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316U - 고층 빌딩 서비스가 가능한 안테나와 중계기를 갖는 공중전화 부스 - Google Patents

고층 빌딩 서비스가 가능한 안테나와 중계기를 갖는 공중전화 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316U
KR20110006316U KR2020090016424U KR20090016424U KR20110006316U KR 20110006316 U KR20110006316 U KR 20110006316U KR 2020090016424 U KR2020090016424 U KR 2020090016424U KR 20090016424 U KR20090016424 U KR 20090016424U KR 20110006316 U KR20110006316 U KR 201100063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public telephone
repeater
unit
telephone b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4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2775Y1 (ko
Inventor
장재선
유성상
장기택
윤민호
반봉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200900164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775Y1/ko
Publication of KR201100063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3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7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7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04B7/15514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for shadowing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Abstract

본 고안은 고층 빌딩 서비스가 가능한 안테나와 중계기를 갖는 공중전화 부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르면, 안테나와 중계기를 갖는 공중전화 부스는 사각의 박스 형태로 구성된 일측면이 개방되어 공중전화기를 수납하는 공중전화부, 상기 공중전화부의 상부에 다방향으로 형성되어 안테나를 거치하고 음영지역을 대향 하는 상기 안테나의 업다운 틸트 수단을 갖는 복수의 안테나 거치부, 상기 공중전화부의 상부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거치부를 감싸는 형태로 보호하는 안테나 케이스부 및 박스 형태의 함체로 상기 공중전화부를 하부에서 지지하고, 무선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안테나로 전달하는 중계기를 내장하는 중계기함을 포함한다.
이로써, 본 고안에 따르면, 공중전화 부스에 중계기 및 안테나를 내장하여 환경친화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의사잡음부호(PN pollution) 및 고층 빌딩내 음영지역을 효과적으로 개선 및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공중전화 부스, 안테나, 중계기, 거치대

Description

고층 빌딩 서비스가 가능한 안테나와 중계기를 갖는 공중전화 부스{PUBLIC TELEPHONE BOOTH HAVING HIGH BUILDING SERVICE AVAILABLE ANTENNA AND REPEATER}
본 고안은 안테나와 중계기가 내장된 공중전화 부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주변환경에 친화적이며 고층 빌딩 서비스가 가능한 안테나와 중계기가 내장된 공중전화 부스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의 발달에 부합하는 고품질 무선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통신 사업자는 기지국 및 중계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무선통신용 시설을 설치 및 운용하고 있다. 그 중 중계시스템은 기지국에서 송출된 신호가 약해지는 지역에 설치되어 동작 운용되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재 송출 함으로써, 가입자 단말기의 수신불안을 해소하고, 기지국 신호의 전송 영역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중계 시스템은 기지국 대향의 링크안테나, 중계기 및 가입자 대향의 서비스 안테나를 포함하며, 음영지역(Shadow Area)해소 및 커버리지(Coverage)를 효과적으로 확대하기 위하여 경제적으로 기지국 신호를 원격에 위치한 장소에 전달함으로써 가입자의 무선통신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다. 그리고 최근에는 무선 통 신의 발달에 따라 기존의 커버리지 확대뿐만 아니라 가입자의 통화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중계 시스템은 물리적인 전파의 차단이 비교적 적은 높은 장소에 시설되며, 예컨대 건물의 옥상 및 철탑과 같은 옥외에 많이 설치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거의 모든 지역의 이동통신 서비스가 이루어 지고 있지만 아직도 고층건물이 밀집된 도심지나 아파트 단지의 경우 물리적 전파차단의 장애요인으로 인해 계획적인 중계시스템의 시설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빌딩의 고층부에서 많이 발생하는 음영지역을 커버하기 위한 안테나의 시설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중계시스템은 고객의 요구에 따른 통화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반면 사람들의 안테나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 때문에 시설자체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아파트 단지, 공원 및 사찰 등과 같이 주변환경을 중요시하는 장소에서 안테나가 노출되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에 시설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즉, 이 음영지역을 해결하기 위해 신규 기지국이나 중계기를 설치하려면 주위 미관 파괴 등은 이유로 설치를 반대하여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에 따른 대책이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파트 단지, 공원 및 사찰 등과 같이 주변환경을 중요시하는 장소에 시설되어 유선통신 서비스와 더불어 환경친화적으로 무선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고층 빌딩 서비스가 가능한 안테 나와 중계기를 갖는 공중전화 부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고층 빌딩 서비스가 가능한 안테나와 중계기를 갖는 공중전화 부스는,
사각의 박스 형태로 구성된 일측면이 개방되어 공중전화기를 수납하는 공중전화부; 상기 공중전화부의 상부에 다방향으로 형성되어 안테나를 거치하고 음영지역을 대향 하는 상기 안테나의 업다운 틸트 수단을 갖는 복수의 안테나 거치부; 상기 공중전화부의 상부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거치부를 감싸는 형태로 보호하는 안테나 케이스부; 및 박스 형태의 함체로 상기 공중전화부를 하부에서 지지하고, 무선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안테나로 전달하는 중계기를 내장하는 중계기함을 포함한다.
여기에, 상기 안테나와 상기 중계기를 연결하는 케이블 통로가 구비된 배선 커버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공중전화 부스에 중계기 및 안테나를 내장하여 환경친화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의사잡음부호(PN pollution) 및 고층 빌딩내 음영지역을 효과적으로 개선 및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아파트 단지, 공원 및 사찰 등과 같이 주변환경을 중요시하는 장소에 시설되어 유선통신 서비스와 더불어 환경친화적으로 무선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테나 케이스부는 비/바람과 같은 외부 자연현상으로부터 안테나 및안테나 거치대를 보호함으로써 안테나가 특정 음영지역을 커버하도록 지향설치 되는 경우 설치된 각도의 변형 없이 상태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계기를 중계기함에 내장하여 태양광과 같은 외부환경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으며, 공기구멍의 천공을 통해 장비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하나의 공중전화 부스내에 중계기와 복수의 안테나가 내장됨으로써 관리가 용이하며, 중계기와 안테나 간의 연결 케이블의 길이가 짧아지므로 시설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 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와 중계기를 갖는 공중전화 부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와 중계기를 갖는 공중전화 부스를 나타낸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와 중계기를 갖는 공중전화 부스(100)는 사각의 박스 형태로 구성된 일측면이 개방되어 개방되어 공중전화기(111)를 수납하는 공중전화부(110), 상기 공중전화부(110)의 상부에 다방향으로 형성되어 안테나(131)를 고정 거치하고, 고층 빌딩의 음영지역을 대향 하는 안테나(131)의 업다운 틸트 수단을 갖는 복수의 안테나 거치부(130), 상기 공중전화부의 상부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거치부(130)를 감싸는 형태로 보호하는 안테나 케이스부(120), 및 육면체의 함체로 상기 공중전화부(110)를 하부에서 지지하고, 무선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상기 안테나(131)로 전달하는 중계기를 내장하는 중계기함(140)을 포함한다.
공중전화부(110)는 공중전화기(111), 배선 커버부(112), 강화유리부(113), 유리체결 브라켓(114)을 포함한다.
공중전화기(111)는 전화국과의 연결되어 동전 혹은 카드와 같은 지불 수단을인식하여 유선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배선 커버부(112)는 배선 커버부(112)는 공중전화부(1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1 배선홀(112a)과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2 배선홀(112b)을 연결하는 관으로 공 중전화기(111)의 후면에 형성된다. 배선 커버부(112)는 공중전화기(111), 안테나 및 중계기 등의 장비간을 연결하는 배선을 보호하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깔끔히 정리될 수 있도록 커버한다.
강화유리부(113)는 공중전화부(110)의 양측면에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되고, 복수의 유리체결 브라켓(114)을 통해 고정된다.
한편, 다음의 도 2 내지 도 4를 통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케이스부(120)와 안테나 거치부(13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케이스부와 안테나 거치부의 구성을 나타내 부분 절개도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케이스부(120)는 공중전화부의 상면에 사각으로 연장 형성되는 케이스로 내장되는 안테나(131)의 전파 손실을 줄이기 위해 강화유리 또는 PC(Poly Carbonate)로 구성된다. 이 때, 안테나 케이스부(120)의 각 측면은 내부의 안테나가 노출되지 않도록 얇은 필름 등으로 코팅할 수 있으며, 이 때 코팅되는 필름에는 공중전화 부스를 알리는 문구 혹은 특정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케이스부(120)는 방사 패턴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틀을 제거하였다.
일반적으로 기존에는 안테나가 계획된 특정지역을 커버하도록 지향 설치하였다 하더라도 강풍으로 인해 방향 및 각도가 틀어지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여 이를 유지 보수하는 데에도 상당한 비용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케이스부(120)는 비/바람과 같은 외부 자 연현상으로부터 안테나 거치부(130)를 보호함으로써 안테나(131)가 특정 음영지역을 커버하도록 지향설치 되는 경우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거치부의 구조와 그거치 방법을 나타낸다.
첨부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거치부(130)는 중계기와 연결되어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되는 미약한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외부로 전파하는 안테나(131)를 각도에 따라 고정 거치하는 역할을 하며, 안테나 지지부(132) 및 안테나 클램프(133)를 포함한다.
안테나 지지부(132)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봉으로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제a 구간과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제b 구간으로 구분된다.
먼저, 상기 도 3은 안테나 지지부(132)의 수직한 제a 구간에 안테나 클램프(133)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준다.
안테나 클램프(133)는 안테나 지지부(132)의 둘레를 조여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는 장착부(1331)와 안테나(131)의 몸통을 조여 감싸는 형태로 고정하는 고정부(1332)를 포함한다. 이 때, 장착부(1331)는 마주보게 형성되는 관통공을 관통하는 볼트(133a)와 이에 결합되는 너트(1331b)의 결합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장착부(1331)와 고정부(1332)는 일면에 서로 대응하는 결합공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공을 통하여 체결되는 결합부재(1332b, 1332c)를 통해 안테나(131)가 거치된다.
이 때, 안테나 클램프(133)는 장착부(1331)와 고정부(1332)의 결합시 안테 나(131)의 상하각도(업/다운)를 조절하는 각도조절 수단을 갖는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장착부(1331)의 결합공(1331c)은 안테나(131)의 틸트를 조절하기 위한 여유공간을 갖는 가이드홀로써 상하 각도 조절을 위한 제2 결합부재(1332c)를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장착부(1331)와 안테나 고정부(1332)의 하부에서 결합되는 제1 결합부재(1332b)를 중심축으로 상부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재(1332c)가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안테나(131)의 상하 각도가 조절된다.
이 때 조절되는 각도는 결합공(1331c)의 중간지점으로부터 상하 20도로 가변할 수 있으며, 결합공(1331c)의 길이에 따라 변환 가능한 각도를 더 늘릴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공(1331c)의 상부에 소정 단위의 눈금을 형성하여 각도의 조절을 좀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도 3을 통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서는 수직한 안테나 지지부(132)의 제a 구간에 안테나 클램프(133)가 장착됨으로써 비교적 정면을 지향하는 안테나(131)의 장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다음, 상기 도 4는 안테나 지지부(132)의 기울어진 제b 구간에 안테나 클램프(133)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준다. 여기서, 안테나 클램프(133)가 제b 구간에 고정되는 방법은 상기 도 3에서의 설명과 유사하므로 생략한다.
다만, 상기 도 3의 실시 예와 비교하였을 때 안테나 클램프(133)는 안테나 지지부(132)의 제b 구간에 장착되었으므로 안테나(131)가 약 40도의 기울기만큼의 상측 방향을 지향하게 된다. 여기에, 안테나 클램프(133) 자체의 각도조절 수단을 이용할 경우 상하로 20도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도 4를 통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서는 기울어진 안테나 지지부(132)의 제b 구간에 안테나 클램프(133)가 장착됨으로써 비교적 지대가 높은 음영지역을 지향하는 안테나(131)의 장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즉, 고층건물의 상층부의 음영지역을 커버하기에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에, 도 2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거치부(130)는 복수로 구성되므로 공중전화 부스(100)가 설치된 공간에서 각도 뿐아니라 여러 방향에 대한 무선통신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다음의 도 5를 통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함(14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함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절개도이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함(140)은 공중전화부(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내부에 중계기(141) 및 분전반(142)과 같은 장비를 내장하며, 내장된 장비의 상태관리를 위해 정면의 일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도 1에 도시)(143)와 중계기(141)의 방열을 위해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토출되고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통로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방열부(144)를 포함한다. 그리고, 중계기함(140)의 상측 일부에는 제2 배선홀(112b)이 형성되어 중계기 및 분전반의 배선이 배선 커버부(112)로 통한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중계기는 중계기함(140)의 내측면에 장착되거나 스탠 딩 형으로 구성되어 바닥에 고정 설치할 수 있으며, 이 때, 장착 및 고정수단은 해당 기술분야의 사업자가 구성하기에 일반적이므로 생략한다.
종래의 중계기(141)는 주로 건물의 옥상이나 실외의 벽면에 설치되어 기후 환경에 취약하였으며, 특히 뜨거운 여름철 태양광 노출에 따른 열화현상으로 장비에 이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중계기(141)를 중계기함(140)에 내장하여 외부환경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으며, 공기구멍의 천공을 통해 장비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공중전화 부스(100)내에 중계기(141)와 복수의 안테나(131)가 내장됨으로써 관리가 용이하며, 배선의 길이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와 중계기를 갖는 공중전화 부스의 시설 상태를 나타낸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공중전화 부스(100)를 아파트 단지에 시설한 상태를 보여준다. 공중전화 부스(100)에 시설되는 안테나(131)는 안테나 지지부(132)의 수직한 제a 구간에 안테나 클램프(133)를 통해 결합되어 전방을 커버하고, 안테나 지지부(132)의 기울어진 제b 구간에 결합되어 아파트의 고층부를 커버할 수 있다.
이로써, 본 고안에 따르면 공중전화 부스에 중계기 및 안테나를 내장하여 환경친화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의사잡음부호(PN pollution) 및 고층 빌딩내 음영지역을 효과적으로 개선 및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파트 단지, 공원 및 사찰 등과 같이 주변환경을 중요시하는 장소에 시설되어 유선통신 서비스와 더불어 환경친화적으로 무선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1에 도시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공중전화부(110)의 양측면을 강화유리부(113)로 구성하였으나, 도 7에서와 같이 공중전화 부스(100)의 양측면을 길이방향의 요철이 반복되는 주기적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그래서, 공중전화부(110)에 불법스티커나 광고의 부착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면상이 고르지 않은 엠보싱처리 등을 통해서도 구현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와 중계기를 갖는 공중전화 부스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케이스부와 안테나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내 부분 절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거치대의 구조와 그거치 방법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함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절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와 중계기를 갖는 공중전화 부스의 시설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공중전화 부스 측면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Claims (10)

  1. 사각의 박스 형태로 구성된 일측면이 개방되어 공중전화기를 수납하는 공중전화부;
    상기 공중전화부의 상부에 다방향으로 형성되어 안테나를 거치하고 음영지역을 대향 하는 상기 안테나의 업다운 틸트 수단을 갖는 복수의 안테나 거치부;
    상기 공중전화부의 상부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거치부를 감싸는 형태로 보호하는 안테나 케이스부; 및
    박스 형태의 함체로 상기 공중전화부를 하부에서 지지하고, 무선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안테나로 전달하는 중계기를 내장하는 중계기함
    을 포함하는 공중전화 부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와 상기 중계기를 연결하는 케이블 통로가 구비된 배선 커버를 더 포함하는 공중전화 부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거치부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봉으로 상기 공중전화부의 상면으로부터 수직한 제a 구간과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제b 구간으로 구분되는 안테나 지지부; 및
    안테나를 지향각도에 따라 상기 안테나 지지부의 상기 제a 구간 혹은 제b 구간에 장착하는 안테나 클램프
    를 포함하는 공중전화 부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클램프는,
    상기 안테나를 정면으로 지향하는 경우 상기 제a 구간에 고정 장착하고, 혹은
    상기 안테나를 고층건물의 상층부로 지향하는 경우 상기 제b 구간에 고정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부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클램프는,
    상기 안테나 지지부의 둘레를 조여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안테나의 몸통을 조여 감싸는 형태로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와 고정부는 마주보게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공을 관통하는 복수의 볼트와 이에 상응하는 복수의 너트의 결합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부스.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클램프는,
    상기 장착부와 상기 고정부의 결합시 상기 안테나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 수단을 포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부스.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함은,
    내장된 상기 중계기의 상태관리를 위해 정면의 일부를 개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중계기의 방열을 위해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토출되고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통로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방열부
    를 포함하는 공중전화 부스.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커버는,
    상기 공중전화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1 배선홀 및 상기 공중전화부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2 배선홀을 연결하여 상기 안테나 케이스부 및 중계기함에 케이블 통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부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케이스부는,
    상기 안테나의 전파 손실을 줄이기 위해 강화유리 또는 PC(Poly Carbonate) 로 구성되고 안테나 케이스부의 각 측면은 내부의 안테나가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부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전화부는,
    외부면이 요철 혹은 엠보싱이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표면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부스.
KR2020090016424U 2009-12-16 2009-12-16 고층 빌딩 서비스가 가능한 안테나와 중계기를 갖는 공중전화 부스 KR2004727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424U KR200472775Y1 (ko) 2009-12-16 2009-12-16 고층 빌딩 서비스가 가능한 안테나와 중계기를 갖는 공중전화 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424U KR200472775Y1 (ko) 2009-12-16 2009-12-16 고층 빌딩 서비스가 가능한 안테나와 중계기를 갖는 공중전화 부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316U true KR20110006316U (ko) 2011-06-22
KR200472775Y1 KR200472775Y1 (ko) 2014-05-26

Family

ID=49295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424U KR200472775Y1 (ko) 2009-12-16 2009-12-16 고층 빌딩 서비스가 가능한 안테나와 중계기를 갖는 공중전화 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77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015B1 (ko) * 2018-06-28 2019-05-29 (주)케이제이엔지니어링 아파트용 구내통신망 중계 시스템
KR101988041B1 (ko) * 2018-06-28 2019-06-11 (주)케이제이엔지니어링 아파트용 통합 구내통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2528Y2 (ja) * 1992-04-27 1999-03-2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公衆電話ボックス
JP2006244337A (ja) 2005-03-07 2006-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販売機
KR101174453B1 (ko) * 2008-10-28 2012-08-16 양우생 생활편의부스 결합형 중계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015B1 (ko) * 2018-06-28 2019-05-29 (주)케이제이엔지니어링 아파트용 구내통신망 중계 시스템
KR101988041B1 (ko) * 2018-06-28 2019-06-11 (주)케이제이엔지니어링 아파트용 통합 구내통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775Y1 (ko) 2014-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4149B2 (en) Concealed antenna node
CA2664573C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distributed antennas
US6222504B1 (en) Adjustable antenna mount with rotatable antenna brackets for PCS and other antennas
US5995063A (en) Antenna structure
US10347979B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RF-transmissive access panels for elevated and shrouded mobile network components
KR20170046206A (ko) 태양광 모듈형 안테나
JP4163858B2 (ja) 移動電話システム内の送信機および受信機ユニットにおける方法および装置
US6335709B1 (en) Integrated service tower
KR20110006316U (ko) 고층 빌딩 서비스가 가능한 안테나와 중계기를 갖는 공중전화 부스
US20120299796A1 (en) Module for Carrying Antennas of a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Antenna Mast Arrangement
EP0710999B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an outdoor communication device
US20090073662A1 (en) Weather cover for electronic equipment, use thereof for hanging on a mast tower, or mono-pole, and antenna carrier for weather cover
US20130120199A1 (en) Vault antenna for wlan or cellular application
KR200423109Y1 (ko) 옥외용 무선장비 보호장치
KR100947473B1 (ko) 통신기기용 중계기 고정장치
JP2010004338A (ja) 遮蔽体およびレピータ局
CN205611082U (zh) 一种塔柜基站结构
KR20190093854A (ko) 이동통신 안테나 위장 장치
EP0875956B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an outdoor communication device
CN219760271U (zh) 一种集线柜
CN206947499U (zh) 一种移动通信天线安装装置
US20220069433A1 (en) Sectorized antenna assembly
KR200463118Y1 (ko) 시설용 차양장치
KR100953546B1 (ko) 통신기기용 중계기
KR20230052078A (ko) Fm/dmb 누설 동축케이블의 고정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