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136A - 패킷 교환 방식 멀티미디어 가입자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아키텍처에 의해 정의된 기능들을 갖는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이동 교환국 플랫폼 - Google Patents

패킷 교환 방식 멀티미디어 가입자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아키텍처에 의해 정의된 기능들을 갖는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이동 교환국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136A
KR20110007136A KR1020107023152A KR20107023152A KR20110007136A KR 20110007136 A KR20110007136 A KR 20110007136A KR 1020107023152 A KR1020107023152 A KR 1020107023152A KR 20107023152 A KR20107023152 A KR 20107023152A KR 20110007136 A KR20110007136 A KR 20110007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center
mobile switching
center platform
packet switched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3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5626B1 (ko
Inventor
푸이 스즈 스테파니 호
Original Assignee
노오텔 네트웍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오텔 네트웍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노오텔 네트웍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07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4Backbone network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33Signalling gateways
    • H04L65/104Signalling gateway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3Arrangements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e.g. for con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이동 교환국 플랫폼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 단말기를 위하여 회선 교환 방식 통신 세션들을 확립하는 회선 교환 방식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교환국 플랫폼은 패킷 교환 방식 멀티미디어 가입자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아키텍처에 의해 정의된 기능들을 갖는 인터페이스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들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는 상기 이동 교환국 플랫폼이 패킷 교환 방식 가입자 액세스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고 상기 패킷 교환 방식 가입자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이동 교환국 플랫폼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장치와 패킷 교환 방식 통신 세션들을 확립한다.

Description

패킷 교환 방식 멀티미디어 가입자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아키텍처에 의해 정의된 기능들을 갖는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이동 교환국 플랫폼{A MOBILE SWITCHING CENTER PLATFORM HAVING INTERFACES WITH FUNCTIONALITIES DEFINED BY AN ARCHITECTURE THAT PROVIDES PACKET-SWITCHED MULTIMEDIA SUBSCRIBER SERVICE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회선 교환 방식 스위치(circuit-switched switch) 및 패킷 교환 방식 멀티미디어 가입자 서비스들(packet-switched multimedia subscriber services)을 제공하는 아키텍처에 의해 정의된 기능들을 갖는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이동 교환국 플랫폼(mobile switching center platform)에 관한 것이다.
전자 메일, 웹 브라우징, 파일 다운로드, 전자 상거래, 음성 또는 다른 형태의 실시간 상호 작용 통신, 및 그 밖의 것들을 포함하는, 많은 종류의 통신들이 데이터 네트워크(무선 및/또는 유선 네트워크) 상에서 수행된다. 네트워크에서 통신 세션들의 확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제어 기능들이 네트워크에 전개된다. 몇몇 표준 기관(standards body)들은 그러한 제어 기능들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들 내의 서브시스템들을 정의하였다. 하나의 그러한 표준 기관은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이고, 그것은 오디오, 비디오, 텍스트, 채팅, 또는 상기한 것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IP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의 제공을 위한 다양한 제어 기능들을 포함하는 인터넷 프로토콜(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프로토콜을 정의하였다.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은 3GPP에 의해 정의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또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표준에 따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3GPP2에 의해 정의된, CDMA 2000(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표준에 따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또는 다른 종류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과 관련하여 이용될 수 있다.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은 또한 유선 네트워크와 함께 이용될 수도 있다.
IMS 서비스들을 전개하는 것과 관련된 문제는 IMS 서비스들을 구현하기 위한 인프라스트럭처를 전개하는 것과 관련된 비용이다. IMS 서비스들을 전개하기 위한 인프라스트럭처는 복잡할 수 있다. IMS 서비스들을 전개하는 것과 관련된 비교적 높은 비용들은 서비스 제공자들로 하여금 그러한 전개를 미루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교환국 플랫폼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 단말기를 위하여 회선 교환 방식 통신 세션들을 확립하는 회선 교환 방식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교환국 플랫폼은 또한 패킷 교환 방식 멀티미디어 가입자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패킷 교환 방식 멀티미디어 서비스 아키텍처에 의해 정의된 기능들을 갖는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들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는 패킷 교환 방식 가입자 액세스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고 상기 패킷 교환 방식 가입자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이동 교환국 플랫폼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장치와 패킷 교환 방식 통신 세션들을 확립한다.
다른 또는 대안의 특징들은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도면들로부터, 및 청구항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통합되는 예시적인 배열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강화된 이동 교환국(MSC) 플랫폼의 블록도이다.
도 3-5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화된 MSC 플랫폼을 이용한 컨퍼런스 호(conference call)의 확립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메시지 흐름도들이다.
도 6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화된 MSC 플랫폼을 이용하여 호 보류 및 복구(call hold and retrieve)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의 예시적인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7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등록 요청을 처리하는 프로세스의 예시적인 메시지 흐름도이다.
다음의 설명에서는, 몇몇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상세들이 제시된다. 그러나, 이 기술의 숙련자들은 몇몇 실시예들이 이러한 상세들 없이 실시될 수 있고 설명된 실시예들로부터의 다수의 변형들 또는 수정들이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강화된 이동 교환국(MSC)은 회선 교환 방식 통신 세션들을 확립하기 위한 컴포넌트들뿐만 아니라 패킷 교환 방식 멀티미디어 서비스 아키텍처에 의해 정의된 기능들을 갖는 인터페이스들 양쪽 모두를 포함한다. 상기 패킷 교환 방식 멀티미디어 서비스 아키텍처에 의해 정의된 기능들을 갖는 상기 인터페이스들은 상기 강화된 MSC 플랫폼이,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는, 상기 패킷 교환 방식 멀티미디어 서비스 아키텍처에 대응하는 완전한 인프라스트럭처를 구현할 필요 없이 패킷 교환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을 전개하기 위해 이용되게 한다.
상기 패킷 교환 방식 멀티미디어 서비스 아키텍처에 의해 정의된 기능들을 갖는 상기 인터페이스들은 상기 강화된 MSC 플랫폼과 가입자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하나의 노드 사이의 직접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가입자 액세스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상기 강화된 MSC 플랫폼과 상기 가입자 액세스 네트워크 사이의 상호 작용을 허용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의 제공은 상기 강화된 MSC 플랫폼이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상기 가입자 액세스 네트워크에 부착된 사용자 단말기들을 위하여 멀티미디어 가입자 서비스들을 제공하게 한다.
상기 패킷 교환 방식 멀티미디어 서비스 아키텍처에 의해 정의된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하는 것에 더하여, 상기 강화된 MSC 플랫폼은 또한 상기 패킷 교환 방식 멀티미디어 서비스 아키텍처에 따른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들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들은 하나 이상의 가입자 액세스 네트워크들에 부착된 사용자 단말기들을 위하여 멀티미디어 가입자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패킷 교환 방식 멀티미디어 서비스 아키텍처는,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정의된,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아키텍처이다. IMS 아키텍처를 기술하는 3GPP 명세들의 예들은 3GPP 22.228 및 23.228을 포함한다. 3GPP 표준 기관은 또한 IMS 서비스들과 관련이 있는 다른 명세들을 제공한다는 것에 주목한다. 비록 이 논의에서는 IMS 아키텍처들, IMS 인터페이스들, IMS 서비스들, 및 IMS 기능들에 대한 참조가 행해지지만, 그러한 참조는 IMS로부터 진화하는 모든 미래의 표준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에 주목한다(그러한 표준들이 IMS 명칭을 이용하든 아니든).
IMS 아키텍처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 링크들에 의해 링크된, 상이한 기능들의 컬렉션을 포함한다. IMS 기능들의 예들은 (가입자 프로파일들이라고 불리는) 가입자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마스터 데이터베이스인, HSS(home subscriber server)를 포함한다. 다른 IMS 기능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호 시그널링과 같은 호 제어 시그널링을 처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이다. SIP는 2002년 6월,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이라는 표제가 붙은, RFC(Request for Comments) 3261에서 기술된다. 그외의 IMS 기능들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SIP는 멀티미디어 세션들(음성 세션, 오디오 세션, 비디오 세션, 텍스트 채팅 세션, 또는 상기한 것의 임의의 조합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것)을 생성하고, 수정하고, 종료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계층 제어 시그널링 프로토콜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패킷 교환 방식 멀티미디어 서비스 아키텍처"는 패킷 교환 방식 멀티미디어 세션들을 확립하고 처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기능들뿐만 아니라, 다른 작업들을 수행하는 기능들을 정의하는 임의의 아키텍처를 나타낼 수 있다.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패킷 교환 방식 멀티미디어 서비스 아키텍처에 의해 정의된 기능들은 SIP 제어 메시지들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패킷 교환 방식 멀티미디어 서비스 아키텍처에 의해 정의된 기능들은 패킷 교환 방식 통신 세션들을 확립하기 위한 다른 표준들(예를 들면, H.323)에 따른 제어 메시징을 처리하기 위해 이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강화된 MSC 플랫폼에서 IMS 인터페이스들을 구현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는 그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에서 전개할 IMS 서비스들 및 기능들을 선택할 수 있다. 이것은 서비스 제공자가 2G 및 3G 네트워크들과 같은 전통적인 네트워크들로부터 IMS 서비스들을 구현하는 네트워크들로 점차로 진화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강화된 MSC 플랫폼은 회전 교환 방식 통신만을 처리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부터 회선 교환 방식 제어 메시징 및 IMS 관련 메시징 또는 SIP 메시징 양쪽 모두를 처리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진화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강화된 MSC 플랫폼은 패킷 교환 방식 통신 세션들을 확립하기 위해 SIP 신호들을 송신하는 SIP 가능한 단말기들을 위하여 SIP 서버의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들을 포함한다. 상기 강화된 MSC 플랫폼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들의 예들은 IMS 기반 또는 SIP 기반 컨퍼런스 서비스들, 호 전달 서비스들, 호 보류 서비스들, 및 선택된 이벤트들의 통지를 수신하기 위한 SIP SUBSCRIBE의 이용이다.
단말기를 위하여 IMS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상기 강화된 MSC 플랫폼은 상기 단말기의 홈 네트워크 내의 또는 상기 단말기의 방문 네트워크 내의 MSC일 수 있다.
상기 강화된 MSC 플랫폼은 어떤 IMS 서비스들을 외부 IMS 애플리케이션 서버들에 위임(delegate)할 수 있다. 그 결과, IMS 서비스들의 전개는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강화된 MSC 플랫폼에 통합시킬 IMS 서비스들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들에 위임할 서비스들을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융통성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강화된 MSC 플랫폼(100)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배여을 나타낸다. 강화된 MSC 플랫폼(100)은 (IMS 기능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엔티티들로의 인터페이스 링크들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IMS 기능들은 네트워크 노드들에 전개될 수 있다. 임의의 특정한 네트워크 노드에 전개된 둘 이상의 IMS 기능이 있을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굵은 이탤릭체의 텍스트로 표시된 인터페이스 링크들은 전통적인 MSC 플랫폼들에는 연결되지 않는 강화된 MSC 플랫폼(100)에 연결된 새로운 인터페이스 링크들이다. 굵은 이탤릭체의 텍스트와 관련된 인터페이스 링크들은 IMS 아키텍처에 의해 정의된 인터페이스 링크들이다. 굵은 이탤릭체의 텍스트로 표시되지 않은 강화된 MSC 플랫폼(100)에 연결된 인터페이스 링크들은 전통적인 MSC 플랫폼들에도 연결되는 기존의 인터페이스 링크들이다.
비록 강화된 MSC 플랫폼(100)은 도 1에서 단일 박스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강화된 MSC 플랫폼(100)은 실제로는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 또는 다수의 물리적 시스템들로 구현될 수 있고, 다수의 물리적 시스템들은 상이한 지리적 위치들에 걸쳐서 분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된 MSC 플랫폼(100)은 제1 무선 네트워크(102)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119)에 연결된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119)는, 예로서, UTRAN(UMTS radio access network), 사용자 단말기 또는 이동국에 의한 무선 액세스를 위한 GERAN(GSM/EDGE radio access network), CDMA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또는 임의의 다른 종류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강화된 MSC 플랫폼은 또한 유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도 있다. 무선 네트워크들(102 및 119) 및 유선 네트워크는 가입자 액세스 네트워크들의 예들이다. 도 1의 예에서, 제1 무선 네트워크는 LTE(Long-Term Evolution) 무선 네트워크이고, LTE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강화하려고 시도하는 3GPP에 의해 정의된 표준이다. 강화된 MSC 플랫폼은 또한 그의 액세스 네트워크를 서빙하기 위하여 GSM/UMTS 네트워크(104)에 연결될 수 있고, GSM/UMTS 네트워크(104)는 UTRAN/GERAN 및 레거시 MSC를 포함한다. 3GPP2에 의해 정의된 CDMA 2000(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기술;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표준에 의해 정의된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기술; IEEE 802.11 표준에 의해 정의된 WiFi 무선 액세스 기술 등을 포함하는, 다른 기술들에 따른 다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이 이용될 수도 있다.
LTE 무선 네트워크(102)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이동국(UE)에 의한 무선 액세스를 위한 E-UTRAN(enhanced UMTS radio access network), 서빙/PDN GW(serving/packet data network gateway, 및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포함하는, 다양한 노드들을 포함한다. 서빙/PDN 게이트웨이 및 MME는 LTE 무선 네트워크(102)의 패킷 코어 네트워크로 간주되는 반면, E-UTRAN은 LTE 무선 네트워크의 무선 액세스 노드이다. 서빙/PDN 게이트웨이는 LTE 무선 네트워크(102)와 외부 네트워크 사이에 사용자 데이터 패킷들을 라우팅하고, 이 경우 외부 네트워크는 강화된 MSC 플랫폼(100)을 포함한다. MME는 LTE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제어 노드이고, MME는, 많은 작업들 중에서 특히, 이동국들의 아이들 모드 트래킹(idle mode tracking) 및 페이징 절차들에 대하여 책임이 있다.
GSM/UMTS 네트워크(104) 내의 MSC는 HSS/HLR(106)(home subscriber server/home location register)에 연결된다. HLR은 가입자 프로파일들 및 다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회선 교환 방식 도메인(circuit-switched domain)에서 전통적으로 이용되는 중앙 데이터베이스이다. HSS는 IMS 도메인에서 HLR의 등가물이다.
강화된 MSC 플랫폼(100)도 다음의 인터페이스 링크들: Cx, Sh, C, 및 D를 통하여 HSS/HLR(106)에 연결된다. Cx 및 Sh 인터페이스 링크들은 통상적으로는 종래의 MSC 플랫폼에 의해 지원되지 않을 새로운 인터페이스 링크들이다. 사실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GSM/UMTS 네트워크(104) 내의 레거시 MSC는 C, D 인터페이스 링크들만에 의해 HLR(106)에 연결된다.
강화된 MSC 플랫폼(100)과 HSS/HLR(106) 사이의 Sh 인터페이스 링크는 강화된 MSC 플랫폼(100)의 내부에 전개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HSS/HLR(106) 사이의 (IMS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된) 인터페이스 링크이다. Sh 인터페이스는 또한 HSS/HLR(106)과 강화된 MSC 플랫폼(100)의 외부에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AS)(108) 사이에도 제공된다는 것에 주목한다. 만약 강화된 MSC 플랫폼(100)의 내부에 어떤 애플리케이션 서버도 전개되지 않는다면, Sh 인터페이스 링크는 강화된 MSC 플랫폼(100)과 HSS/HLR(106) 사이에 제공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강화된 MSC 플랫폼(100)과 HSS/HLR(106) 사이에 있는 것으로 도시된) Cx 인터페이스 링크는 통상적으로 I-CSCF 또는 S-CSCF와, IMS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된 HSS 사이에 제공된다. I-CSCF(interrogat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는 사용자가 등록해야 하는 S-CSCF(serv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를 결정할 수 있는 네트워크 내의 기능이다. I-CSCF는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등록하도록 허용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HSS에 문의(query)하는 것에 의해 이를 달성한다. S-CSCF는 사용자를 등록하고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이다. S-CSCF는 라우팅 및 변환을 수행하고, 빌링 정보(billing information)를 제공하고, 세션 타이머들을 유지하고, 허가(authorization), 사용자 프로파일 등을 검색하기 위해 HSS에 문의한다.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는, 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HSS는 생략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강화된 MSC 플랫폼(100)은 HLR만을 이용한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강화된 MSC 플랫폼(100)은 IMS 표준에 의해 지정된 HSS를 이용하는 대신에 HLR을 이용하여 SIP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가입자 프로파일을 관리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HLR은 IMS 기반 액세스들, LTE 액세스들, 2G 액세스들, 및 3G 액세스들을 포함하는, 상이한 종류의 액세스들에 대한 프로파일들을 유지할 수 있다. SIP 서비스들을 지원하도록 진화되는 강화된 MSC 플랫폼은 계속해서 HLR로부터 가입자 프로파일들을 획득할 수 있고 강화된 MSC 플랫폼은 속성들을 매핑하고 SIP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HSS를 생략함으로써, 네트워크는, 네트워크에 사용자 단말기를 추가하는 복잡성을 증가시키는 HSS 및 HLR 양쪽 모두에 사용자 단말기(예를 들면, 이동국)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또한, HSS를 생략함으로써, 그렇지 않다면 HLR 및 HSS 데이터를 정렬(또는 동기화)시키기 위해 취해져야 할 단계들이 회피될 수 있다. 더욱이, HLR 및 HSS 양쪽 모두에서 위치 업데이트들/등록들을 수행할 필요가 회피될 수 있다.
비록 HSS를 생략하는 것이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수행되지만, HSS는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포함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된 MSC(100)는 또한 인터페이스 링크 Rx를 통하여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110)에 연결되고, PCRF는 종점들(endpoints) 사이의 IMS 관련 통신에 대한 과금 규칙들(charging rules)을 정의한다.
강화된 MSC 플랫폼(100)은 ISC 인터페이스 링크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서버(108)에 연결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108)는 미리 정의된 IMS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비록 도 1에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구현에서는 강화된 MSC 플랫폼(100)에 연결된 다수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들이 있을 수 있다.
강화된 MSC 플랫폼(100)은 Dx 인터페이스 링크에 의해 SLF(subscription locator function)(112)에 연결되고, SLF는 특정한 사용자 프로파일과 관련된 HSS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만약 도메인이 둘 이상의 HSS를 포함한다면, 강화된 MSC 플랫폼(100)은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적당한 HSS를 찾기 위해 SLF(112)와 통신할 것이다.
강화된 MSC 플랫폼(100)은 또한 다양한 인터페이스 링크들(Mg, Mj, Mw, Mi, Mr)에 의해 다양한 기능들에 연결된다. 하나의 그러한 기능은, CSCF와 통신하고 114로 나타내어진 블록의 부분인 미디어 게이트웨이(IM-MGW) 내의 미디어 채널들에 대한 연결들을 제어하는, MGCF(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이다. MGCF는, 예를 들면 패킷 교환 방식 네트워크(예를 들면, IP 멀티미디어 네트워크(116))와 회선 교환 방식 네트워크(예를 들면, CS 네트워크(118)) 사이의 통신 세션을 수행하기 위해, 회선 교환 방식 데이터 및 패킷 교환 방식 데이터 사이에 변환하기 위해 이용된다. 강화된 MSC 플랫폼(100)은 또한 다음의 다른 기능들에 연결된다: 전화 번호들에 기초한 라우팅 기능을 포함하는 SIP 서버인, BGCF(breakout gateway control function); (위에 설명된) I-CSCF; (위에 설명된) S-CSCF;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제1 접점(first point of contact)인 SIP 프록시인, P-CSCF(proxy CSCF); 알림의 재생(playing of announcements), 미디어 트랜스코딩, 및 컨퍼런싱(conferencing)을 위한 MRFP(multimedia resource function processor)와 관련하여 이용되는, MRFC(multimedia resource function controller).
강화된 MSC 플랫폼(100)은 또한, 강화된 MSC 플랫폼(100)을 다시 그 자신에게 연결하는 대시 기호로 된 선(122)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그들 자신 사이에 연결되는 IMS 아키텍처에 의해 정의된 다양한 기능들을 포함한다. 예로서, 강화된 MSC 플랫폼(100)은 박스(120) 안에 묘사된 기능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강화된 MSC 플랫폼(100)은 또한 SGi 인터페이스에 의해(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LTE 강화된 패킷 코어 네트워크(102) 내의 PDN 게이트웨이에 연결된다. SGi 인터페이스 링크는 강화된 MSC 플랫폼(100)과 LTE 강화된 패킷 코어 네트워크(102)의 PDN 게이트웨이 사이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한다. 강화된 MSC 플랫폼(100)은 Gm 인터페이스 링크를 통하여 UE와 통신한다. Gm 인터페이스 링크 상의 세션 제어 프로토콜은, IETF RFC 3261, 다른 IETF RFC들, 및 추가적인 3GPP 표준들에 의해 정의된, SIP에 기초한다. 강화된 MSC 플랫폼(100)은, 사용자가 서비스 정보를 관리하게 하기 위해 HTTP를 이용하는, Ut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IP 애플리케이션 서버로서 기능한다.
강화된 MSC 플랫폼(100)은 Mn 및 Mp 인터페이스 링크들에 의해, IM-MGW(Internet multimedia-media gateway) 및 MRFP(multimedia resource function processor)를 포함하는, 블록(114) 내의 기능들에 연결된다. 또한, 강화된 MSC 플랫폼(100)은 개별적으로 Mc 인터페이스 링크를 통하여 미디어 게이트웨이(115)에 연결된다(종래에 행해진 바와 같이).
강화된 MSC 플랫폼(100)은 또한 Iu-CS/A 인터페이스 링크에 의해 GERAN/UTRAN(119)에 연결된다. 강화된 MSC 플랫폼(100)은 또한 CS(circuit-switched) 인터페이스 링크에 의해 GSM/UMTS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104) 내의 레거시 MSC에 연결된다. Iu-CS/A 및 CS 인터페이스 링크들은 전통적인 MSC 플랫폼에 연결되는 전통적인 2G/3G 인터페이스 링크들이다.
도 2는 강화된 MSC 플랫폼(100)의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을 나타낸다. 제1 컴포넌트는 회선 교환 방식 스위치(202)이고, 이것은 사용자 단말기들 사이(예를 들면, 2개의 무선 이동국들 사이 또는 무선 이동국과 유선 단말기 사이)에 회선 교환 방식 통신을 확립하기 위해 이용된다. 회선 교환 방식 스위치(202)는 활성화(enable)되거나 비활성화(disable)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만약 활성화된다면, 회선 교환 방식 스위치(202)는 회선 교환 방식 통신을 확립할 수 있다. 어떤 시점에, 서비스 제공자가 회선 교환 방식 통신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고 결정할 수 있고, 그 시점에 서비스 제공자는, 예를 들면, 업데이트된 소프트웨어를 로딩하거나 또는 비활성화할 구성을 설정하는 것에 의해 회선 교환 방식 스위치(202)가 비활성화되게 할 수 있다.
강화된 MSC 플랫폼(100)은 또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들 및 제어 기능들(204)을 포함하고, 그것은 P-CSCF, I-CSCF, 및/또는 S-CSCF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것일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강화된 MSC 플랫폼(100)은 또한 도 1에서 강화된 MSC 플랫폼(100)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나타내어진 다른 IMS 기능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강화된 MSC 플랫폼(100)은 패킷 액세스 사용자 단말기들(예를 들면, SIP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들)에 IP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강화된 MSC 플랫폼(100)은 또한 도 1에 도시된 각각의 IMS 인터페이스 링크들을 통하여 각각의 IMS 기능들과 통신하기 위한 IMS 인터페이스들(206)을 포함한다.
또한, 강화된 MSC 플랫폼(100)은 패킷 교환 방식(예를 들면, SIP 기반) 컨퍼런스 호 서버(208)를 포함하고, 그것은 다수의 사용자들을 위하여 컨퍼런스 호 세션을 확립할 수 있다. 강화된 MSC 플랫폼(100)의 내부에 전개되는 컨퍼런스 호 서버(208)를 이용함으로써, 강화된 MSC 플랫폼(100)은, 통상적으로 행해지는 바와 같이, 컨퍼런스 호를 확립하기 위해, 도 1의 애플리케이션 서버(108)와 같은, 외부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 컨퍼런스 호 서버(208)를 포함함으로써, 컨퍼런스 호 세션을 확립하는 것은 더 능률적으로 된다. 컨퍼런스 호 서버(208)는 강화된 MSC 플랫폼(100)의 안에 제공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한 예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서버들이 이용될 수 있다.
강화된 MSC 플랫폼(100)은 또한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장치들(CPU들)(212)을 포함하고, 그것(들)은 각각의 저장 서브시스템들(214)에 연결된다. SIP 서버(204), 컨퍼런스 호 서버(208), IMS 인터페이스(206), 및 회선 교환 방식 스위치(202)와 같은, 강화된 MSC 플랫폼(100)의 모듈들 중 몇몇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CPU(들)(212)에서 실행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록 강화된 MSC 플랫폼(100)이 하나의 박스 안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할지라도, 대안적인 실시예에서의 강화된 MSC 플랫폼(100)은 다수의 지리적 위치들에 걸쳐서 분산된 다수의 물리적 시스템들을 갖는 분산된 플랫폼일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도 3은 제1 이동국(UE#1)으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컨퍼런스 브리지(conference bridge)를 설정하기 위한 메시지 흐름도를 나타낸다. 컨퍼런스 브리지는 제1 이동국에 대한 서빙 MSC 플랫폼(MSC1)에서 설정된다. 서빙 MSC 플랫폼 MSC1은 도 1 및 2에 도시된 강화된 MSC 플랫폼(100)과 유사하게 구성된다.
컨퍼런스 브리지를 설정하기 위해, 제1 이동국은 그것의 서빙 MSC 플랫폼(MSC1)에 SIP INVITE 메시지를 보낸다(302에서). 컨퍼런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빙 MSC는 제1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홈 MSC 또는 방문 MSC일 수 있다.
302에서 보내지는 INVITE 메시지는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SDP 오퍼(SDP Off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INVITE 메시지는 그 INVITE 메시지의 요청(Request) URI 필드에 컨퍼런스 팩토리(Conference Factory)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컨퍼런스 팩토리 URI는 컨퍼런스 서비스가 요청되고 있다는 것을 MSC1에 나타내기 위한 식별자이다. 대안적인 구현에서는, 컨퍼런스 서비스가 요청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다른 지시(indication)가 이용될 수 있다.
INVITE 메시지에 응답하여, MSC1은 그 요청이 MSC1에 의해 수신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SIP 100 TRYING 메시지를 반환(send back)한다(304에서). MSC1은 컨퍼런스 팩토리 URI로부터 컨퍼런스 서비스가 요청되는 것을 인지한다. MSC1은 (HLR 또는 HSS 내의 프로파일과 같은) 제1 사용자의 프로파일로부터 제1 사용자가 컨퍼런스 서비스를 확립하도록 허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그렇게 허가되어 있다면, MSC1은, INVITE 요청에 응답하여 확립될 컨퍼런스 브리지의 식별자인, 컨퍼런스 URI를 할당한다(306에서). 컨퍼런스 URI는 제1 이동국(UE#1)에 반환되고 그에 따라 제1 이동국은 발신 사용자가 컨퍼런스 호에 초청하기를 원하는 다른 사용자 단말기들에 컨퍼런스 URI를 보낼 수 있다. 컨퍼런스 URI의 할당은 강화된 MSC 플랫폼 내의 컨퍼런스 호 서버(208)에 의해 수행된다는 것에 주목한다. 이것은 컨퍼런스 URI의 할당이 MSC의 외부에 있는 컨퍼런스 호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수행되었을 종래의 기법들과 대비된다.
MSC1은 세션 확립이 진행중인 것을 나타내기 위해 제1 이동국에 SIP 183 SESSION PROGRESS 메시지를 더 보낸다(308에서). (도시되지 않은) 3GPP 표준에 의해 정의된 추가적인 메시징에 이어서, MSC1은, (302에서 보내진) INVITE 요청이 성공했다는 지시인, 200 OK 메시지를 보낸다(310에서). 200 OK 메시지는 200 OK 메시지의 콘택트 헤더에 (MSC1에 의해 할당된) 컨퍼런스 URI를 포함한다.
제1 이동국은 SIP ACK 메시지를 보냄으로써(312에서) 200 OK 메시지에 응답한다. 이 시점에, 컨퍼런스 브리지는 확립되었다. 할당된 컨퍼런스 URI는 다른 초청된 사용자 단말기들에게 발신 사용자에 의해 확립된 컨퍼런스 호에 참여하기 위해 MSC1에 액세스할 것을 지시할 것이다.
도 4는 제1 사용자 단말기(UE#1)가 제2 단말기(UE#2)를 컨퍼런스 호에 초청하는 메시지 흐름도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는 SIP REFER 메시지를 (서빙 MSC인) MSC1에 보낸다(402에서). REFER 메시지는 2003년 4월 "The Session Initiation Protocol(SIP) Refer Method"라는 표제가 붙은, RFC 3515에서 설명된다.
MSC1은 이번에는 REFER 메시지를 게이트웨어 MSC에 보내고(404에서), 게이트웨이 MSC도 도 1 및 2에 도시된 플랫폼(100)과 유사한 강화된 MSC 플랫폼일 수 있다. REFER 메시지는 (도 3에서 MSC1에 의해 할당된) 컨퍼런스 URI를 갖는 REFER-To 헤더를 포함한다. 또한, REFER 메시지 내의 방법 파라미터는 INVITE로 설정된다. 게이트웨이 MSC는 HLR/HSS(예를 들면, 도 1의 106)에 액세스함으로써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서빙 MSC를 발견한다(406에서). 제2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서빙 MSC는 MSC3이라고 가정되고, 그것도 도 1 및 2에 도시된 플랫폼(100)과 유사한 강화된 MSC 플랫폼일 수 있다.
다음으로, 게이트웨어 MSC는 REFER 메시지를 MSC3에 전송하고(408에서), MSC3은 이번에는 REFER 메시지를 제2 사용자 단말기(UE#2)에 보낸다(410에서). REFER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2 이동국은 SIP ACCEPTED 메시지를 MSC3에 보내고(412에서), MSC3은 ACCEPTED 메시지를 게이트웨이 MSC에 전송하고(414에서), 게이트웨어 MSC는 이번에는 ACCEPTED 메시지를 MSC1에 전송하고(416에서), MSC1은 그 후 ACCEPTED 메시지를 제1 사용자 단말기에 보낸다(418에서).
다음으로, 제2 사용자 단말기는 SIP NOTIFY 메시지를 보내고(420)에서, 그 메시지는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보내진 REFER 메시지에 의해 시작된 참조의 상태를 제1 사용자 단말기에게 알리기 위한 것이다. 그 NOTIFY 메시지는 MSC3로부터 게이트웨이 MSC 및 MSC1을 통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된다(422, 424, 426에서).
응답으로, 제1 사용자 단말기는 200 OK 메시지를 보냄으로써(428에서) NOTIFY 메시지의 수신을 확인하고(acknowledge), 200 OK 메시지는 MSC1, 게이트웨이 MSC, 및 MSC3를 통하여 제2 사용자 단말기에 보내진다(430, 432, 434에서). 이 시점에, 제2 사용자 단말기는 컨퍼런스 호에 초청되었다.
만약 컨퍼런스 호에 초청될 다른 사용자 단말기들이 있다면, 그러한 다른 사용자 단말기들과의 유사한 메시지들의 교환이 행해질 수 있다.
도 5는 제2 사용자 단말기가 컨퍼런스 브리지에 참가하는 프로세스의 메시지 흐름도이다. 제2 사용자 단말기(UE#2)는 INVITE 메시지를 그것의 서빙 MSC(MSC3)에 보낸다(502에서). (간결함을 위해 도시되지 않은) 502에서 보내진 INVITE 메시지에 응하는 다양한 SIP 메시지들에 이어서, 서빙 MSC(MSC3)는 INVITE 메시지를 게이트웨이 MSC에 전송한다(504에서). INVITE 메시지를 수신하면, 게이트웨이 MSC는 HLR/HSS에 문의하고, HLR/HSS는 제1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서빙 MSC(MSC1)으로부터 다이내믹 서비스 라우팅 넘버(dynamic service routing number)를 요청함으로써 이 문의에 응답한다. 이 다이내믹 서비스 라우팅 넘버는 컨퍼런스 브리지가 할당된 서빙 MSC(MSC1)로 세션이 라우팅되게 한다.
상기는 어떤 범위의 디렉터리 넘버들(directory numbers)(예를 들면, MSISDN들)이 MSC1과 같은 서빙 MSC와 관련되는 제1 해법이다. 이 디렉터리 넘버들은 컨퍼런스 서비스에 특유하다. 200 OK 메시지(도 3의 310)의 콘택트 헤더에서 서빙 MSC(MSC1)에 의해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된 컨퍼런스 URI는 디렉터리 넘버들 중 하나와 관련된다. 다른 참가자들이 컨퍼런스 URI에 터미네이트(terminate)하려고 시도할 때, 도 5의 506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 MSC는 데이터베이스(예를 들면, HLR/HSS)에 문의하고, HLR/HSS는 그 후 서빙 MSC(MSC1)로부터 다이내믹 서비스 라우팅 넘버를 요청한다. MSISDN들의 세트에 대하여 허용되는 라우팅 넘버들의 수는 컨퍼런스 서비스에 설정되는 과정 중에 동시에 있을 수 있는 호들의 최대 수에 기초하여 설계(engineer)된다.
상이한 실시예에 따른 제2 해법은 제1 해법의 단순화이다. 제2 해법에서, 서빙 MSC(MSC1)는 다이내믹 서비스 라우팅 넘버를 직접 할당하고 이 넘버를 200 OK 메시지(도 3의 310)의 콘택트 헤더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된 컨퍼런스 URI와 관련시킨다. 다른 참가자가 다이내믹 서비스 라우팅 넘버에 세션을 설정할 때, 이 넘버의 변환 및 라우팅은 세션을 직접 서빙 MSC(MSC1) 및 문제의 컨퍼런스에 이르게 한다. 서빙 MSC마다 허용되는 라우팅 넘버들의 수는 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설계된다.
일단 게이트웨이 MSC가 MSC1에 세션이 라우팅되게 하는 다이내믹 서비스 라우팅 넘버를 HLR/HSS로부터 수신하면, 게이트웨이 MSC는 INVITE 메시지를 MSC1에 보낸다(508에서). 다이내믹 서비스 라우팅 넘버 및 다른 세션 제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MSC1은 참가자를 컨퍼런스 브리지에 추가한다. 이 시점에서, 컨퍼런스 호 세션은 계속된다(510에서).
만약 다른 참가자들이 컨퍼런스 호 세션에 참가하기를 원한다면, 그러한 다른 참가자들에 대하여 도 5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교환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도 4 및 5에서, 작업들(406 및 506)은 HLR/HSS에 문의하는 게이트웨이 MSC 플랫폼을 포함한다.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HSS는 생략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게이트웨어 MSC는 IMS 서비스를 확립하기 위해, 이 예에서는 패킷 교환 방식 컨퍼런스 호를 확립하기 위해, HLR에 문의하고 있다. HSS 대신에 직접 HLR로 감으로써, (S-CSCF 및 I-CSCF와의 메시지 교환들과 같은) HSS에 액세스할 때 통상적으로 포함되었을 메시지 교환들이 회피되어 능률이 향상될 수 있다.
강화된 MSC 플랫폼에 의해 IMS 서비스들을 수행하기 위해 HSS 대신에 HLR을 이용하는 접근 방법은 다른 상황(context)들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세션을 보류 상태에 두고 나중에 세션을 복구(retrieving)하기 위한 예시적인 메시지 흐름도를 나타낸다. 처음에, 제1 사용자 단말기(UE#1)와 제2 사용자 단말기(UE#2)가 담화중이다(602에서). 어떤 시점에, 제1 사용자는 호를 보류 상태에 두기로 결정할 수 있다(603에서). 그 결과, 제1 사용자 단말기는 SDP OFFER를 포함하는 SIP UPDATE 메시지를 MSC1에 보내고(604에서), 여기서 SDP OFFER는 세션의 모드가 송신 및 수신(Send and Receive)으로부터 송신만(Send Only)으로 변경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MSC1은, 수신만을 갖는 SDP 응답(SDP Answer with Receive Only)을 포함하는, 200 OK 메시지로 UPDATE 메시지에 응답하고(606에서). 이 시점에서, 세션은 보류 상태에 놓였다.
나중 시점에 제1 사용자가 보류 상태에서 호를 떼어내기를(즉, 607에서 UE#2를 복구(retrieve)하기를) 원할 때, 제1 사용자 단말기는 UPDATE 메시지를 MSC1에 보내고(608에서), 여기서 UPDATE 메시지는 모드가 송신만(Send Only)으로부터, 양방향 통신이 계속되어야 하는 것을 나타내는, 송신 및 수신(Send and Receive)으로 변경되어야 하는 것을 나타내는 SDP OFFER를 포함한다. MSC1은 200 OK 메시지로 응답하고(610)에서, 그 시점에서 제1 및 제2 사용자들은 다시 담화를 시작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강화된 MSC 플랫폼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다른 특징은 IMS-컴플라이언트(IMS-compliant) 사용자 단말기의 등록 동안에 어떤 DNS(domain name server) 문의들이 회피될 수 있다는 것이다. 만약 사용자 단말기와 관련된 정보가 강화된 MSC 플랫폼에 이미 제공되어 있다면, 그 사용자 단말기의 등록 동안에 DNS 문의는 수행될 필요가 없다. DNS 문의들을 회피하는 이 특징은 또한,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강화된 MSC 플랫폼 외부의 P-CSCF에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DNS 문의가 발행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등록 요청은 강화된 MSC 플랫폼(또는 P-CSCF)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다(702에서). 등록 요청은 등록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ier)를 포함한다. IMSI는 MCC(mobile country code) 및 MNC(mobile network code)를 포함할 수 있다. 강화된 MSC 플랫폼 또는 P-CSCF는 등록 요청 내의 IMSI의 MCC 및 MNC를 강화된 MSC 플랫폼 또는 P-CSCF에 제공된 MCC들 및 MNC들의 세트와 비교한다(704에서).
만약 706에서 결정되는 바와 같이, 매치(match)가 있다면, (1) 이 노드는 홈 S-CSCF와 한 곳에 놓인 홈 MSC 또는 P-CSCF이거나, 또는 (2) 이 노드는 마치 사용자 단말기가 그의 홈 네트워크에 있는 것처럼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선택되는 방문 노드이기 때문에, I-CSCF 주소를 획득하기 위해 DNS 쿼리가 발행될 필요가 없다.
만약 706에서 등록 요청 내의 IMSI의 MCC 및 MNC가 강화된 MSC 플랫폼 또는 P-CSCF에 제공된 MCC들 및 MNC들의 세트와 매치하지 않는다면, I-CSCF 주소를 발견하기 위해 DNS 쿼리가 수행되고(708에서), 그 후 등록 절차는 IMS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계속된다. 예를 들면, 만약 IMS 네트워크로부터의 사용자 단말기가 강화된 MSC 플랫폼으로 로밍하였고(roamed) 사용자 단말기의 IMSI의 MCC 및 MNC가 강화된 MSC 플랫폼에 제공된 MCC들 및 MNC들과 매치하지 않는다면, 결과적인 DNS 쿼리는 결국 등록이 사용자 단말기의 홈 네트워크에 보내지는 것으로 될 것이다.
만약 사용자 단말기가 MSC로부터 IMS 네트워크로 로밍하였고 사용자 단말기의 IMSI의 MCC 및 MNC가 P-CSCF에 제공된 MCC들 및 MNC들의 세트와 매치하지 않는다면, I-CSCF 주소를 발견하기 위해 DNS 문의가 수행될 것이고, 결국 등록 요청이 그 I-CSCF의 역할로 동작하는 MSC에 라우팅된다.
위에 설명된 다양한 작업들은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그러한 소프트웨어의 명령어들은 프로세서에서의 실행을 위해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프로세서 모듈들 또는 서브시스템들(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들을 포함함), 또는 다른 제어 또는 계산 장치들을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단일 컴포넌트를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들을 나타낼 수 있다(예를 들면, 하나의 CPU 또는 복수의 CPU들).
데이터 또는 (소프트웨어의) 명령어들은 각각의 저장 장치들에 저장되고, 그 저장 장치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computer-readable) 또는 컴퓨터 사용 가능한(computer-usable) 저장 매체로서 구현된다. 저장 매체는 DRAM들 또는 SRAM들(dynamic or static random access memories), EPROM들(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EPROM들(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및 플래시 메모리들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고정된, 플로피 및 이동식 디스크들과 같은 자기 디스크들; 테이프를 포함하는 다른 자기 매체; 및 CD들(compact disks) 또는 DVD들(digital video disks)과 같은 광 매체를 포함하는 상이한 메모리 형태들을 포함한다.
앞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상세들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 기술의 숙련자들은 본 발명이 이러한 상세들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제한된 수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개시되었으나, 이 기술의 숙련자들은 그로부터 다수의 수정들 및 변경들을 인식할 것이다. 첨부된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참된 정신 및 범위 내에 있는 그러한 수정들 및 변형들을 포함하는 것이 의도된다.

Claims (27)

  1. 이동 교환국 플랫폼(mobile switching center platform)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단말기를 위하여 회선 교환 방식 통신 세션들(circuit-switched communications sessions)을 확립하는 회선 교환 방식 스위치(circuit-switched switch); 및
    패킷 교환 방식 멀티미디어 가입자 서비스들(packet-switched multimedia subscriber services)을 제공하는 아키텍처에 의해 정의된 기능들을 갖는 인터페이스들 - 상기 인터페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는 상기 이동 교환국 플랫폼이 패킷 교환 방식 통신 세션들을 확립하기 위해 패킷 교환 방식 가입자 액세스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 -
    을 포함하는 이동 교환국 플랫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교환국 플랫폼은 상기 가입자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장치와 패킷 교환 방식 통신 세션들을 확립하는 이동 교환국 플랫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교환국 플랫폼은 패킷 교환 방식 통신 세션에 관한 가입자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HLR(Home Location Register)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교환국 플랫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는 Gm 인터페이스 링크에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이동 교환국 플랫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교환 방식 멀티미디어 서비스 아키텍처는 IMS(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아키텍처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들 중 어떤 것들은 상기 이동 교환국 플랫폼이 피어 노드들(peer nodes)에서 실행되는 IMS 기능들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인 이동 교환국 플랫폼.
  6. 제5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IMS 기능들을 더 포함하는 이동 교환국 플랫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교환국 플랫폼 내의 상기 IMS 기능은 호 세션 제어 기능(call session control function)을 포함하는 이동 교환국 플랫폼.
  8. 제1항에 있어서, 가입자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서버를 더 포함하는 이동 교환국 플랫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액세스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노드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이동 교환국 플랫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는 LTE(Long-Term Evolution) 무선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노드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이동 교환국 플랫폼.
  11.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들을 포함하는 패킷 교환 방식 컨퍼런스 호(packet-switched conference call)를 확립하는 패킷 교환 방식 컨퍼런스 호 서버를 더 포함하는 이동 교환국 플랫폼.
  12. 제1항에 있어서, 컨퍼런스 호 서버에 의해 확립된 컨퍼런스 서비스에 대한 다이내믹 서비스 라우팅 넘버(dynamic service routing number)를 제공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이내믹 서비스 라우팅 넘버는 참가자가 상기 이동 교환국 플랫폼의 상기 컨퍼런스 서비스에 라우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교환국 플랫폼.
  13. 제1항에 있어서, 패킷 액세스 사용자 단말기들에 IP 기반 멀티미디어 가입자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이동 교환국 플랫폼.
  1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registration request)을 수신하고;
    상기 식별자 내의 정보를 상기 이동 교환국 플랫폼 내의 정보와 비교하고;
    만약 상기 비교의 결과로서 매치(match)가 발생하면, DNS(domain name system) 문의(query)를 보내지 않기로 결정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이동 교환국 플랫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선 교환 방식 스위치는 활성화(enable)되거나 비활성화(disable)되는 이동 교환국 플랫폼.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선 교환 방식 스위치는 UTRAN(UMTS radio access network), GERAN(GSM/EDGE radio access network), 및 CDMA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와 회선 교환 방식 통신 세션들을 확립할 수 있는 이동 교환국 플랫폼.
  17.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물품으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이동 교환국 플랫폼으로 하여금,
    무선 사용자 단말기들을 위하여 회선 교환 방식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패킷 교환 방식 통신 세션을 확립하기 위해 패킷 교환 방식 가입자 액세스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는 패킷 교환 방식 멀티미디어 서비스 아키텍처에 의해 정의된 기능을 가짐 ―;
    상기 패킷 교환 방식 멀티미디어 서비스 아키텍처에 의해 정의된 작업들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하는 물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실행될 때 상기 이동 교환국 플랫폼으로 하여금 패킷 액세스 단말기에의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더 제공하게 하는 물품.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교환국 플랫폼은 상기 가입자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장치와 패킷 교환 방식 통신 세션들을 확립하는 물품.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는 상기 패킷 교환 방식 가입자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노드와 패킷 데이터를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물품.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교환 방식 멀티미디어 서비스 아키텍처는 IMS(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기능들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이동 교환국 플랫폼의 외부의 IMS 기능과 상호 작용하는 적어도 또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물품.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또 하나의 인터페이스는 IMS 호 세션 제어 기능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능들과 상호 작용하는 것인 물품.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액세스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 및 유선 네트워크 중 하나인 물품.
  24. 이동 교환국 플랫폼에 의해, 무선 사용자 단말기들을 위하여 회선 교환 방식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이동 교환국 플랫폼에 의해, 패킷 교환 방식 통신 세션을 확립하기 위해 패킷 교환 방식 가입자 액세스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는 패킷 교환 방식 멀티미디어 서비스 아키텍처에 의해 정의된 기능을 가짐 ―; 및
    상기 이동 교환국 플랫폼에 의해, 상기 패킷 교환 방식 멀티미디어 서비스 아키텍처에 의해 정의된 작업들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교환국 플랫폼은 상기 가입자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장치와 패킷 교환 방식 통신 세션들을 확립하는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교환 방식 멀티미디어 서비스 아키텍처는 IMS(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기능들을 포함하는 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회선 교환 방식 서비스들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07023152A 2008-03-17 2009-03-17 패킷 교환 방식 멀티미디어 가입자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아키텍처에 의해 정의된 기능들을 갖는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이동 교환국 플랫폼 KR101565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722008P 2008-03-17 2008-03-17
US61/037,220 2008-03-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136A true KR20110007136A (ko) 2011-01-21
KR101565626B1 KR101565626B1 (ko) 2015-11-03

Family

ID=41091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3152A KR101565626B1 (ko) 2008-03-17 2009-03-17 패킷 교환 방식 멀티미디어 가입자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아키텍처에 의해 정의된 기능들을 갖는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이동 교환국 플랫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22405B2 (ko)
EP (1) EP2277352B1 (ko)
JP (1) JP2011523239A (ko)
KR (1) KR101565626B1 (ko)
CN (1) CN101978772B (ko)
BR (1) BRPI0909188B1 (ko)
WO (1) WO200911741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5091A (en) * 2016-10-12 2018-04-25 Macmillan Keith A vehicle identification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6077A (ja) * 2008-06-03 2009-12-17 Nec Corp 移動体通信システム、ノード装置および網間移行制御方法
CN101883342B (zh) * 2009-05-05 2014-12-10 华为终端有限公司 会话转移方法、装置和系统
CN101572967B (zh) * 2009-05-22 2011-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电路域核心网演进的方法、系统及网络设备
KR101608330B1 (ko) 2009-12-09 2016-04-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 등록 상태 관리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JP4834167B1 (ja) * 2010-06-04 2011-12-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US8811282B2 (en) * 2011-03-23 2014-08-1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all delivery to an IMS network for a mobile directory number homed in a 2G wireless network
CN102571758A (zh) * 2011-12-16 2012-07-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两方呼叫转会议的无缝实现方法及装置
US8929257B1 (en) * 2013-10-11 2015-01-06 Edifire LLC Methods and systems for subconferences in secure media-based conferencing
KR102264992B1 (ko) 2014-12-31 2021-06-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버 할당 방법 및 장치
FR3036573A1 (fr) * 2015-05-22 2016-11-25 Orange Procede et dispositif de traitement d'un message de signalisation relatif a un service de communication d'un equipement client
KR20170110469A (ko) * 2016-03-23 2017-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통화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11115877B2 (en) 2019-04-01 2021-09-07 T-Mobile Usa, Inc. Communication fallback in 5G systems and methods
US11621982B1 (en) 2021-07-23 2023-04-04 T-Mobile Usa, Inc. Seamless voice call initiatio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4654B2 (en) * 2001-07-31 2005-10-11 Lucent Technologies Inc. Provision of servi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n interworking mobile switching center
US6996087B2 (en) * 2001-07-31 2006-02-07 Lucent Technologies Inc.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n interworking mobile switching center for call termination
US6871070B2 (en) * 2001-07-31 2005-03-22 Lucent Technologies Inc.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roaming between an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ystem and a circuit-switched domain
US7200139B1 (en) * 2001-11-08 2007-04-03 At&T Corp. Method for providing VoIP services for wireless terminals
US7586857B2 (en) * 2003-04-01 2009-09-08 Alcatel-Lucent Usa Inc. Fast network SIP/SDP procedures for conference operations upon request from end user with optimization of network resources
SE0401671D0 (sv) * 2004-06-29 2004-06-29 Ericsson Telefon Ab L M Network control of a combined circuit switched and packet switched session
US7406330B2 (en) * 2004-07-29 2008-07-29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extending IP PBX services to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8694008B2 (en) * 2005-06-16 2014-04-08 At&T Mobility Ii Llc Multi-mode handset services
ATE484912T1 (de) * 2005-10-21 2010-10-15 Ericsson Telefon Ab L M Bereitstellung von ims-diensten über leitervermittelten zugang
US9225757B2 (en) * 2006-03-06 2015-12-29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Tree-based broadcasting service over push-to-talk mobile IP network
CN100596084C (zh) * 2006-04-20 2010-03-24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电路域用户接入ims网络的系统及其接入的注册方法
US7734302B2 (en) * 2006-06-23 2010-06-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supporting SMS messaging by way of an IP network
EP2153615B1 (en) * 2007-06-01 2013-08-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obile-terminated (mt) calls in ims network environment using alternative signaling
CN101227677B (zh) * 2008-02-05 2011-06-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单无线信道语音业务连续性的域切换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5091A (en) * 2016-10-12 2018-04-25 Macmillan Keith A vehicle identific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78772A (zh) 2011-02-16
EP2277352B1 (en) 2015-09-23
KR101565626B1 (ko) 2015-11-03
CN101978772B (zh) 2013-08-14
BRPI0909188A2 (pt) 2016-07-26
WO2009117413A2 (en) 2009-09-24
US20110032923A1 (en) 2011-02-10
US8422405B2 (en) 2013-04-16
WO2009117413A3 (en) 2009-12-23
BRPI0909188B1 (pt) 2020-09-24
EP2277352A4 (en) 2014-06-04
JP2011523239A (ja) 2011-08-04
EP2277352A2 (en) 201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626B1 (ko) 패킷 교환 방식 멀티미디어 가입자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아키텍처에 의해 정의된 기능들을 갖는 인터페이스들을 갖는 이동 교환국 플랫폼
EP2061269B2 (en) Method for providing access mode selection to multimode terminal,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EP2751971B1 (en) Home routing for ims roaming using vplmn anchor
EP2351393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bound roaming in ip multimedia subsystem networks
US20040249887A1 (en) Conversational bearer negotiation
CA2605475C (en) Session initiation from application servers in an ip multimedia subsystem
JP5666577B2 (ja) セッションの継続性を改善するための方法及びデバイス
US8078180B2 (en) Subscriber server system for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CN101401383B (zh) Ip多媒体子系统中的消息路由
RU2454031C2 (ru) Способ, систем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ановления ассоциативно-управляющих связей
US20130343279A1 (en) Selection of service domain in ims centralised services
EP3094059B1 (en) Routing voice over lte call invites in a terminating ims
KR101360151B1 (ko) Gruu 사용 가입자 간의 ims망에서의 sip 메시지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WO2016075510A1 (en) Terminating a mobile call
KR101629815B1 (ko) Scc를 지원하는 3g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91601B1 (ko) Ims망 기반의 호 세션 처리를 위한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