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401A - Navigation system for blind people - Google Patents

Navigation system for blind peop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401A
KR20110006401A KR1020090064018A KR20090064018A KR20110006401A KR 20110006401 A KR20110006401 A KR 20110006401A KR 1020090064018 A KR1020090064018 A KR 1020090064018A KR 20090064018 A KR20090064018 A KR 20090064018A KR 20110006401 A KR20110006401 A KR 20110006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ually impaired
navigation
navigation system
navigation terminal
obsta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0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동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원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원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원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090064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6401A/en
Publication of KR20110006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40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84Personalized, e.g. from learned user behaviour or user-defined profi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navigation system for blind people is provided to enable a terminal to receive the information of exact location of obstacles when passing by the obstacles since an active type RFID is attached to the corresponding obstacles. CONSTITUTION: A navigation system for blind people comprises a navigation terminal(10) and a digital gyroscope. The navigation terminal comprises a GPS receiver and gets the present position of pedestrians. The navigation terminal transfers location information to blind people(200) through voice. The navigation terminal comprises an RFID reader(14) and grasps the location and kind of the obstacles. The digital gyroscope guides the progressive direction of the blind people to the walking direction. The digital gyroscope corrects position errors created from the GPS receiver.

Description

시각 장애인을 위한 내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 for blind people}Navigation system for blind people {Navigation system for blind people}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을 위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시각장애인용 내비게이션에 탑재된 GPS 수신기를 통해 보행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디지털 자이로스코프를 통해 보행자의 보행 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이미 구축된 장애물 및 시설물 데이터베이스 및 RFID, 전방 감지센서를 통해 좌, 우, 전, 후방에 있는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어 시각 장애인들이 쉽게 도로를 보행하고 본인이 가고자 하는 지점까지 안전하게 안내하기 위한 시각 장애인을 위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vig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specifically, to determin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edestrian through the GPS receiver mounted in the navig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o accurately determine the walking direction of the pedestrian through the digital gyroscope to build already Information on obstacles in the left, right, front, and rear through the obstacles and facilities database, RFID, and front sensor to help the visually impaired people to easily walk on the road and safely guide them to the point where they want to go. It relates to a navigation system for.

일반적으로 GPS 수신기는 라디오처럼 단순히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이며, 그 원리는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3~4개의 위성에서 동시에 발신된 신호를 시간차를 통하여 위치를 계산하여 위치를 알려주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GPS수신기로 수신되는 GPS신호에는 어느 정도의 오차가 존재하므로, 소프트웨어적으로는 오차범위내의 위치는 도로 중심선에 강제로 매칭(matching)시키는 과정을 통해 현재 주행 또는 보행 중인 도로 및 인도를 판별하게 된다. In general, a GPS receiver is a device that simply receives a signal, such as a radio, and its principle is to indicate a location by calculating a location through a time difference from signals simultaneously transmitted from three to four satellites receiving the signal. Since a certain amount of error exists in the GPS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er, the position within the error range is determined by software to match the road centerline with the road center to determine the road and sidewalk that are currently driving or walking.

현재 서비스 되고 있는 GPS는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을 얻을 수 있고, 위치 정확도는 군사용과 민간용에 따라 차이가 있다. 민간용은 수평, 수직 오차가 10~15m 정도이며 속도측정 정확도는 초당 3cm이다. 따라서 현재의 기술로는 보행자가 인도를 정확히 벗어나지 않고 걸어갈 수 있는가에 대한 판단은 다소 정확하지 않다. GPS currently being service can get accurate time with latitude, longitude, altitude location as well as three-dimensional speed information, and location accuracy varies between military and civilian use. For civilian us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errors are about 10-15m and the speed measurement accuracy is 3cm per second. Therefore, with current technology,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a pedestrian can walk without leaving the sidewalk is somewhat inaccurate.

또한,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기에 탑재된 GPS수신기는 위성 신호를 수신하기 때문에 건물 내, 터널, 지하주차장 등은 하늘이 가려지므로 수신이 불가능하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GPS receiver mounted on the user's terminal receives satellite signals,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reception is impossible because the sky is obscured in a building, a tunnel, and an underground parking lot.

디지털자이로스코프는 로봇 등에 장착돼 어떤 방향과 각도로 움직였는가를 스스로 측정하는 센서로, 자이로센서라고 불리기도 한다. 무인항공기와 로봇의 자동방향감지용으로 주로 사용하며, 최근에는 캠코더나 디지털카메라, 휴대폰의 손떨림을 측정ㅇ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자이로센서를 사용하기도 한다. 특히, 자동차에 적용할 경우 차량속도를 이용해 GPS 없이도 자동차가 자기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A digital gyroscope is a sensor that measures itself in which direction and angle it is mounted on a robot. It is also called a gyro sensor. It is mainly used for the automatic direction detec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robots, and recently, the gyro sensor is also used to measure the vibration of camcorders, digital cameras and mobile phones. In particular, when applied to a car, the car can determine its position without using GPS using the vehicle speed.

GPS수신기와 디지털자이로스코프를 내비게이션 단말기에 적용하고 보행할 경우 보행자의 현재 위치 및 주행방향을 알 수 있으나, 보행자 전후 좌우에 있는 보행자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에 RFID기술을 적용하여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보행자에게 알려주는 서비스를 실시하여야 한다.When GPS receivers and digital gyroscopes are applied to navigation terminals and walked, the current location and driving direction of pedestrians can be known, but information on pedestrian obstacles in front and rear of pedestrians cannot be known.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RFID technology should be applied to the terminal to provide pedestrians with information about obstacles in advance.

RFID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컴퓨팅 기술 중 가장 핵심적인 요소로 그동안 유통, 물류, WMS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왔으나 주로 기업의 네트워크화, 자동화, 지능화 등의 제한적인 산업분야에만 적용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RFID has been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distribution, logistics, and WMS as the most essential element of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y, but it has been applied to limited industrial fields such as corporate networking, automation, and intelligence.

그동안 제한적인 산업분야에만 적용되던 RFID 산업이 최근 활성화되고 있고 기술적인 발전이 급속도로 이루어져 대국민, 대고객 서비스 차원으로 확대할 필요성이 강력하게 제기되고 있다.The RFID industry, which has been applied only to limited industrial sectors, has been recently activated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have been rapidly developed, which necessitates the need to expand to the public and customer service level.

RFID는 무선통신기술을 사용해 대상 물체를 직접 접촉하지 않고 부착된 태그 정보를 자유롭게 식별하고 기록할 수 있는 자동식별 기술로 태그, 안테나, 리더기 및 미들웨어, 응용서비스 플랫폼으로 구성된다. RFID는 RFID 리더기를 통해 RFID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에 RFID 리더기가 탑재되어야 한다. 이동형 RFID 단말의 궁극적인 목표는 이동형 단말기 내에 RFID 리더기를 탑재하는 것이다. 하지만 RFID 리더기의 전파 간섭 등 여러 기술적인 문제와 인식 거리 문제 때문에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RFID is an automatic identification technology that can freely identify and record attached tag information without directly contacting target object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t is composed of tags, antennas, readers and middleware, and application service platforms. In order to provide an RFID service through an RFID reader, an RFID reader must be mounted on the terminal. The ultimate goal of a mobile RFID terminal is to embed an RFID reader in the mobile terminal. However, man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because of various technical problems such as radio wave interference of RFID reader and recognition distance problem.

이동형 RFID와 일반 RFID 시스템과의 차이는 단순한 물리적인 리더기의 형태뿐 아니라 유비쿼터스 시대의 정보 단말로 RFID의 대중화 및 B2C 형태의 대국민, 대고객 서비스를 가능케 하는 비지니스 모델의 필요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mobile RFID and the general RFID system is not only a physical reader but also a necessary element of the business model that enables the popularization of RFID and B2C-type public and customer service as an information terminal in the ubiquitous era.

이동형 RFID의 서비스 구성은 사물의 식별 정보를 가지고 있는 태그, 리더기가 장착된 단말기, 식별 코드와 관련 정보의 서버위치를 알려주는 ODS(Object Directory Server), 태그의 실제 정보를 가지고 있는 OIS(Object Information Service)로 구성된다.The servic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RFID includes a tag ha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thing, a terminal equipped with a reader, an object directory server (ODS) indicating a server location of an identification code and related information, and an object information having OIS (real information of a tag). Service).

특정 제품에 설치 된 태그 정보를 읽은 후 리더기가 식별된 코드를 해당 ODS로부터 OIS 서버의 정보를 받아 콘텐츠를 제공하는 형태로 이동형 RFID리더기와 ODS, 콘텐츠 서버간의 통신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After reading the tag information installed in a specific product, the reader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OIS server from the corresponding ODS and provides the content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RFID reader, the ODS and the content server is perform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이동형 RFID의 서비스 추진방향은 크게 태그 기반 서비스와 리더기 기반 서비스로 나눌 수 있다. 태그 기반 서비스는 신용카드나 휴대전화에 RFID 태그를 장착해 소지한 사용자가 백화점 또는 할인 마트 등 서비스 공간에 설치된 고정형 리더기를 지나갈 때 태그를 인식하고, 인식된 고객에 맞는 각종 정보를 휴대전화로 고객의 이동 동선 등의 정보로 활용하는 서비스이다. 일반 사용자 대상의 리더기 보급에 다소 시일이 소요되기 때문에 우선적 태그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리더기 기반 서비스는 특정 상품 및 특정 장소에 RFID 태그를 부착한 후 사용자가 휴대전화에 장착된 리더기를 태그에 접촉 시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앞서 설명된 이동형 RFID의 궁극적인 서비스 목표라 할 수 있다.The service promotion direction of mobile RFID can be divided into tag-based service and reader-based service. Tag-based service is equipped with RFID tag on credit card or mobile phone, and when a user carries a fixed reader installed in the service space such as department store or discount mart, it recognizes the tag, and various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recognized customer It is a service that is used as information such as moving copper wire. Since it takes some time to spread readers to general users, it provides preferential tag-based services. The reader-based service is a service that provide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when a user attaches an RFID tag to a specific product and a specific place and then touches the reader mounted on the mobile phone to the tag, which is the ultimate service goal of the mobile RFID described above. .

이동형 RFID는 다양한 비지니스 모델을 적용해 유비쿼터스 환경의 정보 단말로 생활 깊숙이 스며들어 휴대전화의 활용을 더욱 발전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사용자의 위치, 성향 등의 특성을 고려한 상황 인지 서비스 제공 같은 부가 서비스 제공으로 점차 휴대전화 단말 상호간 에드혹(Ad??Hoc) 네트워크 구축을 가능하게 하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으로 자연스럽게 발전될 것으로 예상된다. Mobile RFID is expected to penetrate deep into life as an information terminal in ubiquitous environment by applying various business models to further develop the use of mobile phones. 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such as providing context-aware services tha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location and propensity, is expected to gradually develop into the USN (Ubiquitous Sensor Network), which enables ad hoc networks to be established between mobile phone terminals. do.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행용 내비게이션 및 보행자 장애물 알림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고, 특히 시각장애인용 내비게이션에 탑재된 GPS를 통해 보행자의 현재위치를 파악하고 사거리 등 보행자의 진행방향을 정확히 판단하지 못할 때 디지털자이로스코프를 통해 보행자의 보행방향을 보조적인 수단으로 진행방향 파악에 사용하여 전, 좌, 후방에 위치한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서비스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으로, 인도에 설치된 보행자 장애물 및 안내판에 대한 정보는 현장조사를 통한 장애물 지도를 구축하고 정확한 위치를 단말기에 전달하기 위해 능동형 RFID를 해당 장애물에 부착하여 단말기가 그 위치를 지나갈 때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is to provide a navigator navigation and pedestrian obstacle notification service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in particular through the GPS mounted on the navig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pedestrians Service system that informs information about obstacles located in front, left, and rear by using pedestrian's walking direction as auxiliary means through digital gyroscope when it is not a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direction of pedestrians such as range The information on the pedestrian obstacles and guide boards installed in India is constructed by the field survey and the active RFID is attached to the obstacles in order to deliver the exact location to the terminal. Implement a system to receive the There is.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GPS와 디지털자이로스코프, RFID Reader를 탑재한 내비게이션 단말기로서 GPS로 현 위치를 파악하고 정지상태나 방향을 전환했을 때 소프트웨어적으로 진행 방향을 연산할 수 없을 때 디지털자이로스코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방향을 측정하는 장치를 탑재하고, 보행자가 인도에서 장애물을 지나갈 때 RFID를 통해 장애물 신호를 입력 받아 보행자에게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알려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Specifically, it is a navigation device equipped with GPS, a digital gyroscope, and an RFID reader. It is possible to use a digital gyroscope when it is not possible to calculate the direction by software when the current position is detected by GPS and the stop state or direction is changed. It is equipped with a device to measure the direction of movement, and when a pedestrian passes an obstacle in India, it receives an obstacle signal through RFID and informs the pedestrian about the obstacle to build a system tha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또한 단말기에 도로정보뿐만 아니라 인도중심의 장애물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탑재하여 목적지까지의 여행과정에서 나타나는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할 수 있는 보행자 장애물 알림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edestrian obstacle notification service system that can provide information on obstacles appearing in the course of travel to a destination by loading road information as well as roadside obstacle information database on the terminal.

또 이러한 장비를 효율적으로 시각장애인이 가지고 이동할 수 있도록 장애인용 지팡이에 부착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한 장애인용 음성지원 내비게이션을 개발,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사용자에게 보행자 장애물을 알리기 위해서는 기존 차량용 내비게이션과는 다르게 인도를 중심으로 한 노드ㆍ링크 및 POI(Point of Interest)를 신규 구축하여 보행자를 위한 차별화된 서비스를 개발하고, 추가적으로 장애인용 지팡이에 전방감지센스를 부착하여 이 정보를 단말기에 보내고 이어폰을 통해 장애물과의 거리를 알려주거나 경우에 따라서 진동을 이용해서 진동의 세기로 장애물과의 거리를 알려주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the voice support navigation for the disabled equipped with a function that can be attached to the wand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move the equipment efficiently to provide related services. In order to inform users of pedestrian obstacles, unlike the existing car navigation system, new nodes / links and POIs (Points of Interest) centered on sidewalks are developed to develop differentiated services for pedestrian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unction of sending this information to the terminal to inform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through the earphone or in some cases using the vibration to inform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by the strength of the vibration.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GPS수신기가 구비되고, 보행자의 현재위치를 X,Y좌표로 파악하며, 그 위치정보를 시각 장애인에게 음성으로 전달하고, RFID 리더가 구비되어 인도에 설치된 복수개의 RFID 태그들로부터 장애물 및 표지판에 대한 데이터를 읽어 장애물의 위치 및 종류를 파악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 분기점(사거리, 삼거리)에서 시각 장애인이 멈췄을 때 시각 장애인의 진행방향을 보행방향으로 안내하고, 상기 GPS수신기에서 발생되는 위치오차를 보정하는 디지털자이로스코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provided with a GPS receiver, grasp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edestrian in X, Y coordinates,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visually impaired voice, RFID reader is installed in India A navigation terminal that reads data on obstacles and signs from a plurality of RFID tags to identify the location and type of obstacles, and when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stops at a branching point (crossroad, three-way), guides the direc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in the walking direction, It includes a digital gyroscope for correcting the position error generated in the GPS receiv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는, 장애물 위치 정보를 진동 신호로 전달하기 위해 바이브레터를 더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the navigation terminal further includes a vibrator for transmitting obstacle position information as a vibration signal.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는, 장애물 위치 정보를 점자 메시지로 전달하기 위해 압정패드를 더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the navigation terminal further includes a pushpin pad for transferring obstacle location information in a braille messag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는, 인도에 설치된 복수개의 RFID 태그들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읽어 현재 시각 장애인의 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navigation terminal is characterized by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current visually impaired by reading the position data from a plurality of RFID tags installed in India.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는, 시각 장애인들이 쉽게 휴대 할 수 있도록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에 탈, 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navigation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ovable can be attached to the cane for the visually impaired can easily carr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는, 전방의 물체를 감지하고, 감지한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방장애물에 대한 거리 신호를 제공하는 전방감지센서를 더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the navigation terminal further includes a front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 object in front of the front, and providing the detected signal to the user a distance signal for the front obstacl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와 상기 전방감지센서는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서로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navigation terminal and the front sens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each other by Bluetooth communica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내비게이션 단말기에는, 시각 장애인이 한번 검색한 위치 또는 자주가는 길을 등록하도록 즐겨찾기 기능을 더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the navigation terminal further includes a bookmark function to register a location searched by a visually impaired person or a frequent route.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을 위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하면, 시각장애인이 목적지를 찾아갈 때 목적지를 미리 단축키로 입력해 두고 그때그때 선택함으로써 쉽게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GPS 및 디지털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해 보행자의 보행방향 및 오차를 최소화하여 보행자의 전후, 좌우에 있는 보행 방해물에 대한 정보를 알려줌으로써 시각장애인의 안전사고를 미리 예방하는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navig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visually impaired person visits a destination, the destination is provided as a shortcut key in advance and the function is easily selected by selecting at that time, and using a GPS and a digital gyroscope. By minimizing the walking direction and errors of pedestrians, the information on the walking obstacles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of the pedestrians is greatly effective in preventing safety accidents of the visually impaired.

또한, 인도중심의 데이터 구축을 통해 시각장애인뿐만 아니라 일반 보행자에게도 유용한 보행자용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도 활용할 수 있어 낯선 길을 찾아갈 때 인도 중심의 시설물 서비스를 통해 쉽게 길을 찾아갈 수 있는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 pedestrian navigation system that is useful not only for the visually impaired but also for general pedestrians through the construction of India-centered data, which makes it easy to find the way through facility services centered in India when searching for strange roads. will be.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shap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more clea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members in each drawing are sometimes shown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are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을 위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avig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을 위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을 위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적용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을 위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통신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구조도이다. 1 is a view for schematically showing a navig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navigation terminal applied to the navig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resent invention This is a structural diagram to show the communication structure of the navig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200)을 위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GPS수신기가 구비되고, 보행자의 현재위치를 X,Y좌표로 파악하며, 그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주변 시설물 및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시각 장애인에게 음성 등을 블루투스 이어폰(11)을 통하여 전달하고, RFID(12)가 구비되어 인도에 설치된 복수개의 RFID 태그들로부터 장애물 및 표지판에 대한 데이터를 읽어 장애물의 위 치 및 종류를 파악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10)와, 분기점(사거리, 삼거리)에서 시각 장애인이 멈췄을 때 시각 장애인(200)의 진행방향을 보행방향으로 안내하고, 상기 GPS수신기(15)에서 발생되는 위치 오차 및 편차를 보정하는 디지털자이로스코프(14)로 구성된다. 1 to 3, the navig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GPS receiver, grasp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edestrian in X, Y coordinates,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facilities and Information on obstacles is transmitted to the visually impaired through a Bluetooth earphone 11, and an RFID 12 is provided to read data on obstacles and signs from a plurality of RFID tags installed in India, and the location of the obstacles and When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stops at the navigation terminal 10 and the branching point (intersection, three-way) for grasping the type, guid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200 in a walking direction, and a position error generated by the GPS receiver 15. And a digital gyroscope 14 for correcting the deviation.

여기서 상기한 GPS수신기(15)에 대해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GPS는 근본적으로 삼각측량의 원리를 사용하는데 전형적인 삼각측량에서는 알려지지 않은 지점의 위치가 그 점을 제외한 두 각의 크기와 그 사이 변의 길이를 측정함으로 결정되는데 반해 GPS에서는 알고 싶은 점을 사이에 두고 있는 두 변의 길이를 측정함으로 미지의 점의 위치를 결정한다는 것이 고전적인 삼각측량과의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Here, the GPS receiver 15 will be described. In general, GPS basically uses the principle of triangulation. In a typical triangulation, a position of an unknown point is determined by the size of two angles except the point and the length of the side between them. In contrast to traditional triangulation, GPS determines the location of an unknown point by measuring the length of two sides between points it wants to know.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기까지의 거리는 각 위성에서 발생시키는 부호 신호의 발생 시점과 수신 시점의 시간 차이를 측정한 다음 여기에 빛의 속도를 곱하여 계산한다. The distance from the satellite to the receiver i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of receipt and the time of reception of the code signal generated by each satellite and multiplying it by the speed of light.

거리 = 빛의 속도 * 경과시간Distance = speed of light * elapsed time

실제로 위성의 위치를 기준으로 수신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이 거리 자료 이외에도 위성의 정확한 위치를 알아야 하는데 이 위성의 위치를 계산하는 데는 GPS 위성(100)으로부터 전송되는 궤도력을 사용한다.In fact, in order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receiver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satellite, in addition to the distance data, it is necessary to know the exact position of the satellite. The position of the satellite is used to calculate the orbit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GPS satellite 100.

차량용 내비게이션에 비해 보행자용 내비게이션은 인도를 통해 보행하므로 차도에 비해 협소한 편이다. 따라서 GPS오차가 많이 발생할 경우는 정확한 위치서비스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특히 시각장애인에게는 이러한 오차가 치명적인 결함이 될 수 있다. Compared to car navigation systems, pedestrian navigation systems are more narrow than roadways because they walk through India. Therefore, if a lot of GPS errors occur, it is difficult to expect accurate location services, especially for the visually impaired, such errors can be fatal defects.

또한,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해 오차범위를 최소화하고 보행자의 방향성을 추정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digital gyroscope to minimize the error range and to estimate the direction of the pedestrian.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디지털자이로스코프는 그 운동하는 물체의 각도(각속도)를 계측하는 센서이다.In addition, the digital gyroscop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nsor for measuring the angle (angular velocity) of the moving object.

구(球)를 생각해보면 구의 회전축은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특성을 갖고 있다. 또 구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하면, 기준 축에 대한 기울기를 간단히 알 수가 있다. 자이로(Gyro)는 운동을 유지하고자 하는 성격을 이용하여 물체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수직방향에 대해 어느 정도 기울어진 것을 알 수 있는데 물체에 설치된 가속도계의 가속도 크기(g)와, 수직에 대한 각도(ceta) 는 다음의 관계식이 된다.If you think about a sphere, the axis of rotation of the sphere has the characteristic of keeping constant. In addition, when the rotation axis of the sphere is a reference, the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axis can be easily known. Gyro (Gyro) is a sensor that detects the rotation angle of the object using the nature to maintain the movement. It can be seen that the accelerometer is inclined to some ext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magnitude of the acceleration (g) and the angle of the vertical (ceta) of the accelerometer installed on the object are as follows.

A = g*cosθA = g * cosθ

그러므로 경사각속도(ceta)는Therefore the inclination angular velocity (ceta)

θ = cos-1(A/g)θ = cos -1 (A / g)

일정속도로 운동하는 물체가 회전하면, 그 진행방향과 수직으로 콜리오리력(力)이 발생하여, 진행방향 벡터와 합성한 벡터가 나타난다. 그래서 그 합성벡터를 관측하여 각 속도의 크기를 산출하게 된다.When an object moving at a constant speed rotates, a collision force is generated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ravel, and a vector synthesized with the direction of travel vector appears. Therefore, the magnitude of each velocity is calculated by observing the composite vector.

상기한 디지털자이로스코프는 각속도를 전압의 전기량으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초, 즉 전혀 회전하지 않을 때 출력하고 /초의 회전 즉, 1초 사이에 회전하 는 각속도 때 역 회전 /초 때로 맞추어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The digital gyroscope outputs the angular velocity as an electric quantity of voltage. For example, it outputs in / second, that is, when it doesn't rotate at all, and outputs in reverse rotation / second when / second rotation, that is, angular velocity that rotates between 1 second.

디지털자이로스코프를 통해 얻어진 각속도를 통해 방향을 보정하고 보정된 방향을 GPS를 통해 얻어진 보행자의 이동에 따른 속도 혹은 이동거리를 추정하여 보행자의 정확한 이동위치 및 좌표점을 연산하여 출력한다.The direction is corrected using the angular velocity obtained through the digital gyroscope, and the corrected position and coordinate points of the pedestrian are calculated by estimating the speed or distance of the pedestrian's movement obtained through GPS.

한편, 상기한 내비게이션 단말기(10)는 인도에 설치된 복수개의 RFID 태그들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읽어 현재 시각 장애인의 위치를 보정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navigation terminal 10 can read the position data from a plurality of RFID tags installed in India,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position of the current blind.

한편,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10)는, 장애물 위치 정보를 진동 신호로 전달하기 위해 바이브레터 또는 장애물 위치 정보를 점자 메시지로 전달하기 위해 압정패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시각 장애인(200)의 편의를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Meanwhile, the navigation terminal 10 may further include a tack pad to transmit the vibrator or obstacle location information in a braille message to transmit the obstacle location information as a vibration signal. This is provided for the convenience of the visually impaired 200.

또한,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10)는, 시각 장애인(200)들이 쉽게 휴대할 수 있도록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13)에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크기를 소형으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navigation terminal 10, the visually impaired 200 may be used to make a small size to be attached to, detachable to the blind 13 for the visually impaired (200).

한편,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10)는, 전방의 물체를 감지하고, 감지한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방장애물에 대한 거리 신호를 제공하는 전방감지센서(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시각 장애인(200)들은 앞을 보지 못하고, 혹시나 있을지 모르는 GPS수신의 불량으로 인해 발생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방 의 장애물의 원근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10)로 소리 또는 진동을 통하여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소리 또는 진동으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은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Meanwhile, the navigation terminal 10 may further include a front detection sensor 20 that detects an object in front of the vehicle and provides the detected signal to a user with a distance signal for a front obstacle. The visually impaired 200 does not look ahead,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caused by poor GPS reception may be detected in advance, by detecting the perspective of the obstacle in front of the signal to the navigation terminal (10) This is to inform you through sound or vibrat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above sound or vibration may use a Bluetooth communication scheme.

또한, 내비게이션 단말기(10)에는, 시각 장애인(200)이 한번 검색한 위치 또는 자주 가는 길을 등록하도록 즐겨찾기 기능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각 장애인(200)이 출발시 「출발」버튼(미도시)을 누르고 목적지에 도착했을 때 「도착」버튼(미도시)을 누르면 시각장애인(200)이 이동한 경로가 내비게이션에 자동으로 저장되고 이를 단축키로 입력할 수 있다. 이들 통해 화면을 보지 못하는 시각 장애인(200)이 굳이 목적지를 검색하지 않더라도 한번이상 이동한 경로는 쉽게 도우미 없이도 내비게이션의 목적지 경로안내 서비스를 통해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시각 장애인(200)들이 한번 이상 갔던 길을 즐겨찾기에 저장하여 동일한 장소로 이동할 경우 또 다시 목적지를 검색하는 불편함을 없애고자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navigation terminal 1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bookmarking function to register the location searched frequently or the way frequently searched by the visually impaired 200. Specifically, when the visually impaired 200 departs and presses the "departure" button (not shown), and when the destination arrives at the destination, and presses the "arrival" button (not shown), the route traveled by the visually impaired 200 automatically moves to the navigation. It is saved and you can enter it as a shortcut. Even if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200 who does not see the screen through them does not necessarily search for a destination, the route that is moved more than once can be easily moved through the destination route guidance service of the navigation without a helper, which means that the visually impaired people 200 or more times If you go to the same place by saving the way you went to your favorite place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searching for the destination again.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을 위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 of the navig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You will know well.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s mentioned 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을 위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하면, 시각장애인이 안내견이나 주위에 도움 없이 원하고자 하는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길을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일반인들도 초행길을 가고자 할 때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navig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to safely guide a road to a desired destination without a guide dog or surroundings. In addition, the public can also be useful when you want to go down the road.

도 1은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을 위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schematically showing a navig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을 위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적용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navigation terminal applied to the navig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을 위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통신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구조도이다. 3 is a structural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structure of a navig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내비게이션 단말기 11 : 이어폰10: navigation terminal 11: earphone

12 : RFID 13 : 지팡이12: RFID 13: Wand

14 : RFID 리더 15 : GPS 수신기14: RFID reader 15: GPS receiver

16 : 디지털 자이로스코프 100 : 위성16: digital gyroscope 100: satellite

200 : 시각장애인200: blind

Claims (8)

GPS수신기(15)가 구비되고, 보행자의 현재위치를 X, Y좌표로 파악하며, 그 위치정보를 시각 장애인에게 음성으로 전달하고, RFID 리더(14)가 구비되어 인도에 설치된 복수개의 RFID 태그(12)들로부터 장애물 및 표지판에 대한 데이터를 읽어 장애물의 위치 및 종류를 파악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10); GPS receiver 15 is provided, and grasp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edestrian by X and Y coordinates,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visually impaired by voice, RFID reader 1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FID tags installed in India ( A navigation terminal 10 for reading the data on the obstacles and signs from the 12) to determine the location and type of the obstacles; 분기점(사거리, 삼거리)에서 시각 장애인이 멈췄을 때 시각 장애인의 진행방향을 보행방향으로 안내하고, 상기 GPS수신기(15)에서 발생되는 위치오차를 보정하는 디지털자이로스코프(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내비게이션 시스템.It includes a digital gyroscope 16 to guide the progress direc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in the walking direction when the visually impaired stops at a branch point (range, three-way), and to correct the position error generated by the GPS receiver 15 Navig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제1 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10)는, The navigation terminal 10, 장애물 위치 정보를 진동 신호로 전달하기 위해 바이브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내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further comprises a vibrator for transmitting the obstacle position information as a vibration signal. 제1 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10)는, The navigation terminal 10, 장애물 위치 정보를 점자 메시지로 전달하기 위해 압정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내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further comprises a push pad for transmitting obstacle location information in a braille message. 제1 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10)는, The navigation terminal 10, 인도에 설치된 복수개의 RFID 태그들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읽어 현재 시각 장애인의 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내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to read the position data from a plurality of RFID tags installed in India to correc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blind. 제1 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10)는,The navigation terminal 10, 시각 장애인(200)들이 쉽게 휴대할 수 있도록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에 탈, 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내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the visually impaired (200) can be attached to, detached to the cane for the visually impaired. 제1 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10)는,The navigation terminal 10, 전방의 물체를 감지하고, 감지한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방장애물에 대한 거리 신호를 제공하는 전방감지센서(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내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further comprising a front sensor 20 for detecting an object in front of the object and providing the detected signal to the user a distance signal for the front obstacle. 제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10)와 상기 전방감지센서(20)는 블루투스 통신에 의 해 서로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내비게이션 시스템.The navigation terminal (10) and the front sensor 20 is a navig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ach other by Bluetooth communication. 제1 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기(10)에는, In the navigation terminal 10, 시각 장애인(200)이 한번 검색한 위치 또는 한번이상 이동한 경로를 단축키로 저장함으로써 자주가는 길을 등록하도록 즐겨찾기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내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bookmarking function to register a frequent way by storing the location searched by the visually impaired (200) or a route moved more than once with a shortcut key.
KR1020090064018A 2009-07-14 2009-07-14 Navigation system for blind people KR2011000640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018A KR20110006401A (en) 2009-07-14 2009-07-14 Navigation system for blind peop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018A KR20110006401A (en) 2009-07-14 2009-07-14 Navigation system for blind peop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401A true KR20110006401A (en) 2011-01-20

Family

ID=43613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018A KR20110006401A (en) 2009-07-14 2009-07-14 Navigation system for blind peop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6401A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424B1 (en) * 2011-04-15 2012-06-15 그린하이테크 주식회사 Voice guidance system and voice guidance method
KR101250952B1 (en) * 2012-07-23 2013-04-09 정윤석 System for navigating walking of blind person
KR101289966B1 (en) * 2011-08-19 2013-07-2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Device of walking guidance for a blind person
CN107643754A (en) * 2017-09-21 2018-01-30 南京中高知识产权股份有限公司 Company robot and its method of work based on internet big data
CN107836013A (en) * 2016-03-09 2018-03-23 广州艾若博机器人科技有限公司 Map constructing method, method and device for correcting
CN107967498A (en) * 2016-10-20 2018-04-27 北京计算机技术及应用研究所 A kind of sidewalk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suggestion device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KR20180088023A (en) 2017-01-26 2018-08-03 (주)제이.케이.에스 Apparatus for measuring slip ratio-friction coefficient of tire tread pattern
KR20180128799A (en) 2017-05-24 2018-12-04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measuring friction
JP2020091267A (en) * 2018-12-07 2020-06-11 ヤフー株式会社 Correction device, correction method, and correction program
WO2022092359A1 (en) * 2020-10-28 2022-05-05 이지원 Gps navigation system for blind person using rfid and electronic compass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424B1 (en) * 2011-04-15 2012-06-15 그린하이테크 주식회사 Voice guidance system and voice guidance method
KR101289966B1 (en) * 2011-08-19 2013-07-2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Device of walking guidance for a blind person
KR101250952B1 (en) * 2012-07-23 2013-04-09 정윤석 System for navigating walking of blind person
CN107836013A (en) * 2016-03-09 2018-03-23 广州艾若博机器人科技有限公司 Map constructing method, method and device for correcting
CN107836013B (en) * 2016-03-09 2019-09-03 广州艾若博机器人科技有限公司 Map constructing method, correction method and device
CN107967498A (en) * 2016-10-20 2018-04-27 北京计算机技术及应用研究所 A kind of sidewalk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suggestion device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KR20180088023A (en) 2017-01-26 2018-08-03 (주)제이.케이.에스 Apparatus for measuring slip ratio-friction coefficient of tire tread pattern
KR20180128799A (en) 2017-05-24 2018-12-04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measuring friction
CN107643754A (en) * 2017-09-21 2018-01-30 南京中高知识产权股份有限公司 Company robot and its method of work based on internet big data
JP2020091267A (en) * 2018-12-07 2020-06-11 ヤフー株式会社 Correction device, correction method, and correction program
WO2022092359A1 (en) * 2020-10-28 2022-05-05 이지원 Gps navigation system for blind person using rfid and electronic compa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6401A (en) Navigation system for blind people
El-Sheimy et al. Indoor navigation: State of the art and future trends
US10845457B2 (en) Drone localization
KR101454153B1 (en) Navigation system for unmanned ground vehicle by sensor fusion with virtual lane
US20090198443A1 (en) In-vehicle navigation device and parking space guiding method
KR101575776B1 (en) A object recognitive stick for the blind
JP4199808B2 (en) Communication navigation device
US20070168126A1 (en) Inertial waypoint finder
US20090063047A1 (en) Navigational information display system, navigational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3562678A (en) Mobile body navigation device, and mobile body navigation system
US20020082025A1 (en) Method and device for locating a vehicle
CN109932741B (en) Positioning method, positioning device, positioning system, comput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3063220B (en) A kind of automobile navigation method and auto-navigation system
EP37609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erential location estimation
US20210144526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etecting joint motion
JP2009168792A (en) Step computing device, walking distance specifying device, position specifying device, computer program, and step computing method
JP4352031B2 (en) Navigation system, terminal device, and map display method
JP5063871B2 (en) Map display system for portable devices
JP2009042186A (en) System and program for navigation and server
WO2017175719A1 (en) Position acquisiition system
CN111221020A (en) Indoor and outdoor positioning method, device and system
US11518464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automatic alerts for transportation maneuver events
JP632084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6037817B2 (en) Portable navigation device and navigation method
JP5714840B2 (en) MAP DISPLAY DEVICE, MAP DISPLAY SYSTEM, MAP DISPLAY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