 쪽으로 갈수록 대체로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제1 플러그 핀(120a)과 제2 플러그 핀(120b)은 몸체(110)로부터 평행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 플러그 핀(120a)과 제2 플러그 핀(120b)은 연결부(111)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제1 플러그 핀(120a) 및 제2 플러그 핀(120b)은 몸체(110)의 내부에서 전선(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플러그 핀(120a) 및 제2 플러그 핀(120b)이 각각 콘센트(10)에 형성된 제1 플러그 핀 구멍(11a) 및 제2 플러그 핀 구멍(11b)에 삽입됨으로써, 전기 플러그(100)와 전기 콘센트(10)가 결합되며 전기가 해당 전자 제품(미도시)에 전원으로 공급된다.
제1 고리(130a) 및 제2 고리(130b)는 각각 그 내부에 사람의 손가락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구멍이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제1 고리(130a) 및 제2 고리(130b)는 몸체(110)의 연결부(111) 양측에 각각 위치한다. 제1 고리(130a) 및 제2 고리(130b)는 좁아지는 연결부(111)의 전선(20) 쪽 끝단에 가깝게 위치하여 두 고리(130a, 130b) 사이의 거리는 비교적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검지와 중지를 두 고리(130a, 130b)에 각각 끼워 사용하기에 편리하게 된다. 또한, 제1 고리(130a)와 제2 고리(130b)는 손가락을 끼워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대체로 둥근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기 플러그(100)가 전기 콘센트(10)에 결합되어 있다. 즉, 도 2는 전기 플러그(100)의 두 플러그 핀(120a, 120b)이 전기 콘센트(10)의 두 플러그 핀 구멍(도 1의 11a, 11b)에 각각 결합되어 전기가 해당 전자 제품에 전원으로 공급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와 같이 전기 플러그(100)와 전기 콘센트(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전기 플러그(100)를 전기 콘센트(10)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손(H)의 두 손가락(F1, F2, 예를 들면, 검지와 중지)을 각각 제1 고리(130a)와 제2 고리(130b)에 끼운 후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면 된다. 사용자가 전선(20)을 잡아 당기지 않고도 편리하게 전기 플러그(100)를 전기 콘센트(10)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전선(20)의 피복이 벗겨질 우려가 없어 안전하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전기 플러그(100)를 전기 콘센트(10)로부터 편리하고 안전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고안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 : 전기 콘센트 11a : 제1 플러그 핀 구멍
11b : 제2 플러그 핀 구멍 20 : 전선
100 : 전기 플러그 110 : 몸체
111 : 연결부 120a : 제1 플러그 핀
120b : 제2 플러그 핀 130a : 제1 고리
130b : 제2 고리

Claims (1)

  1. 전선과 연결되며 상기 전선 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연결부의 끝단 양측에 각각 위치하며 사람의 두 손가락이 각각 끼워질 수 있는 제1 고리 및 제2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KR2020100002495U 2010-03-11 2010-03-11 고리를 구비하는 전기 플러그 KR2011000886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495U KR20110008860U (ko) 2010-03-11 2010-03-11 고리를 구비하는 전기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495U KR20110008860U (ko) 2010-03-11 2010-03-11 고리를 구비하는 전기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860U true KR20110008860U (ko) 2011-09-19

Family

ID=45090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495U KR20110008860U (ko) 2010-03-11 2010-03-11 고리를 구비하는 전기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886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862Y1 (ko) * 2019-06-18 2019-08-20 김용석 전선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862Y1 (ko) * 2019-06-18 2019-08-20 김용석 전선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22762C (en) Apparatus for retaining plug in a receptacle
US8574010B2 (en) Flexible socket of a power source hub
US20100144164A1 (en) Power cord assembly
CN202712607U (zh) 插头连接器和电连接器组件
CN203707455U (zh) 电连接器
JP2016031931A (ja) 電気コネクタ
GB2586896A (en) Detachable power cord structure for portable hair curler
US9692178B2 (en) Apparatus for retaining a plug in a receptacle
US6604954B2 (en) Power plug with safety feature
CA2840510C (en) Charger with replaceable plug
US8758037B2 (en) Electric socket and bearing body therefor
KR20110008860U (ko) 고리를 구비하는 전기 플러그
US6270370B1 (en) Anti-loose midway electric receptacle
US20220360025A1 (en) Cable switch with usb charger
KR200460350Y1 (ko) 가압구가 구비된 콘센트
CN205159685U (zh) 一种带保险丝的插头
KR101787731B1 (ko) 전원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TW201630272A (zh) 電連接器組合
KR101479699B1 (ko) 4p 로커스위치를 이용한 단속 플러그
KR102191418B1 (ko)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
KR100734888B1 (ko) 콘센트
TWM495021U (zh) 模塊式延長線插座
KR101639330B1 (ko) 포터블 전자기기용 케이스
TWM480797U (zh) 網路連接器接頭
US20080268680A1 (en) Electronic device with a plug gu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