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565U - Instant cooking container for press to regulate temperature - Google Patents

Instant cooking container for press to regulate tempera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565U
KR20110007565U KR2020110006366U KR20110006366U KR20110007565U KR 20110007565 U KR20110007565 U KR 20110007565U KR 2020110006366 U KR2020110006366 U KR 2020110006366U KR 20110006366 U KR20110006366 U KR 20110006366U KR 20110007565 U KR20110007565 U KR 201100075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ressure
heat
lid
upp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36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성옥 오
송훈호
Original Assignee
성옥 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옥 오 filed Critical 성옥 오
Priority to KR20201100063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7565U/en
Publication of KR201100075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565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8Warming devices generating the heat by exothermic reactions, e.g. heat released by the contact of unslaked lime with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84Packages having self-contained heating means, e.g. heating generated by the reaction of two chem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8Materials not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14Solid materials, e.g. powdery or granular

Abstract

본 고안의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는 저면에 받침테가 형성되는 용기제1판체 및 상기의 용기제1판체 내부에 삽입시켜 단열진공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용기제2판체를 결합하여 일체화된 2중 용기로 구성되어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로 삽입하여 개구측 테두리부를 밀폐하며, 그 내부로 발열체가 수용되도록 수용공간부를 형성하는 상부용기 및 상기 상부용기를 덮어 밀폐하도록 하는 뚜껑과; 상기 용기본체와 상부용기 사이 및 상부용기와 뚜껑 사이에 밀폐성이 강화되도록 긴밀하게 구비되는 각각의 압력패킹과; 상기 상부용기를 사이에 두고 용기본체와 뚜껑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수단와; 상기 용기본체 상단에 구비되어 용기본체 내부의 과도한 압력상승을 방지하며, 반응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압력조절밸브와; 상기 뚜껑체 상단에 구비되어 상부용기 내부의 과도한 압력상승을 방지하며, 음식물 가열 시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압력조절밸브와; 상기 수용공간부에 수용되어 발열반응 함으로써 상기 상부용기에 담긴 음식물을 가열하는 발열성 금속체 및 발열물질로 이루어진 발열체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술에 의하면, 발열발응시 용기본체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또한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상부용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조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되는 발열체는 발열성 금속체가 교체 가능하며, 수명이 다할 때까지 재활용되게 내장할 수 있음으로써 필요할 때마다 외부로부터 발열물질을 공급하여 상기 발열성 금속체와 급속하게 반응토록 하고, 이때 발생하는 고온의 열이 지속하도록 함으로서, 열효율을 극대화하여, 영하의 추운 곳에서도 비교적 조리시간이 오래 걸리는 생닭, 생돼지고기, 생쇠고기 등과 같은 육류도 충분히 조리할 수 있으며, 발열반응이 종료되면 폐기성 발열물질은 쉽게 폐기되거나 수거하여 재활용에 이용할 수 있어서, 종래의 1회용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쓰레기 량보다 획기적으로 쓰레기 발생량을 줄이는 효과가 제공된다.
The instant cooking vessel that can adjust the pres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ted into the container first plate body having a support frame formed on the bottom and the container second plate body to be inserted into the container first plate body so that an insulating vacuum part can be formed. A container body composed of a middle container and having an open top; A lid configured to cover the upper container and the upper container to be inserted into the container body to seal the edge of the opening and to form a receiving space so that the heating element is received therein; Each pressure packing provided closely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upper container and between the upper container and the lid so as to enhance the sealing property; Fastening means for coupling the container body and the lid with the upper container therebetween; A first pressure control valv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to prevent excessive pressure increase inside the container body and discharging the reactor body to the outside; A second pressure control valv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lid to prevent an excessive pressure increase inside the upper container and to discharge steam to the outside when food is heated; It is made of a structure comprising a heating element made of a heat generating metal and a heat generating material for heating the food contained in the upper container by the heat generating reaction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space.
According to the above technology, the heat generated from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is minimized when heat is generated to the outside, and the cooking time is minimized by minimizing the loss of heat generated inside the upper container during the cooking process. An effect that can be shortened is provided.
In addition, the heating element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ody can be replaced with a heat-generating metal body, and can be built to be recycled until the end of its life, so that the heating element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whenever necessary to react rapidly with the heat-generating metal body. In addition, by maintaining the high temperature heat generated at this time, by maximizing the thermal efficiency, it is possible to cook enough meat such as raw chicken, raw pork, raw beef, etc., which takes a relatively long cooking time even in a cold place below zero, and exothermic reaction When finished, the waste heat generating material can be easily disposed or collected and used for recycling, thereby providing a drastic reduction in the amount of waste generated than the amount of waste generated in the conventional disposable heating element.

Description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INSTANT COOKING CONTAINER FOR PRESS TO REGULATE TEMPERATURE}INSTANT COOKING CONTAINER FOR PRESS TO REGULATE TEMPERATURE}

본 고안은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열체가 투입되는 용기본체 외부로 용기본체와 유사하게 형성된 보강판을 결합하여 일체화된 2중 용기를 구성하되, 상기 용기본체와 보강판 사이를 이격시켜 단열진공부가 형성되도록 하며, 용기본체의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압력조절 장치를 구비하고,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에 상부용기 및 상부용기의 뚜껑이 일체되게 장착되며, 상기 뚜껑체에 상부용기의 내부 압력조절이 가능하도록 압력조절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발열발응시 용기본체 및 상부용기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조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tant cooking vessel capable of adjusting pressure, and more particularly, to configure an integrated double container by combining a reinforcing plate formed similarly to the container body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into which the heating element is input, the container body A space between the reinforcing plate and the reinforcing plate to be formed, and a pressure adjusting device to adjust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body, and the upper container and the lid of the upper container are integrally mounted to the container body by a fastening means. By providing a pressure control device to control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upper container in the lid body,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cooking time by minimizing the loss of heat generated inside the container body and the upper container to the outside during exothermic reaction. It is to provide an instant cooking container capable of adjusting the pressure.

일반적으로 불 없이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화재의 위험 없이 즉석에서 발열반응하는 발열체를 수용하여 음식물 조리가 가능한 조리 용기에 압력 상승시 설정된 임의의 압력이상에서 자동으로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압력조절 기능을 갖는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있어서 외부로 손실되는 열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85137호 및 제10-0917694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2011-0005008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들 발열체가 적용되는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는 압력조절장치가 구성되지 않는 즉석조리 용기보다 열효율이 뛰어난 장점을 지니고 있다.
In general, it is not affected by wind without fire, and the pressure control function is provided so that the heating element is automatically vented at a certain pressure higher than the set pressure when cooking pressure is accommodated in the cooking vessel capable of cooking food by heating exothermic reaction immediately without risk of fire. By constructing the apparatus having the same, heat lost to the outside in cooking food can be minimiz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s. 10-085137 and 10-0917694,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2011-0005008 are disclosed. It has the advantage of superior thermal efficiency than instant cooking vessel which does not consist of.

그러나 종래의 발열체가 적용되는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는 통상 한 겹의 스테인리스로 제작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한 겹으로 제작된 용기는 열전도율이 빨라 용기 본체 외부로 쉽게 열이 손실하게 되어 상부용기의 음식물을 가열하는데 열효율이 떨어짐으로써, 조리된 음식물을 데우거나, 라면이나 밥 등과 같이 대체로 조리시간이 짧은 음식물을 조리하는 데 적합하지만, 반면에 비교적 조리시간이 오래 걸리는 생닭, 생돼지고기, 생쇠고기 등과 같은 육류를 조리하기에 적합하지 않거나, 또는 이들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이 소유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However, an instant cooking vessel capable of adjusting pressure to which a conventional heating element is applied is usually manufactured and used in one layer of stainless steel. The container made of one layer as described above has a high thermal conductivity, so heat is easily lost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and thus the heat efficiency of heating the food of the upper container is reduced, thereby heating the cooked food or cooking time such as ramen or rice. Suitable for cooking these shorter foods, but on the other hand they are not suitable for cooking meats such as raw chicken, pork, raw beef, etc., which are relatively time-consuming, or too much time is spent cooking these foods. Had.

물론, 국내특허공개 2005-0110514호와 같이 압력조절이 가능한 조리 용기의 외측으로 단열부재로 구성된 용기에 삽입하여 용기 본체 외부로 손실되는 열을 차단하는데 적용될 수는 있겠으나, 조리 용기를 취급할 때마다 상기 단열부재 용기와 결합 및 분리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Of course, it may be applied to block heat lost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by inserting it into a container consisting of a heat insulating member to the outside of the pressure-controlled cooking container, such a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5-0110514, but when handling the cooking container Every time there was a hassle to combine and separate with the insulation member container.

더구나, 이들 조리 용기는 발열체가 투입되는 용기 본체에만 압력조절 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이에 따라 음식물을 수납하는 상부용기의 내부 압력조절을 제공할 수 없음으로서 음식물을 가열하는 동안 상부용기의 외부로 유출되는 발열량이 많기 때문에 열효율이 떨어져 조리시간이 오래 경과되거나, 연료로서 발열체 소모량이 많아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함으로써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Moreover, these cooking vessels are provided with a pressure regulating device only in the container body into which the heating element is put, and thus cannot provide internal pressure control of the upper container for storing the food and thus outflows to the outside of the upper container while the food is heated. Due to the large amount of heat genera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oking efficiency is elapsed due to low thermal efficiency or the consumption of the heating element as fuel increases, thereby not satisfying the needs of consumers.

이에, 본 고안인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자 본 고안을 연구 개발하여 완성한 것으로서,
Thus, the present inventors have solved all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completed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서는 발열발응시 용기본체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단열진공부가 형성되도록 압력조절이 가능한 용기본체에 보강판을 결합하여 일체화된 2중용기를 구성하고, 또한 상기 2중용기와 상부용기 및 상부용기 뚜껑을 체결수단에 의해 장착되도록 하며, 상부용기의 뚜껑체에 압력조절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음식물이 가열되는 동안 상부용기에서 상승하는 내부 압력을 조절하여 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ouble container is integrated by combining a reinforcing plate to a pressure-controlled container body so that a heat-insulating vacuum part is formed so as to prevent heat generated inside the container body from being lost to the outside during heat generation. The double container and the upper container and the upper container lid are mounted by the fastening means, and the pressure adjusting device is provided on the lid of the upper container to control the internal pressure rising from the upper container while the food is heated to maximize the thermal efficienc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stant cooking vessel capable of adjusting pressu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저면에 받침테가 형성되는 용기제1판체 및 상기의 용기제1판체 내부에 삽입시켜 단열진공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용기제2판체를 결합하여 일체화된 2중 용기로 구성되어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로 삽입하여 개구측 테두리부를 밀폐하며, 그 내부로 발열체가 수용되도록 수용공간부를 형성하는 상부용기 및 상기 상부용기를 덮어 밀폐하도록 하는 뚜껑과; 상기 용기본체와 상부용기 사이 및 상부용기와 뚜껑 사이에 밀폐성이 강화되도록 긴밀하게 구비되는 각각의 압력패킹과; 상기 상부용기를 사이에 두고 용기본체와 뚜껑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수단와; 상기 용기본체 상단에 구비되어 용기본체 내부의 과도한 압력상승을 방지하며, 반응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압력조절밸브와; 상기 뚜껑체 상단에 구비되어 상부용기 내부의 과도한 압력상승을 방지하며, 음식물 가열 시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압력조절밸브와; 상기 수용공간부에 수용되어 발열반응 함으로써 상기 상부용기에 담긴 음식물을 가열하는 발열성 금속체 및 발열물질로 이루어진 발열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발열발응시 용기본체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또한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상부용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조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ouble container integrated by combining the container first plate body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container second plate body is inserted into the container first plate body to form a heat insulating vacuum portion Consisting of the container body is open at the top; A lid configured to cover the upper container and the upper container to be inserted into the container body to seal the edge of the opening and to form a receiving space so that the heating element is received therein; Each pressure packing provided closely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upper container and between the upper container and the lid so as to enhance the sealing property; Fastening means for coupling the container body and the lid with the upper container therebetween; A first pressure control valv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to prevent excessive pressure increase inside the container body and discharging the reactor body to the outside; A second pressure control valv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lid to prevent an excessive pressure increase inside the upper container and to discharge steam to the outside when food is heated; It includes a heating element made of a heat generating metal and a heat generating material to heat the food contained in the upper container by the exothermic reaction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space, the heat generated inside the container body during heat exotherm is lost to the outside Minimized, and also provides a pressure-controlled instant cooking container that can reduce the cooking time by minimizing the loss of heat generated in the upper container to the outside in the process of cooking food.

본 고안의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의 기술을 실시함으로써, 발열발응시 용기본체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또한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상부용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비교적 조리시간이 오래 걸리는 생닭, 생돼지고기, 생쇠고기 등과 같은 육류도 충분히 조리할 수 있음은 물론, 조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By implementing the technology of the instant cooking vessel capable of adjusting the pres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generated inside the main body of the container during heat generation is minimized to the outside, and heat generated inside the upper container during the cooking process Since the loss to the outside can be minimized, meat such as raw chicken, raw pork, raw beef, etc., which take a relatively long cooking time, can also be sufficiently cooked, and the cooking time can be shortened.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시시예에 따른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의 외관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의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K부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된 체결부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된 체결부재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7에 적용된 체결부재의 일면과 타측면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적용된 제1압력조절밸브 발취 분해 사시도.
도 9은 도 8의 제1압력조절밸브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는 본 고안에 적용된 제2압력조절밸브 발취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제2압력조절밸브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은 본 고안에 적용된 발열성 금속체를 흡수성 직물봉지에 삽입 및 밀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에 적용된 발열물질을 삽입하여 밀봉된 포장용기의 일부를 절개한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에 적용된 발열물질을 다수개의 셀 형태로 구성된 포장용기에 삽입 및 밀봉 후 각 셀 사이에 형성된 칼날 절취선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instant cooking vessel capable of adjusting press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in order to explain the combined state of the pressure-controlled instant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instantaneous cooking vessel capable of pressur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K of FIG. 3;
Figure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astening memb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o explain a fastening memb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astening member applied to FIG.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pressure control valv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first pressure control valve of FIG. 8.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pressure control valv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second pressure control valve of FIG. 10.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erting and sealing a pyrogenic metal body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to an absorbent fabric bag.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o explain that the incision of a portion of the sealed packaging container by inserting the heating materia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utting line formed between each cell after the insertion and sealing the heating materia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packaging container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ells.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based on an accompanying drawing.

먼저, 첨부된 도 1과 도 2와 도 3과 도 4와 도 5와 도 6과 도 7과 도 8과 도 9와 도 10과 도 11, 도12, 도 13, 도 14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시시예에 따른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의 외관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K부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된 체결부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된 체결부재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7에 적용된 체결부재의 일면과 타측면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적용된 제1압력조절밸브 발취 분해 사시도이고, 도 9은 도 8의 제1압력조절밸브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는 본 고안에 적용된 제2압력조절밸브 발취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제2압력조절밸브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2은 본 고안에 적용된 발열성 금속체를 흡수성 직물봉지에 삽입 및 밀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고안에 적용된 발열물질을 삽입하여 밀봉된 포장용기의 일부를 절개한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고안에 적용된 발열물질을 다수개의 셀 형태로 구성된 포장용기에 삽입 및 밀봉 후 각 셀 사이에 형성된 칼날 절취선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First, referring to FIG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and 14,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instantaneous cooking vessel capable of adjusting press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llustrates the combined state of the instantaneous cooking vessel capable of pressure adjust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n for the purpose, 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sure-controlled instant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5 is an enlarged view of part K,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astening memb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astening memb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astening member applied to Figure 7,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pressure control valve extrac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ssembled state of the first pressure control valve of Figure 8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econd pressure control valve extraction exploded perspective view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assembling the second pressure control valve of FIG. 10, and FIG. 12 is a heat genera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erting and sealing a metallic material into an absorbent fabric bag, and FIG. 13 illustrates a part of a sealed packaging container inserted by inserting a heating materia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utting edge line formed between each cell after inserting and sealing a heating materia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plurality of cell shapes. It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n for the sake of simplicity.

먼저, 도 1, 도 2,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100)는 용기제1판체(11) 및 상기의 용기제1판체(11)를 내부로 삽입시켜 단열진공부(A)가 형성될 수 있도록 용기제2판체(12)를 결합하여 일체화된 2중 용기로 구성되어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갖고 발열체 및 상부용기 등의 내용물을 담겨질 수 있도록 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로 삽입하여 개구측 테두리부(17)를 밀폐하며, 그 내부로 발열체가 수용되도록 수용공간부(B)를 형성하는 상부용기(20) 및 상기 상부용기(20)를 덮어 밀폐하도록 하는 뚜껑(30)과; 상기 용기본체(10)와 상부용기(20) 사이 및 상부용기(20)와 뚜껑(30) 사이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압력을 유지할 수 있게 구비되는 각각의 압력패킹(40a, 40b)과; 상기 상부용기(20)를 사이에 두고 용기본체(10)와 뚜껑(30)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부재(50)와; 상기 용기본체(10) 상단에 구비되어 수용공간부(B)의 압력이 과다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압력조절밸브(60)와; 상기 뚜껑체(40) 상단에 구비되어 상부용기 내부의 과도한 압력상승을 방지하며, 음식물 가열 시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압력조절밸브(70)와; 상기 수용공간부(B)에 수용되어 발열반응 함으로써 상기 상부용기(30)에 담긴 음식물을 가열하는 발열성 금속체(80a) 및 발열물질(80b)로 이루어진 발열체(80)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First, as shown in FIG. 1, FIG. 2, FIG. 3, FIG. 4, the said instantaneous cooking container 100 which can adjust the pressure has the container 1st board body 11 and the said container 1st board body 11 inside. Combining the second plate body (12) to form a heat insulating vacuum portion (A) by inserting it is composed of an integrated double container to have an open top shape and to contain contents such as heating element and upper container Container body 10; The upper container 20 and the upper container 20 are inserted into the container body 10 to seal the edge portion 17 of the opening side and form a receiving space B so that the heating element is accommodated therein. A lid 30 to cover and seal the cover; Pressure packings 40a and 40b provided between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upper container 20 and between the upper container 20 and the lid 30 to maintain pressure; A fastening member 50 configured to couple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lid 30 with the upper container 20 therebetween; A first pressure regulating valve (60)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10) to prevent an excessive increase in pressure in the accommodation space (B); A second pressure control valve (70)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lid (40) to prevent an excessive pressure rise inside the upper container and discharging steam to the outside when food is heated; It is a structure that includes a heat generating body (80) made of a heat generating metal body (80a) and a heat generating material (80b) for heating the food contained in the upper container (30) by being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B).

상기 용기본체(10)와 상부용기(20)와 뚜껑(30)과 압력패킹(40)은 체결부재(50)에 의해 장착되며, 분해조립이 가능한 상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공간부(B)는 용기본체(10) 내에 상부용기(20) 장착할 때 용기본체(10)와 상부용기(20) 사이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발열체(80)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작용한다. 미설명된 부호 C는 조리용 음식물을 수납하는 공간으로 음식물수납부이다.
The container body 10, the upper vessel 20, the lid 30 and the pressure packing 40 is mounted by the fastening member 50,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assembly assembly is provided in a possible state. The receiving space portion (B) is formed between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upper container 20 when the upper container 20 is mounted in the container body 10 to act as a space in which the heating element 80 is accommodated. do. Unexplained symbol C is a space for storing food for cooking, which is a food storag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용기본체(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제1판체(11)와, 상기의 용기제1판체(11)의 외측으로 씌워지도록 하는 보강판인 용기제2판체(12)를 형성하되, 상기의 용기제1판체(11)와 용기제2판체(12) 사이 곧, 용기제1판체 외피(11b) 및 용기제2판체 내피(12a) 사이에 소정의 공간인 단열진공부(A)가 형성될 수 있도록 이격되며, 용기제1판체(11) 및 용기제2판체(12)의 상단부분을 각각 내, 외측방향을 향하여 절곡시켜 각각의 접합면(11c)(12c)이 서로 면접촉 되도록 하여 면접촉 부분은 서로 부착하여 용기제1판체(11)와 용기제2판체(12)를 일체화함으로써 2중용기가 형성하도록 제공된다.
The container bod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container first plate body 11, the container second container which is covered with the outer side of the container first plate body 11 The plate body 12 is formed, and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container first plate body 11 and the container second plate body 12, that is, between the container first plate body shell 11b and the container second plate body shell 12a. Spaced apart so as to form a heat insulating vacuum portion (A), the upper end portions of the container first plate body 11 and the container second plate body 12 are bent inward and outward, respectively, to each bonding surface 11c. The surface contact portions are attached to each other such that the 12c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double container is formed by integrating the first container body 11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12 together.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2중용기를 이루는 용기제1판체(11) 및 용기제2판체(12)를 각각 제작하게 되는데, 이때 내부로 상부용기(20)가 장착되며 발열체(8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한 용기제1판체(11)를 성형할 때 상단측 부분을 외측으로 말림형태의 노출시키며 걸림테(11d)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말림부의 끝단에 절곡시켜 형성된 절곡부분(11c)은 용기제2판체(12)의 상단 외면과 부착하기 용이하도록 절곡부분이 서로 면접촉 될 수 있도록 한다.
Specifically, the first plate body 11 and the second plate body 12 constituting the double contain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produced, respectively, in which the upper container 20 is mounted therein and the heating element 80 is accommodated. When forming the container first plate body 11 so as to be able to be exposed to the upper side portion in the form of a curled form to the outer edge 11d can be formed, and also bent portion 11c formed by bending at the end of the curled portion The bent parts may b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to facilitate attachment with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body 12 of the container.

그리고 용기제2판체(12)를 성형할 때 상기 용기제1판체(11)를 내부로 삽입 시 상단부에 형성된 절곡면(12c) 테두리가 용기제1판체(11)에 형성된 걸림테(11d) 이면으로 절곡부분이 서로 면접촉 될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container second plate body 12 is molded, the edge of the bent surface 12c formed at the upper end when the container first plate body 11 is inserted into the rear surface of the hook frame 11d is formed on the container first plate body 11. The bent parts should b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각각 성형이 완료된 용기제1판체(11)를 용기제2판체(12)의 내부에 상부로 부터 삽입하여 씌워주게 되면 이들의 상면에 형성된 접합면(11c)(12c)이 서로 면접촉되는 상태로 씌워지게 됨에 따라 접합면의 절곡 각도만큼 용기제1판체(11)와 용기제2판체(12) 사이에 공간부(A)가 형성되는 상태로 하여 포개어지게 된다.
When the first container body 11 of which the molding is completed in such a state as described above is inserted into and covered with the inside of the second container body 12 from above, the joining surfaces 11c and 12c formed on the upper surfaces thereof are formed. As the surface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pace A is formed between the container first plate body 11 and the container second plate body 12 as much as the bending angle of the joint surface.

이어서, 용기판체(11)(12) 사이에 단열진공부(A)를 갖도록 2중으로 겹쳐진 면접촉된 접합면(11c)(12c)을 부착( 바람직하게는 접합)한다( 바람직하게는 접합한다). 곧, 상기 용기제1판체(11) 및 용기제2판체(12)의 접합면(11c)(12c) 사이에 틈새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접합면(11c)(12c)의 상단부분이 서로 면접촉된 상태에서 이들 끝단부분을 용접, 납땜, 접착 중에서 선택하여 서로 부착하여 용기제1판체(11)와, 상기의 용기제2판체(12)가 일체되도록 함으로서 용기제1판체 외피(11b)와 용기제2판체 내피(12a) 사이에 소정의 공간인 단열진공부(A)가 형성되어 단열성이 부여된 2중 용기로서 용기본체(10)가 구성된다.
Subsequently, the surface contact bonding surfaces 11c and 12c, which are overlapped in duplicate, are attached (preferably bonded) between the container plates 11 and 12 so as to have a heat insulating vacuum portion A (preferably bonded). . In other words, the upper end portions of the joining surfaces 11c and 12c face each other in order to prevent a gap between the joining surfaces 11c and 12c of the container first plate body 11 and the container second plate body 12. The end portions of the container first plate body 11 and the container second plate body 12 are integrally attached to each other by welding, soldering, or bonding them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container first plate body 11b and the container first plate body 11b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The container main body 10 is formed as a double container provided with heat insulation by forming the heat insulation vacuum part A which is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container 2nd board body 12a.

상기와 같이 구성된 용기본체(10)는 내부에서 발열체(80)에 의해 발열반응할 때 반응열이 용기제1판체(11a) 외부로 누출하게 된다. 이때, 용기제1판체(11)와 용기제2판체(12) 사이에 형성된 단열진공부(A)가 더 이상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열을 차단하여 보호하게 된다. 더불어, 용기본체(10)의 용기제1판체(12)가 뜨겁지 않아 화상방지 효과가 있어서 가열된 조리용기도 취급하기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container body 10 configured as above is exothermic by the heat generating body 80, the reaction heat leaks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first plate 11 a. At this time, the heat insulating vacuum portion (A) formed between the container first plate body 11 and the container second plate body 12 is protected by blocking the heat so that it no longer leaks to the outside. In addition, since the container first plate 12 of the container body 10 is not hot, there is an image prevention effect, so that the heated cooking container is also easy to handle.

이것은 한 겹으로만 형성된 용기본체 외부로 많은 량의 열이 빠져나가 열효율을 떨어뜨리게 되는 기존의 즉석 조리 용기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본 명세서에서 상술된 용기본체(10)와 같이 단열진공부(A)가 형성되도록 2중 용기를 설계함으로써 용기본체(10) 외부로 누출되는 열을 차단하여 음식물이 수납되는 상부용기(20)로 열전달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This is a problem that occurs in the existing instant cooking vessel that the large amount of heat escapes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formed only one layer to reduce the thermal efficiency, such as the container body 10 described in the present disclosure, By designing a double container to be formed is to block the heat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10 to provide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heat transfer to the upper container 20 in which food is stored.

상기 용기본체(10)의 재질은, 발열물질과 반응하지 않으며, 화학반응시 발생되는 반응열을 견딜 수 있는 내열성과 성형성 및 내구성이 양호한 재질로 이루어진 조리 용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플라스틱, 합성수지, 청동, 황동, 스테인리스, 철, 니켈 및 이들의 합성금속이거나, 금속의 표면 전체를 주석 도금 또는 고순도 세라믹 등의 물질로 아르마이드 공법을 적용하여 바람직하게 코팅층을 형성한 것 등이 적용된다.
The material of the container body 10 is not reacted with a heating material, and can be applied to a cooking container made of a material having good heat resistance, moldability, and durability that can withstand the heat of reaction generated during a chemical reaction. For example; Plastic, synthetic resin, bronze, brass, stainless steel, iron, nickel and synthetic metals thereof, or the coating layer is preferably formed by applying the amide metho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metal with a material such as tin plating or high purity ceramics. do.

그러나 알루미늄(Al), 아연(Zn), 마그네슘(Mg)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이거나, 또는 상기 금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합금 또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혼합금속 등은 발열물질과 발열반응 하여 단시간에 용기의 재질을 부식시키는 특성이 있음으로 반드시 배제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할 것이다.
However, any one selected from aluminum (Al), zinc (Zn), magnesium (Mg), an alloy containing at least one of the metals, or a mixed metal containing at least one of the metals may exothermicly react with the exothermic material in a short time. It should be excluded that it has the property of corrosive to the material of the container.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부용기(20)는 용기본체(10)의 개구측을 통해 삽입되고, 용기본체(10)의 테두리부(17)를 개폐시켜 용기본체(10) 사이에 수용공간부(B)가 형성되도록 하며, 그 내부로는 조리용 물을 포함하는 음식물이 수납되는 용기이다.
The upper contain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side of the container body 10, the opening and closing the edge 17 of the container body 10 is accommodated between the container body 10 The space (B) is to be formed, the inside is a container for storing food containing water for cooking.

상부용기(20)의 상단 주연에 형성된 돌환테(22)가 용기본체(10)의 상단 주연에 형성된 걸림테(11d)와 겹치도록 함으로서, 용기본체(10)의 용기제1판체 내피(11a)와 상부용기(20)의 외피(20b)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부(B)는 밀폐되어 기밀하게 제공된다.
The first ring body inner shell (11a) of the container body 10 by overlapping the rim ring 22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upper container 20 overlaps with the engaging frame (11d)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receiving space B formed between the outer shell 20b of the upper container 20 is hermetically provided.

또한, 상기 상부용기(20)의 돌환테(22) 하단에는 압력패킹(40a)이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홈(23)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 fastening groove 23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annular frame 22 of the upper container 20 so that the pressure packing 40a can be fastened.

상부용기(20)의 재질은, 발열물질과 반응하지 않으며, 화학반응시 발생되는 반응열을 견딜 수 있는 내열성과 성형성 및 내구성이 양호한 재질로 이루어진 조리 용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플라스틱, 합성수지, 유리, 토기, 자기이거나, 청동, 황동, 스테인리스, 철 및 이들의 합성금속이거나, 금속의 표면 전체를 주석 도금 또는 고순도 세라믹 등의 물질로 아르마이드 공법을 적용하여 바람직하게 코팅층을 형성한 것 등이나, 바람직하게는 용기본체(1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The material of the upper container 20 may be applied to a cooking container made of a material having good heat resistance, moldability, and durability, which may not react with a heat generating material and withstand the heat of reaction generated during a chemical reaction. For example; Plastics, synthetic resins, glass, earthenware, porcelain, bronze, brass, stainless steel, iron, and synthetic metals thereof, or the entire surface of the metal is tinned or high-purity ceramics, etc., by applying an amide method to form a coating layer. One or the like, preferably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container body (10).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뚜껑(30)은 상부용기(20)를 덮어 밀폐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뚜껑체 테두리부 하측으로 압력패킹(40b)을 끼움 결합하는 체결홈(31)이 형성되며, 체결부재(50)에 의해 상부용기(20) 및 용기본체(10)와 일체되게 장착되어 상부용기(20)의 음식물수납부(C)를 밀폐 또는 개폐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The lid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ver and seal the upper container 20 is formed with a fastening groove 31 for fitting the pressure packing (40b) to the lower side of the lid rim, fastening The member 50 is integrally mounted with the upper container 20 and the container body 10 to provide a function of sealing or opening / closing the food storage part C of the upper container 20.

상기 뚜껑(30)의 재질은, 조리 용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내열성과 성형성 및 내구성이 양호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플라스틱, 합성수지, 청동, 황동, 스테인리스, 철, 주석, 유리, 알루미늄(Al) 및 이들의 합성금속이거나, 금속의 표면 전체를 주석 도금 또는 고순도 세라믹 등의 물질로 아르마이드 공법을 적용하여 바람직하게 코팅층을 형성한 것 등이 적용된다.
The material of the lid 30 is applicable to a cooking vessel, and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good heat resistance, moldability and durability. For example; Preferably, the coating layer is made of plastic, synthetic resin, bronze, brass, stainless steel, iron, tin, glass, aluminum (Al), and synthetic metals thereof, or the entire surface of the metal is coated with a material such as tin plating or high purity ceramic. What formed this is applied.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압력패킹(40)은 통상 압력용기에 적용되는 경질의 실리콘 등의 공지된 재료가 사용된다.
In the pressure packing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known material such as hard silicon, which is usually applied to a pressure vessel, is used.

먼저, 압력패킹(40a)은 상기 상부용기(20)상의 체결홈(23)에 끼움 결합하여 사용되며, 상기 압력패킹(40a)은 상부용기(20) 체결홈(23)의 형태에 맞는 형상으로 설계되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압력패킹(40a)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 링 형태도 무방하며, 상부용기 돌환테(22)와 용기본체(10)의 걸림테(11d)와 서로 겹치는 중간에 위치하여 용기본체(10)의 테두리부(17)를 밀폐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부용기(20)와 용기본체(10) 사이를 압력패킹(40b)이 긴밀하게 밀착되어 상기 수용공간부(B)를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며, 그 수용공간부(B)에서 수용된 발열체(80)가 화학적으로 반응할 시 발생하는 반응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음으로써 압력손실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First, the pressure packing (40a) is used by fitting to the fastening groove 23 on the upper container 20, the pressure packing (40a) in the shape to match the shape of the upper container 20, fastening groove (23). It is desirable to be designed and manufactured. However, the pressure packing 40a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ring shape as illustrated in FIG. 4, and the container body is located in the middle overlapping with the hook frame 11d of the upper container lube frame 22 and the container body 10. The edge 17 of 10 is sealed. Therefore, the pressure packing 40b is in close contact between the upper container 20 and the container body 10 to bring the receiving space portion B into a vacuum state, and the heating element 80 received in the containing space portion B.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essure loss by preventing the flow of the reactant generated when the chemical reaction).

또한, 압력패킹(40b)은 상기 뚜껑체(30)상의 체결홈(31)에도 끼움 결합하여 사용되며, 상기 압력패킹(40b)은 체결홈(31)의 형태에 맞는 형상으로 설계되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압력패킹(40b)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 링 형태도 무방하며, 뚜껑체(30)와 상부용기(20) 테두리부 사이에 압력패킹(40b)이 긴밀하게 밀착되어 상기 상부용기(20)의 내부 곧, 음식물수납부(C)를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며, 그 음식물수납부(C)에서 수납된 음식물이 가열할 시 발생하는 증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음으로써 압력손실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sure packing (40b) is used by fitting to the fastening groove 31 on the lid 30, the pressure packing (40b) is designed and manufactured in a shape suitable for the shape of the fastening groove (31). desirable. However, the pressure packing 40b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ring shape as illustrated in FIG. 4, and the pressure packing 40b is closely adhered between the lid 30 and the edge of the upper container 20 so that the upper container is closely attached. The inside of the 20, the food storage unit (C) to be in a vacuum state, and prevents the pressure loss by preventing the steam generated when the food stored in the food storage unit (C) is leaked to the outside. It is to provide a function.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체결부재(50)는 첨부된 도 4, 도 5, 도 6, 7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fastening member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follows with reference to FIGS. 4, 5, 6, and 7.

도 4, 도 5,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30)의 테두리(31)에 장착하되 뚜껑(30)의 테두리(31)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브라켓(51)과, 상기 브라켓(51)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용기(20)가 장착된 상태의 용기본체(10) 걸림테(11d)의 하단에 걸림되게 체결하는 잠금수단(52)으로 구성된다.
4, 5, 6, and 7, the bracket 51 is mounted to the edge 31 of the lid 30 and is attached to and fixed to the edge 31 of the lid 30. Is mounted to the bracket 51 is composed of a locking means 52 for fastening so as to be locked to the lower end of the engaging frame (11d) of the container body 10 in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container 20 is mounted.

구체적으로 상기 브라켓(51)에는 테두리의 외벽으로 외벽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지게 돌출 형성되는 회동축(51a)과 상기 회동축(51a)의 양단에 절곡되어지게 형성되어져 뚜껑의 테두리 외벽에 용접, 열접착, 접착제 등의 부착수단에 의해 바람직하게 부착되어지는 부착면(51b)을 갖는다.
Specifically, the bracket 51 is formed to be bent at both ends of the pivot shaft 51a and the pivot shaft 51a which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by the outer wall of the rim, and welded to the outer wall of the lid. It has an attachment surface 51b which is preferably attached by attachment means, such as adhesion | attachment and an adhesive agent.

또한 상기 브라켓(51)의 부착면(51b)이 뚜껑체(30)의 테두리(31)의 외벽에 용접, 열접착, 접착제 등의 부착수단에 의하여 융착되어진 상태에서 회동홀(54)을 갖는 잠금부(53)가 형성된 잠금수단(52)이 상기 브라켓(51)과 결합되어 일정각도로 회동되어지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잠금수단(52)은 상하로 절첩되어지고, 특히 하향절첩되어지면서 용기본체(10) 걸림테(11d)의 하단에 걸림되어지면서 개폐되어지는 구조이다.
In addition, the locking surface 51b of the bracket 51 has a rotation hole 54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wall of the edge 31 of the lid 30 is fused by attachment means such as welding, thermal bonding, or adhesive. The locking means 52 having the portion 53 formed thereon is coupled to the bracket 51 to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locking means 52 is folded up and down, and in particular, downwardly folded, the container body ( 10) It is a structure that is opened and closed while being caught by the lower end of the hook 11d.

이때, 상기 브라켓(51)의 회동축(51a)은 판상으로 이루어져 그 폭이 잠금수단(52)의 회동홀(54)에 회동이 가능하면서 회동홀(54)을 구성하게 되는 말림부(55)의 틈새(56)로 진입되어지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rotation shaft (51a) of the bracket 51 is made of a plate-like curling portion 55 which can be rotated to the rotation hole 54 of the locking means 52 and constitutes the rotation hole (54) The gap is to enter 56.

또한, 상기 브라켓(51)의 회동축(51a)은 절곡되어져 형성되는 밀착면(51b)의 절곡구획선(51c)의 중간에 위치되어져 잠금부(53)의 말림부에 형성되는 회동홀(54)에서 회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ivot shaft 51a of the bracket 51 is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bending segment line 51c of the contact surface 51b which is bent to form the pivot hole 54 formed at the curled portion of the locking part 53. The meeting will take place in.

또한, 상기 잠금수단(52)의 잠금부(53)에는 말림부(55)에 의한 회동홀(54)과 상기 말림부(55)와 연장되어지면서 잠금부(53)의 작동을 유도하게 되는 수직면(53a)과 만곡면(53b)으로 형성되고, 상기 만곡면(53b)의 중앙에는 프레스에 의하여 펀칭되어진 개구부(57)와 상기 개구부(57)에 의하여 접혀지는 걸림부(58)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58)는 용기본체(10)의 걸림테(11d)의 하단에 걸려질 수 있는 걸림만곡부(58a)와 걸림이 용이하도록 그 선단으로는 절곡벌어짐부(58b)가 형성되어지는 구성이다.
In addition, the locking portion 53 of the locking means 52 is a vertical surface extending to the rotation hole 54 and the curling portion 55 by the curling portion 55 to induce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portion 53 53a and a curved surface 53b, an opening 57 punched by a press and a locking portion 58 folded by the opening 57 ar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urved surface 53b. The locking portion 58 is a configuration in which a hooking bent portion 58a that can be caught on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frame 11d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a bent opening portion 58b are formed at its tip to facilitate the locking. .

따라서 상기 잠금수단(52)이 모두 철판을 절단 또는 절곡의 프레스 공법에 의하여 제조되어지면서도 상기 브라켓(51)의 회동축(51b)이 끼임이 용이하게 되면서 회동이 가능하게 되고 이러한 끼임과 회동은 잠금수단(52)의 회동홀(54)을 구성하게 되는 말림부(55)의 틈새(56)와 말림부(55)의 말림각도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또한 하나의 철판으로 이루어진 잠금부(53)에 걸림부(58)가 일체로 형성되어짐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the locking means 52 are all manufactured by the press method of cutting or bending the iron plate, but the rotation shaft 51b of the bracket 51 is easily pinched, and the rotation is possible. It is made by the gap 56 of the curled portion 55 and the curled angle of the curled portion 55, which constitutes the rotation hole 54 of the locking means 52, and also a locking portion made of one iron plate ( 53, the locking portion 58 is integrally formed, thereby making it a simple structure.

상기 체결부재(50)의 재질은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뚜껑체의 재질에 따라 다른 재질이 바람직하게 적용하는 것이 마땅하다.
The fastening member 50 is preferably made of stainless stee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materials may be preferably applied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lid.

또한, 상기 체결부재(50)는 예시일 뿐 전술된 내용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된 체결부재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fastening member 50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tents, and various fastening members may be applied using various materials.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압력조절밸브(60)를 첨부된 도 8, 도 9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first pressure regulating valve 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as follows.

도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단측으로 형성된 조립구멍(10a) 즉, 용기제1판체 상단에 형성된 관통공(11p) 및 용기제2판체 상단에 형성된 관통공(12p)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립구멍(10a)에 일체로 설치되어 수용공간부(B)의 압력이 과다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8 and 9, the assembling hole 10a formed at the upper end side of the container body 10, that is, a through hole 11p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first plate body and a through hol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second plate body ( 12p) is provided integrally installed in the assembly hole (10a) to serve to prevent the pressure of the receiving space (B) from excessively rising.

본 고안에서는 용기본체(10) 상단측에 설치되는 제1압력조절밸브(60)는 시중에서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하기와 같이 독자적으로 개발하여 사용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ressure control valve 60 installed at the upper end side of the container body 10 may be purchased and used commercially, and may be independently developed and used as follows.

제1압력조절밸브(60)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제1압력조절밸브(60)는 내부 압력이 상승할 때 자동으로 작동하는 기능과, 외부에서 버튼을 당길 때 내부 압력을 배출하는 기능을 함께 갖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Looking at the components of the first pressure control valve 60, the first pressure control valve 60 has a function to automatically operate when the internal pressure rises, and to discharge the internal pressure when the button is pulled from the outside It consists of having a configuration.

즉, 상기 제1압력조절밸브(60)는 용기제1판체(11) 상단에 형성된 관통공(11p) 및 용기제2판체(12) 상단에 형성된 관통공(12p)을 포함하는 조립구멍(10a)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으로, 후단에 형성된 걸림턱(61a)이 용기제1판체 내피(11b)와 패킹(62)을 사이에 두고 밀착되며 중앙에 배출공(61b)이 형성된 베이스부재(61)를 조립구멍(10a)에 끼우고, 용기제2판체(12) 바깥쪽으로 노출되며 상방으로 개구된 압력배출공(61c)을 구비한 베이스부재(61)에는 압력배출공(63a)이 형성된 고정부재(63)를 결합하며, 베이스부재(61)와 고정부재(63) 사이에는 배출공(61b)을 밀폐하는 패킹(64)이 결합된 디스크(65)와, 디스크(65)를 베이스부재(61) 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66)을 개재한다.
That is, the first pressure control valve 60 includes an assembling hole 10a including a through hole 11p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plate body 11 and a through hole 12p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late body 12. And a fixing jaw (61a) formed at the rear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tainer first plate endothelial (11b) and the packing 62 between the base member 61 is formed in the discharge hole (61b) in the center; A fixing member having a pressure discharge hole 63a formed in the base member 61 which is inserted into the assembly hole 10a and has a pressure discharge hole 61c exposed upward and opened outward of the second plate body 12. 63 and the disk 65 is coupled to the packing 64 for sealing the discharge hole (61b) between the base member 61 and the fixing member 63, and the disk 65 base member 61 It interposes the spring 66 which presses toward.

그리고 상기 디스크(65)는 고정부재(63)에 형성된 조립공(63b)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시켜 나사부(65a)를 형성하고, 이 나사부(65a)에는 손잡이(67)를 결합하여 디스크(65)를 당겨서 임의로 개방할 수 있게 한 구성이다.
And the disk 65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ssembly hole (63b) formed in the fixing member 63 to form a screw portion (65a), the screw portion (65a) by coupling the handle 67 to the disk 65 It is a structure that can be pulled open arbitrarily.

이와 같은 구성의 제1압력조절밸브(60)를 본 고안의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100)에 바람직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수용공간부(B) 내부에 수용된 발열체(80a, 80b)가 반열 반응함으로써 발생하는 반응기체 등에 의해 수용공간부(B)에 일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할 때 상승압력이 디스크(65)를 밀고 있는 스프링(66)의 탄성력보다 높아지면 베이스부재(61)에 형성된 배출공(61b)을 차단하고 있는 디스크(65)가 후퇴되므로, 이때 수용공간부(B)의 반응기체가 배출공(61b) 및 베이스부재(61)와 고정부재(63)에 형성되어 있는 압력배출공(61c)(63a)을 통해서 대기 중으로 자동 방출되는 것이다.
The heating elements 80a and 80b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part B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pressure regulating valve 6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re preferably mounted in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100 capable of regulating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rranged. The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base member 61 when the rising pressure is high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66 that pushes the disk 65 when the pressure rises above the predetermined space B by the reaction body generated by the reaction, etc. Since the disk 65 blocking the 61b is retracted, at this time, the reactor body of the accommodating space B is formed in the discharge hole 61b and the base member 61 and the fixing member 63. It is automatically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through 61c and 63a.

그리고 음식물수납부(C)를 가열하여 음식물수납부(C)의 음식물 조리가 완료된 후 용기본체(10)와 상부용기(20)를 개폐하고자 할 시에는 수용공간부(B)에 대기압보다 높은 잔압이 존재하게 되는데, 본 고안에 의하면 고정부재(63)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손잡이(67)를 당기면 잔압을 배출할 수 있는 용도로 작동한다.
When the food container (C) is heated to open and close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upper container (20) after cooking of the food container (C) is completed, the residual pressure higher than atmospheric pressure in the receiving space (B). This is pres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ulling the handle 67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xing member 63 operates for the purpose of discharging the residual pressure.

즉, 손잡이(67)를 당기면 스프링(66)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되어 있던 디스크(65)가 후퇴되므로, 이때 수용공간부(B)에 작용하는 대기압보다 높은 잔압이 배출공(61b) 및 베이스부재(61)와 고정부재(63)에 형성되어 있는 압력배출공(61c)(63a)을 통해서 대기 중으로 방출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handle 67 is pulled back, the disk 65 pressuriz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66 is retracted. At this time, the residual pressure higher than the atmospheric pressure acting on the accommodation space B is discharged and the base 61b. It is to be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through the pressure discharge holes (61c) (63a) formed in the 61 and the fixing member (63).

본 고안에 적용되는 상기 제1압력조절밸브(60)의 내압(수용공간부(B)의 진공압)은 0.01 ~ 2kgf/㎠, 바람직하게는 0.1 ~ 1kgf/㎠,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08kgf/㎠에서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internal pressure (vacuum pressure of the accommodation space portion B) of the first pressure control valve 6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0.01 to 2kgf / cm 2, preferably 0.1 to 1kgf / cm 2, more preferably 0.5 to 08kgf. Of course, it can be selected from / cm 2.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압력조절밸브(70)를 첨부된 도 10, 도 11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second pressure regulating valve 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as follows.

도 1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체(30) 중앙 상단으로 형성된 조립구멍(32)에 설치되어 음식물수납부(C)의 압력이 과다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ure 10, 11 is installed in the assembly hole 32 form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lid 30 is provided to serve to prevent excessive rise in the pressure of the food storage portion (C) will be.

본 고안에서는 뚜껑체(30)에 설치되는 압력조절밸브를 시중에서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하기와 같이 독자적으로 개발하여 사용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pressure control valve installed on the lid 30 may be purchased and used commercially, and may be independently developed and used as follows.

제2압력조절밸브(70)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제2압력조절밸브(70)는 내부 압력이 상승할 때 자동으로 작동하는 기능과, 외부에서 버튼을 당길 때 내부 압력을 배출하는 기능을 함께 갖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Looking at the components of the second pressure control valve 70, the second pressure control valve 70 has a function to automatically operate when the internal pressure rises, and to discharge the internal pressure when the button is pulled from the outside It consists of having a configuration.

즉, 상기 제2압력조절밸브(70)는 뚜껑체(30)에 형성된 조립구멍(32)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으로, 후단에 형성된 걸림턱(71a)이 뚜껑체(30)의 내부와 패킹(72)을 사이에 두고 밀착되며 중앙에 배출공(71b)이 형성된 베이스부재(71)를 조립구멍(32)에 끼우고, 뚜껑체(30) 바깥쪽으로 노출되며 상방으로 개구된 압력배출공(71c)을 구비한 베이스부재(71)에는 압력배출공(73a)이 형성된 고정부재(73)를 결합하며, 베이스부재(71)와 고정부재(73) 사이에는 배출공(71b)을 밀폐하는 패킹(74)이 결합된 디스크(75)와, 디스크(75)를 베이스부재(71) 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76)을 개재한다.
That is, the second pressure control valve 70 is fitted into and fixed to the assembly hole 32 formed in the lid 30, and the locking jaw 71a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pressure regulating valve 70 is filled with the inside of the lid 30 and the packing 72. ) Is inserted into the assembly hole 32, the base member 71 having a discharge hole 71b at the center thereof,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lid 30, and is opened upwardly. The base member 71 is provided with a coupling member (73) having a pressure discharge hole (73a) is coupled, the packing 74 for sealing the discharge hole (71b) between the base member 71 and the fixing member 73 ) Is interposed between the disk 75 and the spring 76 for pressing the disk 75 toward the base member 71.

그리고 상기 디스크(75)는 고정부재(73)에 형성된 조립공(73b)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시켜 나사부(75a)를 형성하고, 이 나사부(75a)에는 손잡이(77)를 결합하여 디스크(75)를 당겨서 임의로 개방할 수 있게 한 구성이다.
And the disk 75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ssembly hole (73b) formed in the fixing member 73 to form a screw portion (75a), the screw portion (75a) by coupling the handle 77 to the disk 75 It is a structure that can be pulled open arbitrarily.

이와 같은 구성의 제2압력조절밸브(70)를 본 고안의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100)에 바람직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수용공간부(B)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공급받아 음식물수납부(C)에 수납된 조리용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서 발생하는 증기 등에 의해 음식물수납부(C)에 일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할 때 상승압력이 디스크(75)를 밀고 있는 스프링(76)의 탄성력보다 높아지면 베이스부재(71)에 형성된 배출공(71b)을 차단하고 있는 디스크(75)가 후퇴되므로, 이때 음식물수납부(C)의 증기압이 배출공(71b) 및 베이스부재(71)와 고정부재(73)에 형성되어 있는 압력배출공(71c)(73a)을 통해서 대기 중으로 자동 방출되는 것이다.
In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pressure control valve 7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preferably mounted in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100 capable of adjusting the pres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is transferr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B to receive the food storage unit ( When the rising pressure is high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76 pushing the disc 75, when the rising pressure rises above the predetermined pressure by the steam or the like generated by heating the cooking food stored in C), the base Since the disk 75 blocking the discharge hole 71b formed in the member 71 is retracted, the vapor pressure of the food storage portion C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hole 71b and the base member 71 and the fixing member 73. It is automatically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through the pressure discharge holes (71c) (73a) formed in the.

그리고 음식물수납부(C)에 수납된 음식물 조리가 완료된 후 뚜껑(30)을 개폐하고자 할 시에는 음식물수납부(C)에 대기압보다 높은 잔압이 존재하게 되는데, 본 고안에 의하면 고정부재(73)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손잡이(77)를 당기면 잔압을 배출할 수 있는 용도로 작동한다.
When the lid 30 is to be opened and closed after the food cooking accommodated in the food storage part C is completed, a residual pressure higher than atmospheric pressure exists in the food storage part 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member 73 is provided. Pulling the handle 77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peration to discharge the residual pressure.

즉, 손잡이(77)를 당기면 스프링(76)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되어 있던 디스크(75)가 후퇴되므로, 이때 음식물수납부(C)에 작용하는 대기압보다 높은 잔압이 배출공(71b) 및 베이스부재(71)와 고정부재(73)에 형성되어 있는 압력배출공(71c)(73a)을 통해서 대기 중으로 방출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handle 77 is pulled out, the disk 75 pressuriz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76 is retracted. At this time, the residual pressure higher than the atmospheric pressure acting on the food container C is discharged to the outlet 71b and the base member. It is to be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through the pressure discharge holes (71c) (73a) formed in the 71 and the fixing member (73).

본 고안에 적용되는 상기 제2압력조절밸브(70)의 내압(음식물수납부(C)의 진공압)은 0.01 ~ 2kgf/㎠, 바람직하게는 0.1 ~ 1kgf/㎠,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08kgf/㎠에서 선택할 수 있는바, 상기 상부용기(20) 및 뚜껑(30)이 요구하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internal pressure (vacuum pressure of the food storage part C) of the second pressure control valve 7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0.01 to 2 kgf / cm 2, preferably 0.1 to 1 kgf / cm 2, more preferably 0.5 to 08 kgf. It can be selected from / cm 2, the upper container 20 and the lid 30 may be preferably applied within the required rang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발열체(80)를 첨부된 도 2, 도 3, 도 12, 도 13, 도 14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heating element 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3, 12, 13, and 14 as follows.

도 2, 도 3, 도 12, 도 13,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열체(80)는 발열성 금속체(80a) 및 발열물질(80b)로 구성하되, 용기본체(10) 내부로 충분한 량의 발열성 금속체(80a)를 교체 가능하게 내장되어 수명이 다할 때까지 재활용되도록 하며, 발열물질(80b)은 필요할 때마다 외부로부터 용기본체(10) 내부로 공급함으로서 상기 발열성 금속체(80a)와 발열반응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S. 2, 3, 12, 13, and 14, the heating element 80 is composed of a heat generating metal body 80a and a heat generating material 80b, and is sufficient for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body 10. The amount of the heat generating metal body 80a is replaceably embedded to be recycled until the end of life, and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80 b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into the container body 10 whenever necessary, thereby supplying the heat generating metal body ( 80a) is preferably provided to exothermic reaction.

구체적으로, 상기 발열성 금속체(80a)는 발열물질(80b)과 반응하여 지속적으로 발열하기 위한 금속으로서, 용기본체(10)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부(B)의 저부에 적어도 1회 이상 발열반응에 재활용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를 갖는 몸체로서 교체 가능토록 내장된다.
Specifically, the heat generating metal body 80a is a metal for continuously generating heat by reacting with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80b. The heat generating metal body 80a generates heat at least once at the bottom of the receiving space portion B formed inside the container body 10. It is a body of sufficient size to be recycled to the reaction and built in to be replaced.

물론, 상기 발열성 금속체(80a)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본체(10)의 개구부를 통해 용기본체(10) 내 저부로 삽입하여 내장되는 것이다.
Of course, the heat generating metal body 80a is inserted into the bottom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0 through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10 with the upper portion being opened.

발열성 금속체(80a)로는 알루미늄(Al), 아연(Zn), 마그네슘(Mg)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이거나, 또는 상기 금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합금 또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혼합금속 등이 사용된다. 특히, 상기 발열성 금속체는 취급성, 보관성, 안정성, 경제성 등의 면에서 우수하기 때문에 권장된다.
As the heat generating metal body 80a, any one selected from aluminum (Al), zinc (Zn), magnesium (Mg), an alloy containing at least one of the metals, or a mixed metal containing at least one of the metals is used. do. In particular, the exothermic metal body is recommended because it is excellent in terms of handling, storage, stability, economy and the like.

물론, 상기 금속 이외에 본 고안의 목적을 수행하는데 동일하거나 비슷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Of course, in addition to the metal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if it can play the same or similar role in carrying ou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발열성 금속체(80a)로서 상기 발열성 금속체(80a)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덩어리, 판, 판박, 분말, 조각, 알갱이 및 이들의 혼합체이거나, 분말, 조각, 알갱이 등을 가압한 판상체 등일 수 있다. 그 두께는 수용공간부(B) 내에 구비되는데 방해되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한 두껍고 넓은 것일수록 재활용의 횟수를 늘릴 수 있어서 좋다.
The form of the heat generating metal body 80a as the heat generating metal body 80a is not limited, for example; It may be a lump, a plate, a sheet, a powder, a flake, a grain, a mixture thereof, or a plate-like body pressurized with a powder, a flake, a grain, or the like. The thickness is thicker and wider as long as it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portion (B) without being obstructed.

특히, 발열성 금속체(80a)는 수용공간부(B) 내에서 최대한 넓게 내장되며, 그 두께가 적어도 2mm 이상인 것을 선택함으로서 재활용성도 우수하지만 화학적 반응열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하는 용도로서 발열체가 요구하는 것 즉, 발열물질(80b)과 화학적으로 반응 할 때 발열반응 유지 시간이 지속하도록 하면서도 고온의 반응열을 발생하는데 극대화할 수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the pyrogenic metal body 80a is embedded as wide as possible in the accommodating space portion B, and is excellent in recyclability by selecting one having a thickness of at least 2 mm or more, but the heating element is required for heating food by chemical reaction heat. That is, it is more preferable because it can be maximized to generate a high temperature reaction heat while maintaining the exothermic reaction holding time when chemically reacting with the exothermic material (80b).

일반적으로 수화반응에 의해 발열하는 종래의 발열체는 발열성 물질 복합체를 하나의 포장체 내에 수납되어 있어서, 수화반응시 포장체 내의 발열체는 대략, 덩어리 형태를 이루며 발열반응 하게 되며, 이때 발생되는 열효율도 덩어리 형태의 발열체 근접한 곳에서는 고온의 열이 발생하지만 발열체와 다소 떨어질수록 온도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In general, a conventional heating element that generates heat by a hydration reaction is housed in a package of a heat generating material complex, the heating element in the package during the hydration reaction is approximately exothermic reaction in the form of lumps, the thermal efficiency generated at this time The heat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the heating element in the form of agglomerate, but the disadvantage is that the temperature is significantly lower as the heating element somewhat falls.

그러나 본 상술된 바와 같이, 발열성 금속체(80a)를 그 두께가 적어도 2mm 이상인 것을 선택하여 수용공간부(B) 내에서 최대한 넓게 내장함으로써 발열물질(80b)과 반응 시 재활용성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고온의 반응열을 발생시키고, 그 발열반응 유지 시간도 지속하도록 하여 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cyclability when reacting with the heating material 80b by selecting the heating metal body 80a having a thickness of at least 2 mm or more and embedding it as wide as possible in the receiving space portion B. In addition, by generating a high-temperature reaction heat, and also to maintain the exothermic reaction time is to maximize the thermal efficiency.

발열성 금속체(80a)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발열물질(80b)과 접촉하여 발열반응을 할 때 그 몸체가 점점 산화되며 발열물질(80b)에 녹아나게 된다. 이것은 곧, 발열성 금속체의 수명은 발열물질(80b)의 량에 의해 결정되게 됨을 의미한다. 발열물질(80b)의 량을 적게 공급된 상태에서는 발열성 금속체의 산화되는 량이 적게 나타나며, 반대로 발열물질(80b)의 량을 많이 공급하면 발열성 금속체의 산화되는 량도 높게 나타나게 된다. The exothermic metal body 80a is oxidized and melts in the exothermic material 80b when the exothermic reaction occurs in contact with the exothermic material 80b supplied from the outside. This means that the lifetime of the heat generating metal body is determined by the amount of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80b. When the amount of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80b is supplied less, the amount of oxidizing the heat generating metal body appears less. On the contrary, when the amount of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80b is supplied, the amount of oxidizing the heat generating metal body also appears high.

이에 따라, 발열물질(80b)과 발열반응이 멈추게 되면 발열성 금속체의 산화진행도 거의 멈춤 상태가 되어 용기본체(10) 내의 바닥에 남아있게 된다. 그리고 이것은 산화가 완전히 종료될 때까지 재활용되어 발열물질(80b)과 발열반응을 반복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exothermic reaction with the exothermic material 80b is stopped, the oxidation of the exothermic metal body is almost stopped, and remains 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this is recycled until the oxidation is completed to repeat the exothermic reaction with the heating material (80b).

이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발열성 금속체가 두꺼울수록 그 수명은 길어지고 교체시기도 길어지게 되며, 반대로 금속체가 얇거나 입자가 미세할수록 그 수명은 짧거나 1회성으로 단축되어 교체시기도 짧아지게 되는 것이다.
In this process, the thicker the heat generating metal body, the longer its life and the longer the replacement time is. On the contrary, the thinner the metal body or the finer particles, the shorter or one-time the life of the metal body is shortened.

따라서, 상기 발열성 금속체(80a)는 1회 이상 반복하여 재활용되기 위해서는 수용공간부(B)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그 두께가 최대로 뚜껍고 표면적이 넓은 것을 선택할 수 있는바, 예를들면; 알루미늄판 1Cm이상 및 직경 10Cm이상인 것을 바람직하게 수용공간부(B)에 내장함으로써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나, 수회 내지 수십 번 재활용될 수 있게 할 수 있을 것이다.
Therefore, in order to be recycled repeatedly one or more times, the exothermic metal body 80a may be selected to have a maximum thickness and a large surface area within a range allowed by the accommodation space B. For example, ; The aluminum plate having a diameter of 1Cm or more and a diameter of 10Cm or more may be represen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food to be cooked by being built in the accommodation space B, but may be recycled several times to several tens of times.

또한, 상기 발열성 금속체(80a)는 발열성 금속체가 발열물질(80b)과 발열반응 시 생성되는 발열성 금속체(80a)의 찌꺼기가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흡수성 직물 봉지 내에 삽입 후 밀봉 처리는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exothermic metal body 80a is inserted into the absorbent fabric bag to prevent the exothermic metal body from being lost to the outside of the exothermic metal body 80a generated during the exothermic reaction with the exothermic material 80b. Sealing treatment is more preferable.

발열성 금속체(80a)는 발열반응 시 발열물질(80b)에 불규칙하게 녹아나면서 탄소 화된 검정색, 흰색 등의 찌꺼기가 생성되어 수용공간부(B) 내에서 용기본체 내피와 상부용기 외피에 묻어나기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예를들면, 도 12와 도시된 바 같이 흡수성 직물 봉지(S)에 삽입 후 밀봉 처리함으로써 발열성 금속체가 발열물질(80b)과 발열반응 시 생성되는 발열성 금속체(80a)의 찌꺼기는 흡수성 직물 봉지 내에서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차단하여 용기본체 내피와 상부용기 외피에 육안상 지저분하게 묻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exothermic metal body 80a dissolves irregularly in the exothermic material 80b during the exothermic reaction, and generates carbonized black and white residues, which are buried in the container body inner shell and the upper container outer shell in the receiving space portion B. do. 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the heat generating metal body 80a is generated when the heat generating metal body exothermicly reacts with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80b by inserting and sealing the absorbent fabric bag S. ) Is to prevent the loss of the inside of the absorbent fabric bag to the outside to prevent dirty stains on the inner shell and the upper container shell.

발열성 금속체(80a)가 삽입된 흡수성 직물봉지는, 보관상 또는 이동상의 유리함을 갖도록 유연성 있게 제작되며, 천연 섬유부직포, 천연 펄프부직포 또는 발포 수지 시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absorbent fabric bag in which the exothermic metal body 80a is inserted is manufactured to be flexible to have an advantage of storage or moving, and a natural fiber nonwoven fabric, a natural pulp nonwoven fabric or a foamed resin sheet can be used.

또한 흡수성 직물 내의 발열성 금속체가 한 쪽에 치우쳐지지 않고 일정한 면적 내에서 동시에 열을 발생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셀 형태로 구분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할된 각 셀 내부로 발열성 금속체(80a)를 삽입하여 밀봉처리하고, 발열을 요구할 시 발열물질(80b)이 일시에 각 셀 내부로 침투하도록 함으로서 발열이 고르게 지속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 generating metal body in the absorbent fabric is formed in a plurality of cell types so that heat can be simultaneously generated within a predetermined area without being biased to one side. The heat generating metal body 80a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divided cells to be sealed, and when the heat is required,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80b penetrates into each cell at a time, thereby allowing the heat to be evenly maintained.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발열물질(80b)은 상기 발열성 금속체(80a)와 반응하여 반응열을 얻기 위해서 전제되는 것으로서 수산화나트륨(NaOH)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The heating material 80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elect sodium hydroxide (NaOH) as a premise for obtaining heat of reaction by reacting with the heating metal body 80a.

발열물질(80b)로서 수산화나트륨(NaOH)은 구입비용이 적게 들어 경제성이 우수하면서도 발열성 금속체(80a)와 반응할 때 높은 열효율을 나타내도록 하는데 유리하다.
Sodium hydroxide (NaOH) as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80b) is advantageous in showing a high thermal efficiency when reacting with the heat generating metal body (80a) while having a low economic cost and excellent economical.

발열물질(80b)로서 수산화나트륨(NaOH)은 산소와 접촉시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예를들면, 도 13과 같이 합성수지 봉지(H)에 삽입 후 밀봉 처리하거나, 흡수성 직물 봉지에 삽입 후 밀봉 처리 후, 그것을 공기를 차단할 수 있는 플라스틱이나 수지 등의 방수성 재질의 용기 또는 봉지에 삽입하여 밀봉처리는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흡수성 직물 봉지는 보관상 또는 이동상의 유리함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천연 섬유부직포, 천연 펄프부직포 또는 발포 수지 시이트 등을 사용하여 유연성 있게 제작되는 것이 좋다.
Sodium hydroxide (NaOH) as the heating material (80b) is inserted into the synthetic resin bag (H) as shown in Figure 13, in order to prevent oxidation when in contact with oxygen, or sealed after insertion into the absorbent fabric bag After that, it is more preferable to insert it into a container or a bag made of a waterproof material such as plastic or resin which can block air, and to seal the same. The absorbent fabric encapsulation may be made flexible using natural fiber nonwoven fabric, natural pulp nonwoven fabric or foamed resin sheet, etc. in order to have the advantages of storage or mobile phase.

발열물질(80b)로서 수산화나트륨(NaOH)은 미리 계산된 일정량을 합성수지나 흡수성 직물의 봉지에 삽입하여 밀봉 처리할 수 있는바, 특히, 이들 봉지는 도 14와 같이 다수개의 셀 형태로 구분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분할된 각 셀 내부로 수산화나트륨(NaOH)을 삽입하여 밀봉처리하고, 각 셀과 셀 사이에는 칼날 절취선(H1)을 형성함으로써 필요한 량만큼을 절취선(H1)을 따라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Sodium hydroxide (NaOH) as the heating material (80b) can be sealed by insert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a predetermined amount into a bag of synthetic resin or absorbent fabric, in particular, these bags are formed by dividing into a plurality of cell types as shown in FIG. It is desirable to. In addition, by inserting sodium hydroxide (NaOH) into each divided cell and sealing it, forming a cutting edge (H1) between each cell and the cell to cut and use as much as necessary along the cutting line (H1). More preferred.

이와 같이 발열물질(80b)로서 수산화나트륨(NaOH)을 산소와 접촉을 차단하는 것은, 용기본체(10)로부터 발열을 요구할 시 수산화나트륨(NaOH)이 삽입된 합성수지를 파손하여 공기와 접촉하게 하여 또는 흡수성 직물 봉지를 방수성 재질의 용기 또는 봉지로부터 꺼내어 발열성 금속체(80a)가 내장된 용기본체(10) 내부로 필요량만큼을 물과 함께 투입하여 반응 시키면, 수산화나트륨(NaOH)은 용해되면서 급속하게 고온의 용해열이 발생된다. 용해열은 반응 초기 열량을 보존하며, 곧 바로 용해액은 용기본체(10)에 내장된 발열성 금속체(80a)와 접촉하면서 지속적인 반응 연결을 가능케 하여 고온의 반응력을 방출되게 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blocking sodium hydroxide (NaOH) from contacting with oxygen as the heating material (80b) causes the synthetic resin in which sodium hydroxide (NaOH) is inserted to come into contact with air when heat is required from the container body 10 or Take out the absorbent fabric bag from the container or bag made of waterproof material, and react with the required amount with water into the container body 10 in which the heat generating metal body 80a is embedded, and sodium hydroxide (NaOH) is dissolved rapidly. High heat of dissolution is generated. The heat of dissolution preserves the initial calorific value of the reaction, and immediately after the solution is in contact with the exothermic metal body 80a embedded in the container body 10, a continuous reaction connection is enabled to release a high temperature reaction force.

물론, 발열물질(80b)로서 수산화나트륨(NaOH)은 물에 용해시켜 수용액으로 액체를 구성한 상태의 수산화나트륨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Of course,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sodium hydroxide (NaOH) solution in a state in which sodium hydroxide (NaOH) is dissolved in water to form a liquid in an aqueous solution as the heating material 80b.

수산화나트륨(NaOH)은 물과의 접촉할 때 용해열과 함께 단시간에 많은 량의 유해가스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Sodium hydroxide (NaOH) has a problem that a large amount of harmful gas is generated in a short time with the heat of melting when in contact with water.

그렇게 때문에; 상기 수산화나트륨(NaOH)을 용기본체(10) 내부에 물과 함께 투입하거나 또는 수산화나트륨(NaOH) 투입 이후 물을 공급하여 용해시킴과 동시에 용해열을 얻으며, 동시에 발열성 금속체(80a)와 발열반응토록 하여 인체에 유해한 다량의 유해가스와 함께 반응열을 얻는 것보다는, 수산화나트륨(NaOH)을 물에 용해시켜 형성된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발열성 금속체(80a)와 반응시 유해가스가 현저하게 감소하여, 야외에서는 인간의 후각으로 감지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정도의 소량만 배출되게 되는 효과가 있다.
Because so; The sodium hydroxide (NaOH) is added together with water into the container body 10 or after supplying sodium hydroxide (NaOH) to dissolve and obtain heat of dissolution at the same time, and at the same time exothermic reaction with the exothermic metal body (80a) Rather than acquiring heat of reaction with a large amount of harmful gases harmful to the human body, by using a composition formed by dissolving sodium hydroxide (NaOH) in water, harmful gases are significantly reduced when reacting with the exothermic metal body 80a. In the open air, only a small amount that is not easy to be detected by the human sense of smell is effective.

발열물질(80b)로서 수산화나트륨수용액의 조성물은 수산화나트륨(NaOH)을 조성물 전체에 10 ~ 8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 ~ 5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40중량부%로 물에 용해시켜 발열물질(80b)을 제공할 수 있다.
The composition of the aqueous sodium hydroxide solution as the heating material (80b) is 10 to 80 parts by weight, preferably 15 to 5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20 to 40 parts by weight of sodium hydroxide (NaOH) in the whole composition It can be dissolved in to provide a heating material (80b).

수산화나트륨(NaOH)이 10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발열성 금속체(80a)와의 반응 시 충분히 열량을 발생하지 못하며, 반면, 수산화나트륨(NaOH)이 80 중량부 이상 함유하면 발열성 금속체(80a)와 반응 시 물속의 산소량 부족으로 충분히 녹지 못하여 함유되는 양에 비해 충분한 열량을 내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If sodium hydroxide (NaOH) is added in less than 10 parts by weight of the heating element does not generate enough heat during the reaction with the pyrogenic metal body (80a), whereas if sodium hydroxide (NaOH) contains more than 80 parts by weight of pyrogenic metal body (80a ), It does not melt enough due to the lack of oxygen in the water to give a sufficient amount of heat compared to the amount contained.

상기 수산화나트륨수용액의 조성물에는 수산화칼슘(TOH)을 1 ~ 70중량부%을 함유할 수 있다. 수산화칼슘은 수산화나트륨(NaOH)과 비슷한 발열력을 나타낸다.
The composition of the aqueous sodium hydroxide solution may contain 1 to 70 parts by weight of calcium hydroxide (TOH). Calcium hydroxide shows a similar heating power as sodium hydroxide (NaOH).

또한, 상기 수산화나트륨수용액의 조성물에는 발열반응에 의해 수용공간부(B) 밖으로 유출되는 반응기체와 함께 향이 발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방향제를 함유할 수 있다. 물론, 조성물에 적용되는 방향제는 조성물의 목적 및 효과에 방해되지 않는 방법으로 함유됨이 마땅하다.
In addition, the composition of the aqueous sodium hydroxide solution may contain a fragrance in order to allow the fragrance to diverge together with the reactive gas flowing out of the receiving space (B) by an exothermic reaction. Of course, the fragrances applied to the composition should be contained in a way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urpose and effect of the composition.

이러한 방향제로서는, 예를들면; 린덴 플라워(linden flower), 리코리스(licorice), 페레리안(pereirian), 페퍼민트(peppermint), 라벤더(lavender), 레몬그라스(lemongrass), 민트(mint), 레몬 바베나(lemon verbena), 타임(thyme), 로즈마리(rosemary), 마테(mate), 매리골드(marigold), 오렌지필(orange peel), 와일드 스트로베리(wild strawberry), 오렌지블라섬(orange blossom), 세이지(sage), 바질(basil), 로즈핑크(rosepinT), 매로우(marrow), 홍차(blacT tea), 쟈스민(jasmine), 벌리리안(valerian), 베르가못(bergamot), 캐모마일(camomile), 시다우드(cedarwood virginia), 시나몬(cinnamon), 클레리 세이지(clary sage), 사이프리스(cypress), 유칼립터스(eucalyptus), 펀넬(fennel), 유향(franTincense), 제라늄(geranium), 그레이프프룻(grapefruit), 히솝(hyssop), 쥬니퍼(juniper), 레몬(lemon), 라임(lime), 마조람(marjoram), 미르(myrrh), 팔마로사(palmarosa), 패촐리(patchouli), 로즈 앱솔루트(rose absolute), 백단(sandalwood), 티트리(tea ~ tree), 일랑일랑(ylang ylang), 진저(ginger), 장미(rose), 카더멈(cardamom) 등의 향료 및 스트넬라향, 대나무향, 솔잎향, 쑥향, 향나무향, 국화꽃향, 전나무향, 칡향, 편백나무향, 측백나무향, 계피향, 박하향, 감귤피추출액, 목초액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을 혼합할 수 있다. 그 함유량은 조성물 전체의 0.001 ~ 20중량부%이며, 함유 시점은 수산화나트륨(NaOH)이 물에 온전히 용해되어 용해열이 온전히 소실된 이후에 바람직하게 함유함이 마땅하다.
As such a fragrance, for example; Linden flower, licorice, pereirian, peppermint, lavender, lemongrass, mint, lemon verbena, thyme thyme, rosemary, mate, marigold, orange peel, wild strawberry, orange blossom, sage, basil ), RosepinT, marrow, blacT tea, jasmine, valerian, bergamot, chamomile, cedarwood virginia, cinnamon ( cinnamon, clary sage, cypress, eucalyptus, funnel, frankincense, geranium, grapefruit, grapefruit, hyssop, Juniper, lemon, lime, marjoram, mirrh, palmarosa, patchouli, rose absolute, sandalwood ( Spices such as sandalwood, tea ~ tree, ylang ylang, ginger, rose, cardamom, scentella, bamboo, pine needles, cucurbita, juniper Incense, chrysanthemum, fir, scent, cypress, cedar, cinnamon, peppermint, citrus extract, wood vinegar can be mixed with any one or two or more. The content is 0.001-20 weight part of the whole composition, and when it contains, sodium hydroxide (NaOH) dissolves in water completely and it is desirable to contain it after heat of dissolution is lost completely.

상기한 방향제 중 대나무향, 솔잎향, 향나무향, 편백나무향, 측백나무향 등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방향제는 모기가 싫어하는 기피효과가 있어서, 모기가 많은 여름철에 모기기피 효과를 적절히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Almost all of the fragrances except bamboo, pine needles, juniper, cypress, and cypress have a repelling effect that mosquitoes do not like, and the mosquito avoiding effect will be appropriate in summer. .

상기와 같이 제조된 조성물은 발열성 금속체(80a)와 접촉시 유해가스의 발생량의 매우 저조하며, 또한, 발열성 금속체(80a)와 급속발열시켜 이때 발생되는 반응열로 상부용기(20)에 수납되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할 수 있을 정도로 열효율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The composition prepared as described above is very low in the amount of harmful gas generated in contact with the exothermic metal body 80a, and also rapidly heats up with the exothermic metal body 80a in the upper vessel 20 with the reaction heat generated at this time. The food to be stored will exhibit thermal efficiency enough to cook by heating.

물론, 발열물질로서 상기 수산화나트륨수용액 상태의 조성물은 페트병, 플라스틱용기, 수지용기, FRP용기 등 상기 수산화나트륨과 비반응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방수성용기에 소포장 단위로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Of course, the sodium hydroxide aqueous solution composition as a heating material can be used in a small packaging unit in a waterproof container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react with the sodium hydroxide, such as PET bottles, plastic containers, resin containers, FRP containers.

상기와 같은 발열물질(80b)은 용기본체(10)에 내장된 발열성 금속체(80a)와 반응시키면 발열반응에 의한 열에너지로서의 반응열이 방출되어 상부용기(20)로 전달되고, 또 그 전달된 열은 상부용기(20) 내의 음식물을 가열 및 조리하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80b reacts with the heat generating metal body 80a embedded in the container body 10, the heat of reaction as heat energy is released by the exothermic reaction, and is transferred to the upper vessel 20. The heat is to heat and cook food in the upper container (20).

특히, 상기 발열물질(80b)은 용기본체(10) 저부에 발열성 금속체(80a)가 적어도 1회 이상 재활용되도록 충분한 량의 내장되어 있어서, 필요할 때마다 계속하여 용기본체(10) 내로 보충할 수 있는바, 발열물질(80b)이 지니고 있는 발열성이 종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발열성 금속체(80a)와 발열반응하게 하여 지속적으로 전달되는 높은 열효율로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80b is embedded i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10 in a sufficient amount so that the heat generating metal body 80a is recycled at least once or more, so that it can be continuously replenished into the container body 10 whenever necessary. The bar can be used to cook food with high thermal efficiency, which is continuously transmitted by exothermic reaction with the exothermic metal body 80a until the exothermic property of the exothermic material 80b is ended.

그리고 이것은, 발열반응 유지 시간 및 고온의 열효율을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서, 영하 -10 ~ -20℃정도의 추운 곳에서도 생닭, 생돼지고기, 생쇠고기 등과 같은 육류를 충분히 조리하는데 적용이 용이하게 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And this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exothermic reaction holding time and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high temperature, it is easy to apply to cook enough meat such as raw chicken, raw pork, raw beef, etc. even in the cold place below -10 ~ -20 ℃ It is.

물론, 본 고안의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100)에 적용되는 발열체는 상기 이외에도 일반적으로 즉석 조리 용기에 적용되는 발열체를 사용할 수 있다, 통상 발열체는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Of course, the heating element applied to the pressure-controlled instant cooking vesse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ddition to the heating element generally applied to the instant cooking vessel, the usual heating element may use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stant cooking container 100 capable of adjusting the pres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미리, 적어도 1회 이상 재활용될 수 있는 충분한 량의 발열성 금속체(80a)를 용기본체(10) 내 저부로 바람직하게 삽입하여 내장한다.
In advance, a sufficient amount of the pyrogenic metal body 80a that can be recycled at least once is preferably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10 to be incorporated therein.

또한, 발열물질(80b)인 수산화나트륨(NaOH)을 발열성 금속체(80a)가 내장된 용기본체(10) 내부로 곧, 수용공간부(B))로 물과 함께 투입하거나 또는 수산화나트륨(NaOH) 투입 이후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수산화나트륨(NaOH)이 합성수지 등으로 포장되어 있는 것이라면 합성수지(H)를 파손시켜 수산화나트륨(NaOH)이 물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In addition, sodium hydroxide (NaOH), which is a heating material (80b), is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body (10) in which the pyrogenic metal body (80a) is embedded, together with water or into the receiving space (B), or sodium hydroxide ( NaOH) can be supplied after the addition of water. At this time, if sodium hydroxide (NaOH) is packaged with a synthetic resin or the like, the synthetic resin (H) must be broken so that the sodium hydroxide (NaOH) can come into contact with water.

상기 방법 이외에도 발열물질(80b)로서 수산화나트륨용액을 투입하여 발열성 금속체(80a)와 발열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o the above method, it is preferable to add a sodium hydroxide solution as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80b to exothermically react with the heat generating metal body 80a.

다음에, 상부용기(20)를 용기본체(10)에 장착한다. 물론, 상부용기(20)의 돌환테 이면으로 형성된 체결홈(23)에 압력패킹(40a)이 체결된 상태에서 상부용기(20)를 용기본체(10) 내부로 삽입하여 상기 압력패킹(40a)에 의해 용기본체(10)의 테두리부(17)를 밀폐시키며, 용기본체(10)와 상부용기(20) 사이에는 발열체(80)가 수용된 수용공간부(B)가 형성되도록 한다.
Next, the upper container 20 is attached to the container body 10. Of course, the pressure packing (40a) by inserting the upper container 20 into the container body 10 in the state in which the pressure packing (40a)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23) formed on the turntable surface of the upper container (20) By sealing the rim 17 of the container body 10, the receiving space (B) is formed between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upper vessel 20 is accommodated the heating element (80).

그리고 상부용기(20) 내부 곧, 음식물수납부(C)로 물을 포함하는 조리용 식품을 수납하고, 뚜껑(30)으로 상부용기(20)의 테두리부(21)를 덮어 그 내부를 밀폐시킨다. 구체적으로, 압력패킹(40b)이 체결된 뚜껑(30)의 체결홈(31)으로 상부용기(20)의 테두리부(21)를 삽입하여 상부용기(20) 내부를 밀폐시켜 물을 포함하는 조리용 식품이 수납된 음식물수납부(C)가 형성되도록 한다.
And the inside of the upper container 20, the food storage unit (C) to accommodate the food containing food containing water, and cover the edge portion 21 of the upper container 20 with a lid 30 to seal the inside. . Specifically, inserting the edge portion 21 of the upper container 20 into the fastening groove 31 of the lid 30 to which the pressure packing 40b is fastened to seal the inside of the upper container 20 to include cooking water. The food storage portion (C) containing the food for food is formed.

이어서, 용기본체(10) 상단을 뚜껑(30)으로 덮어 테두리부(17)를 밀폐시키며, 뚜껑체(30)에 구비된 다수개의 체결부재(50)을 용기본체(10)의 걸림테(11d)의 하부면 곧, 절곡면(11c)이 접합된 용기제2판체의 외피(12b) 인접부분과 걸림 되도록 함으로서, 상부용기(20)를 사이에 두고 뚜껑(30)과 용기본체(10)를 결합하여 용기본체(10) 및 상부용기(20)의 내부(B, C)가 밀폐되도록 하여 소정의 진공압 상태를 조성한다.
Subsequently, the top of the container body 10 is covered with a lid 30 to seal the edge 17,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50 provided in the lid 30 are attached to the container body 10d. The lower surface of the c), that is, the bent surface (11c) by engaging with the adjacent portion of the outer shell (12b) of the container 2 plate bonded to, the lid 30 and the container body 10 with the upper container 20 therebetween Combining the interior (B, C) of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upper container 20 is sealed to form a predetermined vacuum state.

이렇게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100)는 수용공간부(B) 내에서 발열체(80)인 발열물질(80b)인 수산화나트륨(NaOH)과 발열성 금속체(80a)가 반발반응하여 고온의 반응력이 방출되며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도록 한다.
Thus, the ready-to-press cooking vessel 100 in the state where the assembly is completed is the sodium hydroxide (NaOH) and the pyrogenic metal body (80a) of the heating material (80b) of the heating element (80) in the receiving space (B) Reaction causes high temperature reaction force to be released and keep for a certain time.

물론, 수산화나트륨(80b)을 물과 함께 투입하거나 또는 수산화나트륨(NaOH) 투입 이후 물을 공급하여 수산화나트륨(NaOH)과 물과 접촉시킨 경우에는 수산화나트륨(NaOH)과 물이 접촉에 의한 용해열이 반응 초기 열량을 보존하며, 곧 바로 용해액은 발열성 금속체(10)와 접촉하면서 지속적인 반응 연결을 가능케 하여 고온의 반응력을 방출되며, 수산화나트륨(NaOH)을 용액상태로 공급된 경우에서는 수산화나트륨용액(80b)은 발열성 금속체(80a)와 접촉하면서 곧 바로 발열반응 하여 지속적인 고온의 반응열이 방출되며 일정시간 동안 유지된다.
Of course, when sodium hydroxide (80b) is added together with water or water is supplied after sodium hydroxide (NaOH) is added to contact sodium hydroxide (NaOH) and water, the heat of dissolution due to contact between sodium hydroxide (NaOH) and water is reduced. Preserving the initial calorific value of the reaction, the solution immediately releases the reaction force of high temperature by contacting the exothermic metal body (10) to enable a continuous reaction connection, and when sodium hydroxide (NaOH) is supplied in solution, sodium hydroxide The solution 80b is exothermic and immediately reacts with the exothermic metal body 80a, thereby releasing a continuous heat of high temperature and maintaining it for a predetermined time.

상기 발열체(80)에 의해 발열반응 하는 과정에서 수용공간부(B)의 압력이 과다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압력조절밸브(60)는 수용공간부(B)에 일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할 때 그 상승압력이 제1압력조절밸브(60)의 디스크(65)를 밀고 있는 스프링(66)의 탄성력을 높아지게 하여, 베이스부재(61)에 형성된 배출공(61b)을 차단하고 있는 디스크(65)가 후퇴시키게 되고, 이때 수용공간부(B)의 반응기체가 배출공(61b) 및 베이스부재(61)와 고정부재(63)에 형성되어 있는 압력배출공(61c)(63a)을 통해서 대기 중으로 자동 방출된다.
In the process of exothermic reaction by the heating element 80, the first pressure control valve 60 which prevents the pressure of the accommodation space portion B from being excessively raised may rise above the predetermined pressure in the accommodation space portion B. At this time, the rising pressure increases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66 pushing the disk 65 of the first pressure regulating valve 60 to block the discharge hole 61b formed in the base member 61. ) Is retracted, and the reactor body of the accommodating space (B) is atmospheric through the discharge holes (61b) and the pressure discharge holes (61c) (63a) formed in the base member (61) and the fixing member (63). Is automatically released.

그리고, 수용공간부(B) 내에서 발열체(80)에 의해 생성되는 반응열은 용기제1판체(11) 외부로 누출하게 된다. 이때, 용기제1판체(11)와 용기제2판체(12) 사이에 형성된 단열진공부(A)가 더 이상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열을 차단하여 보호하게 되며, 더불어, 용기본체(10)의 용기제1판체(12)가 뜨겁지 않아 가열된 조리용기에 의한 화상방지 효과도 있게 되는 것이다.
Then, the reaction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element 80 in the receiving space (B) is leak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first plate (11). At this time, the heat insulating vacuum portion (A) formed between the first container body 11 and the second container body 12 is protected by blocking the heat so as not to leak to the outside anymore, and, of the container body 10 The first plate 12 of the container is not hot, so that there is also a burn prevention effect by the heated cooking container.

계속하여, 수용공간부(B) 내 일정 압력 하에서 열효율을 극대화하며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반응열을 상부용기(20)의 몸체에 전달되고, 그 전달된 열은 상부용기(20)의 내부 곧, 음식물수납부(C)에 존재하는 조리용 음식물로 전달되어 가열하게 된다.
Subsequently, the heat of reaction is continuously transferred to the body of the upper vessel 20 while maximizing thermal efficiency under a predetermined pressure in the receiving space portion B, and the transferred heat is directly inside the upper vessel 20. The food is delivered to the cooking food present in the payment part C to be heated.

음식물수납부(C)를 일정 압력 하에서 조리물이 고온으로 가열되는 과정에서 음식물수납부(C)의 압력이 과다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압력조절밸브(70)는 음식물수납부(C)에 일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할 때 그 상승압력이 제2압력조절밸브(70)의 디스크(75)를 밀고 있는 스프링(76)의 탄성력을 높아지게 하여, 베이스부재(71)에 형성된 배출공(71b)을 차단하고 있는 디스크(75)가 후퇴시키게 되고, 이때 음식물수납부(C)의 생성 증기가 배출공(71b) 및 베이스부재(71)와 고정부재(73)에 형성되어 있는 압력배출공(71c)(73a)을 통해서 대기 중으로 자동 방출되게 된다.
The second pressure control valve 70 which prevents the pressure of the food storage unit C from being excessively increased while the food storage unit C is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under a predetermined pressure has a food storage unit C. When the pressure rises above the predetermined pressure, the rising pressure increases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76 that pushes the disk 75 of the second pressure control valve 70, so that the discharge hole 71b formed in the base member 71 is formed. The disk 75, which cuts off, is retracted, and at this time, the generated steam of the food storage portion C is formed in the discharge hole 71b and the base member 71 and the fixing member 73. Through the 73a).

이것은 상부용기(20) 내의 압력조절이 구비되지 않은 종래의 즉석 조리 용기에 비해 일정 압력 하에서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음식물수납부(C)에 수납된 음식물을 빠르게 조리할 수 있어서, 조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게 되는 것이다.
This minimizes the heat loss under a certain pressur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instant cooking vessel without the pressure control in the upper vessel 20 can quickly cook the food stored in the food storage unit (C), thereby reducing the cooking time The effect is to be provided.

이것은 특히, 영하 -10 ~ -20℃정도의 추운 곳에서도 생닭, 생돼지고기, 생쇠고기 등과 같은 육류를 충분히 조리하는데 적용이 용이하다.
This is particularly easy to apply to sufficiently cook meat, such as raw chicken, raw pork, raw beef, even in the cold place below -10 ~ -20 ℃.

물론, 상기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예컨대, 더욱 높은 열효율 및 발열유지 시간을 지속시키기 위해 발열물질을 수회 더 공급하여 음식물수납부(C)에 수납된 조리물이 조리가 완료될 때까지 가열하게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Of course, if necessary in the above process, for example, in order to maintain a higher heat efficiency and heat retention time, the heating material may be supplied several times to heat the food stored in the food storage unit C until the cooking is completed. It is self-evident.

또한, 본 고안에서는 발열체(80)의 발열반응이 종료되면, 폐기성 발열물질은 폐기하고, 잔존해 있는 발열성 금속체(80a)는 그대로 두었다가 수명이 다할 때까지 수회 내지 수십 번 재활용됨으로써, 종래의 1회용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쓰레기 량보다 획기적으로 쓰레기 발생량을 줄이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xothermic reaction of the heating element 80 is completed, the waste heat generating material is discarded, and the remaining heating element 80a is left as it is and recycled several times to several times until the end of its life. The amount of waste generated by the disposable heating element is significantly reduced than that of waste.

나아가, 폐기성 발열물질은 다시 재활용되어 알루미늄(Al)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들면; 폐기성 발열물질을 수거 및 여과하여 수산화 이온(OH-)과 용해되지 않은 불순물을 거른 후, 거른 용액을 냉각시켜 과포화 상태를 만들어 재결정시키면 순수한 수화된 산화알루미늄(Al 2O3·3H2O)이 침전된다.
Furthermore, the waste heat generating material may be recycled and manufactured from aluminum (Al). For example; The waste heat generation material is collected and filtered to filter out hydroxide ions (OH-) and undissolved impurities, and then the filtered solution is cooled to form a supersaturated state and recrystallized to obtain pure hydrated aluminum oxide (Al 2 O 3 · 3 H 2 O).

화학식 2Al(OH)4<up>-</up>(aq) → Al 2O3·3H2O(82) + 2OH-(aq)
Formula 2Al (OH) 4 <up>-</ up> (aq) → Al 2 O 3 · 3H 2 O (82) + 2OH- (aq)

침전된 수화 산화알루미늄을 1,300℃에서 가열하면 수화된 물은 제거되고, 순수한 산화알루미늄(Al)을 얻고, 이것을 베이어 처리에 의해서 정제된 산화알루미늄은 홀-헤럴트 처리에 의해서 전기 분해되어 순수한 알루미늄(Al)으로 정제되게 된다.
When the precipitated hydrated aluminum oxide is heated at 1,300 ° C, the hydrated water is removed and pure aluminum oxide (Al) is obtained. The aluminum oxide purified by Bayer treatment is electrolyzed by hole-hert treatment to obtain pure aluminum ( Al).

이처럼 본 고안의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100)에 적용되는 발열체(80)는 발열반응 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연료로 이용된 후, 폐기성 발열물질은 관련분야의 공지의 기술로 재활용되는데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As such, the heating element 80 applied to the pressure-controlled instant cooking contai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fuel for heating food by exothermic reaction, and the waste heat-generating material is applied to be recycled by a known technique in the related field. You will have the advantage to do it.

험예 Experience

용기제1판체(11) 및 용기제2판체(11)로 이루어진 2중용기로서 용기본체(10)와 상부용기(20), 뚜껑(30) 등을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된 용기에 압력패킹(40a, 40b), 체결부재(50), 압력조절밸브(60)(70) 등을 체결하여 바람직하게 구성된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100)에 형성된 수용공간부(B)로 금속성 발열체(80a)로서 알루미늄판(두께 1.2Cm) 700g를 내장하고, 발열물질(80b)로서 수산화나트륨 30g, 물 1,000g을 투입하여 밀폐한 다음, 상부용기(20)의 음식물수납부(C)에 생돼지고기 100g과 물 및 기타 부재료 등을 넣고 추운 겨울 영하 5℃ 정도의 야외에서 본 고안의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100)에서 발산되는 열효율을 측정하였다.
As a double container consisting of the first plate body 11 and the second plate body 11, the container body 10, the upper container 20, the lid 30 and the like are pressure-packed 40a, 40b), the fastening member 50, the pressure control valve 60, 70 and the like as a metal heating element (80a) as a receiving space portion (B) formed in the instant cooking vessel 100 capable of pressure control preferably configured 700g of aluminum plate (thickness 1.2Cm) was built-in, and 30g of sodium hydroxide and 1,000g of water were sealed as a heating material (80b), and then 100g of pork meat was formed in the food storage part (C) of the upper container 20. Water and other subsidiary materials and the like was measured in the heat efficiency emitted from the instant cooking vessel 100 can control the pres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ld winter below minus 5 ℃.

발열반응 시작 후 1 ~ 2분 사이에 급격히 125℃ 까지 상승하고, 3분에서 22분 정도 시간에 103 ~ 110℃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다가 22분에서 44분 시간 구간에서는 103 ~ 73℃ 정도로 서서히 내려오고, 44분에서 80분 시간 구간에서는 73 ~ 42℃ 정도로 온도가 하향되어 발열반응을 중단시키고,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100)를 분해한 다음에 금속성 발열체(80a)를 물로 행군 후, 무게를 측정한 결과, 알루미늄판 710g으로 약 8ㅇg이 소모되었다. 또한, 상부용기(20)에 수납된 음식물을 가열하여 생고기도 충분히 섭취가능하도록 조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fter the start of exothermic reaction, it rapidly rises to 125 ℃ between 1 and 2 minutes, and continuously maintains 103 to 110 ℃ for 3 to 22 minutes, and then slowly descends to 103 to 73 ℃ for 22 to 44 minutes. In the 44 to 80 minutes time interval, the temperature is lowered to about 73-42 ° C. to stop the exothermic reaction, dismantle the pressure-controlled instant cooking vessel 100, and then march the metal heating element 80a with water, and then weigh. As a result, about 8 g was consumed with 710 g of aluminum plates. In addition, by heating the food stored in the upper container 20 it was confirmed that the raw meat is cooked enough to be ingested.

또한, 수용공간부(B)에 내장된 발열성 금속체(80a)가 앞으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발열물질(80S)과 발열반응 하는데 있어서 수회 반복적으로 재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In addition, it means that the exothermic metal body 80a embedded in the receiving space portion B may be repeatedly recycled several times in exothermic reaction with the exothermic material 80S supplied from the outside in the future.

이상, 본 명세서를 통해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속하는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의 특정한 양태가 예시되고 기술되지만, 본 고안은 전술한 구현예 및 실시 예 및 시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다른 변화 및 변형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하겠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 내의 상기 변화 및 변형을 첨부된 실용신안청구의 범위에 포함하고자 한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stantaneous cooking vessel capable of adjusting pressure belong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examples, and test examples, It will be apparent to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other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abov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appended utility model claims.

본 고안의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는 발열발응시 용기본체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단열진공부가 형성된 2중용기에 의해 차단함으로써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상부용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압력조절 장치에 의해 최소화하여 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용도로 제품 생산이 가능하여 화학반응 열에 의해 가열되는 즉석 조리 용기 용품 분야의 틈새시장을 공략하는데 전략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서, 당 분야에 미치는 산업적 의의는 극히 크다 하겠다.
The instant cooking vessel that can control the pres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heat loss by blocking the heat generated inside the container body from being lost to the outside by a double container having a heat insulating vacuum part. Niche market of instant cooking container supplies heated by chemical reaction heat as it is possible to produce products for the purpose of maximizing thermal efficiency by minimizing the loss of heat generated inside the upper container to the outside by the pressure control device. It can be used strategically to target the industry, so the industrial significance for this field is extremely large.

A : 단열진공부
B : 수용공간부
C : 음식물수납부
10 : 용기본체 11 : 용기제1판체 12 : 용기제2판체
20 : 상부용기 30 : 뚜껑
40(40a, 40b) : 압력패킹 50 : 체결수단
60, 70 : 압력조절밸브
80 : 발열체 80a : 발열성 금속체 80b : 발열물질
100 :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
A: Insulation vacuum department
B: receiving space
C: food storage
DESCRIPTION OF SYMBOLS 10 Container body 11 Container 1st plate 12 Container 2nd plate
20: upper container 30: lid
40 (40a, 40b): pressure packing 50: fastening means
60, 70: Pressure regulating valve
80: heating element 80a: heating element 80b: heating element
100: pressure cooking container

Claims (12)

용기제1판체(11) 및 상기의 용기제1판체(11)를 내부로 삽입시켜 단열진공부(A)가 형성될 수 있도록 용기제2판체(12)를 결합하여 일체화된 2중 용기로 구성되어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갖고 발열체 및 상부용기 등의 내용물을 담겨질 수 있도록 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로 삽입하여 개구측 테두리부(17)를 밀폐하며, 그 내부로 발열체가 수용되도록 수용공간부(B)를 형성하는 상부용기(20) 및 상기 상부용기(20)를 덮어 밀폐하도록 하는 뚜껑(30)과; 상기 용기본체(10)와 상부용기(20) 사이 및 상부용기(20)와 뚜껑(30) 사이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압력을 유지할 수 있게 구비되는 각각의 압력패킹(40a, 40b)과; 상기 상부용기(20)를 사이에 두고 용기본체(10)와 뚜껑(30)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부재(50)와; 상기 용기본체(10) 상단에 구비되어 수용공간부(B)의 압력이 과다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압력조절밸브(60)와; 상기 뚜껑체(40) 상단에 구비되어 상부용기 내부의 과도한 압력상승을 방지하며, 음식물 가열 시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압력조절밸브(70)와; 상기 수용공간부(B)에 수용되어 발열반응 함으로써 상기 상부용기(30)에 담긴 음식물을 가열하는 발열성 금속체(80a) 및 발열물질(80b)로 이루어진 발열체(80)를 포함하는 것인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The container first plate body 11 and the container first plate body 11 are inserted into the container, and the second plate body 12 is combined to form an insulating vacuum part A. A container body 10 having an open shape at the top thereof so as to contain contents such as a heating element and an upper container; The upper container 20 and the upper container 20 are inserted into the container body 10 to seal the edge portion 17 of the opening side and form a receiving space B so that the heating element is accommodated therein. A lid 30 to cover and seal the cover; Pressure packings 40a and 40b provided between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upper container 20 and between the upper container 20 and the lid 30 to maintain pressure; A fastening member 50 configured to couple the container body 10 and the lid 30 with the upper container 20 therebetween; A first pressure regulating valve (60)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10) to prevent an excessive increase in pressure in the accommodation space (B); A second pressure control valve (70)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lid (40) to prevent an excessive pressure rise inside the upper container and discharging steam to the outside when food is heated; Pressure that includes a heating element (80) made of a heat generating metal body (80a) and a heating material (80b) for heating the food contained in the upper container (30) by being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B) to exothermic reaction Adjustable instant cooking contain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력조절밸브 및 제2압력조절밸브는, 0.01 ~ 2kgf/㎠의 압력에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first pressure regulating valve and the second pressure regulating valve are opened at a pressure of 0.01 to 2 kgf / cm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성 금속체(80a)는, 알루미늄(Al), 아연(Zn), 마그네슘(Mg)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이거나, 또는 상기 금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합금 또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혼합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yrogenic metal body 80a is any one selected from aluminum (Al), zinc (Zn), magnesium (Mg), or an alloy containing at least one of the metals or a mixed metal containing at least one. Instant cooking container capable of pressure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성 금속체(80a)는 흡수성 직물봉지에 삽입 후 밀봉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The pressure cook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heat generating metal body (80a) is sealed after being inserted into an absorbent fabric bag. 제 1항, 제 3항, 제 4항 중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성 금속체는 발열물질(80b)과 접촉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표면적이 넓으며 그 두께가 두껍게 형성한 것을 수용공간부(B) 내에 최대한 넓게 분포되게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5. The accommodating space part of claim 1, wherein the exothermic metal body has a large surface area and a thick thickness in order to maximize contact with the exothermic material 80b. 6. Pressure control adjustable instant cook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 is distributed as widely as possib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물질(80b)은 수산화나트륨(NaOH)을 조성물 전체의 10 ~ 80중량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eating material (80b) is an instant cooking vessel capable of pressure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sodium hydroxide (NaOH) in 10 to 80% by weight of the whole composition. 제 1항 또는 제 6항 중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물질(80b)은 방수성 재질의 용기에 삽입 후 밀봉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7. The pressur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heating material (80b) is sealed after being inserted into a container made of a waterproof material. 제 1항 또는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물질(80b)은 흡수성 직물봉지에 삽입 후 밀봉 처리한 후 그것을 다시 방수성 재질의 용기 삽입 후 밀봉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The heat generating material (80b) is sealed after the insertion into the absorbent fabric bag, and then sealed after the insertion of the container of the waterproof material. Instant cooking vessel with adjustable pressure. 제 1항 또는 제 6항 또는 7항 또는 8항 중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물질(80b)은 다수개의 셀 형태의 방수성 재질의 용기 또는 방수성 직물봉지에 삽입 후 밀봉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eating material (80b)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ling treatment after inserting into a plurality of cell-type waterproof material containers or waterproof fabric bags. Instant cooking vessel with adjustable pressur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물질(80b)은 다수개의 셀 형태의 방수성 재질의 용기 또는 흡수성 직물봉지 사이에는 칼날 절취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heating material (80b) is a pressure-controlled instant cook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the blade cutting line is formed between a plurality of cell-shaped waterproof material containers or absorbent fabric bags. 상기 제 1항 또는 제 5항 또는 6항 또는 7항 또는 제 8항 중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물질은 방향제를 조성물 전체의 0.001 ~ 20중량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9. The press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5, 6, 7, or 8, wherein the exothermic material contains a fragrance in an amount of 0.001 to 20% by weight of the whole composition. Adjustable instant cooking container. 상기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는 린덴 플라워(linden flower), 리코리스(licorice), 페레리안(pereirian), 페퍼민트(peppermint), 라벤더(lavender), 레몬그라스(lemongrass), 민트(mint), 레몬 바베나(lemon verbena), 타임(thyme), 로즈마리(rosemary), 마테(mate), 매리골드(marigold), 오렌지필(orange peel), 와일드 스트로베리(wild strawberry), 오렌지블라섬(orange blossom), 세이지(sage), 바질(basil), 로즈핑크(rosepinT), 매로우(marrow), 홍차(blacT tea), 쟈스민(jasmine), 벌리리안(valerian), 베르가못(bergamot), 캐모마일(camomile), 시다우드(cedarwood virginia), 시나몬(cinnamon), 클레리 세이지(clary sage), 사이프리스(cypress), 유칼립터스(eucalyptus), 펀넬(fennel), 유향(franTincense), 제라늄(geranium), 그레이프프룻(grapefruit), 히솝(hyssop), 쥬니퍼(juniper), 레몬(lemon), 라임(lime), 마조람(marjoram), 미르(myrrh), 팔마로사(palmarosa), 패촐리(patchouli), 로즈 앱솔루트(rose absolute), 백단(sandalwood), 티트리(tea ~ tree), 일랑일랑(ylang ylang), 진저(ginger), 장미(rose), 카더멈(cardamom) 등의 향료 및 스트넬라향, 대나무향, 솔잎향, 쑥향, 향나무향, 국화꽃향, 전나무향, 칡향, 편백나무향, 측백나무향, 계피향, 박하향, 감귤피추출물, 목초액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을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압력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ragrance is a linden flower, licorice, pereirian, peppermint, lavender, lemongrass, mint, Lemon verbena, thyme, rosemary, mate, marigold, orange peel, wild strawberry, orange blossom ), Sage, basil, rosepinT, marrow, blacT tea, jasmine, valerian, bergamot, chamomile Cedarwood virginia, cinnamon, clary sage, cypress, eucalyptus, funnel, frankincense, geranium, grapefruit Grapefruit, hyssop, juniper, lemon, lime, marjoram, myrrh, palmarosa, patc flavors and strips such as houli, rose absolute, sandalwood, sandalwood, tea-tree, ylang ylang, ginger, rose, cardamom Nella, bamboo, pine needles, mugwort, cedar, chrysanthemum, fir, cherries, cypress, cypress, cinnamon, peppermint, citrus extract, or vinegar solution An instant cooking container capable of adjusting the press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mixture.
KR2020110006366U 2011-07-13 2011-07-13 Instant cooking container for press to regulate temperature KR20110007565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366U KR20110007565U (en) 2011-07-13 2011-07-13 Instant cooking container for press to regulate tempera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366U KR20110007565U (en) 2011-07-13 2011-07-13 Instant cooking container for press to regulate tempera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565U true KR20110007565U (en) 2011-07-29

Family

ID=45596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366U KR20110007565U (en) 2011-07-13 2011-07-13 Instant cooking container for press to regulate tempera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7565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66905A (en) * 2022-03-18 2022-07-22 松下家电(中国)有限公司 Control method of pressure cooking applian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66905A (en) * 2022-03-18 2022-07-22 松下家电(中国)有限公司 Control method of pressure cooking appliance
CN114766905B (en) * 2022-03-18 2024-04-19 松下家电(中国)有限公司 Control method of pressure cooking appli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61282C (en) Oxygen activated heater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KR20110086683A (en) Instant cooking container for press to regulate temperature
US20050145242A1 (en) Autothermic packaging
KR20090009347U (en) A heating container
EP2911950B1 (en) Temperature changing container
KR20110007565U (en) Instant cooking container for press to regulate temperature
CA2690714C (en) Self-heatable container
KR20100073200A (en) Vessel with self-heating structure
KR101309737B1 (en) Food container capable of heating instantly
KR20110007563U (en) portable heating apparatus
KR20110086681A (en) Portable heating apparatus
UA95079C2 (en) Assembly for dispensing beverage
JP2005323704A (en) Electric kettle
KR20110007566U (en) chemical heat generated body
KR20110007805U (en) portable heating apparatus
KR20110086684A (en) Chemical heat generated body
US11661261B2 (en) Self-contained meal assembly with steam vent
KR20110086682A (en) Chemical heat generated body coercion heated regenerative a heating apparatus
KR200323693Y1 (en) A heating vessel within metal pyrogen
KR20070115165A (en) Bottle cap installed with heating package
CN208463523U (en) Chemical heat type vacuum cup
CN208412731U (en) A kind of fever beverage bottle
WO2006004322A1 (en) Disposable food heating pouch having water discharge/inflow prevention structure
JPH0523503Y2 (en)
KR20110086685A (en) Chemical heat generated body coercion heated regenerative a he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