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888U - 온수세정기의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온수세정기의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888U
KR20110007888U KR2020100001191U KR20100001191U KR20110007888U KR 20110007888 U KR20110007888 U KR 20110007888U KR 2020100001191 U KR2020100001191 U KR 2020100001191U KR 20100001191 U KR20100001191 U KR 20100001191U KR 20110007888 U KR20110007888 U KR 201100078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shing
hot water
washing wate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1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4137Y1 (ko
Inventor
이용문
김윤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비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비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비타
Priority to KR20201000011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137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8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8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1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1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 B05B15/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discharged by cleaning nozz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2Non-contaminated water, e.g. for industrial water supp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온수세정기의 살균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살균장치는 급수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살균처리한 후 이를 복수의 세정노즐은 물론 노즐세척장치와 도기세척장치에 선택적으로 공급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종래 소모품인 살균물질을 주기적으로 충진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고, 온수세정기의 노즐부와 도기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살균수의 분사를 통해 세척하여 노즐부와 도기에 존재하는 세균을 살균 처리하면서 쾌적하고 깨끗한 환경을 조성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온수세정기의 살균장치{Sterillzation device of bidet}
본 고안은 온수세정기의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수세정기의 노즐부와 도기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살균수의 분사를 통해 세척하여 노즐부와 도기에 존재하는 세균을 살균 처리하고, 이를 통해 쾌적하고 깨끗한 욕실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온수세정기의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온수세정기라 함은 출몰하는 항문세정노즐과 국부세정노즐을 구비하고 있으면서 사용자의 용변 후 항문과 국부로 따뜻한 물을 분사하여 자동 세정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온수세정기는 장시간 사용할 경우 항문세정노즐과 국부세정노즐에 오물이 묻어있게 되는데, 이와같이 항문세정노즐과 국부세정노즐에 묻어있는 오물을 자동으로 세정하는 것으로 노즐세척장치라 한다.
그러나, 종래 온수세정기에 적용되는 노즐세척장치는 대부분이 노즐분사공의 상면 중심부에서 세척수를 흘려보내거나 아니면 노즐분사공의 측면에서 세척수를 흘려보내는 구조로 되어 있는 관계로, 노즐세척효과가 뛰어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따라, 종래에는 살균물질을 저장하는 탱크를 별도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탱크에 저장되는 살균물질을 희석한 후 이를 노즐세척장치에 공급하여, 노즐에 대한 살균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지만, 이 경우 탱크에 소모품인 살균물질을 주기적으로 충진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더불어, 종래에는 온수세정기가 설치되는 도기(변기)에 대한 살균 세척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사용자(또는 관리자)가 도기를 세척해야 하는 별도의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관계로, 관리의 어려움이 있고, 관리(특히 공용화장실)가 부실할 경우에는 쾌적하고 깨끗한 환경을 조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급수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살균처리한 후 이를 복수의 세정노즐은 물론 노즐세척장치와 도기세척장치에 선택적으로 공급제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 소모품인 살균물질을 주기적으로 충진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고, 온수세정기의 노즐부와 도기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살균수의 분사를 통해 세척하여 노즐부와 도기에 존재하는 세균을 살균 처리하면서 쾌적하고 깨끗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온수세정기의 살균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 온수세정기의 살균장치는, 급수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 저장부; 상기 세척수 저장부에 저장되는 세척수를 살균 소독하는 세척수 처리부; 상기 세척수 처리부에 의해 살균 소독되는 세척수의 공급경로를 선택적으로 결정하는 유량조절부; 상기 유량조절부의 선택적인 공급경로 결정에 따라 살균 소독된 세척수를 공급받아 국부 및/또는 항문을 살균 소독하도록 분사하는 세정노즐부; 상기 유량조절부의 공급경로 결정에 따라 살균 소독된 세척수를 공급받아 상기 세정노즐부를 살균 소독하도록 분사하는 노즐세척부; 및, 상기 시스템 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세척부 저장부는 저탕식의 온수탱크 또는 순간온수식의 온수탱크인 것이다.
또한, 상기 세척수 처리부는 상기 세척수 저장부가 저탕식의 온수탱크인 경우 상기 온수탱크내에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세척수 처리부는 상기 세척수 저장부가 순간온수식의 온수탱크인 경우 상기 온수탱크의 외부에 장착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세척수 처리부는 세정노즐부와 도기에 대한 플라즈마 에코 살균 소독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수산기 발생모듈인 것이다.
또한, 상기 세정노즐부는 국부세정노즐과 항문세정노즐을 포함하되, 상기 국부세정노즐과 항문세정노즐은 하우징으로 의해 덮혀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상기 노즐세척부를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전방측에는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유량조절부의 공급경로 결정에 따라 살균 소독된 세척수를 공급받아 도기를 살균 소독하도록 분사하는 도기세척노즐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도기세척부의 분사각도는 도기를 향하여 최초 분사지점에서 120°∼170°범위로 확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기세척부에 의한 살균 소독되는 세척수의 분사는 온수세정기의 변좌부에 구성되는 착좌감지스위치가 온 또는 오프시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다른 유량제어부의 열림으로부터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기세척부에 의해 살균 소독된 세척수의 분사시간은 착좌감지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신호의 발생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동안 카운터(예; 5∼10초)가 이루어진 후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를 받는 유량제어부의 닫힘으로부터 정지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급수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살균처리한 후 이를 복수의 세정노즐은 물론 노즐세척장치와 도기세척장치에 선택적으로 공급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종래 소모품인 살균물질을 주기적으로 충진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고, 온수세정기의 노즐부와 도기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살균수의 분사를 통해 세척하여 노즐부와 도기에 존재하는 세균을 살균 처리하면서 쾌적하고 깨끗한 환경을 조성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온수세정기 살균장치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도기(변기)에 온수세정기가 설치된 상태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온수세정기 살균장치의 상세 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도 4에 대한 단면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온수세정기 살균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도기(변기)에 온수세정기가 설치된 상태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온수세정기 살균장치의 상세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도 4에 대한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온수세정기 살균장치는 세척수 저장부(10), 세척수 처리부(20), 유량조절부(30), 세정노즐부(40), 노즐세척부(50), 제어모듈(60), 그리고 도기세척부(70)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수 저장부(10)는 급수전(11)으로부터 세척수의 공급이 이루어질 때 이를 감압변(12)을 통해 공급받아 저장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모듈(60)의 제어동작에 따라 히팅동작이 이루어지는 저탕식의 온수탱크 또는 순간온수식의 온수탱크 중 어느 하나인 것이다.
상기 세척수 처리부(20)는 상기 세정노즐부(50)와 온수세정기가 설치되는 도기(변기)(100)에 대한 플라즈마 에코 살균 소독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어모듈(60)의 제어동작에 따라 상기 세척수 저장부(10)에 저장되는 세척수를 살균 소독하는 수산기(-OH) 발생모듈로서, 상기 세척수 저장부(10)가 저탕식의 온수탱크인 경우에는 상기 저탕식 온수탱내에 구성되고, 상기 세척수 저장부(10)가 순간온수식의 온수탱크인 경우에는 상기 순간온수식의 온수탱크 외부 즉, 온수세정기의 외부에 장착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산기 발생모듈은 수중에 미세전류를 인가하여 수중 방전을 통해 세척수를 이온 클러스터 형태인 산소계활성종(O-, 02, 03, HO2, H2O2, OH)으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세척수 처리부(20)가 온수세정기의 외부에 장착 구성되면, 상기 세척수 처리부(20)의 입력단은 온수탱크의 출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세척수 처리부(20)의 출력단은 상기 유량조절부(30)의 입수측에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유량조절부(30)는 상기 제어모듈(60)의 제어를 받아 공급경로의 개방 또는 닫힘이 이루어져 상기 세척수 처리부(20)에 의해 살균 소독되는 세척수의 공급경로를 선택적으로 결정하는 밸브체로서, 상기 세정노즐부(40)의 동작이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세정노즐부(40)에만 살균 소독된 세척수를 공급하고, 상기 세정노즐부(40)의 살균 소독 동작시에는 상기 노즐세척부(50)에만 살균 소독된 세척수를 공급하며, 상기 도기(100)의 살균 소독 동작시에는 상기 도기세척부(70)에만 살균 소독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어모듈(60)의 제어를 받아 공급경로가 선택적으로 결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량조절부(30)는 상기 제어모듈(60)의 제어를 받아 개폐되는 독립된 다수의 전자밸브로 구성하거나, 또는 하나의 몸체에 하나의 입수측과 복수(3개)의 출수측을 가지는 전자밸브일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따라, 상기 세정노즐부(40)와 노즐세척부(50) 및 도기세척부(70)는 각각 별도의 공급관을 통해 상기 유량조절부(30)에 연결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노즐세척부(50)와 도기세척부(70)는 하나의 공급관을 통해 상기 유량조절부(30)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노즐세척부(50)에 의한 세정노즐부(40)의 살균소독과 상기 도기세척부(70)에 이한 도기(변기)(100)의 살균 소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세정노즐부(40)는 국부세정노즐과 항문세정노즐을 포함하면서 상기 제어모듈(60)의 제어를 받아 전후이 이루어지면서 세척부를 분사하는 세정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유량조절부(30)의 선택적인 공급경로 결정에 따라 살균 소독된 세척수를 공급받아 국부 및/또는 항문을 살균 소독하기 위해 상기 살균 소독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노즐세척부(50)는 상기 유량조절부(30)의 공급경로 결정에 따라 살균 소독된 세척수를 공급받아 국부세정노즐과 항문세정노즐을 포함하는 상기 세정노즐부(40)를 살균 소독하도록, 상기 살균 소독된 세척수를 상기 세정노즐부(40)에 분사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노즐세척부(50)는 상기 국부세정노즐과 항문세정노즐을 포함하는 세정노즐부(40)를 감싸는 아치형 하우징(200)의 내측면에 다수 구성되어, 상기 세정노즐부(40)에 포함되는 국부세정노즐과 항문세정노즐의 끝단에 살균 소독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다수개의 세척노즐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도기 세척부(70)는 상기 아치형 하우징(200)의 전방측에 다수 형성도는 세척노즐로서, 상기 살균 소독된 세척수를 도기(변기)(100)에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도기 세척부(70)의 세척수 분사는 온수세정기의 변좌부에 구성되는 착좌감지스위치(미도시)가 온 또는 오프될 때, 상기 온 또는 오프신호를 입력받는 상기 제어모듈(60)의 제어를 받아 유량조절부(30)의 열림이 이루어질 때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도기세척부(70)에 의해 살균 소독된 세척수의 분사시간은 착좌감지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신호의 발생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동안 카운터(예; 5∼10초)가 이루어지는 동안에만 상기 제어모듈(60)의 제어를 받는 유량조절부(30)의 닫힘이 이루어질까지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아치형 하우징(200)의 전방측에 다수 형성되는 도기 세척부(70)의 각 세척노즐에 대한 분사각도는 도기(100)에 대한 살균 소독를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도기(100)를 향하여 최초 분사지점에서 120°∼170°범위로 확산되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120°가 좋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온수세정기의 세척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급수전(11)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가 감압변(12)을 통해 감압이 이루어지는 상태로 일정용량(예; 0.6∼0.8 리터)의 온수탱크인 세척수 저장부(10)에 저장되면, 상기 세척수 저장부(10)에 저장된 세척수는 수산기 발생모듈인 세척수 처리부(20)에 의해 살균 소독이 이루어진 후 유량조절부(30)로 안내된다.
이때, 사용자가 온수세정기의 변좌부에 앉을 경우, 상기 변좌부에 마련되는 착좌감지스위치가 온 동작을 하고, 상기 온 동작에 따른 신호는 제어모듈(60)에 전달되며, 이에따라 상기 제어모듈(60)은 사용자의 용변 처리를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착좌감지스위치의 온 동작이 제어모듈(60)에 전달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용변 처리가 완료된 후 조작부를 통해 세정노즐부(40)의 세정동작을 선택시, 상기 세정동작의 선택에 따른 신호가 제어모듈(60)에 출력되는 바,
상기 제어모듈(60)은 상기 살균 소독된 세척수가 국부세정모듈과 항문세정모듈을 포함하는 세정노즐부(40)에만 공급되도록 유량조절부(30)의 개폐를 제어함은 물론, 아치형 하우징(200)에 의해 덮혀진 세정노즐부(40)를 사용자의 국부 또는 항문 위치로 출몰(전진)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유량조절부(30)를 통해 세정노즐부(40)로 공급되는 살균 소독된 세척수는 상기 출몰된 세정노즐부(40)를 통해 사용자의 항문 또는 국부에 분사되고, 이에따라 용변을 통해 잔존하는 사용자의 국부 또는 항문에서의 세균은 상기 세척수를 통해 살균 소독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국부 또는 항문에 대한 살균 소독의 세정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세정노즐부(40)는 원래의 위치로 리턴(후진)이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제어모듈(60)은 살균 소독된 세척수가 상기 아치형 하우징(200)의 내측면에 다수 형성되는 노즐세척부(50)에만 공급되도록 유량조절부(30)의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유량조절부(30)를 통해 세정노즐부(40)로 공급되는 살균 소독된 세척수는 상기 리턴된 세정노즐부(40)로 살균 소독된 세척부를 분사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세정노즐부(40)를 이루는 국부세정노즐과 항문세정노즐에 묻어 있는 세균의 살균 소독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세정노즐부(40)에 대한 노즐세척부(50)의 살균 소독 처리는 변좌부에 구성되는 착좌감지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 동작에 관계없이 주기적으로 설정된 시간에 따라 실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국부 또는 항문에 대한 살균 소독의 세정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세정노즐부(40)는 원래의 위치로 리턴(후진)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어모듈(60)은 살균 소독된 세척수가 상기 아치형 하우징(200)의 내측면에 다수 형성되는 노즐세척부(50)과 상기 아치형 하우징(200)의 전방측에 다수 형성되는 도기 세척부(70)에 동시에 공급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도기 세척부(70)에만 공급되도록 유량조절부(30)의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노즐세척부(50)에 대한 설명은 이루어져 있으므로 그 분사동작에 대하여는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유량조절부(30)를 통해 도기세척부(70)로만 살균 소독된 세척수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살균 소독된 세척수는 120°∼170°범위로 확산되는 분사각도로서 도기(변기)(100)에 분사되며, 이에따라 상기 도기(100)의 표면에 대한 살균 소독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세척수 저장부
20 ; 세척수 처리부
30 ; 유량조절부
40 ; 세정노즐부
50 ; 노즐세척부
60 ; 제어모듈
70; 도기세척부
100 ; 도기(변기)
200 ; 하우징

Claims (10)

  1. 급수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 저장부;
    상기 세척수 저장부에 저장되는 세척수를 살균 소독하는 세척수 처리부;
    상기 세척수 처리부에 의해 살균 소독되는 세척수의 공급경로를 선택적으로 결정하는 유량조절부;
    상기 유량조절부의 선택적인 공급경로 결정에 따라 살균 소독된 세척수를 공급받아 국부 및/또는 항문을 살균 소독하도록 분사하는 세정노즐부; 및,
    상기 유량조절부의 공급경로 결정에 따라 살균 소독된 세척수를 공급받아 상기 세정노즐부를 살균 소독하도록 분사하는 노즐세척부; 및,
    상기 시스템 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살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 저장부는 저탕식의 온수탱크 또는 순간온수식의 온수탱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살균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세척수 처리부는 상기 세척수 저장부가 저탕식의 온수탱크인 경우 상기 온수탱크내에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살균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세척수 처리부는 상기 세척수 저장부가 순간온수식의 온수탱크인 경우 상기 온수탱크의 외부에 장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살균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처리부는 세정노즐부와 도기에 대한 플라즈마 에코 살균 소독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수산기 발생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살균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노즐부는 국부세정노즐과 항문세정노즐을 포함하되, 상기 국부세정노즐과 항문세정노즐은 하우징으로 의해 덮혀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상기 노즐세척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살균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측에는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고, 유량조절부의 공급경로 결정에 따라 살균 소독된 세척수를 공급받아 도기를 살균 소독하도록 분사하는 도기세척노즐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살균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도기세척부의 분사각도는 도기를 향하여 최초 분사지점에서 120°∼170°범위로 확산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살균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기세척부에 의해 살균 소독되는 세척수의 분사는 온수세정기의 변좌부에 구성되는 착좌감지스위치가 온 또는 오프시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다른 유량제어부의 열림으로부터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살균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기세척부에 의해 살균 소독된 세척수의 분사시간은 착좌감지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신호의 발생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동안 카운터가 이루어진 후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를 받는 유량제어부의 닫힘으로부터 정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살균장치.
KR2020100001191U 2010-02-02 2010-02-02 온수세정기의 살균장치 KR2004641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191U KR200464137Y1 (ko) 2010-02-02 2010-02-02 온수세정기의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191U KR200464137Y1 (ko) 2010-02-02 2010-02-02 온수세정기의 살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888U true KR20110007888U (ko) 2011-08-10
KR200464137Y1 KR200464137Y1 (ko) 2012-12-13

Family

ID=45596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191U KR200464137Y1 (ko) 2010-02-02 2010-02-02 온수세정기의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13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774B1 (ko) 2011-07-13 2013-08-08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온수세정기의 노즐 세척장치
KR20220093893A (ko)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온수세정기 살균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651B1 (ko) * 2006-02-28 2006-12-2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세정노즐 살균기능을 구비하는 비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137Y1 (ko) 201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6783B1 (ko) 살균 기능을 갖는 비데
KR101320586B1 (ko) 온수세정기의 노즐어셈블리 살균방법
KR20100041572A (ko) 살균장치와 살균비데시스템
KR102068142B1 (ko) 좌변기용 버블공급장치
KR20130109918A (ko) 버블공급기구를 구비한 도기세정장치 및 도기세정장치의 세정방법
JP2016205125A (ja) トイレ設備
JP2012082615A (ja) 衛生洗浄装置
JP2000220193A (ja) 防汚機能付き大便器装置
KR100585485B1 (ko) 비데 변좌 및 변기 제균장치
JP2012067442A (ja) 衛生洗浄装置
KR200464137Y1 (ko) 온수세정기의 살균장치
JP2017180014A (ja) 衛生洗浄装置
KR101326784B1 (ko) 살균 기능을 갖는 비데
KR101294774B1 (ko) 온수세정기의 노즐 세척장치
KR20130008909A (ko) 온수세정기의 노즐 어셈블리
JP2006274710A (ja) 洗浄装置
KR20230030311A (ko) 비데의 변좌살균장치
KR20110045504A (ko) 위생 좌변기 및 이를 이용한 좌변기 위생관리방법
KR102669312B1 (ko) 비데의 사용시간을 이용한 변기 내부 자동 살균장치 및 방법
KR101696214B1 (ko) 유로 살균이 가능한 비데
JP7415335B2 (ja) 衛生洗浄装置
JP2002021150A (ja) 水洗トイレの洗浄装置
KR20110109746A (ko) 비데기 세정노즐의 살균장치
KR20230123662A (ko) 비데의 사용시간을 이용한 변기 내부 자동 살균장치 및 방법
JP7310306B2 (ja) 衛生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