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398A - 3d 포인팅 디바이스, dtv, dtv의 제어방법 및 dtv 시스템 - Google Patents

3d 포인팅 디바이스, dtv, dtv의 제어방법 및 dtv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398A
KR20110005398A KR1020090062922A KR20090062922A KR20110005398A KR 20110005398 A KR20110005398 A KR 20110005398A KR 1020090062922 A KR1020090062922 A KR 1020090062922A KR 20090062922 A KR20090062922 A KR 20090062922A KR 20110005398 A KR20110005398 A KR 20110005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ing device
signal
indicator
display
oper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7264B1 (ko
Inventor
조상현
김주민
김규승
이장희
이재경
임영완
김시진
권육
이건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2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264B1/ko
Priority to PCT/KR2010/004188 priority patent/WO2011004979A2/ko
Priority to US13/383,146 priority patent/US8659708B2/en
Publication of KR20110005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08C2201/32Remote control based on movements, attitude of remote control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하여 제어되는 DTV에 있어서,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조작에 의하여 발생된 동작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동작신호가 수신되면, 이동 가능한 인디케이터 및 상기 인디케이터에 의하여 선택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팝업객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수신된 동작신호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되, 미리 설정된 제 1시간 동안 동작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인디케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사라지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설정된 시간 동안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3D 포인팅 디바이스가 동작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3D 포인팅 디바이스 전원 소모의 최적화를 통하여 3D 포인팅 디바이스 전원의 사용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3D 포인팅 디바이스, DTV, 동작신호, 인디케이터

Description

3D 포인팅 디바이스, DTV, DTV의 제어방법 및 DTV 시스템{3D POINTING DEVICE, DIGITAL TELEVISION, CONTROL METHOD AND SYSTEM OF DIGITAL TELEVISION}
본 발명은 3D 포인팅 디바이스, DTV, DTV의 제어방법 및 DTV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정된 시간 동안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3D 포인팅 디바이스가 동작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3D 포인팅 디바이스 전원 소모의 최적화를 통하여 3D 포인팅 디바이스 전원의 사용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3D 포인팅 디바이스, DTV, DTV의 제어방법 및 DTV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3D 포인팅 디바이스 또는 3D 리모트 콘트롤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전자 기기는 매우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최근 DTV(Digital Television)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싱의 방송 수신 기능 이외에도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의 수신, 양방 향 통신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DTV는 홈네트워크 환경 또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에서 서버의 기능까지 담당하는 경우도 있다.
DTV가 점차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가 제어해야 할 사항들도 많아지고 복잡해지게 되었다. 따라서 기존의 적외선 통신 방식의 리모콘으로는 이러한 복잡한 기능들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적외선 통신 방식의 리모콘을 3D 포인팅 디바이스로 대체할 수 있다. 그러나 3D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DTV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은 충분히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3차원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3D 포인팅 디바이스 고유의 특성을 DTV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연구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설정된 시간 동안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3D 포인팅 디바이스가 동작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3D 포인팅 디바이스 전원 소모의 최적화를 통하여 3D 포인팅 디바이스 전원의 사용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3D 포인팅 디바이스, DTV, DTV의 제어방법 및 DTV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는,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하여 제어되는 DTV에 있어서,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조작에 의하여 발생된 동작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동작신호가 수신되면, 이동 가능한 인디케이터 및 상기 인디케이터에 의하여 선택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팝업객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수신된 동작신호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되, 미리 설정된 제 1시간 동안 상기 동작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인디케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사라지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제 2시간 동안 상기 동작신호가 수신되지 않으 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팝업객체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사라지도록 하되, 상기 제 2시간은 상기 제 1시간 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시간과 상기 제 2시간의 사이에 상기 동작신호가 재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인디케이터를 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인디케이터가 사라진 위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앙부에 재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인디케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하되, 상기 인디케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앙부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인디케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하되,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팝업객체 중 선택된 빈도가 높은 팝업객체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지점이 상기 팝업객체가 표시된 영역 외부인 경우, 상기 표시된 팝업객체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사라지도록 하거나, 상기 표시된 팝업객체와 연관된 다른 팝업객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다른 팝업객체는, 상기 표시된 팝업객체에 포함된 아이템의 상위그룹 또는 하위그룹 중 어느 하나의 속하는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신호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모션센서에서 발생된 모션신호 또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마련된 키 버튼의 조작에 의한 버튼입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모션신호 또는 상기 버튼입력신호 중 어느 하 나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이동 가능한 인디케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동작신호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모션센서에서 발생된 모션신호 또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마련된 키 버튼의 조작에 의한 버튼입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모션신호 또는 상기 버튼입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팝업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튼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 가능한 인디케이터 또는 상기 팝업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동작신호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모션센서에서 발생된 모션신호 또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마련된 키 버튼의 조작에 의한 버튼입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가능한 인디케이터 및 상기 인디케이터에 의하여 선택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팝업객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모션신호 또는 상기 버튼입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의 제어방법은, 3차원 움직임을 감지하는 3D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동작신호에 기초한 DTV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동작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동 가능한 인디케이터 및 상기 인디케이터에 의하여 선택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팝업객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 1표시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제 1시간 동안 상기 동작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인디케이터가 사라지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제 2시간 동안 상기 동작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팝업객체가 사라지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시간은 상기 제 1시간 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팝업객체가 사라지는 단계 전에, 상기 제 1시간과 상기 제 2시간 사이에 상기 동작신호가 재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인디케이터를 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를 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디케이터가 사라진 위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앙부에 상기 인디케이터를 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 1표시단계는, 상기 동작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진행되되,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앙부에 상기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 1표시단계는, 상기 동작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진행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팝업객체 중에서 선택된 빈도가 높은 팝업객체 상에 상기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팝업객체가 사라지는 단계 전에, 상기 동작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지점이 상기 팝업객체가 표시된 영역 외부인 경우에, 상기 표시된 팝업객체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사라지거나, 상기 표시된 팝업객체와 연관된 다른 팝업객체를 표시하는 제 2표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팝업객체는, 상기 표시된 팝업객체에 포함된 아이템의 상위그룹 또는 하위그룹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신호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모션센서에서 발생된 모션신호 또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마련된 키 버튼의 조작에 의한 버튼입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 1표시단계는, 상기 모션신호 또는 상기 버튼입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한 경우에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가 사라지는 단계는, 상기 버튼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동작신호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모션센서에서 발생된 모션신호 또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마련된 키 버튼의 조작에 의한 버튼입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 1표시단계는, 상기 모션신호 또는 상기 버튼입력신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신되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는, 3D 포인팅 디바이스(3-Dimentional Pointing Device)에 있어서,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마련된 키 버튼의 조작을 감지하여 제 1신호를 발생하는 제 1입력부;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위치변화를 감지하여 제 2신호를 발생하는 제 2입력부; 상기 제 1,2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다른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제 1,2입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되도록 하는 활성모드 또는 비활성모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활성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제 1신호가 발생한 후 제 1설정시간 이내에 상기 제 2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활성모드를 제 2설정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비활성모드는, 상기 송신부의 송신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 다.
상기 비활성모드는, 상기 제 1입력부의 기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시스템은, DTV와 3D 포인팅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DTV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대한 조작에 의하여 동작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발생된 동작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송신부에서 송신된 동작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동작신호에 따라 이동 가능한 인디케이터 및 상기 인디케이터에 의하여 선택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팝업객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동작신호가 미리 설정된 제 1시간 동안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송신부의 기능을 비활성화 하여 상기 송신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신호가 미리 설정된 제 2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이동 가능한 인디케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팝업객체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 보다 먼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는 상기 이동 가능한 인디케이터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팝업객체는, 미리 설정된 제 3시간 동안 표시가 유지된 후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사라지되, 상기 제 3시간은 제 2시간 보다 길 수 있다.
상기 비활성화 된 송신부는 상기 동작신호가 발생되면 재 활성화 되며, 상기 재 활성화된 송신부에서 발생된 동작신호가 상기 제 2시간과 상기 제 3시간 사이에 상기 수신부에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동 가능한 인디케이터를 재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이동 가능한 인디케이터를 재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는, 상기 이동 가능한 인디케이터가 사라진 위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앙부에 재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동작신호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모션센서에서 발생된 모션신호 또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마련된 키 버튼의 조작에 의한 버튼입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상기 동작신호가 미리 설정된 제 1시간 동안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모션센서의 기능을 비활성화 할 수 있다.
상기 동작신호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모션센서에서 발생된 모션신호 또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마련된 키 버튼의 조작에 의한 버튼입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상기 동작신호가 미리 설정된 제 4시간 동안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모션센서의 기능을 비활성화 하되, 상기 제 4시간은 상기 제 1시간 보다 길 수 있다.
상기 동작신호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모션센서에서 발생된 모션신호 또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마련된 키 버튼의 조작에 의한 버튼입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상기 이동 가능한 인디케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팝업객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는, 상기 모션신호 또는 상기 버튼입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신되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 DTV, DTV의 제어방법 및 DTV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설정된 시간 동안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3D 포인팅 디바이스가 동작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3D 포인팅 디바이스 전원 소모의 최적화를 통하여 3D 포인팅 디바이스 전원의 사용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둘째, 3D 포인팅 디바이스가 동작신호의 송신을 중단하거나 그로부터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인디케이터가 사라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통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셋째, 팝업객체가 사라지기 전에 3D 포인팅 디바이스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키 버튼의 조작없이 3D 포인팅 다바이스를 움직이는 동작만으로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넷째,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의 중앙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인디케이터 표시 이후에 필요한 동작을 예측할 수 있다.
다섯째, 인디케이터를 사용빈도가 높은 아이템 상에 표시되도록 함으서서, 사용자가 최소한의 조작으로 원하는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여섯째, 사용자가 3D 포인팅 디바이스로 특정한 제스쳐를 취하면 DTV가 그에 매칭된 특정한 기능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일곱째, 상위 또는 하위그룹의 아이템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덟째, 팝업객체가 표시된 상태에서 방송화면이 다시 표시되도록 하기 위하 여 복수의 단계를 거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3D 포인팅 디바이스(3-Dimensional Pointing Device, 10)와 DTV(Digital Television, 20)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3D 포인팅 디바이스(10)는 3차원 움직임(motion)을 감지하여 DTV(20)로 감지된 3차원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3차원 움직임은 DTV(20)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에 대응될 수 있다. 사용자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공간상에서 움직임으로써 DTV(20)에 소정의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3D 포인팅 디바이스(10)는 각종 키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키 버튼을 통해 각종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DTV(20)는 방송국(30)으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DTV(20)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에 의해 인터넷(40)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외관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10)는 센서부(101)와, 키 버튼(102)과, 메모리(103)와, 송신부(104)와, 제어부(10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101)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3차원 움직임을 감지한다. 센서부(101)는 자이로 센서, 중력 감지 센서, 관성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이용하여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3차원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키 버튼(102)은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어, 키 버튼(102)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03)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105)에 의해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송신부(104)는 센서부(101)에 의해 감지된 움직임에 관한 정보 또는 키 버튼(102)을 통해 입력된 신호를 DTV(20)로 전송한다.
제어부(105)는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TV(20)는 제1 수신부(201)와, 제2 수신부(202)와, 디스플레이(203)와, 오디
오 출력부(204)와, 키 입력부(205)와, 메모리(206)와, 제어부(20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수신부(201)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제1 수신부(201)와 3D 포인팅 디바이스(10)는 RF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수신부(202)는 방송국(30)으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방송 신호는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신호는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3)는 제어부(207)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비디오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비디오 정보는, 제2 수신부(202)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 신호이거나, DTV(20)가 제공하는 각종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이거나, DTV(20)의 상태를 표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04)는 오디오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이다. 오디오 출력부(204)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키 입력부(205)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어, 키 입력부(205)는, DTV(20)의 전면 또는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206)는 DTV(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207)에 의해 DTV(20)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DTV(20)는 상기한 구성요소들 이외에도, 인터넷(40)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와, 방송국(30) 또는 인터넷(40)으로부터 수신되는 A/V(Audio/Video)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는 A/V 디코딩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A/V 디코딩 수단은, 소프트웨어적 처리 수단일 수도 있고, 별도의 멀티미디어 칩과 같은 하드웨어적 처리 수단일 수도 있다.
제어부(207)는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DTV(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한다.
본 발명에서는, DTV(20)가 3D 포인팅 디바이스(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DTV(20)로 전송하는 신호에 포함된 정보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포인팅 디바이스(10)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3차원 움직임에 관한 정보 자체를 DTV(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DTV(20)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3차원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여 DTV(20)가 제공하는 특정한 기능을 처리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3D 포인팅 디바이스(10)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3차원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여 DTV(20)가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에 관한 정보를 DTV(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DTV(10)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3차원 움직임에 관한 정보 자체는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3D 포인팅 디바이스(10)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3차원 움직임에 관한 정보와 3차원 움직임에 관한 정보가 일부 처리된 정보를 DTV(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DTV(1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수행을 위해 필요한 나머지 정보 처리를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일시예에 따른 DTV 시스템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DTV 시스템(10, 20)은 3D 포인팅 디바이스(10)와, 3D 포인팅 디방이스(10)에서 발생된 동작신호를 수신하여 작동하는 DTV(20)를 포함한다.
3D 포인팅 디바이스(10)는 동작신호를 발생시킨다. 동작신호는 모션센서(미도시)가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몸체의 3차원 공간 상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발생된 모션신호 또는 키 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발생된 버튼입력신호 일 수 있다. 또한, 동작신호는 모션신호와 버튼입력신호가 동시에 조합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흔드는 경우에는 모션신호가 발생하고, 사용자가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키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는 버튼입력신호가 발생하며,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흔들며 동시에 키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는 조합된 신호가 발생된다. 3D 포인팅 디바이스에서 발생된 동작신호는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송신부(도 3의 104)를 통하여 송신되어, DTV(20)의 제 1수신부(도 4의 201)을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DTV(20)에 마련된 수신부(도 4의 201)로 동작신호가 수신되면, DTV(20)의 제어부(도 4의 207)는 수신된 동작신호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제어신호는 DTV(20)가 특정 동작을 개시하도록 하거나, 개시된 동작이 중지되도록 하거나, 개시된 동작이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신호에 의하여 디스플레이(203)의 표시가 (a)와 같이 변화될 수 있다.
도 5의 (a)에 표시된 바와 같이, 3D 포인팅 디바이스(10)에서 발생된 동작신호가 DTV(20)에 수신되면, DTV(20)의 디스플레이(203)에 메뉴(M) 및 인디케이터(C)가 표시될 수 있다.
메뉴(M)는 팝업객체의 한 종류 일 수 있다. 팝업객체는 디스플레이(203)에 표시될 수 있는 각종 팝업창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팝업객체가 메뉴(M)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팝업객체는 볼륨조절, 채널변경, EPG화면의 표시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신된 동작신호가 메뉴(M)를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에 매칭되는 경우에, 메뉴(M)가 표시된다. 메뉴(M)에는 이에 관련된 아이템(M1, M2)이 표시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C)는 메뉴(M) 자체 혹은 이에 포함된 아이템(M1, M2)을 선택할 수 있다. 인티케이터(C)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에서 발생된 동작신호에 대응되어 디스플레이(203)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인디케이터(C)로서 화살표 모양의 커서인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인디케이터(C)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동작신호에 의하여 메뉴(M) 및 인디케이터(C)가 표시된 도 5의 (a)에서의 DTV 시스템(10, 2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의 (b)와 같이,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3차원 공간에서 D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그 이동 방향, 이동 범위, 이동 속도 등을 포함할 수 있는 모션신호에 기초하여 인디케이터(C)가 D1에 매칭된 방향, 범위,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c)와 같이,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D2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그 모션신호에 기초하여 인디케이터(C)가 D2 방향에 매칭된 방향, 범위,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시스템(10, 20)은 3차원 공간상의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동작에 대응하여 DTV(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시스템의 작동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시스템의 작동을 도 6 및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시스템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 7을 참조하여 도 6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DTV 시스템(10, 20)은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활성모드로 진입하는 단계(S110)를 포함할 수 있다.
활성모드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구성하는 각 구성이 통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에 반하여, 비활성모드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구성하는 각 구성 중 적어도 어느 일 부분의 기능이 제한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일 부분의 기능이 제한되는 비활성모드에서는 전력소모가 활성모드에 비하여 줄어들 수 있다. 활성모드에서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송신부(도 3의 104)는 DTV(20)의 제 1수신부(201)와 RF 통신하며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 그러나 비활성모드에 들어서며 송신부(도 3의 104)의 기능이 제한되어, RF 통신을 중단하면 그 만큼 전력 사용이 감소될 수 있다. 3D 포인팅 디바이스(10)는 DTV(20)와 별도로 마련된 이동 단말기이다. 따라서 3D 포인팅 디바이스(10)는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DTV(20)와는 별도의 경로로 획득하여야 하며, 통상적으로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에 내장된 베터리(미도시)를 전원으로 사용한다. 베터리(미도시)는 소모되면 주기적으로 교체하여 주거나, 재충전 하여야 한다. 배터리(미도시)의 교체, 재충전이 지나치게 빈번하면 사용자는 불편을 느낄 수 있어, 배터리(미도시)를 보다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포인팅 디 바이스(10)는, 활성모드와 비활성모드가 교번적(交番的)으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활성모드만 존재하는 경우에 비하여 배터리(미도시)의 사용 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만, 활성모드와 비활성모드의 전환은 DTV 시스템(10, 20)의 원활한 작동을 보장하는 한도내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시스템(10, 20)은 이를 최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시스템(10, 20)은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메뉴버튼(109)을 푸쉬하는 조작을 하거나,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몸체를 이동시킴으로서 활성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활성모드에 진입하면, 3D 포인팅 디바이스(10)는 DTV(20)와 통신을 개시한다. 또한, 비활성모드에서 모션센서(미도시)의 동작을 비활성화한 경우에는, 모션센서(미도시)의 기능도 활성화 할 수 있다. 다만, 주의할 점은, 모션센서(미도시)가 비활성화 되었다 함은, 모션센서(미도시)에 전원이 완전히 차단된 경우 또는 모션센서(미도시)에 최소한의 전원만이 공급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는 것이다. 모션센서(미도시)에 전원이 완전히 차단된 경우에는, 메뉴버튼(109)을 푸쉬하는 조작 등에 의하여 모션센서(미도시)가 작동할 수 있는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모션센서(미도시)에 최소한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는, 모션센서(미도시)가 모션을 인식할 수 있는 최소한의 대기상태에 있음을 의미한다. 대기상태의 모션센서(미도시)는 활성상태인 경우에 비하여 전원의 소비가 낮을 수 있다.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활성모드로 진입하여 통신을 개시하면, DTV(20)가 3D 포인팅 디바이스(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20)가 진행될 수 있다. 상 술한 바와 같이, 3D 포인팅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다양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명에서는, 메뉴(M)의 선택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서 다른 종류의 신호에 대한 설명에 갈음하도록 한다.
DTV(20)가 신호를 수신하면,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메뉴(M) 및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인디케이터(C)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S130)가 진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을 참조하여, S130 단계 이후의 DTV 시스템(10, 20)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메뉴(M) 및 인디케이터(C)가 디스플레이 되면, 이와 관련된 동작이 수행되는 단계(S140)가 진행될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공간상에서 움직이는 등의 동작을 통하여 인디케이터(C)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의 (a)의 동작을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전력소모 측면에서 고려한다면, 도 9의 t1에서 t2 사이의 동작으로 볼 수 있다. 도 9에서, C1 구간은 3D 포인팅 디바이스(10)에 전원공급이 완전히 차단된 제 1상태(V0)이고, C2 구간은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활성모드이어서 전원공급이 최대화된 제 2상태(V2)이며, C3 구간은 3D 포잉팅 디바이스(10)가 비활성모드이어서 전원공급이 최소화된 제 3상태(V1)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 8의 (a)와 같이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조 작하는 상태인 t1~t2 구간에서는 전력 소모가 V2에 이르게 된다.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동작이 일정시간 정지되었는가 여부를 판단(S150)하여, 3D 포인팅 디바이스가 비활성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단계(S160)가 진행될 수 있다.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조작하는 중간에도, 사용자가 잠시간 조작을 중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도 전력소모가 V2에 이르도록 함은, 3D 포인팅 디바이스(10)에 포함된 배터리(미도시)의 절약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동작이 일정시간 정지된 경우에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비활성모드인 제 3상태(V1)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비활성모드로 진입하면, 인디케이터(C)가 사라지도록 하는 단계(S160)가 진행될 수 있다.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뉴(M)는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인디케이터가 먼저 사라질 수 있다. DTV(20)와 3D 포인팅 디바이스(10) 간의 통신에 소모되는 전원은, 3D 포인팅 디바이스(10)에서 소모되는 전원의 상당부분을 차지한다. 따라서 통신에 사용되는 전원을 감소시키는 것은 배터리(미도시)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C)는 t3에 이르는 순간에 사라질 수 있다. 즉,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동작을 정지된 t2에서부터 일정시간 지난 t3가 되는 순간에,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비활성모드로 진입하며 인디케이터(C)가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라질 수 있다. 비활성모드로의 전환은, 3D 포인팅 디바이스(10)에 대한 조작이 정지된 순간인 t2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지나치게 빈번한 모드전환을 방지하기 위하여,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모션이 정지된 순간(t2)에서 일정한 시간 경과된 후(t3)에 모드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C)가 사라진 이후에, 3D 포인팅 디바이스(10)로부터 동작신호가 수신되었는가 여부를 판단(S180)한다. 3D 포인팅 디바이스(10)로부터 계속하여 동작신호가 미수신되는 상태에서, 메뉴(M)의 디스플레이 시간이 종료되면(S220), 메뉴(M)가 사라지도록 한다.
비활성모드에 진입한 t3 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t4에 이르기까지 동작신호가 계속하여 수신되지 않으면,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뉴(M)가 사라지도록 한다. 한편, 3D 포인팅 디바이스(10)에 대하여 사용자가 특정 동작을 함으로서도 메뉴(M) 및 인디케이터(C)가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C)가 사라진 이후에, 3D 포인팅 디바이스(10)로부터 동작신호가 수신되었는가 여부를 판단(S180)하여,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활성모드로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진입시키고(S190),인디케이터(C)를 디스플레이(S210) 한다.
사용자가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이동시키거나 메뉴버튼(109)을 조작하는 경우에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동작을 활성화함을 의미한다. 동작신호가 수신된 t5에서, 3D 포인팅 디바이스(10)는 전력소모가 최대화되는 제 2상태(V2)에 진입한다.
사용자가 특정 동작을 함으로서 활성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흔들거나,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키 버튼을 푸쉬하 는 동작을 통하여 활성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전력소모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10)에서는 전원공급이 c최대화된 제 2상태(V2)와 전원공급이 최소화된 제 3상태(V1)의 사이에, 제 4상태(V3)의 전원공급 상태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10)와 차별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활성모드에 전입하는 t1시점에서, 전원공급은 최대화되어 제 2상태(V2)가 된다.
전원공급이 최대화된 C2구간은 3D 포인팅 디바이스(10)에 대한 동작이 중지된 t2시점에서 중단될 수 있다. 즉, t2시점에서 제 4상태(V3)의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는 제 1비활성화모드인 C4구간이 진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 4상태(V3)의 전원공급이 이루어진 이후에도 t3 시점까지 3D 포인팅 디바이스(10)에 대한 동작이 없는 경우에는, 제 4상태(V3)에서보다 더 전원 소비가 줄어드는 제 2상태(V1)에 진입할 수 있다. t3 시점에서 인디케이터(C)는 사라질 수 있으며, 이를 제 2비활성화모드로 볼 수 있다.
제 2상태가 t4 시점까지 계속되면, 메뉴(M)도 사라질 수 있다. 메뉴(M)까지 사라지게 되면, 메뉴(M) 및 인디케이터(C)를 표시한 일련의 동작은 종료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조작하면, 활성화 모드로 진입한다. 활성화 모드에서 일정시간 조작이 없으면, t6 시점에서 제 1비활성화모드인 C4구간이 진행될 수 있다. 즉, 인디케이터(C)가 사라짐을 의미한다.
그런데 사용자가 t7 시점에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조작하면, 인디케이터(C)가 재 표시될 수 있다. 즉, 인디케이터(C)는 사라졌으나 메뉴(M)가 사라지기 전에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조작되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점에서, t7 시점은, 메뉴(M)까지 완전히 사라졌다가 메뉴(M)와 인디케이터(C)가 표시되는 t5 시점과 상이하다. 메뉴(M)가 사라지기 전에 3D 포인팅 디바이스(10)에 대한 조작이 이루어졌음은, t2~t3 구간에 비하여 t6~t7 구간이 좁은 경우를 보아도 알 수 있다. t7 시점에서의 DTV 시스템(10, 20)의 동작은, 도 10에 따른 DTV 시스템에서 인디케이터의 표시과정을 나타낸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의 (a)는 도 10의 t7 시점 직전의 상태이다. 즉, 메뉴(M)가 디스플레이(203)에 표시되어 있으나, 인디케이터(C)는 t6 시점에서 사리진 상태이다.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움직이면,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통신기능이 재개될 수 있다. 따라서 DTV(20)는 동작신호를 수신하게 되며, 동작신호를 수신한 DTV는 인디케이터(C)를 재 표시한다.
도 1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메뉴버튼(109)과 같은 키 버튼을 푸쉬할 수 있다. 키 버튼이 푸쉬됨으로 인하여 동작신호가 발생되고, 이를 수신한 DTV는 인디케이터(C)를 재 표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DTV 시스템에서 인디케이터의 표시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뉴(203)가 디스플레이(203)에 표시될 수 있다. 메뉴(M)만이 표시된 것은, 도 9의 t1, t5 내지는 도 10의 t1, t5, t10과 같이 메뉴(M)와 인디케이터(C)가 모두 사라졌다가 표시되는 순간 또는 도 10의 t7 시점과 같이 인디케이터(C)만이 사라져 있는 순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동작신호가 DTV(20)에 수신될 수 있다.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신호를 수신한 DTV(20)는 가로, 세로의 중심선(L1, L2) 상에 인디케이터(C)를 표시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C)가 항상 디스플레이(203)의 중앙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인디케이터(C)가 표시될 지점을 예측할 수 있어 다음 동작을 취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신호를 수신한 DTV(20)는 메뉴(M)의 특정한 아이템(M1) 상에 인디케이터(C)를 표시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C)가 표시되는 특정한 아이템(M1)은, 과거에 사용자가 선택한 빈도수가 높은 경우 등을 고려하여 선택되어질 수 있다. 인디케이터(C)가 빈도수 등을 고려하여 특정한 아이템(M1) 상에 표시되면, 선택을 위하여 인디케이터(C)를 이동시켜야 하는 후속 동작이 필요하지 않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시스템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시스템의 작 동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뉴버튼(109)을 푸쉬하는 조작 또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 자체를 이동하여 일정한 모션이 발생한 경우에 활성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다만,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이동시킨 경우에도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활성모드로 진입하게 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명확이 의도하여 메뉴버튼(109)을 푸쉬한 경우에 활성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DTV 시스템(10, 20)의 사용자는 DTV(20)를 통하여 방송 등을 시청할 수 있다. 방송을 시청하고 있던 사용자는, 메뉴버튼(109)을 푸쉬할 수 있다. 메뉴버튼(109)이 푸쉬되면, 이에 해당하는 신호가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송신부(도 2의 104)에서 발생된다. 발생된 신호는 DTV(20)의 제 1수신부(도 3의 201)에 수신된다.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가 수신되면, DTV(20)는 메뉴(M)와 인디케이터(C)를 표시할 수 있다. 메뉴(M)와 인디케이터(C)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인디케이터(C)를 이동시키며 원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메뉴(M)와 인디케이터(C)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일정시간 동안 3D 포인팅 디바이스(10)에 동작을 가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일정시간 동안 3D 포인팅 디바이스(10)에 동작을 가하지 않으면, 먼저 인디케이터(C)의 표시가 사라질 수 있다. 다 만, 인디케이터(C)의 표시가 사라진 이후에도 메뉴(M)는 디스플레이(203)에 표시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13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C)의 표시는 사라졌으나 메뉴(M)는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3D 포인팅 디바이스(10)에 동작을 가하면 인디케이터(C)가 다시 표시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3D 포인팅 디바이스(10)에 동작을 가하지 않으면, 설정된 시간이 흐른 뒤에 인디케이터(C)가 사라지며, 인디케이터(C)가 사라진 이후에도 계속하여 3D 포인팅 디바이스(10)에 동작을 가하지 않으면 메뉴(M)의 표시가 사라진다. 그런데 인디케이터(C)의 표시가 사라졌으나 아직 메뉴(M)의 표시가 사라지지 않은 상태에서 3D 포인팅 디바이스(10)에 동작을 가하면, 인디케이터(C)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3D 포인팅 디바이스(10)에 대한 동작은,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흔드는 동작일 수 있다. 따라서 버튼을 푸쉬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 없이,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집어드는 동작만으로도 인디케이터(C)를 다시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3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C)의 표시가 사라지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이후에도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통한 별도의 동작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메뉴(M)의 표시도 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버튼 조작 없이도 원하는 방송화면 등을 계속하여 시청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특정한 버튼을 조작하거나,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이용하여 특정한 모션을 취하는 경우에 메뉴(M)의 표시를 사라지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TV 시스템에서의 인디케이터 표시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TV 시스템(10, 20)은, 3D 포인팅 디바이스(10)에 의하여 표시되는 팝업객체가 볼륨조절 팝업창(VL)인 경우이다. 인디케이터(C)는 볼류조절 팝업창(VL)의 특정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볼륨조절 팝업창(VL)이 표시되면,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좌우로 움직이거나, 볼륨 키 버튼(106)을 푸쉬하는 동작을 통하여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TV 시스템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TV시스템(10, 20)은,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움직이거나, 3D 포인팅 디바이스(10)에 마련된 인디케이터 표시 키 버튼(108)을 푸쉬함으로서 인디케이터(C)가 디스플레이(203)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C)가 표시되면,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미리 설정된 특정한 D3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15의 (b)에서는, 일 예로서, 특정한 D3 방향이 시계방향의 회전인 것으로 표현하였다.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D3 방향으로 회전하며 동작신호를 송신하면, 이를 수신한 DTV(20)도 인디케이터(C)를 D3 방향에 대응된 D4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1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한 방향으로의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이동으로서, 메뉴(M)가 표시될 수 있다. 즉, DTV(20)의 특정 기능 수행을 위하여,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모션센서(미도시)를 이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DTV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03)에 표시된 메뉴(M)의 특정 아이템(M1)을 인디케이터(C)를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 특정 아이템(M1)은 화면설정인 경우로 한다.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설정이 선택되면 화면설정 아이템의 하위 아이템인 밝기 조절 아이템과 명암 조절 아이템을 포함하는 화면 설정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를 통하여 밝기 및 명암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밝기 및 명암의 조절을 끝내면 이전 메뉴 버튼(M7)을 선택하여, 도 16의 (a)에 도시한 상위 아이템들이 표시된 화면으로 돌아갈 수 있다. 또한, 도 16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된 화면 설정 메뉴 이외의 영역을 선택함으로서 도 16의 (a)에 도시한 상위 아이템들이 표시된 화면으로 돌아갈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TV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 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TV(20)는, 표시된 화면 설정 메뉴(SM) 이외의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에, 팝업창이 모두 사라지고 방송화면이 디스플레이(203)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TV(20)의 경우에는, 트리 구조의 메뉴를 하나씩 거슬러 올라가는 방식으로 메뉴 선택 팝업창을 벗어나는 경우에 비하여 빠르고 편리하게 메뉴 선택 팝업창의 표시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DTV의 제어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될 수 있다.본 발명에 의한 DTV의 제어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외관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일시예에 따른 DTV 시스템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시스템의 작동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시스템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전력소모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전력소모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DTV 시스템에서 인디케이터의 표시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DTV 시스템에서 인디케이터의 표시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 시스템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TV 시스템에서의 인디케이터 표시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TV 시스템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DTV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DTV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3D 포인팅 디바이스 20 : DTV
30 : 방송국 40 : 인터넷

Claims (34)

  1.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하여 제어되는 DTV에 있어서,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조작에 의하여 발생된 동작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동작신호가 수신되면, 이동 가능한 인디케이터 및 상기 인디케이터에 의하여 선택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팝업객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수신된 동작신호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되, 미리 설정된 제 1시간 동안 상기 동작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인디케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사라지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제 2시간 동안 상기 동작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팝업객체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사라지도록 하되, 상기 제 2시간은 상기 제 1시간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시간과 상기 제 2시간의 사이에 상기 동작신호가 재 수신되면, 상 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인디케이터를 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인디케이터가 사라진 위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앙부에 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인디케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하되, 상기 인디케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앙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인디케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하되,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팝업객체 중 선택된 빈도가 높은 팝업객체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지점이 상기 팝업객체가 표시된 영역 외부인 경우, 상기 표시된 팝업객체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사라지도록 하거나, 상기 표시된 팝업객체와 연관된 다른 팝업객체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팝업객체는,
    상기 표시된 팝업객체에 포함된 아이템의 상위그룹 또는 하위그룹 중 어느 하나의 속하는 아이템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신호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모션센서에서 발생된 모션신호 또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마련된 키 버튼의 조작에 의한 버튼입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모션신호 또는 상기 버튼입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이동 가능한 인디케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신호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모션센서에서 발생된 모션신호 또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마련된 키 버튼의 조작에 의한 버튼입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모션신호 또는 상기 버튼입력신호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팝업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튼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 가능한 인디케이터 또는 상기 팝업객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사라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신호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모션센서에서 발생된 모션신호 또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마련된 키 버튼의 조작에 의한 버튼입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가능한 인디케이터 및 상기 인디케이터에 의하여 선택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팝업객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모션신호 또는 상기 버튼입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13. 3차원 움직임을 감지하는 3D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동작신호에 기초한 DTV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동작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동 가능한 인디케이터 및 상기 인디케이터에 의하여 선택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팝업객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 1표시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제 1시간 동안 상기 동작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인디케이터가 사라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DTV의 제어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제 2시간 동안 상기 동작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팝업객체가 사라지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시간은 상기 제 1시간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의 제어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팝업객체가 사라지는 단계 전에,
    상기 제 1시간과 상기 제 2시간 사이에 상기 동작신호가 재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인디케이터를 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의 제어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를 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디케이터가 사라진 위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앙부에 상기 인디케이터를 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의 제어방법.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표시단계는,
    상기 동작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진행되되,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앙부에 상기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의 제어방법.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표시단계는,
    상기 동작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진행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팝업객체 중에서 선택된 빈도가 높은 팝업객체 상에 상기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의 제어방법.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팝업객체가 사라지는 단계 전에,
    상기 동작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지점이 상기 팝업객체가 표시된 영역 외부인 경우에, 상기 표시된 팝업객체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사라지거나, 상기 표시된 팝업객체와 연관된 다른 팝업객체를 표시하는 제 2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의 제어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팝업객체는,
    상기 표시된 팝업객체에 포함된 아이템의 상위그룹 또는 하위그룹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 아이템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의 제어방법.
  21.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신호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모션센서에서 발생된 모션신호 또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마련된 키 버튼의 조작에 의한 버튼입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 1표시단계는,
    상기 모션신호 또는 상기 버튼입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한 경우에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의 제어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가 사라지는 단계는,
    상기 버튼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의 제어방법.
  23.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신호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모션센서에서 발생된 모션신호 또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마련된 키 버튼의 조작에 의한 버튼입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 1표시단계는,
    상기 모션신호 또는 상기 버튼입력신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신되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의 제어방법.
  24. 3D 포인팅 디바이스(3-Dimentional Pointing Device)에 있어서,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마련된 키 버튼의 조작을 감지하여 제 1신호를 발생하는 제 1입력부;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위치변화를 감지하여 제 2신호를 발생하는 제 2입력부;
    상기 제 1,2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다른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제 1,2입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되도록 하는 활성모드 또는 비활성모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활성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제 1신호가 발생한 후 제 1설정시간 이내에 상기 제 2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활성모드를 제 2설정시간 동안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포인팅 디바이스.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모드는,
    상기 송신부의 송신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포인팅 디바이스.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모드는,
    상기 제 1입력부의 기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포인팅 디바이스.
  27. DTV와 3D 포인팅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DTV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대한 조작에 의하여 동작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발생된 동작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송신부에서 송신된 동작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동작신호에 따라 이동 가능한 인디케이터 및 상기 인디케이터에 의하여 선택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팝업객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동작신호가 미리 설정된 제 1시간 동안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송신부의 기능을 비활성화 하여 상기 송신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시스템.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신호가 미리 설정된 제 2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이동 가능한 인디케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팝업객체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 보다 먼저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사라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시스템.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는 상기 이동 가능한 인디케이터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팝업객체는, 미리 설정된 제 3시간 동안 표시가 유지된 후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사라지되, 상기 제 3시간은 제 2시간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시스템.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화 된 송신부는 상기 동작신호가 발생되면 재 활성화 되며,
    상기 재 활성화된 송신부에서 발생된 동작신호가 상기 제 2시간과 상기 제 3시간 사이에 상기 수신부에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동 가능한 인디케이터를 재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시스템.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한 인디케이터를 재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는,
    상기 이동 가능한 인디케이터가 사라진 위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앙부에 재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시스템.
  32. 상기 27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신호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모션센서에서 발생된 모션신호 또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마련된 키 버튼의 조작에 의한 버튼입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상기 동작신호가 미리 설정된 제 1시간 동안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모션센서의 기능을 비활성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시스템.
  33. 상기 27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신호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모션센서에서 발생된 모션신호 또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마련된 키 버튼의 조작에 의한 버튼입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상기 동작신호가 미리 설정된 제 4시간 동안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모션센서의 기능을 비활성화 하되, 상기 제 4시간은 상기 제 1시간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시스템.
  34.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신호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모션센서에서 발생된 모션신호 또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마련된 키 버튼의 조작에 의한 버튼입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상기 이동 가능한 인디케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팝업객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는, 상기 모션신호 또는 상기 버튼입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신되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시스템.
KR1020090062922A 2009-07-10 2009-07-10 3d 포인팅 디바이스, dtv, dtv의 제어방법 및 dtv 시스템 KR101607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922A KR101607264B1 (ko) 2009-07-10 2009-07-10 3d 포인팅 디바이스, dtv, dtv의 제어방법 및 dtv 시스템
PCT/KR2010/004188 WO2011004979A2 (ko) 2009-07-10 2010-06-28 3d 포인팅 디바이스, dtv, dtv의 제어방법 및 dtv 시스템
US13/383,146 US8659708B2 (en) 2009-07-10 2010-06-28 3-D pointing device, DTV, method of controlling the DTV, and DTV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922A KR101607264B1 (ko) 2009-07-10 2009-07-10 3d 포인팅 디바이스, dtv, dtv의 제어방법 및 dtv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398A true KR20110005398A (ko) 2011-01-18
KR101607264B1 KR101607264B1 (ko) 2016-04-11

Family

ID=43429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922A KR101607264B1 (ko) 2009-07-10 2009-07-10 3d 포인팅 디바이스, dtv, dtv의 제어방법 및 dtv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59708B2 (ko)
KR (1) KR101607264B1 (ko)
WO (1) WO201100497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825A (ko) * 2017-07-06 2020-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71027B2 (en) * 2011-01-30 2016-02-23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586321B1 (ko) * 2015-03-11 2016-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262A (ko) * 2002-08-30 2004-03-09 윤용상 펜 타입의 다기능 마우스 입력장치
US7961909B2 (en) * 2006-03-08 2011-06-14 Electronic Scripting Products, Inc. Computer interface employing a manipulated object with absolute pose detection component and a display
KR100548022B1 (ko) * 2004-01-30 2006-02-02 박명관 핸드헬드 3차원 움직임 지시장치의 호스트 시스템
US7826641B2 (en) * 2004-01-30 2010-11-02 Electronic Scripting Product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absolute pose of a manipulated object in a real three-dimensional environment with invariant features
EP1714207A2 (en) * 2004-01-30 2006-10-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3-d cursor control system
DE202005022038U1 (de) * 2004-04-30 2012-07-12 Hillcrest Laboratories, Inc. Freiraum-Zeigevorrichtungen mit Neigungskompensation und verbesserter Benutzbarkeit
KR20080003788A (ko) * 2005-02-14 2008-01-08 힐크레스트 래보래토리스, 인크. 3d 포인팅을 이용하여 텔레비젼 어플리케이션을향상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
US8291346B2 (en) * 2006-11-07 2012-10-16 Apple Inc. 3D remote control system employing absolute and relative position detection
US9335912B2 (en) * 2007-09-07 2016-05-10 Apple Inc. GUI applications for use with 3D remote controller
KR101426082B1 (ko) * 2007-10-04 2014-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대상장치를 원격제어하는 방법및 그 시스템
US8395660B2 (en) * 2007-12-13 2013-03-12 Apple Inc. Three-dimensional movie browser or editor
KR101646953B1 (ko) * 2010-01-12 2016-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825A (ko) * 2017-07-06 2020-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04979A2 (ko) 2011-01-13
US20120162516A1 (en) 2012-06-28
WO2011004979A3 (ko) 2011-03-31
US8659708B2 (en) 2014-02-25
KR101607264B1 (ko) 2016-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3656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EP2823647B1 (en) Device, method and timeline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home devices
US9210459B2 (en) Operation terminal, electronic unit, and electronic unit system
KR102003544B1 (ko) 디스플레이 금지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을 사용하여 원격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및 매체들
US9513802B2 (en) Methods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on a remote control devic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applying the same
CN105144257A (zh) 用于提供具有多个模式的增强的遥控器的系统、方法以及介质
US20130155334A1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7647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값을 변경하는 방법
US20130271404A1 (en) Remote controller equipped with touch pa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5012191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멀티 뷰 디스플레이 방법
EP2341492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 screen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3025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3143139A (ja) 入力装置、ディスプレイ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US9753561B2 (en)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input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US20120004740A1 (en) Input device and input method
KR20110005398A (ko) 3d 포인팅 디바이스, dtv, dtv의 제어방법 및 dtv 시스템
KR101451942B1 (ko) 카테고리를 변경하는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셋톱박스
US20140204042A1 (en) Display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PH12015500078B1 (en) A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US10073611B2 (en) Display apparatus to display a mirroring scree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171990B1 (ko)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의 정보 제공 방법과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 및 원격 제어 장치의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 제어 방법과 원격 제어 장치
US20170332129A1 (en) Image processing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using the same
KR20150081176A (ko) 원격 제어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그리고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34019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080113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기기 및 그 동작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