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527A -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527A
KR20110008527A KR1020090065914A KR20090065914A KR20110008527A KR 20110008527 A KR20110008527 A KR 20110008527A KR 1020090065914 A KR1020090065914 A KR 1020090065914A KR 20090065914 A KR20090065914 A KR 20090065914A KR 20110008527 A KR20110008527 A KR 20110008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nit
charging
sterilizat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지성
Original Assignee
임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지성 filed Critical 임지성
Priority to KR1020090065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8527A/ko
Publication of KR20110008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5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단말을 수납하기 위한 단말수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전원입력부; 상기 전원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원을 입력받아 저장하기 위한 충전부; 상기 단말수납부의 일 측에 형성되며, 상기 충전부에 저장된 전원을 상기 단말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단말로 입력하기 위한 단말커넥터; 상기 단말수납부가 형성된 양 끝단에 하나씩 수직으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된 단말에 대한 전체적인 살균을 수행하는 UV살균부; 및 상기 전원입력부로 외부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충전부로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원을 상기 단말커넥터와 연결된 상기 단말로 전송 또는 전송중단을 수행하며,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UV살균부를 구동 또는 중단 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단말충전장치 자체에서도 충전이 가능하여 외부 및 차량 등과 같은 장소에서 이동하면서 수납 또는 외부의 단말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며, 해당 충전과 동시에 UV램프를 이용하여 단말수납부에 수납된 단말에 대한 UV살균을 제어함으로써, 단말에 대한 전체적인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충전, 살균, 충전장치

Description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Charging apparatus having charging and sterilizing function}
본 발명은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말충전장치에도 자체에도 충전이 가능하여 외부 및 차량 등과 같은 장소에서 이동하면서 수납 또는 외부의 단말에 대한 충전을 수행함과 동시에 단말수납부에 수납된 단말에 대한 UV살균을 제어함으로써, 단말에 대한 전체적인 살균을 수행하기 위한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과 같은 단말의 배터리는 일정 기간이 지나면 방전되므로 방전된 후에는 충전을 해주어야 사용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단말충전장치가 사용되는데 종래의 단말충전장치는 거의 고정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장소를 이동시킬 경우 충전장치 전체를 소지하여 이동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고 또한 차량에는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단말충전장치는 단말수납부와 팩밧데리사납부로 구성되고 전원과 연결할 수 있는 코드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단말 전체를 올려 놓아 충전할 경우엔, 단말수납부에 단말을 놓아두면 단말하단의 단자와 단말충전장치단자가 접촉하여 충전이 이루어진다. 한편, 교체 사용 가능하게 구성되는 팩밧데리는 팩밧데리수납부에 꼽아두면 역사 단자 접촉에 의하여 팩밧데리가 충전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충전장치는 항상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휴대폰과 같은 단말제품은 사용상태상 쉽사리 지저분해지거나 쉬운데 주로 먼지, 타액, 지문, 기름기 담배연기로 오염이 되기 쉽고 세균의 발생이 생기기 쉽다.
보다 구제적으로 단말은 특정 케이스에 보관되기보다는 사용자의 편의에 의해 주머니, 가방, 차량내부 등과 같이 다양한 장소에 보관되므로 각 보관장소에 서식하는 많은 종류의 세균들과 접촉되기 쉽고, 항상 공기 중에 노출되어 있어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세균의 유입이 용이하므로 상기와 같이 오염된 송신부에는 각종 세균이 번성하게 되고 이에 따른 악취가 발생한다.
또한, 개인의 휴대폰의 경우에는 여러 명이 돌려가며 통화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에 어느 한 사람이 보유하고 있는 바이러스가 휴대폰의 송신부를 통해 불특정 다수의 사람에게 전파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휴대폰의 송신부를 소독 및 살균을 해야 하는 필요성을 가지게 되는데, 휴대폰은 분해가 금지되어 있으므로 휴대폰을 분해하여 내부를 소독할 수도 없고 휴대폰의 내부를 소독하고 살균할 수 있는 별도의 살균장치가 개발 되어있지도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휴대폰의 외관만을 세척할 수 있을 뿐, 휴대폰의 송신부 내부를 소독 및 살균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 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최근 상기의 제품들의 제조시나 유통 후에 표면을 코팅 필름으로 코팅하는 경우가 많고 최근 휴대폰의 표면에 보호필름을 입히는 업종이 성업중이다. 이는 단지 제품을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흠집으로부터 보호하는 작용밖에 없고 제품을 항 살균하는 기능은 전혀 없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서는 자외선(Ultraviolet: 이하 UV) 살균장치를 단말충전장치에 접목하고 충전장치 자체에도 충전기능을 구비하려는 기술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즉, 충전장치 자신의 배터리 충전과 동시에 휴대폰과 같은 단말을 안착시키는 단말수납부의 내부에 UV살균램프를 설치하고 UV살균램프의 점멸을 제어함으로써, 단말이 단말수납부에 안착되었을 때 단말의 전체를 살균 소독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단말충전장치 자체도 충전이 가능하여 외부 및 차량 등과 같은 장소에서 이동하면서 수납 또는 외부의 단말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자체적인 충전과 동시에 UV램프를 이용하여 단말수납부에 수납된 단말에 대한 UV살균을 제어함으로써, 단말에 대한 전체적인 살균을 수행할 수 있는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 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수납부를 회전시킴으로써, 단말에 대한 전체적인 살균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는, 내부에 단말을 수납하기 위한 단말수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전원입력부; 상기 전원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원을 입력받아 저장하기 위한 충전부; 상기 단말수납부의 일 측에 형성되며, 상기 충전부에 저장된 전원을 상기 단말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단말로 입력하기 위한 단말커넥터; 상기 단말수납부가 형성된 양 끝단에 하나씩 수직으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된 단말에 대한 전체적인 살균을 수행하는 UV살균부; 및 상기 전원입력부로 외부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충전부로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원을 상기 단말커넥터와 연결된 상기 단말로 전송 또는 전송중단을 수행하며,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UV살균부를 구동 또는 중단 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따 라 상기 작동신호 또는 작동중단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기 위한 작동 온/오프 버튼과, 상기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따라 상기 살균 시작신호 또는 살균 종료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기 위한 살균 시작/종류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입력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 온/오프 버튼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작동신호 및 작동중단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원을 상기 단말커넥터와 연결된 상기 단말로 전송 또는 전송중단을 수행하며, 상기 살균 시작/종료 버튼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살균 시작신호 또는 살균 종료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UV살균을 시작 또는 종료하도록 상기 UV살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는, 상기 충전부에 저장된 전원을 상기 외부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전원출력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단말과 상기 전원출력부가 연결시 상기 충전부에 저장된 전원을 상기 전원출력부를 통해 상기 외부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원의 양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충전되는 전원의 양을 하부의 막대부터 상부의 막대까지 차례로 채워지는 형태인 인디케이터(Indicator)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부에 저장된 전원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충전과 동시에 상기 충전부에 저장된 전원의 양을 측정하여 상기 표 시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충전부는, 방전 후에 다시 전원을 충전하여 사용 가능한 리튬-이온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단말수납부와 연결되며 상기 단말수납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와 구동축으로 형성된 회전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입력부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따라 상기 모터에 대한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기 위한 회전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수납부와 연결된 상기 회전부의 상기 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는 자체에도 충전이 가능하여 외부 및 차량 등과 같은 장소에서 이동하면서 수납 또는 외부의 단말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는 자체적인 충전과 동시에 UV램프를 이용하여 단말수납부에 수납된 단말에 대한 UV살균을 제어함으로써, 단말에 대한 전체적인 살균을 수행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는 단말수납부를 회전시킴으로써, 단말에 대한 전체적인 살균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100)가 단말(200)을 수납하고, 외부단말(300)과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100)는 하우징(110), 단말수납부(115), 단말커버(117), 전원입력부(120), 버튼입력부(130), 충전부(140), 단말커넥터(150), UV살균부(160), 표시부(170), 전원출력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단말수납부(115), 단말커넥터(150), UV살균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수납부(115)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되며, 하나의 실시 예로, 단말(200)이 수납될 수 있도록 직사각형의 홈이 파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단말수납부(115)는 일 측면에 단말(200)와 연결하기 위한 단말커넥터(150)를 일측면에 형성할 수 있다. 단말수납부(115)에 수납되는 단말(200)은 무선링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통화 및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기로서, 이는 포괄적인 개념의 휴대기기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핸드폰, 무선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 and System)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와 같이 멀티미디어 폰 및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4 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일 수 있다.
단말커버(117)는 단말수납부(115)에 수납된 단말(200)을 보호하기 위해 형성되며, 힌지(미도시)에 의해 하우징(110)과 결합하여 회전함으로써, 하우징(110)와 체결 또는 분리된다. 단말커버(117)는 LCD와 같은 광고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190)와의 연동에 의해 단말커버(117)가 하우징(110)에 결합시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전원입력부(12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충전부(140)로 전달한다.
버튼입력부(130)는 작동 온/오프(ON/OFF) 버튼(131), 살균 시작/종료(Start/Stop) 버튼(133)을 포함한다. 작동 온/오프 버튼(131)은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따라 작동신호 및 작동중단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90)로 전송한다. 살균 시작/종류 버튼(133)은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따라 살균 시작신호 또는 살균 종료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90)로 전송한다.
충전부(140)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전원입력부(120)로 입력되는 전원을 입력받아 저장한다. 충전부(140)는 리튬-이온 배터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리튬-이온 배터리는 방전 후에 다시 전원을 충전하여 사용가능한 2차전지의 하나이며, 현재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단말커넥터(150)는 충전부(140)에 저장된 전원을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자신과 연결된 단말로 입력한다.
단말커넥터(150)는 작동 온/오프 버튼(131)에 대한 입력에 따라 작동신호 및 작동중단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90)에 의해 충전부(140)에 충전된 전원을 자신과 연결된 단말(200)로 전송 또는 전송중단을 수행한다.
UV살균부(160)는 하우징(110) 내부의 단말수납부(115) 양끝 단에 하나씩 수직으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말(200)에 대한 전체적인 살균을 수행한다. UV살균부(160)는 살균 시작/종료 버튼(133)에 대한 입력에 따라 살균 시작신호 또는 살균 종료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90)에 의한 제어에 따라 단말커넥터(150)에 연결된 단말에 대한 UV살균을 시작 또는 종료한다.
표시부(170)는 제어부(190)에 의해 측정된 충전부(140)에 충전된 전원의 양 을 표시한다. 표시부(170)는 인디케이터(Indicator) 방식으로 형성되며, 충전되는 전원의 양에 따라 하부부터 차례로 채워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원출력부(180)은 외부단말(300)과 연결시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충전부(140)에 저장된 전원을 외부단말(300)로 전송한다. 한편, 전원출력부(180)는 교체형으로 형성되어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MP3, PMP, 내비게이션과 같은 다양한 제품군에 대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전원입력부(120)로 전원이 공급되면 충전부(140)로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충전과 동시에 충전부(140)에 저장된 전원의 양을 측정하여 표시부(170)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90)는 충전부(140)에 저장된 전원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작동 온/오프 버튼(131)에 대한 입력에 따라 작동신호 및 작동중단신호를 수신하면, 충전부(140)에 충전된 전원을 자신과 연결된 단말(200)로 전송 또는 전송중단을 수행한다.
제어부(190)는 살균 시작/종류 버튼(133)에 대한 입력에 따라 살균 시작신호 또는 살균 종료신호를 수신하면, 충전부(140)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UV살균부(160)를 구동 또는 중단 시키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전원출력부(180)로 외부단말(300)이 연결되면 외부단말로 충전부(140)에 저장된 전원을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90)는 단말커버(117)가 하우징(110)과 결합되면 충전부(140)에 충전된 전원을 수납된 단말(200)로 제공함과 동 시에, UV살균부(160)를 동작시켜 단말(200)에 대한 살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1000)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10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1000)는 도 1의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100)의 구성에 추가로 회전 버튼(135)과 회전부(119)를 더 포함한다.
단말수납부(115)는 홈이 아닌 하우징(110) 내부에 원통 또는 직육면체 형상의 투명 통으로 형성된다.
회전부(119)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되어 단말수납부(115)와 연결되며 단말수납부(115)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와 구동축으로 형성된다.
즉, 버튼입력부(130)에 추가로 형성된 회전 버튼(135)은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따라 회전부(119)의 모터에 대한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9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가 버튼입력부(130)로 한번 푸쉬하여 압력을 전달하면 정회전 신호가 생성되며, 다시 한번 푸쉬하여 압력을 전달하면 역회전 신호가 생성되어 제어부(190)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신호에 따라 단말수납부(115)와 연결된 회전부(119)의 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도록 제어한다.
한편, 단말커넥터(150)는 단말수납부(115)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하거나 단말수납부(115)의 내부에 고정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에 의해, 단말충전장치에도 자체에도 충전이 가능하여 외부 및 차량 등과 같은 장소에서 이동하면서 충전을 수행함과 동시에 단말수납부에 수납된 단말에 대한 UV살균을 제어함으로써, 단말에 대한 전체적인 살균을 수행하여 기존 단말충전장치의 단점을 보완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가 단말을 수납하고, 외부단말과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하우징 115: 단말수납부
117: 단말커버 119: 회전부
120: 전원입력부 130: 버튼입력부
131: 작동 온/오프 버튼 133: 살균 시작/종료 버튼
135: 회전 버튼 140: 충전부
150: 단말커넥터 160: UV살균부
170: 표시부 190: 제어부

Claims (11)

  1. 내부에 단말을 수납하기 위한 단말수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전원입력부;
    상기 전원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원을 입력받아 저장하기 위한 충전부;
    상기 단말수납부의 일 측에 형성되며, 상기 충전부에 저장된 전원을 상기 단말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단말로 입력하기 위한 단말커넥터;
    상기 단말수납부가 형성된 양 끝단에 하나씩 수직으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된 단말에 대한 전체적인 살균을 수행하는 UV살균부; 및
    상기 전원입력부로 외부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충전부로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원을 상기 단말커넥터와 연결된 상기 단말로 전송 또는 전송중단을 수행하며,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UV살균부를 구동 또는 중단 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따라 상기 작동신호 또는 작동중단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기 위한 작동 온/오프 버튼과, 상기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따라 상기 살균 시작신호 또는 살균 종료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기 위한 살균 시작/종류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입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 온/오프 버튼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작동신호 및 작동중단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원을 상기 단말커넥터와 연결된 상기 단말로 전송 또는 전송중단을 수행하며,
    상기 살균 시작/종료 버튼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살균 시작신호 또는 살균 종료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UV살균을 시작 또는 종료하도록 상기 UV살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에 저장된 전원을 상기 외부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전원출력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단말과 상기 전원출력부가 연결시 상기 충전부에 저장된 전원을 상기 전원출력부를 통해 상기 외부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원의 양을 표시하기 위 한 표시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충전되는 전원의 양을 하부의 막대부터 상부의 막대까지 차례로 채워지는 형태인 인디케이터(Indicator)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부에 저장된 전원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충전과 동시에 상기 충전부에 저장된 전원의 양을 측정하여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방전 후에 다시 전원을 충전하여 사용 가능한 리튬-이온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단말수납부와 연결되며 상기 단말수납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와 구동축으로 형성된 회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입력부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따라 상기 모터에 대한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기 위한 회전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수납부와 연결된 상기 회전부의 상기 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
  11. 내부에 단말을 수납하기 위한 단말수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단말수납부와 연결되며 상기 단말수납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와 구동축으로 형성된 회전부;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전원입력부;
    상기 전원입력부로 입력되는 전원을 입력받아 저장하기 위한 충전부;
    상기 단말수납부의 일 측에 형성되며, 상기 충전부에 저장된 전원을 상기 단말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단말로 입력하기 위한 단말커넥터;
    상기 단말수납부가 형성된 양 끝단에 하나씩 수직으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된 단말에 대한 전체적인 살균을 수행하는 UV살균부;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따라 작동신호 또는 작동중단신호를 생성하는 작동 온/오프 버튼과, 상기 입력에 따라 살균 시작신호 또는 살균 종료신호를 생성하는 살균 시작/종류 버튼과,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모터에 대한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신 호를 생성하는 회전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입력부; 및
    상기 전원입력부로 외부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충전부로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작동 온/오프 버튼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작동신호 및 작동중단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원을 상기 단말커넥터와 연결된 상기 단말로 전송 또는 전송중단을 수행하며,
    상기 살균 시작/종료 버튼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살균 시작신호 또는 살균 종료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UV살균을 시작 또는 종료하도록 상기 UV살균부를 구동 또는 중단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회전 버튼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단말수납부와 연결된 상기 회전부의 상기 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
KR1020090065914A 2009-07-20 2009-07-20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 KR201100085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914A KR20110008527A (ko) 2009-07-20 2009-07-20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914A KR20110008527A (ko) 2009-07-20 2009-07-20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527A true KR20110008527A (ko) 2011-01-27

Family

ID=43614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914A KR20110008527A (ko) 2009-07-20 2009-07-20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852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735B1 (ko) * 2012-09-24 2014-05-16 (주)델피노 벽걸이형 멀티 충전 스테이션
KR101468688B1 (ko) * 2013-07-23 2014-12-04 케이알에코스타 주식회사 휴대용 스마트 디바이스 살균 소독 장치
KR20150115516A (ko) * 2014-04-04 2015-10-14 에스에스아이(주) 충전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살균기
KR20190087911A (ko) * 2018-01-17 2019-07-25 주식회사 두이즈 모바일 단말기의 살균 충전기
CN114159592A (zh) * 2021-11-01 2022-03-11 深圳市奥深条码技术有限公司 一种药房用数据采集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735B1 (ko) * 2012-09-24 2014-05-16 (주)델피노 벽걸이형 멀티 충전 스테이션
KR101468688B1 (ko) * 2013-07-23 2014-12-04 케이알에코스타 주식회사 휴대용 스마트 디바이스 살균 소독 장치
KR20150115516A (ko) * 2014-04-04 2015-10-14 에스에스아이(주) 충전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살균기
KR20190087911A (ko) * 2018-01-17 2019-07-25 주식회사 두이즈 모바일 단말기의 살균 충전기
CN114159592A (zh) * 2021-11-01 2022-03-11 深圳市奥深条码技术有限公司 一种药房用数据采集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8527A (ko) 충전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단말충전장치
GB2423719A (en) Rechargeable dental curing light
US20210250708A1 (en) Charging case for earbuds
WO2007027624A3 (en) Sterilizing and recharging apparatus for batteries, battery packs and battery powered devices
KR20110009632U (ko) 휴대용 전자 담배 살균 및 충전 장치
KR101315159B1 (ko) 안치실 삽탈형 휴대폰살균충전기
AU2003238884A1 (en) Starter system for portable power unit using a portable universal battery pack
KR200460949Y1 (ko) 스피커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
KR200488549Y1 (ko) 무선충전 보조배터리용 거치대
KR20190057097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 패키지
CN103720049B (zh) 一种盒状烟料加热装置
KR20050051536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살균/충전 장치
KR10117006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살균 케이스
KR200465161Y1 (ko) 살균 소독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CN104434534A (zh) 一种用药提醒装置及系统
KR101597120B1 (ko) 충전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살균기
AU5100100A (en) Portable power supply for recharging cellular phone battery packs
AU2003269533A1 (en) Non-contact type battery pack charging apparatus
EP2711027A1 (en) Ultraviolet sterilizer for portable digital devices and accessory parts
KR10060638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살균/충전 장치
CN208511546U (zh) 一种手机消毒器
CN111437406A (zh) 便携式充电宝杀菌装置
CN201570893U (zh) 供电装置
KR20160001427U (ko) 휴대전화 살균기
WO2007100395A3 (en) Dual mode cradle/polygon scan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