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434A - 생체정보 측정장치 및 건강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생체정보 측정장치 및 건강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434A
KR20110008434A KR1020090065788A KR20090065788A KR20110008434A KR 20110008434 A KR20110008434 A KR 20110008434A KR 1020090065788 A KR1020090065788 A KR 1020090065788A KR 20090065788 A KR20090065788 A KR 20090065788A KR 20110008434 A KR20110008434 A KR 20110008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etric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biometric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8420B1 (ko
Inventor
조재훈
박선자
조원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노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노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노웰
Priority to KR1020090065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8420B1/ko
Publication of KR20110008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61B2560/021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of power generation or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06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specially shaped apparatus housings
    • A61B2560/0418Pen-shaped hous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ardiology (AREA)
  • Marketing (AREA)
  • Phys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펜 타입으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이를 누적된 생체정보 패턴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일상생활을 하는 가운데에서 자연스럽게 관리하기 위한, 생체정보 측정장치 및 건강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생체정보 측정장치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생체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생체정보 데이터로 생성하는 프로세서부;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펜에 접촉되는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생체신호를 감지하도록 펜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생체정보, 펜(pen), 맥파, 체온

Description

생체정보 측정장치 및 건강관리 시스템{Apparatus for measuring biometrics and system for managing health}
본 발명은 생체정보 측정장치 및 건강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펜 타입으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이를 누적된 생체정보 패턴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일상생활을 하는 가운데에서 자연스럽게 관리하기 위한, 생체정보 측정장치 및 건강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의 향상과 함께 개인 건강에 대한 관심도는 더욱 증가하고 있으며, 전자산업 기술의 비약적인 발달로 정밀한 병원용 의료기기뿐만 아니라 개인이 간단한 조작으로 각종 생체 지수와 관련한 기초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기기들도 다수 개발되었다. 즉, 체지방, 맥박, 혈압, 혈당 등의 지수는 굳이 병원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가정에서 간편히 측정해 볼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사용자들이 의식적으로 자신의 생체 지수를 측정하기 위해 일상 생활을 멈추고 따로 시간을 들여 자신의 생체정보를 측정하여야 하므로, 그에 따른 비용이 소모된다.
따라서, 사용자들이 일상 생활을 하는 가운데에서 따로 시간을 들이지 않고 도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발명은 펜으로 일상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가운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함으로써 무자각 상태에서도 주기적으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 생체정보 측정장치 및 건강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펜을 쥐고 있는 손끝으로부터 맥파를 측정할 때 잡음을 줄이도록 하는 필터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개인 작업을 수행하는 데에 방해 받지 않으면서 자신의 건강상태를 관리 받을 수 있는 생체정보 측정장치 및 건강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 또는 교체 가능한 배터리를 펜에 장착하여 언제 어디서든 편리하게 간편한 배터리 충전 또는 교체만으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점검 받을 수 있는 생체정보 측정장치 및 건강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상으로 자신의 건강상태 및 생체정보에 대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고 응급 상황 발생시 외부 기관에 즉각적으로 통보함으로써, 사용자의 종합적인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생체정보 측정장치 및 건강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체정보 측정장치 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생체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생체정보 데이터로 생성하는 프로세서부;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펜에 접촉되는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생체신호를 감지하도록 펜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맥파와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맥파를 측정할 때 발생하는 잡음을 줄이도록 하는 필터(Fil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부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의 잔량 및 생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체정보 데이터를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및 와이브로(Wibro)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제1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건강관리 시스템은, 펜에 접촉되는 사용자의 손끝으로부터 생체신호를 감지하도록 펜 타입으로 형성되고, 생체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생체정보로 생성하는 생체정보 측정장치; 및 생체정보 측정장치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누적된 생체정보 패턴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진단하는 생체정보 분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체정보 분석장치는 상기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전원 충전을 위한 충전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체정보 분석장치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및 와이브로(Wibro)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생체정보 측정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생체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대한 상기 생체정보 패턴을 생성하는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생체정보가 상기 누적된 생체정보 패턴의 허용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생체정보 측정장치,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외부 장치로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정상으로 판단된 경우, 실시간으로 수집된 상기 생체정보의 분석값을 누적된 상기 생체정보 패턴에 적용시켜 기존의 패턴정보를 재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 사용자별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 및 건강관리 컨텐츠를 온라인상으로 제공하는 정보분석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생체정보 측정장치 및 건강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펜으로 일상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가운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함으로써 무자각 상태에서도 주기적으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펜을 쥐고 있는 손끝으로부터 맥파를 측정할 때 잡음을 줄이도록 하는 필터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개인 작업을 수행하는 데에 방해 받지 않으면서 자신의 건강상태를 관리 받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충전 또는 교체 가능한 배터리를 펜에 장착하여 언제 어디서든 편리하게 간편한 배터리 충전 또는 교체만으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점검 받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넷째, 온라인상으로 자신의 건강상태 및 생체정보에 대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고 응급 상황 발생시 외부 기관에 즉각적으로 통보함으로써, 사용자의 종합적인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강관리 시스템은 입시와 취업을 준비하는 수험생과 많은 시간을 사무실에서 보내야 하는 직장인들, 그리고 만성 질환자 등에 이 르기까지 지속적인 생체신호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제공되는 펜 타입의 생체정보 측정장치(100)(이하, “생체정보 측정장치(100)”라 함)는 사용자들이 무자각 상태의 일상 생활을 하는 가운데서 사용하는 펜(pen)(예컨대, 볼펜, 만년필, 형광펜 등)에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구성하여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실시간으로 측정함으로써 보다 효율성과 편리성을 높이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펜을 잡고 작업을 하는 중에, 펜 내부에 구성된 모듈들을 통해 자연스럽게 펜과 접촉되는 사용자의 손끝(또는 손의 일정 부위)으로부터 체온, 맥파, 맥박수, 혈류, 등에 대한 생체정보를 주기적, 장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생체정보 측정장치(100)는 상용되는 펜에 구현되는 형태 뿐 아니라, 실제 펜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활동하는 동안에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생체정보 측정장치(100)에 대해서는 후술될 도 2 및 도3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생체정보 측정장치(100)가 측정한 생체정보는 이를 분석하는 생체정보 분석장치(200)로 전송된다. 생체정보 분석장치(200)는 생체정보 측정장치(100)가 측정한 정보(예컨대, 손끝의 온도와 맥파)를 수신하고, 수신된 생체정보를 분석(즉, 생체신호 형태, 신호의 크기, 변화 주기 등에 대한 분석)하여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맥파와 온도 변화를 학습하고 이를 통해 누적된 생체정보 패턴(이 하, “패턴정보” 라고도 함)을 구성한다. 따라서, 이후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이러한 패턴을 벗어난 범위로 분석될 경우, 사용자가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통보하여 알리게 된다.
예컨대, 생체정보 분석장치(200)는 휴대용으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가정, 회사 등에서 자신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분석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50)와 연결 가능한 연결 포트가 구성되어 컴퓨터(50)와 생체정보 측정장치(100)가 연결되어 있으면, 컴퓨터(5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 또는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 및 생체정보 측정장치(100)로 분석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생체정보 분석장치(200)에 대해서는 후술될 도 4 및 도 5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생체정보 분석장치(200)에 누적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분석서버(300)로 전송된다. 정보분석서버(300)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생체정보들을 관리하고 사용자별로 누적된 생체정보를 통해 시간변화에 따른 생체정보 패턴 분석, 종합적인 통계 수치 제공, 사용자별 생체정보 패턴에 따른 건강관리 컨텐츠 제공 등의 다양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온 오프(on-off) 라인으로 제공한다.
예컨대, 정보분석서버(300)는 인터넷 온라인(60)상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온라인상으로 로그인한 사용자에 대해서 건강 정보, 건강 컨텐츠, 생체정보 패턴, 통계 수치 등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정보분석서버(300)에 대해서는 후술될 도 7을 통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 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며, 도 3은 도 2의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구성 요소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체정보 측정장치(100)는 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생체정보 측정장치(100)가 내장된 펜의 몸체는 크게 3등분(전단부, 중단부, 하단부)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층층마다 대응되는 생체정보 측정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펜이 이와 같은 일정한 등분으로 구분되어 각 층마다 생체정보 측정모듈이 획일적으로 배치되는 것은 아니며, 각 모듈이 효율적으로 소형화되어 펜 내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면 족하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원리는 일반인들이 손에 쥐고 사용하는 다양한 생활 필수품들에 구성되어 이용될 수 있음 물론이다. 그리고, 펜은 일반적으로 통념상 펜촉에 펜대를 끼워서 글씨를 쓰는 기구이며, 따라서 본 실시 예의 원리는 볼펜, 샤프, 형광펜 등의 다양한 펜 기구에 응용될 수 있고, 사용자는 펜의 심을 교체하면서 본 발명의 모듈이 설치된 펜을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먼저, 심지가 나오는 펜의 전단부에는 센서부(110)와 프로세서부(120)가 배치되어 사용자의 손끝으로부터 온도와 맥파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펜의 중단부에는 각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30)와 무선통신을 위한 제1 통신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펜의 하단부에는 전원부(130)의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부(150)가 배치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배터리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생체정보 저장부(160)를 통해 측정된 생체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펜 타입의 생체정보 측정장치(100)를 구현하기 위해 부품의 집약적 설계를 PCB(Printed Circuit Board)로 설계하여, 펜의 몸체에 생체정보 측정장치(100)를 구성함으로써 펜 크기에 맞추어 제품을 제작할 수 있다. 예컨대 SMD(Surface Mount Devices) 타입의 캐패시터, 저항, IC(Integrated Circuit)를 PCB 형태로 집약적으로 설계하여 생체신호 측정부분의 모듈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가 펜을 사용할 때 불편함이 없도록 설계할 수 있다. 참고로, SMD 타입의 소자를 사용하면 소자의 부피가 DIP 타입보다 10분의 1 이상으로 작아지기 때문에 부피를 소형화하여 생체정보 측정장치(100)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3과 함께 생체정보 측정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체정보 측정장치(100)는 센서부(110), 프로세서부(120), 전원부(130), 제1 통신부(140), 디스플레이부(150), 및 생체정보 저장부(160)를 포함한다.
센서부(110)는 펜에 접촉되는 사용자의 손(또는 손끝, 손가락)으로부터 생체신호를 감지(sensing)한다. 예를 들어, 센서부(110)는 사용자가 펜을 쥐고 작업을 하는 동안 사용자의 손끝으로부터 맥파와 온도(체온)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사용자가 펜을 쥐는 부분에 센서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110)는 펜의 전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제작되거나 미리 펜의 전단부 특정 부위에 위치할 수 있다. 펜의 전단부 특정 부위에 위치할 경우, 사용자는 해당 부위에 손끝을 위치시켜 펜을 쥐어 작업을 하게 되며, 해당 부위에 설치된 센서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전단부의 센서가 설치된 부위는 다른 부분과 달리 표시되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알기 쉽게 해당 부위에 손끝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10)는 맥파를 측정하는 광센서와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10)에 IR 다이오드 와 같은 소자를 구비하여 광원으로부터 발광된 빛이 혈관을 포함한 생체조직에 반사되도록 하고 이를 포토 다이오드로 검출함으로써 생체신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센서부(110) 내에 또는 센서부(110)와 연동된 필터(Filter)(미도시)를 포함시켜 광센서가 맥파를 측정할 때 발생되는 잡음을 최대한 줄여서 측정 오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에 단열재 사용 또는 열류 검출을 수행하는 기존 방법들을 적용시켜 체표(피부온) 을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부(120)는 센서부(110)가 감지한 생체신호에 대해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생체정보 분석장치(200)로 전송할 생체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또한 각 모듈간 기능 제어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즉, 프로세서부(120)는 센서부(110)가 측정한 생체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경하는 신호처리 수행을 통해 생체정보 데이터로 생성하고, 생성된 생체정보 데이터를 생체정보 저장부(160)에 저장하고, 후술될 제1 통신부(140)를 통해 생체정보 분석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부(120)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전원부(130)의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배터리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프로세서부(120)는 생체정보 분석장치(200)로 생체정보의 전송이 완료되었을 경우 또는 데이터 전송상에 오류가 발생하였을 경우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그에 따른 결과정보를 표시하거나, 제1 통신부(140)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 및 기타 통신 수단으로 결과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원부(130)는 생체정보 측정장치(100)가 동작하도록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전원부(130)는 충전 또는 교체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터리 충전을 위해 전원부(130)의 소정 부위에 충전 전극(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전원부(130)의 전원이 소모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펜 타입의 생체정보 측정장치(100)를 생체정보 분석장치(200)의 충전부(250)에 삽입하여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 예에서 전원부(130)가 교체 가능한 배터리로 구성될 경우, 전원부(130)는 도 2에서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소진된 배터리를 새로운 배터리로 교체하여 하단부에 삽입함으로써 다른 모듈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30)에 전원코드가 구비되어 있을 경우에는 전원에 코드를 꼽아서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 전원부(130)가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통신부(140)는 센서부(110)가 측정한 생체정보를 생체정보 분석장치(200)로 전송한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통신부(140)는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에러가 발생하거나 네트워크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각 모듈이 자신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거나 생체정보 데이터에 대한 전송이 완료되었을 경우, 상술된 프로세서부(12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기타 통신 수단으로 결과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통신부(140)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생체정보 분석장치(200)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140)는 생체정보 분석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생체정보 분석장치(200)가 분석한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대한 결과정보를 생체정보 분석장치(200)에서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후술될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하거나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기타 통신 수단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140)는 후술될 제2 통신부(210)와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6의 S611 과정의 내용을 참조하기 바란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전원부(130)의 배터리 잔량을 표시해 주어 사용자에게 배터리 충전시기를 알려준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150)는 배터리 잔량 외에 다양한 데이터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예컨대 생체정보가 생체정보 분석장치(200)로 정상적으로 전송된 결과 및 센서부(110)가 측정한 맥파, 체온 등 에 대한 생체정보를 색상, 기호, 숫자, 문자 등의 형태로 간략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0)는 제1 통신부(140)가 생체정보 분석장치(200)에서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정보를 수신한 경우 해당 결과 데이터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생체정보 저장부(160)는 센서부(110)가 측정한 생체정보를 저장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부(120)는 측정된 생체신호에 대한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생체정보 저장부(160)에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생체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서 생체정보 저장부(160)는 제1 통신부(140)가 생체정보 분석장치(200)에서 수신한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각 모듈들이 프로세서부(120)와는 별개의 구성요소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프로세서부(120)가 이들 구성요소의 기능 중 하나 이상을 겸하여 수행하거나 이들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를 통합 내지 내장한 형태의 프로세서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통해 생체정보 분석장치(200)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체정보 분석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며, 도 5는 도 4의 생체정보 분석장치의 구성 요소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체정보 분석장치(200)는 생체정보 측정장치(100)가 측정한 정보(예컨대 손끝의 온도와 맥파)를 수신하고, 수신된 생체정보를 분석 하여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맥파와 온도 변화를 학습하고 이를 통해 누적된 생체정보 패턴인 패턴 정보를 구성한다.
즉, 생체정보 분석장치(200)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생체정보 측정장치(100)에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분석부(220)를 통해 수신된 생체정보에 대한 분석작업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대한 누적된 패턴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패턴정보는 시간변화에 따라 생체정보에 대한 데이터(예컨대, 생체신호 형태, 신호의 크기, 변화 주기 등)를 생체정보 분석 알고리즘에 따라 분석하여 누적한 값으로, 이를 통해 최소 최대치의 생체정보 범위 및 생체정보의 패턴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생체정보 분석장치(200)는 실시간으로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기존의 패턴정보 범위에 벗어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및 외부기관(또는 장치)으로 통보할 수 있고, 생체정보 및 패턴정보를 LCD 형태의 정보 출력부(230)를 통해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방식은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생체정보 측정장치(100)로 전송하여 생체정보 측정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해당 정보를 표시하거나,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기타 통신 가능한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생체정보 분석장치(200)는 일정 수치 이상의 스트레스 수치와 긴장도, 체온 상승 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벨, 음악 소리, 램프 및 진동 등을 통해 알림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응급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외부 응급 센터로 자동 응급 신호 송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생체정보 분석장치(200)는 간편하게 휴대 가능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실시 예에서 생체정보 분석장치(200)의 각 모듈은 컴퓨터 및 기타 통신 가능한 장치 내부에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생체정보 분석장치(200)에 전원과 연결할 수 있는 전원 코드(미도시)가 구성되어 있고, 펜 타입의 생체정보 측정장치(100)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이 필요한 경우, 생체정보 측정장치(100)를 생체정보 분석장치(200)의 충전부(250)에 삽입하고, 전원 코드를 전원에 연결하여 충전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생체정보 분석장치(200) 외에 별도의 충전장치를 제작하여, 펜 타입의 생체정보 측정장치(100)를 삽입하거나, 생체정보 측정장치(100) 자체에 전원 코드를 구비하여 충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생체정보 분석장치(200)에 USB 저장 장치(222)를 삽입할 수 있는 USB 포트가 구성된 경우, USB 저장 장치(222)를 해당 포트에 삽입하여 분석된 정보를 USB 저장 장치(222)에 저장할 수 있고, 이후 사용자가 USB 저장 장치(222)를 컴퓨터에 연결함으로써 외부 장치로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성에 따라 생체정보 분석장치(200)에 분석정보 저장부(240)가 구성된 경우, 분석정보 저장부(240)에 저장된 정보가 제2 통신부(210)를 통해 바로 외부 장치로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와 연결할 수 있는 케이블 포트(224)가 구성된 경우, 컴퓨터와 생체정보 분석장치(200)를 케이블을 통해 연결하고, 분석정보 저장부(240)에 저장된 사용자의 누적된 생체정보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 다.
이하, 도 5와 함께 생체정보 분석장치(2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체정보 분석장치(200)는 제2 통신부(210), 분석부(220), 정보 출력부(230), 및 분석정보 저장부(240)를 포함한다.
제2 통신부(210)는 생체정보 측정장치(100)와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생체정보 측정장치(100)로부터 사용자의 생체정보 수신하며, 기타 외부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예컨대, 제2 통신부(210)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생체정보 측정장치(1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부(210)는 외부 응급시설기관 등과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응급 상황에 대한 구조 요청을 위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생체정보 분석장치(200)는 일정 수치 이상의 스트레스 수치와 긴장도, 체온 상승 시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응급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외부 응급 센터로 자동 응급 신호 송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서 이러한 무선통신 방식뿐 아니라, 유선 통신을 위한 케이블 포트(224)가 제2 통신부(210)에 구성된 경우, 제2 통신부(210)는 유선으로 연동된 네트워크 망을 통해 생체정보 및 이를 분석한 결과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분석부(220)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대한 패턴정보를 생성한다. 이 과정에서, 분석부(220)는 생체정보 측정장치(100)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신한 경우 기존에 분석정보 저장부(240)에 저장된 누적된 패턴정보를 재정의하여 학습하게 된다.
또한, 분석부(220)는 패턴정보 및 실시간으로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된 결과를 정보 출력부(230)를 통해 화면에 출력하거나,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생체정보 측정장치(100)로 전송하거나 응급시설기관 및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분석부(220)는 생체정보 측정장치(100)로부터 실시간으로 측정된 사용자의 맥파에 대한 생체정보를 수신한 경우, 파형 분석을 수행하고, 맥파의 변화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스트레스 정도(또는 변화값)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파형의 주기와 변화, 피크값을 통해 스트레스 정도를 진단할 수 있으며, 이때 스트레스가 증가할 경우 심박수가 증가하고, ECG(심전도)의 R-Peak 진폭이 감소하게 된다. 참고로, ECG(심전도)는 심장 박동에 따라 주기적으로 심장의 근육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생체신호이다.
따라서, 분석부(220)는 해당 사용자의 누적된 맥파에 대한 패턴정보 (범위)와 실시간으로 수신된 사용자의 맥파 정보를 비교하여 급격한 생체정보의 변화가 발견될 시 응급신호를 등록된 단말기 및 기타 응급시설기관으로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정보 출력부(230)는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들, 누적된 패턴 정보, 배터리 충전 완료 정보, 그리고 기타 출력 가능한 다양한 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한다.
분석정보 저장부(240)는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누적된 패턴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분석정보 저장부(240)는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 정보, 생체정보 측정장치(100)의 고유번호, 응급시설기관의 서버에 대한 정보 및 응급전화번호 등을 저장하여 사용자 및 외부 기관에 필요한 정보를 전송하여 분석부(220)를 통해 분석된 결과 정보 및 응급상황 등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충전부(250)는 생체정보 측정장치(100)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수행한다. 즉, 생체정보 분석장치(200)에 전원과 연결할 수 있는 전원 코드(미도시)가 구성되어 있고, 생체정보 측정장치(100)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이 필요한 경우 생체정보 측정장치(100)를 통째로 생체정보 분석장치(200)의 충전부(250)에 삽입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으며, 충전이 완료되면 정보 출력부(230)를 통해 완료된 여부를 메시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서 생체정보 측정장치(100)의 배터리가 분리 가능한 형태로 구성된 경우, 해당 배터리만 분리하여 충전을 실시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생체정보 분석장치(200)는 생체정보를 수신한 경우 분석부(220)를 통해 기존에 분석정보 저장부(240)에 누적된 패턴정보를 재정의(또는 학습)하게 되는 데, 이하, 도 6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통해 생체정보에 대한 패턴을 학습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집된 사용자 생체정보의 패턴을 누적된 패턴정보에 적용시켜 기존 패턴정보를 재정의하는 순서도이다.
먼저, 생체정보 분석장치(200)가 생체정보 측정장치(100)로부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한다(S601).
이때, 생체정보 분석장치(200)는 해당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S611). 사용자 정보에는 생체정보 분석장치(200)에 기 등록된 사용자의 아이디, 패스워드 또는 생체정보 측정장치(100)의 고유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들은 생체정보 분석장치(200)의 제품 출시 때에 기 등록되거나, 생체정보 분석장치(200)를 연결 케이블을 통해 컴퓨터에 연결하고, 사용자가 온라인상으로 접속하여 생체정보 분석장치(200)에 자신의 고유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확인이 필요 없을 경우에는 본 과정(S611)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생체정보 분석장치(200)와 생체정보 측정장치(100)는 일정 임계 거리에 있을 경우 서로 제1 통신부(140)와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인증 수행을 위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생체정보 분석장치(200)는 생체정보 측정장치(100)의 고유번호를 확인하거나 사용자로 하여금 화면을 통해 패스워드를 입력하도록 하여 사용자 확인을 수행함으로써, 외부 침입자가 해당 장치(100, 200)들을 취득하여 무단으로 사용하거나,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외부인이 마음대로 볼 수 없도록 보안 기능 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생체정보 분석장치(200)는 수집된 생체정보를 분석하고 분석정보 저장부(240)에 누적된 기존 패턴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생체정보의 변화(또는 건강상태)가 정상적인 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체크하게 된다(S621).
예컨대, 생체정보 분석장치(200)는 기존에 누적된 패턴정보의 범위를 기준으로 실시간으로 수집된 사용자 생체정보의 분석값이 누적된 생체정보 패턴과 동일 또는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따라서, 생체정보 분석장치(200)는 사용자 생체정보의 분석값이 누적된 생체정보 패턴과 동일 또는 유사할 경우 건강상태를 정상으로 판단하고, 사용자 생체정보의 분석값이 생체정보 패턴의 허용 범위를 초과하여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비정상으로 판단하게 된다. 즉, 패턴정보 범위(최소치와 최대치 범위)안에 생체정보 분석값이 포함될 경우 정상으로 판단될 수 있고, 패턴정보 범위를 벗어난 경우 비정상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생체정보 패턴의 주기로 판단될 경우에는 그 주기 횟수 및 형태에 따라 건강상태가 판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정상으로 판단된 경우, 생체정보 분석장치(200)는 실시간으로 수집된 사용자 생체정보의 패턴을 누적된 패턴정보에 적용시켜 기존 패턴정보를 재정의하게 된다(학습과정)(S631). 이와 같이 패턴 정보는 시간 변화에 따른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대한 리듬을 반영하게 되므로, 실시간으로 측정된 생체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대한 변화를 보다 빠르고 효 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비정상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해당 생체정보 데이터를 따로 저장하고, 사용자 및 외부 기관으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즉각 통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분석서버의 구성요소에 대한 블록도이다.
정보분석서버(300)는 제3 통신부(310), 정보 관리부(320), 및 정보 처리부(330)를 포함한다.
제3 통신부(310)는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예컨대, 제3 통신부(310)는 제2 통신부(210)와 데이터 통신을 통해 각 사용자의 패턴정보, 생체정보, 건강상태에 대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5에서 프로세서부(120), 및 분석부(22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한 모듈이 정보분석서버(300)에 구성되어 있을 경우, 제1 통신부(140)로부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하여 자체적으로 생체정보를 분석하고 사용자별로 패턴정보를 생성하여 각 사용자의 건강관리에 활용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부(120), 및 분석부(22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한 모듈이 후술될 정보 처리부(330)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보 관리부(320)는 사용자별 고유번호(아이디, 패스워드), 신상정보, 인증서, 생체정보 측정장치(100) 또는 생체정보 분석장치(200)의 고유번호, 건강정보(각 사용자의 패턴정보, 생체정보, 건강상태의 정상유무, 통계 수치 등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된 정보들), 건강관리 컨텐츠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정보 처리부(330)는 정보 관리부(320)에 저장된 사용자의 패턴정보, 생체정보, 건강상태의 정상유무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건강관리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사용자별 질병 종류, 나이 분포도, 시간 변화 등에 따른 종합적인 통계 수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부(330)는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 회원가입이 완료된 사용자가 고유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하여 자신의 건강정보(예컨대,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따른 패턴정보, 추천된 건강관리 컨텐츠 목록 등)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체 사용자에 대한 종합적인 건강정보를 통계 수치로 제공하여, 외부 기관이 필요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된 도 5의 분석부(220)가 도 3에 구성될 경우에는, 펜 타입의 생체정보 측정장치(100)가 자체적으로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부(210)의 기능이 제1 통신부(140)에 포함되어 모듈로 구성될 경우, 생체정보 측정장치(100)가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외부 장치로 분석된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거나 응급 조치를 취하도록 알릴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생체정보 저장부(160), 분석정보 저장부(240) 및 정보 관리부(32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도 3, 도 5 및 도 7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일종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또는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그리고,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관리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구조.
도 3은 도 2의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구성 요소를 블록도로 도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체정보 분석장치의 구조.
도 5는 도 4의 생체정보 분석장치의 구성 요소를 블록도로 도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집된 사용자 생체정보의 패턴을 누적된 패턴정보에 적용시켜 기존 패턴정보를 재정의하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분석서버의 구성요소에 대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생체정보 측정장치 110: 센서부
120: 프로세서부 130: 전원부
140: 제1 통신부 150: 디스플레이부
160: 생체정보 저장부
200: 생체정보 분석장치 210: 제2 통신부
220: 분석부 230: 정보 출력부
240: 분석정보 저장부
300: 정보분석서버 310: 제3 통신부
320: 정보 관리부 330: 정보 처리부

Claims (10)

  1.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생체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생체정보 데이터로 생성하는 프로세서부;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펜에 접촉되는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상기 생체신호를 감지하도록 펜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맥파와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측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맥파를 측정할 때 발생하는 잡음을 줄이도록 하는 필터(Fil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측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측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잔량 및 생체정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측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데이터를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및 와이브로(Wibro)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제1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측정장치.
  7. 펜에 접촉되는 사용자의 손끝으로부터 생체신호를 감지하도록 펜 타입으로 형성되고, 상기 생체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생체정보로 생성하는 생체정보 측정장치; 및
    상기 생체정보 측정장치로부터 상기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누적된 생체정보 패턴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진단하는 생체정보 분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분석장치는 상기 생체정보 측정장치의 전원 충전을 위한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분석장치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및 와이브로(Wibro)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생체정보 측정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생체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대한 상기 생체정보 패턴을 생성하는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생체정보가 상기 누적된 생체정보 패턴의 허용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생체정보 측정장치,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외부 장치로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정상으로 판단된 경우, 실시간으로 수집된 상기 생체정보의 분석값을 누적된 상기 생체정보 패턴에 적용시켜 기존의 패턴정보를 재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시스템.
  10.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사용자별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 및 건강관리 컨텐츠를 온라인상으로 제공하는 정보분석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시스템.
KR1020090065788A 2009-07-20 2009-07-20 생체정보 측정장치 및 건강관리 시스템 KR101048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788A KR101048420B1 (ko) 2009-07-20 2009-07-20 생체정보 측정장치 및 건강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788A KR101048420B1 (ko) 2009-07-20 2009-07-20 생체정보 측정장치 및 건강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434A true KR20110008434A (ko) 2011-01-27
KR101048420B1 KR101048420B1 (ko) 2011-07-11

Family

ID=43614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788A KR101048420B1 (ko) 2009-07-20 2009-07-20 생체정보 측정장치 및 건강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8420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5367A2 (ko) * 2011-02-21 2012-08-30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헬스 체크를 이용한 무선통신방법 및 그 시스템
CN102920443A (zh) * 2012-11-06 2013-02-13 捷普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无线温度长时间监控测量系统
KR101257784B1 (ko) * 2011-09-23 2013-04-24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캡슐 내시경 시스템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3462593A (zh) * 2013-08-31 2013-12-25 杭州莱克思大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具有定时唤醒、身份识别与数据远程无线传送功能的体温监测装置
CN107788989A (zh) * 2017-09-04 2018-03-13 浙江大学 一种基于加速度传感器的写字姿态监测系统和方法
KR20180060643A (ko) * 2016-11-29 2018-06-07 박병섭 휴대용 개인건강 관리장치 제어시스템
KR101884226B1 (ko) * 2017-12-29 2018-08-02 신종환 골이식 대체재를 이용한 생체신호 검출장치
CN109291696A (zh) * 2018-09-29 2019-02-01 上海掌门科技有限公司 一种通过书写装置采集心电信号的方法与设备
CN109512404A (zh) * 2018-12-29 2019-03-26 北京小成素问信息技术有限公司 便携式诊脉笔和诊脉系统
KR20190091778A (ko) * 2018-01-29 2019-08-07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정보 및 영상정보 연계를 통한 인공지능 질환 진단 시스템
US11157095B2 (en) 2015-10-21 2021-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stylus including a plurality of biometric sensor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23140676A1 (en) * 2022-01-24 2023-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stress of a user
CN109291696B (zh) * 2018-09-29 2024-06-04 上海掌门科技有限公司 一种通过书写装置采集心电信号的方法与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728B1 (ko) * 2012-09-11 2014-04-28 (주)휴비딕 안전 보행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101758593B1 (ko) * 2017-04-05 2017-07-31 민선형 스트레스 측정이 가능한 필기구
KR101925535B1 (ko) * 2017-07-07 2018-12-06 손승희 스마트 컵 및 이를 이용한 심리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57760B1 (ko) * 2017-07-20 2019-12-18 주식회사 티엔드티굳텀스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0075885A1 (ko) * 2018-10-12 2020-04-16 손승희 스마트 컵 및 이를 이용한 심리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394B1 (ko) * 2002-03-27 2004-10-26 이원희 맥파검출장치
KR101448135B1 (ko) * 2007-12-11 2014-10-07 삼성전자 주식회사 펜 타입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5367A2 (ko) * 2011-02-21 2012-08-30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헬스 체크를 이용한 무선통신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2115367A3 (ko) * 2011-02-21 2012-12-20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헬스 체크를 이용한 무선통신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257784B1 (ko) * 2011-09-23 2013-04-24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캡슐 내시경 시스템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2920443A (zh) * 2012-11-06 2013-02-13 捷普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无线温度长时间监控测量系统
CN103462593A (zh) * 2013-08-31 2013-12-25 杭州莱克思大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具有定时唤醒、身份识别与数据远程无线传送功能的体温监测装置
US11157095B2 (en) 2015-10-21 2021-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stylus including a plurality of biometric sensor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80060643A (ko) * 2016-11-29 2018-06-07 박병섭 휴대용 개인건강 관리장치 제어시스템
CN107788989B (zh) * 2017-09-04 2019-10-29 浙江大学 一种基于加速度传感器的写字姿态监测系统和方法
CN107788989A (zh) * 2017-09-04 2018-03-13 浙江大学 一种基于加速度传感器的写字姿态监测系统和方法
KR101884226B1 (ko) * 2017-12-29 2018-08-02 신종환 골이식 대체재를 이용한 생체신호 검출장치
KR20190091778A (ko) * 2018-01-29 2019-08-07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정보 및 영상정보 연계를 통한 인공지능 질환 진단 시스템
CN109291696A (zh) * 2018-09-29 2019-02-01 上海掌门科技有限公司 一种通过书写装置采集心电信号的方法与设备
CN109291696B (zh) * 2018-09-29 2024-06-04 上海掌门科技有限公司 一种通过书写装置采集心电信号的方法与设备
CN109512404A (zh) * 2018-12-29 2019-03-26 北京小成素问信息技术有限公司 便携式诊脉笔和诊脉系统
WO2023140676A1 (en) * 2022-01-24 2023-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stress of a u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8420B1 (ko) 201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8420B1 (ko) 생체정보 측정장치 및 건강관리 시스템
CN105007338B (zh) 老人健康监测与报警智能物联网应用服务平台
KR101243763B1 (ko) 전기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건강지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N105852886B (zh) 面向大学生的精神压力评估及高危人群干预系统
CN105939658A (zh) 用于传感器的最佳定位的方法、系统和装置
Sarker et al. Portable multipurpose bio-signal acquisition and wireless streaming device for wearables
US20210145338A1 (en) Iot based wearable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meditation and mindfulness
KR10059123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건강상태 측정장치 및 그 정보관리방법
CN104290503A (zh) 一种带保健功能的智能圆珠笔
TW201349160A (zh) 生理監控系統與生理監控方法
KR20150061100A (ko)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Rahman et al. Network approach for physiological parameters measurement
KR100800075B1 (ko) 심박수 산출 방법 및 심박수 측정 장치
KR102568715B1 (ko) 휴대용 복합 생체신호 측정장치
US20240008812A1 (en) Wearable data collection device with non-invasive sensing
Androutsou et al. A smart computer mouse with biometric sensors for unobtrusive office work-related stress monitoring
CN205003676U (zh) 智能健康管理系统
KR20140065801A (ko) 센서 입력 시스템
KR20150089834A (ko)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원격 제어 장치
KR20170123133A (ko) 생체정보를 이용한 감성 인식 시스템 및 방법
CN110833423A (zh) 血氧仪
KR102470263B1 (ko) Ict기반의 양방향 통신과 사용자 관리가 가능한 혈당측정관리시스템
CN204679967U (zh) 一种具有鼠标垫的鼠标系统
CN210277135U (zh) 一种便携的健康检测及智能报警的仪器
CN112120715A (zh) 压力监测与缓解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