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090U - Pin for Punch Press - Google Patents

Pin for Punch Pre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090U
KR20110006090U KR2020090016133U KR20090016133U KR20110006090U KR 20110006090 U KR20110006090 U KR 20110006090U KR 2020090016133 U KR2020090016133 U KR 2020090016133U KR 20090016133 U KR20090016133 U KR 20090016133U KR 20110006090 U KR20110006090 U KR 201100060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elastic core
pin
processing pin
hollow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13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62036Y1 (en
Inventor
심준경
Original Assignee
심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준경 filed Critical 심준경
Priority to KR20200900161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036Y1/en
Publication of KR201100060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090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0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03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Abstract

본 고안은 가공물을 절단하기 위해 외부로 돌출된 탄성코어를 내부에 삽입하여 천공파지를 용이하게 제거하고 내주면에 단턱이 형성되어 탄성력을 극대화하여 천공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펀치 프레스용 가공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nserts an elastic core protruding from the outside to cut the workpiece to easily remove perforated phage, and a stepped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maximize the elastic for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punching work. It is about.

본 고안의 가공핀은 단부에 가공재를 펀칭하기 위한 칼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부의 내주면에 단턱을 갖는 중공커터; 및 상기 중공커터의 중공에 삽입되며, 상기 중공커터의 외측으로 일단부가 돌출되는 탄성코어를 포함한다. The processing p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ade for punching the workpiece at the end is formed, the hollow cutter having a step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And an elastic core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hollow cutter and having one e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cutter.

펀치프레스, 가공핀, 펀칭, 탄성, 중공 Punch Press, Machine Pin, Punching, Elastic, Hollow

Description

펀치 프레스용 가공핀{Pin for Punch Press}Machining pins for punch presses {Pin for Punch Press}

본 고안은 펀치 프레스(Punch Press)용 가공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종이 또는 합성수지재 등과 같은 판부재로 이루어진 가공물을 절단하는데 사용되는 펀치 프레스의 슬라이드 판에 설치되는 펀치 프레스용 가공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ing pin for a punch press (Punch Pres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nch press processing pin installed on the slide plate of the punch press used for cutting a workpiece made of a plate member such as paper or synthetic resin material.

일반적으로 종이 또는 합성수지재 등과 같은 판부재를 재단 또는 크리싱하는데 사용되는 펀치 프레스는 아래쪽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대응하는 위치의 위쪽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하면서 작동하는 슬라이드 및 상기 슬라이드가 구동되게 하는 구동원으로 이루어져 있다.In general, a punch press used to cut or crease a plate member such as paper or synthetic resin is a support plate fixedly installed at a lower side, a slide installed above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support plate to move up and down, and the slide is operated. It consists of a drive source for driving.

이러한 구성의 펀치 프레스에서, 받침판 위에 놓여지는 가공물은 상하 운동을 행하는 슬라이드의 압력을 받아 상기 슬라이드의 작동 면에 구비되어 있는 절단 또는 크리싱 장치에 의해 절단 또는 크리싱 된다. In the punch press of such a structure, the workpiece | work placed on a support plate is cut or crucified by the cutting or creasing apparatus provided in the operation surface of the slide under the pressure of the slide which performs a vertical motion.

즉, 상기 가공물은 슬라이드의 작동면에 형성되는 가공핀, 크리싱 부재 또는 절단부재 등의 압력을 받아 이에 대응되어 처리된다.That is, the workpiece is processed in response to the pressure of the processing pin, the creasing member or the cutting member formed on the operating surface of the slide.

이와 같이 얇은 판부재, 특히 종이나 합성수지재 또는 천 등을 절단 또는 크리싱 시키는데 사용되는 펀치프레스의 받침판 표면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그의 슬 라이드의 작동 면에는 절단 또는 크리싱용으로 사용되는 가공핀, 크리싱 부재 또는 절단부재 등이 장착된 합판등과 같이 평평하면서 상대적으로 단단한 보조부재가 별도로 구비된다.As such, the surface of the backing plate of the punch press used for cutting or creasing the thin plate member, particularly paper, resin, or cloth, is formed flat, and the working pin of the slide is used for cutting or creasing, A flat and relatively rigid auxiliary member, such as a plywood with a creasing member or a cutting member, is provided separately.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 작동면에 부착되는 별도의 보조부재에 원통형 등과 같이 측면이 폐쇄된 공간을 형성하는 형상으로 된 가공핀이 장착될 경우, 이를 사용하여 작업을 계속하게 되면 상기 폐쇄 공간속에 가공물의 천공파지가 삽입 축적되는 현상이 생기게 되고, 이에 의해 가공핀이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When a processing pin having a shape that forms a closed space such as a cylinder is mounted on a separate auxiliary member attached to the slide operation surface as described above, if the work is continued using this, perforation of the workpiece in the closed space Phage is inserted and accumulated, which causes the processing pin to not function properly.

즉, 작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천공파지가 가공핀의 공간속에 삽입 축적되면 이의 저항을 받아 가공핀이 가공물을 완전하게 가공하지 못하게 되고, 또 천공파지가 가공핀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어 칼날부의 끝부분까지 쌓이게 되면 가공핀은 그의 기능을 전혀 수행할 수 없다.In other words, if the punched phage is inserted and accumulated in the space of the processing pin while the work is in progress, the processing pin will not be able to completely process the workpiece due to its resistance, and the punched phag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utting pin. If it accumulates to a part, the processing pin cannot perform its function at all.

따라서, 펀치 프레스를 이용하여 가공물을 절단하기 위해 슬라이드의 작동면에 설치되는 보조부재에 측면이 폐쇄된 공간을 형성하는 가공핀을 장착시킬 경우에는 작업 중에 수시로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공간속에 삽입 축적된 천공파지 등을 제거하는 작업을 해야만 하므로 작업 능률이 저하되고 또 천공파지를 적당한 시기에 제거하지 않으면 가공물의 절단이 불량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Therefore, in order to cut a workpiece using a punch press, when a processing pin for forming a space having a closed side is mounted on an auxiliary member installed on an operating surface of a slide, it is often inserted into the space using a separate tool during the operation. Since the work to remove the accumulated punched paper, etc. must be removed, the work efficiency is lowered, and if the punched paper is not removed at a proper time, the cutting of the workpiece becomes poor.

따라서, 본 고안의 출원인에 의해 선등록된 등록 실용신안 0141437호에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펀치프레스용 가공핀을 개시한다. Therefore, registered utility model 0141437, which is pre-register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punch press working pi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도 1a 내지 도 1c를 참고하면, 금속체로 이루어진 가공핀(10)은 중공부를 형 성하는 측면부(11)와, 선단부에 형성되고 단면이 페루프를 형성하는 칼날부(12)로 이루어지고, 중공부에는 탄성 물질로 이루어진 삽입부재(13)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재(13)는 가공핀(10)의 칼날부(12)의 표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게 구성된다.1A to 1C, the processing pin 10 made of a metal body includes a side portion 11 forming a hollow portion, and a blade portion 12 formed at a distal end portion and having a cross section forming a hollow. The part has an insertion member 13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 insertion member 13 is configur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surface of the blade portion 12 of the processing pin 10.

상기 칼날부(12)에 의해 한정되는 페루프의 단면이 원형인 것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이에 삽입되는 삽입부재(13)의 형상은 상기 가공핀(10)의 중공부의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cross-section of the bellows defined by the blade portion 12 is circular, the shape of the insertion member 13 inserted therein is preferably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ollow portion of the processing pin 10.

상기 가공핀은 내부에 삽입부재(13)를 삽입하여 펀칭작업 시에 중공부에 천공파지가 내부 공간에 삽입 축적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어 펀칭작업이 원활할 수는 있으나, 반복되는 펀칭작업 시에 삽입부재(13)가 반복적으로 압축 및 복원되어야 하는데 가공핀(10)의 내주면과 삽입부재(13)의 외주면이 밀착되어 내부 공간이 없으므로 가공핀의 외부로 돌출된 삽입부재의 단부에서만 압축 및 복원이 용이하여 탄성력이 제한적으로 발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천공파지가 원활히 제거되지 못했으며, 천공작업 시 정확한 천공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 processing pi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member 13 inside the punching operation during the punching operation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without inserting and accumulating in the inner space in the hollow portion may be a smooth punching operation, but repeated punching The insertion member 13 must be repeatedly compressed and restored. Sinc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cessing pin 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member 13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 is no internal spac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elastic force is limited to express easily. For this reason, the punching paper was not removed smoothly,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rrect drilling is not made during the drilling work.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가공핀의 내주면을 따라 단턱을 형성하여 공간을 확보하고 중공의 내부에 삽입된 탄성코어가 펀칭작업 시에 압축 및 복원될 때 상기 단턱으로 확보된 공간에 의해 체적변화가 용이하여 탄성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펀치프레스용 가공핀을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step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cessing pin to secure a space, and the volume change is caused by the space secured to the step when the elastic core inserted into the hollow is compressed and restored during the punching operation. It is to provide a punch press processing pin that can easily maximize the elastic forc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단부에 가공재를 펀칭하기 위한 칼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부의 내주면에 단턱을 갖는 중공커터; 및 상기 중공커터의 중공에 삽입되며, 상기 중공커터의 외측으로 일단부가 돌출되는 탄성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 프레스용 가공핀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lade for punching the processing material is formed at the end, the hollow cutter having a step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And it is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hollow cutter, provides a processing pin for punch pres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core protruding one end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cutter.

상기 탄성코어는 중공홀을 형성하고, 상기 중공홀은 그 내부에 볼을 삽입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lastic core is to form a hollow hole, the hollow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hole formed therein.

또한, 상기 칼날은 역삼각형의 형상, 외편도 형상, 내편도 형상 또는 비대칭인 역삼각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bla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verted triangular shape, the outer one-sided shape, the inner one-sided shape or asymmetric inverted triangle shape.

아울러, 상기 중공커터는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hollow cutt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in the shape of a circle, oval or square.

상기 중공커터는 상기 내주면에 상기 탄성코어를 고정지지하는 밀림방지용 단턱을 더 포함한다. The hollow cutter further includes a push step preventing the elastic core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탄성코어는 밀림방지용 단턱에 지지되도록 상기 탄성코어의 단부에 받침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lastic core is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pedestal at the end of the elastic core to be supported on the step of preventing the push.

따라서, 본 고안은 가공핀의 중공 내부에 삽입된 탄성코어가 펀칭작업 시에 압축 및 복원될 때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으로 인해 확보된 공간에 의해 탄성력을 극대화할 수 있어 천공파지의 제거가 용이하고 정확한 천공이 빠른 시간 내에 이루 어져 펀칭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elastic force by the space secured by the step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when the elastic core inserted into the hollow inside of the processing pin is compressed and restored during the punching operation, it is easy to remove the puncture Perforation is achieved in a short time, providing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punching operation.

이하, 첨부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s 2 to 7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공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의 단면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cessing pi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A ′ of FIG. 3.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가공핀(1)은 파이프형상으로 가공재를 펀칭하기 위한 중공커터(20)와 중공커터(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일부 돌출된 탄성코어(30)를 포함한다. 2 to 4, the processing pin 1 includes a hollow cutter 20 for punching a workpiece into a pipe shape and an elastic core 30 partially inserted into the hollow cutter 20 to protrude. .

중공커터(20)는 단부에 가공재를 펀칭하기 위한 역삼각형 형상의 칼날(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부의 내주면에 단턱(24)을 갖는 중공형으로 이루어진다. The hollow cutter 20 has an inverted triangular blade 22 formed at the end for punching a workpiece, and has a hollow having a step 24 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또한, 탄성코어(30)는 상기 중공커터(20)의 중공에 삽입되며, 상기 중공커터(20)의 외측으로 일단부가 돌출되며, 펀칭작업을 수행할 때, 접촉면(33)이 가공재와 접촉하면서 압축이 이루어지고, 펀칭작업이 완료되어 접촉면(33)이 가공재와 분리되면 복원된다. In addition, the elastic core 3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hollow cutter 20, one end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cutter 20, when performing the punching operation, the contact surface 33 is in contact with the workpiece Compression is performed and restored when the punching operation is completed and the contact surface 33 is separated from the workpiece.

또한, 탄성코어(30)는 길이방향으로 중심부에 중공홀(32)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중공홀(32)은 탄성코어(30)의 강성을 부분적으로 약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여 탄성코어(30)가 압축될 때 체적변화 공간으로도 일부 작용한다. In addition, the elastic core 30 may form a hollow hole 32 in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hollow hole 32 serves to partially weaken the rigidity of the elastic core 30 to the elastic core 30. Also acts as a volume change space when.

중공커터(20)의 내주면은 탄성코어(30)의 제1외주면(31)과 밀착되어 있는 제1내주면(23)과 탄성코어(30)의 제2외주면(34)과 일정 거리 이격된 제2내주면(25)을 갖는다. 제2내주면(25)은 단턱(24)부터 칼날(22)직전 까지를 말하며 단턱(24)의 깊이만큼 탄성코어(30)의 제2외주면(34)과 이격거리를 갖는다. 이러한 이격거리에 의해 발생되는 공간에는 탄성코어(30)가 압축되었을 때 체적이 변화되어 일부가 수용된다.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cutter 2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3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31 of the elastic core 30 and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34 of the elastic core 3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t has an inner peripheral surface 25. The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5 refers from the step 24 to just before the blade 22 and has a distance from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34 of the elastic core 30 by the depth of the step 24. In the space generated by the separation distance, the volume is changed when the elastic core 30 is compressed to accommodate a part of the space.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공핀(1)의 동작을 도 5a 내지 도 5c를 참고하여 하기에서 설명한다. An operation of the processing pin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5C.

도 5a 내지 도 5c는 가공핀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5A to 5C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a processing pin.

도 5a 내지 도 5c를 참고하면, 가공핀(1)이 장착된 지지체(41)는 펀치 프레스의 슬라이드(42)의 작동면에 단단하게 고정 정착되게 된다.5A to 5C, the support 41 on which the processing pin 1 is mounted is firmly fixed to the operating surface of the slide 42 of the punch press.

그리고, 펀치 프레스의 받침판(43)상에 설치되어 있는 가공물, 예를들면 종이(50)는 슬라이드(42)가 아래로 이동됨에 따라 지지체(41)에 장착되어 있는 가공핀(1)의 칼날부(22)에 의해 절단된다.Then, the workpiece, for example, the paper 50 installed on the support plate 43 of the punch press, has a blade portion of the processing pin 1 mounted on the support 41 as the slide 42 moves downward. It is cut by 22.

도 5b를 참고하면, 칼날부(22)가 종이(50)를 절단할 때 칼날부(22)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탄성코어(30)의 접촉면(33)은 압력을 받아 가공핀(1)의 중공부 속으로 압축되고 칼날부(22)는 종이(50)를 관통하여 이를 절단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5B, when the blade portion 22 cuts the paper 50, the contact surface 33 of the elastic core 30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blade portion 22 is subjected to pressure to process pins 1. It is compressed into the hollow portion of the blade portion 22 is penetrated through the paper 50 to cut it.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코어(30)의 접촉면(33)부터 압축되기 시작하면서 그 압력이 전달됨에 따라 탄성코어(30)의 접촉면(33)과 인접한 선단부의 체적이 변화된다. At this time, as shown in the figure, the volume of the tip portion adjacent to the contact surface 33 of the elastic core 30 is changed as the pressure is transmitted while starting from the contact surface 33 of the elastic core 30.

따라서, 탄성코어(30)의 상기 선단부의 체적변화에 따라 탄성코어(30)의 일부는 단턱(24)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수용되면서 제2내주면(25)쪽 방향으로 이동 하게 된다. 즉, 탄성코어(30)가 탄성력을 발현할 때 단턱(24)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일부 수용되므로 공간의 제한을 받지 않아 압축 및 복원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Therefore, the portion of the elastic core 30 is moved toward the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5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step 24 as the volume change of the tip portion of the elastic core 30. That is, since the elastic core 30 is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step 24 when the elastic force is expressed, the compression and restoration may be smoothly performed without being limited by the space.

따라서, 탄성코어(30)가 압축된 상태일 때, 칼날(22)이 종이(50)를 뚫어 절단되고 이후 슬라이드(42)가 위쪽으로 이동되면 탄성코어(30)는 다시 복원되어 칼날(22)의 외부 쪽으로 돌출되어 원상복귀 된다. Therefore, when the elastic core 30 is in a compressed state, when the blade 22 is cut through the paper 50 and then the slide 42 is moved upward, the elastic core 30 is restored again to the blade 22. It protrudes outward and returns to normal.

이에 따라 종이(50)로부터 떨어져 나온 천공부(51)에 대응하는 천공파지(52)는 중력에 의해 아래로 낙하하게 된다(제5c도 참조).As a result, the punching grip 52 corresponding to the punching portion 51 separated from the paper 50 falls down by gravity (see FIG. 5C).

즉, 상기 천공파지(52)는 탄성코어(30)에 밀리고 중력을 받아 가공핀(1)의 내부 공간속으로 삽입되지 못하고 외부로 이탈 된다. That is, the punched gripping 52 is pushed by the elastic core 30 and is gravity-departed so as not to be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processing pin 1.

따라서, 가공핀(1)의 칼날부(22)는 천공파지(52)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고서 제기능을 완전하게 수행하면서 종이(50)의 절단이 양호하게 행해질 수 있게 할 수가 있다.Therefore, the blade portion 22 of the processing pin 1 can allow the cutting of the paper 50 to be performed satisfactorily while fully performing the function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punching grip 52 at all.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공핀의 단면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ocessing pi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가공핀(1a)은 전술한 일실시예의 가공핀(1)과 칼날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여기서, 가공핀(1a)의 칼날(22a)은 외편도의 형상으로 형성한다. The processing pin 1a shown in FIG. 6 is identical except for the shape of the cutting pin 1 and the blad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ere, the blade 22a of the processing pin 1a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outer side view.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공핀의 단면도이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ocessing pi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가공핀(1b)은 전술한 일실시예의 가공핀(1)과 칼날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여기서, 가공핀(1b)의 칼날(22b)은 내편도의 형상으로 형성 한다. The processing pin 1b shown in FIG. 7 is identical except for the shape of the cutting pin 1 and the blad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ere, the blade (22b) of the processing pin (1b)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inner piece.

도 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가공핀의 단면도이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ocessing pi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고하면, 제4실시예의 가공핀은 중공커터(20)의 제1내주면(23)에 탄성코어(30)의 밀림방지를 위한 밀림방지용 단턱(26)을 형성한다. 그리고, 탄성코어(30)의 일단에는 받침대(35)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대(35)는 상기 밀림방지용 단턱(26)이 스토퍼의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뒤로 밀리지 않도록 밀림방지용 단턱(26)에 수용된다. Referring to FIG. 8, the processing pin of the fourth embodiment forms a stepping prevention step 26 for preventing rolling of the elastic core 30 on the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3 of the hollow cutter 20. In addition, one end of the elastic core 30 forms a pedestal 35, and the pedestal 35 is accommodated in the anti-rolling step 26 so as not to be pushed back as the anti-stepping step 26 serves as a stopper. do.

또한, 탄성코어(30)의 중공홀(32)의 내부에는 볼(36)을 형성하여 삽입한다. 볼(36)은 예를 들면 실리콘을 사용할 수 있으며, 탄성코어(30)의 제1외주면(31)이 중공커터(20)의 제1내주면(23)에 밀착되어 탄성코어(3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중공커터(20)의 일단에 형성된 칼날(22c)은 비대칭인 역삼각형으로 형성한다. In addition, a ball 36 is formed and inserted into the hollow hole 32 of the elastic core 30. The ball 36 may be made of, for example, silicon, and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31 of the elastic core 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3 of the hollow cutter 20 so that the elastic core 30 is moved outward. Prevent deviations. The blade 22c formed at one end of the hollow cutter 20 is formed in an asymmetric inverted triangle.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중공커터의 모양이 원형인 것으로 하였으나, 타원형이나 사각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탄성코어도 중공커터의 모양에 대응하여 중공 내부로 삽입되도록 동일 형상으로 형성한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hollow cutter has a circular shape, bu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n oval or a square. In this case, the elastic core is formed in the same shap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hollow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ollow cutter.

또한, 탄성코어의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중공홀의 직경은 탄성코어의 직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경가능하며, 탄성코어의 직경이 작을 경우는 중공홀이 없는 경우로도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hollow ho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elastic core can be selectively changed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elastic core, if the diameter of the elastic core is small can be implemented even without the hollow hole.

이렇게 하여 본 고안은 가공핀의 내주면을 따라 단턱을 형성하여 공간을 확보하고 중공의 내부에 삽입된 탄성코어가 펀칭작업 시에 압축 및 복원될 때 상기 단턱으로 확보된 공간에 의해 체적변화가 용이하여 탄성력을 극대화할 수 있어 천공파지의 제거는 물론 펀칭작업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tep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cessing pin to secure a space, and when the elastic core inserted into the hollow is compressed and restored during the punching operation, the volume is easily changed by the space secured to the step. The elastic force can be maximized to remove perforated waste and maximize the efficiency of punching work.

본 고안은 다양한 종류의 펀치프레스용 가공핀에 적용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various kinds of processing pins for punch press.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가공핀의 사시도,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1a to 1c is a perspective view,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machining pin,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공핀의 사시도,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cessing pi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4는 도 2의 A-A'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2;

도 5a 내지 도 5c는 가공핀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5a to 5c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use state of the processing pin,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공핀의 단면도,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ocessing pi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공핀의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ocessing pi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가공핀의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ocessing pi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 : 가공핀 20 : 중공커터1: processing pin 20: hollow cutter

30 : 탄성코어 30: elastic core

Claims (7)

펀치 프레스용 가공핀에 있어서, In the processing pin for punch press, 단부에 가공재를 펀칭하기 위한 칼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부의 내주면에 단턱을 갖는 중공커터; 및A hollow cutter is formed at the end for punching the workpiece, the hollow cutter having a step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And 상기 중공커터의 중공에 삽입되며, 상기 중공커터의 외측으로 일단부가 돌출되는 탄성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 프레스용 가공핀.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hollow cutter, the punch pin processing pi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core protruding one end outward of the hollow cut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코어는 중공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 프레스용 가공핀.The punch pin of claim 1, wherein the elastic core forms a hollow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홀은 그 내부에 볼을 삽입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 프레스용 가공핀.The punch pin of claim 1, wherein the hollow hole inserts a ball into the hollow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은 역삼각형의 형상, 외편도 형상, 내편도 형상, 또는 비대칭 역삼각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 프레스용 가공핀.The punch pi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ade has a shape of an inverted triangle, an outer side shape, an inner side shape, or an asymmetric inverted triangle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커터는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 프레스용 가공핀.The punch pin of claim 1, wherein the hollow cutter is formed in a circular, elliptical, or square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커터는 상기 내주면에 상기 탄성코어를 고정지지하는 밀림방지용 단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 프레스용 가공핀.The punch pin of claim 1, wherein the hollow cutter further comprises a push step preventing step of fixing the elastic cor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코어는 밀림방지용 단턱에 지지되도록 상기 탄성코어의 단부에 받침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 프레스용 가공핀. The punch pin of claim 6, wherein the elastic core has a pedestal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elastic core so as to be supported by a step for preventing a roll.
KR2020090016133U 2009-12-11 2009-12-11 Pin for Punch Press KR20046203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133U KR200462036Y1 (en) 2009-12-11 2009-12-11 Pin for Punch Pr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133U KR200462036Y1 (en) 2009-12-11 2009-12-11 Pin for Punch Pre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090U true KR20110006090U (en) 2011-06-17
KR200462036Y1 KR200462036Y1 (en) 2012-08-21

Family

ID=49295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133U KR200462036Y1 (en) 2009-12-11 2009-12-11 Pin for Punch Pre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036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564B1 (en) * 2016-09-07 2017-03-15 장인환 Punch of presses for chip removal
KR20170109238A (en) * 2015-01-23 2017-09-28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집섬 컴파니 Wallboard punch assembly with stripper bushing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1437Y1 (en) * 1996-04-01 1999-04-01 심준경 Punch press pin
JP2004130461A (en) 2002-10-11 2004-04-30 Nippon Die Steel Kk Cutting die of die cutt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9238A (en) * 2015-01-23 2017-09-28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집섬 컴파니 Wallboard punch assembly with stripper bushings
US11466453B2 (en) 2015-01-23 2022-10-11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Wallboard punch assembly with stripper bushings
KR101714564B1 (en) * 2016-09-07 2017-03-15 장인환 Punch of presses for chip remov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036Y1 (en) 2012-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1057B2 (en) Punch auxiliary tool and punch with auxiliary tool
JP2013027886A (en) Press die
KR200462036Y1 (en) Pin for Punch Press
JP2005262263A (en) Punching device
KR20120129657A (en) Punching apparatus for pipe
CN202011026U (en) Novel paper knife tool bit
KR200381777Y1 (en) Punching machine having bookbinding function
KR101859490B1 (en) Misty chip removal device to punch pin
KR200141437Y1 (en) Punch press pin
CN112427554A (en) Core assembly and rotary cutting die
JP3905431B2 (en) Waste removal device
JP2009172612A (en) Pressing di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rocessed plate material
JP2005059058A (en) Bending die for press
CN204235625U (en) Box body multiaspect hole-forming device
KR200436122Y1 (en) Press Mold of Piercing Punch
JP6691710B2 (en) Chamfering method
ES2756624T3 (en) Board Punch Assembly with Puller Bushings
JP6769606B2 (en) Punch mold
JP3497120B2 (en) Waste removal device
JP4027792B2 (en) Punch mold, stripper plate used for the punch mold, and punch guide used for the punch mold
CN212042213U (en) Stamping die capable of achieving one-step stamping forming
CN211591924U (en) A portable drilling equipment for accounting document
JP5048400B2 (en) Positioning member
JP5210400B2 (en) Plier manufacturing method with replaceable jaw member and product thereof
KR200263261Y1 (en) punching head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