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308U - 부상품이 내장된 기념패 - Google Patents

부상품이 내장된 기념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308U
KR20110005308U KR2020090015132U KR20090015132U KR20110005308U KR 20110005308 U KR20110005308 U KR 20110005308U KR 2020090015132 U KR2020090015132 U KR 2020090015132U KR 20090015132 U KR20090015132 U KR 20090015132U KR 20110005308 U KR20110005308 U KR 201100053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commemorative
display panel
stand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9520Y1 (ko
Inventor
정영란
Original Assignee
정영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란 filed Critical 정영란
Priority to KR20200900151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520Y1/ko
Publication of KR201100053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3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5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5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2Frames or housings for storing medals, badges, or the like

Abstract

본 고안은 기념패를 별도의 지지다리없이 간편하게 세워서 진열할 수 있도록 하고, 몸체내에 부상품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표시판을 통하여 회전식으로 개폐작동되도록 구성하여 기념패와 함께 증정되는 금, 은, 기념주화 등의 부상품을 보다 용이하게 보관 및 증정할 수 있도록 하며, 외관에 따른 상품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부상품이 내장되는 기념패에 관한 것이다.
이는 수직으로 설치되면서 일측에는 회동허용홈(12)을 가지는 설치홈(1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전,후 관통되어 힌지부재(50)가 체결되는 축공(13)이 형성된 스탠드(10)와; 상기 스탠드(10)의 설치홈(11)내에 삽입체결되어 힌지부재(50)에 의해 축결합되고, 전면에는 부상품이 수납되는 수납실(21)이 형성되는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전면에서 역시 힌지부재(50)에 의해 축결합되어 회전작동되고, 수납실(21)과 일치되는 위치에는 걸림턱(33)을 가지는 표시공(32)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기념내용(31)이 새겨지는 표시판(30)과; 상기 몸체(20)의 수납실(21)내에 스폰지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41)에 의해 수납되고, 현금화하거나 거래수단으로 통용될 수 있는 금,은 등의 귀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부상품(40):으로 구성된 것이다.
기념패, 상패, 감사패, 부상품, 기념주화.

Description

부상품이 내장된 기념패{A memorial tablet}
본 고안은 부상품이 내장되는 기념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념패를 별도의 지지다리없이 간편하게 세워서 진열할 수 있도록 하고, 몸체내에 부상품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표시판을 통하여 회전식으로 개폐작동되도록 구성하여 기념패와 함께 증정되는 금, 은, 기념주화 등의 부상품을 보다 용이하게 보관 및 증정할 수 있도록 하며, 외관에 따른 상품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부상품이 내장되는 기념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정한 날을 기념하기 위한 기념패나 특정인의 공로 치하하기 위하여 증정되는 감사패, 또는 각종 상으로 수여되는 상패, 기타 근속패, 공로패 등(이하 "기념패"라 함)은 그 사용용도에 따라 명칭을 달리하여 사용되고는 있으나 대부분 유사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념패는 사용되는 재질이나 형상, 모양 등에 따라 여러 가지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대체적인 구성은 사용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특정한 형태를 가지는 기념패의 몸체 전면에 각종 기념문구나 그림, 사진 등의 기념내용이 새겨져 구성된다.
이러한 기념패는 그 자체만을 증정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대부분 기념패와 함께 별도의 부상품을 지급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고, 이러한 경우 기념패와 부상품은 각각 별개의 케이스에 포장되어 따로 증정됨으로써 비용면이나 편리성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매우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원 출원인은 기념패의 내부에 별도의 부상품을 수납하여 증정토록 하는 부상품이 내장된 기능성 기념패를 실용신안등록 제219692호로서 제안한 바 있다.
이는 단순히 기념내용만을 새겨넣은 종전의 기념패에서 탈피하여 부상품을 기념패의 내부에 직접 내장하여 증정하는 새로운 형태의 기념패로서, 두 개의 전,후 판체를 보울트 및 너트나 자석 등으로서 상호 조립 및 분해 가능토록 구성하면서도 이의 내부에는 즉시 현금화할 수 있거나 또는 거래수단으로 통용가치가 있는 금, 은 등의 귀금속으로 이루어진 판체형의 기념판을 내장하면서도 이 기념판의 전면에는 각종 기념내용을 새겨 넣어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은 기념패와 함께 증정되는 부상품이 판체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기념패의 전체적인 구조를 극히 제한적으로 구성할 밖에 없어 기념패의 제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데, 증정하고자 하는 부상품이 기념주화와 같은 원형이나 사각형은 물론이고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성형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적용이 매우 어려운 문제 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본원 출원인은 실용신안 등록 제384598호와 제427041호를 개량고안하여 제안한 바 있다.
상기의 구성에서 전자의 경우는 판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기념패와, 상기 기념패를 보관하면서도 뚜껑에 의해 개폐되는 수납케이스와, 상기 수납케이스의 하부에 별도로 부상품을 수납보관할 수 있는 보관서랍을 슬라이드식으로 설치토록 한 것이다.
이는 부상품을 별도의 보관서랍으로 보관토록 하면서도 보관서랍을 슬라이드식으로 개폐토록 구성한 것으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에 따른 어려움과 더불어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부상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시각적인 효과가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후자의 구성은 부상품을 내부에 직접이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실을 가지는 기념패의 몸체와, 이 몸체의 전면에서 수납실을 슬라이드식으로 개폐토록 하는 표시판으로 구성하고, 상기 표시판의 전면에 각종 기념문구를 새겨 넣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의 구성은 선등록 고안에서 요구되는 기능은 충분히 만족시킬수 있을지라도 표시판을 슬라이드식으로 개폐토록 구성함에 따라 구성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음과 더불어 표시판이 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진열하기 위하여서는 별도의 지지다리가 필연적으로 필요한 등의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선등록 고안의 문제점을 개량 고안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기념패를 별도의 지지다리 없이 일측의 스탠드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세워서 진열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그대로 포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 및 사용에 따른 편리성을 도모하고, 몸체의 전면에는 즉시 현금화하거나 거래수단으로 통용될 수 있는 금, 은 등의 귀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부상품을 용이하게 수납토록 함으로써 제품성과 더불어 장식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부상품을 내장한 수납실을 전면의 표시판을 이용하여 회전식으로 개폐토록 구성하여 부상품의 수납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부상품이 내장되는 기념패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새로운 형태의 기념패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기념패는 부상품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는 수납실을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면에서 회전식으로 수납실을 개폐작동시키면서도 각종 기념내용이 표시되는 표시판과, 상기 몸체와 표시판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면서도 이들을 힌지로 체결하여 지지다리의 기능을 제공토록 하는 스탠드로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지지다리가 필요치 않은 독특한 형태의 기념패를 제공함과 동 시에, 각종 부상품을 효과적으로 수납할 수 있고, 또한 표시판을 회전식으로 개폐토록 구성하여 부상품의 수납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기념패의 전면에 즉시 현금화하거나 거래수단으로 통용될 수 있는 기념주화 또는 금, 은 등의 귀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각종 부상품을 직접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부상품의 수납효율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부상품이 시각적으로 보이게 되어 기념패의 가치상승 및 제품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부상품이 내장되는 몸체의 전면에 별도의 표시판을 설치하여 힌지를 지지점으로 회전식으로 개폐작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부상품의 수납 및 인출에 따른 기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기념패의 일측에 스탠드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전체적으로 기념패를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지지다리가 필요치 않고도 간편하게 세워서 진열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별도의 절첩에 따른 작동이 없이도 그대로 포장 및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몸체와 표시판을 비롯한 스탠드를 투명 또는 반투명 등은 물론이고, 여러 가지 다양한 재질로 제조할 수 있음에 따라 제품성의 향상과 더불어 호환성을 가지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1 내지 도4은 본 고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5 내지 도9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10 및 도11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 도12 이하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부호 100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기념패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으며, 이의 기념패(100)는 크게 구분하여 수직으로 설치되어 전체적인 지지력을 제공토록 하는 스탠드(10)와, 상기 스탠드(10)에 힌지로 축결합되면서 판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에는 부상품이 수납되는 수납실을 가지는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전면에서 힌지를 지지점으로 회전작동되어 수납실을 개폐토록 하면서도 각종 기념내용이 새겨지는 표시판(30)과, 상기 몸체(20)내의 수납실에 수납되면서 즉시 현금화하거나 거래수단으로 통용될 수 있는 금,은 등의 귀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부상품(4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기념패(100)를 각 부분별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여 보면, 상기 스탠드(10)는 기념패(100)의 전체적인 지지력을 제공토록 하는 것으로, 수직으로 설치되면서 일측방향으로 개구되는 설치홈(11)이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설치홈(11)의 내측벽 전면에는 표시판(30)이 회동작동될 수 있는 회동허용홈(12)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몸체(20)와 표시판(30)을 힌지부재(50)로 결합하기 위한 축공(13)이 전,후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11)에는 몸체(20)와 표시판(30)이 전,후 중첩되는 형태로 힌지부재(50)에 의해 나란히 축결합되고, 몸체(20)는 일측단면이 설치홈(11)내에 긴밀히 밀착됨으로써 유동없이 고정설치되는 반면에 상기 표시판(30)은 회동허용홈(12)에 의해 힌지부재(50)를 지지점으로 일정범위내에서 회동작동이 가능토록 구성된다.
이때 회동허용홈(12)은 표시판(30)이 힌지부재(50)를 지지점으로 회전작동시 관섭을 받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작동될 수 있도록 일부만 홈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스탠드(10)는 목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금속, 유리, 합성수지 등의 여러 가지 재질로도 성형될 수 있으며, 후술할 몸체(20)와 표시판(30) 등과 다른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몸체(20)는 상기 기념패(100)의 전체적인 외형을 유지하는 대략 판체형으로 구성되면서 스탠드(10)와 힌지부재(50)로 축결합되어 일체형으로 고정설치되고, 아크릴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나 목재, 유리 등의 여러 가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20)의 전면 일측에는 별도의 부상품(40)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실(21)이 전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이 수납실(21)은 수납하고자 하는 부상품(40)의 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 모양으로 달리할 수 있다.
즉, 부상품(40)이 기념주화와 같이 원형일 경우에는 원형의 홈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종 기념 캐릭터나 동식물을 비롯한 여러 가지 형상에 따라 달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표시판(30)은 몸체(20)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전면에서 중첩되게 설치되고, 역시 힌지부재(50)에 의해 스탠드(10)와 축결합되어 이의 힌지부재(50)를 지지점으로 회전작동이 가능토록 구성된다.
즉, 상기 표시판(30)은 스탠드(10)의 설치홈(11)내에 형성되는 회동허용홈(12)에 의해 힌지부재(50)를 지지점으로 회전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표시판(30)은 몸체(20)의 전면에 설치됨에 따라 몸체(20)의 수납실(21)을 개폐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되며, 전면의 표면에는 각종 기념문구나 기념도안 등의 기념내용(31)이 인쇄, 부식 또는 음각, 양각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새겨져 구성되고, 일측에는 부상품(40)이 수납되는 수납실(21)의 전면으로 위치되는 표시공(32)이 전후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기념내용(31)은 통상에서와 같이 기념패(100)의 목적에 맞게 각종 기념문구가 도안, 사진, 그림 등이 새겨져 구성되고, 표시판(30)을 유리, 아크릴, 크리스탈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투명체로 형성함으로써 전면은 물론이고 후면에 새겨 넣을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표시판(30)을 목재, 합성수지 등의 불투명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상기 표시공(32)은 몸체(20)의 수납실(21)에 수납되는 부상품(40)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후 관통되게 형성되어 시각적인 효과를 갖도록 하는 기능 과 더불어 표시판(30)을 개폐작동시 부상품(40)을 눌러주는 기능을 제공하게 되며, 표시공(32)의 내주면에는 부상품(40)이 외측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안정되게 수납되도록 하는 걸림턱(3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20)의 수납실(21)에 수납되는 부상품(40)은 기념주화나 또는 즉시 현금화할 수 있거나 그 자체로 거래수단으로 통용가치가 있는 금, 은 등의 귀금속으로 형성되어 부상으로 증정되는 것이며, 수여자는 기념패와는 관계없이 현금화할 수가 있다.
이러한 부상품(40)은 기념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납실(21) 역시 부상품(4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부상품(40)이 수납되는 수납실(21)내에는 일정한 탄성을 가지는 스폰지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41)가 설치되어 이의 탄력에 의해 부상품(40)이 항상 전방으로 전진작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부상품(40)은 표시공(32)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33)에 걸려져 안정된 상태로 수납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부상품(40)이 탄성부재(41)의 탄력에 의해 전진작동되어 그 일부가 표시공(32)의 내주면 걸림턱(33)에 걸려져 고정됨으로써 수납실(21)내에 안정되게 수납되는 효과와 더불어, 몸체(20)의 전면에서 표시판(30)이 유동없이 안정되게 고정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탄성부재(41)는 본 고안에서는 탄성을 가지는 스폰지를 적용하고는 있으나, 이와는 달리 도14에서 보듯이 스프링(42)을 사용하거나 기타 탄력을 가지는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20)와 표시판(30)의 일측 소정위치에는 자력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가지는 것으로, 이는 몸체(20)와 표시판(30)의 소정위치에 자석(60)(61)이 각각 설치되어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탠드(10)에 판체형으로 이루어지는 몸체(20)와 표시판(30)이 전,후 중첩되는 상태로 힌지부재(50)에 의해 축결합되고, 상기 몸체(20)내의 수납실(21)에는 기념주화 또는 금,은 등의 귀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부상품(40)이 수납됨과 동시에 표시판(30)에는 목적하는 기념내용(31)이 새겨진 상태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기념패(100)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탠드(10)의 밑면과 더불어 몸체(20) 및 표시판(30)의 밑면이 동시에 지면에 닿기 때문에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분해나 절첩 등에 따른 작업이 없이도 어디든지 안정되게 세워서 진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대로 포장상자에 포장하여 안정되게 운반 및 보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기념패(100)는 부상품(40)이 표시판(30)의 표시공(32)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부상품(40)이 가지는 질감이 그대로 연출되어 제품성이 향상되는 것이고, 이의 부상품(40)은 후면에 설치되는 스폰지, 스프링,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41)의 탄력에 의해 전진작동되어 그 외주연이 표시공(32)의 걸림턱(33)에 걸려져 안정되게 수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20)와 표시판(30)의 일측에는 각각 자석(60)(61)이 설치되어 이들의 자력에 의해 항상 정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상품(40)이 탄성부재(41)의 탄성에 의해 표시판(30)의 걸림턱(33)에 결합됨으로써 기념패의 전체적인 결합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부상품(40)을 인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의 도9에서 보듯이 표시판(30)의 표시공(32)을 통하여 부상품(40)을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면, 부상품(40)은 탄성부재(41)를 압축하면서 수납실(21)내로 밀려나 걸림턱(33)으로 부터 이탈됨으로써 표시판(30)을 회전작동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표시판(30)을 도10에서 보듯이 회전작동시키게 되면, 표시판(30)은 힌지부재(50)를 지지점으로 회전됨으로써 도11에서와 같이 몸체(20)의 수납실(21)이 완전히 개방되고, 이에 따라 수납실(21)내에 수납된 부상품(40)을 간편하게 인출할 수가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회전작동되는 표시판(30)은 일측단이 스탠드(10)의 설치홈(11)내에 형성된 회동허용홈(12)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회전이 허용됨으로써 회전식으로 개폐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면의 도12 및 도13 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의 경우 전자는 표시판(30)을 투명체로 형성하면서도 몸체(20)의 전면에 기념내용(31)을 새겨넣은 것이고, 후자는 몸체(20)의 전면에 설치홈(35)을 형성하여 기념내용(31)이 새겨진 별도의 내용판(36)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는 내용판(36)이 별도의 제품으로 설치되는 것임에 따라 몸체(20)와 표시 판(30)과는 다른 재질로 형성하거나 또는 여러 가지 색상을 가미한 것으로 설정할 수가 있음에 따라 다양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표시판(30)을 투명체로 형성하면서도 기념내용(31)을 표시판(30)의 뒷면에 새겨 넣을 수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로서는 첨부된 도면의 도1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20)의 수납실(21)내에 스폰지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41)를 대신하여 스프링(42)으로 형성함으로써 탄성을 배가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고무, 합성수지 등 기타 탄성체를 사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15 에서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스탠드(10)의 설치홈(11)내에 회동허용홈(12)을 형성하지 않고 표시판(30)의 일측단 모서리부분을 설치홈(11)의 내벽면에 닿지 않도록 라운드면(34)을 형성함으로써 개폐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로서는 도16 내지 도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념패(100a)의 스탠드(10a)를 수직형이 아니라 수평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스탠드(10a)의 설치홈(11)내에에 결합되는 몸체(20a)와 표시판(30a)을 일측의 힌지부재(50a)로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표시내용(31)이 시각적인 범위를 높일 수가 있음은 물론이고 독특한 심미감이나 안정감을 제공할 수가 있다.
이때, 상기 수평형 구성에 관련하여 또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의 도19 및 도20 에서 나타내고 있다.
이의 경우는 도면에서도 보는 바와 같이 스탠드(10a)의 설치홈(11)내에 몸 체(20a)와 표시판(30a)을 전,후 중첩되게 체결한 상태에서 일측의 축공(13)을 통하여 고정보울트(51) 및 너트(52)로 고정시켜 분해 및 조립이 가능토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진열시에는 고정보울트(51)와 너트(52)를 이용하여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고, 이와 반면에 부상품(40)을 수납 및 인출하기 위하여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보울트(51)와 너트(52)를 간편히 풀어서 분해할 수가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각 부분의 구성은 전술한 내용과 동일함으로써 작동관계는 생략하기로 할 뿐만 아니라 도면부호 역시 동일하게 명기하도록 하고, 이 밖에도 도면에서는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 도3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도3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도3의 C-C선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 부상품 수납실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9는 본 고안 도8의 작동상태도
도 10 및 도11은 본 고안 표시판의 개방되는 작동상태도
도 12 내지 도2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00a:기념패 10,10a:스탠드
11:설치홈 12:회동허용홈
13:축공 20,20a:몸체
21:수납실 30,30a:표시판
31:기념내용 32:표시공
33:걸림턱 34:라운드면
35:설치홈 36:내용판
40:부상품 41:탄성부재
42:스프링 50,50a:힌지부재
51:고정보울트 52:너트
60,61:자석

Claims (7)

  1. 수직으로 설치되면서 일측에는 회동허용홈(12)을 가지는 설치홈(1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전,후 관통되어 힌지부재(50)가 체결되는 축공(13)이 형성된 스탠드(10)와;
    상기 스탠드(10)의 설치홈(11)내에 삽입체결되어 힌지부재(50)에 의해 축결합되고, 전면에는 부상품이 수납되는 수납실(21)이 형성되는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전면에서 역시 힌지부재(50)에 의해 축결합되어 회전작동되고, 수납실(21)과 일치되는 위치에는 걸림턱(33)을 가지는 표시공(32)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기념내용(31)이 새겨지는 표시판(30)과;
    상기 몸체(20)의 수납실(21)내에 스폰지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41)에 의해 수납되고, 현금화하거나 거래수단으로 통용될 수 있는 금,은 등의 귀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부상품(4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품이 내장된 기념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0)와 표시판(30)은 일측 소정위치에 자석(60)(61)이 각각 설치되어 이의 자력에 의해 항상 정위치에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품이 내장된 기념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판(30)은 투명체로 형성되고, 몸체(20)의 표면에 기념내용(31)이 형성되어 표시판(30)을 통하여 투시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품이 내장된 기념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0)의 표면에는 설치홈(35)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의 설치홈(35)에는 기념내용(31)이 새겨진 별도의 내용판(36)이 설치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품이 내장된 기념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판(30)은 일측단 상부에 라운드면(34)이 형성되어 스탠드(10)의 설치홈(11)내에서 원할하게 회전구동이 이루어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품이 내장된 기념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10a)는 하부에서 받침대의 기능을 갖도록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스탠드(10a)의 설치홈(11)내에는 몸체(20a)와 표시판(30a)이 힌지부재(50a)로 축결합되어 표시판이 힌지부재를 지지점으로 개폐작동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품이 내장된 기념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10a)의 설치홈(11)내에 몸체(20a)와 표시판(30a)이 전,후 중첩되게 긴밀히 체결되고, 별도의 고정보울트(51)와 너트(52)로 고정시켜 분해 및 조립이 가능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품이 내장된 기념패.
KR2020090015132U 2009-11-23 2009-11-23 부상품이 내장된 기념패 KR2004595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132U KR200459520Y1 (ko) 2009-11-23 2009-11-23 부상품이 내장된 기념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132U KR200459520Y1 (ko) 2009-11-23 2009-11-23 부상품이 내장된 기념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308U true KR20110005308U (ko) 2011-05-31
KR200459520Y1 KR200459520Y1 (ko) 2012-03-28

Family

ID=47625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132U KR200459520Y1 (ko) 2009-11-23 2009-11-23 부상품이 내장된 기념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52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066A (ko) 2020-12-11 2022-06-20 김대규 기념패
KR20220168340A (ko) 2021-06-16 2022-12-23 김대규 야구배트를 이용한 기념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805Y1 (ko) * 2012-05-09 2012-11-26 연민흠 기념주화 또는 기념메달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821U (ko) * 1997-04-03 1998-11-16 박용일 기념패
KR20000002959U (ko) * 1998-07-14 2000-02-15 오상수 자동차용 조향기어의 이음 방지구조
KR100352265B1 (ko) * 2000-08-08 2002-09-12 장병기 장식용 기념패 액자
KR20070027419A (ko) * 2005-09-06 2007-03-09 김화숙 주화메달이 결합된 트로피 또는 기념패 등의 기념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066A (ko) 2020-12-11 2022-06-20 김대규 기념패
KR20220168340A (ko) 2021-06-16 2022-12-23 김대규 야구배트를 이용한 기념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9520Y1 (ko) 201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65842S1 (en) Display container for promotional material
USD534422S1 (en) Container with rotating lid
USD633399S1 (en) Bracelet watch
USD517738S1 (en) Cosmetics box
USD584182S1 (en) Watch dial
CA111788S (en) Product display packaging
KR200459520Y1 (ko) 부상품이 내장된 기념패
USD540797S1 (en) Display device with a cylindrical pedestal
USD510210S1 (en) Watch display box with multi watch winders
USD513568S1 (en) Watch display box with single watch winder
CN203226382U (zh) 一种珠宝礼盒
USD514848S1 (en) Watch display box with double watch winders
US20060175221A1 (en) Container openable and closable in different ways
USD543055S1 (en) Octangle watch display box with multi watch winders
USD543054S1 (en) Sliding door watch display box with single watch winder
USD594167S1 (en) Container cover
USD533330S1 (en) Honor box for candy display and coin receptacle
KR200427041Y1 (ko) 부상품이 내장되는 기능성 기념패
CN205456583U (zh) 一种齿轮结构的互动旋转戒指
KR200384598Y1 (ko) 부상품이 내장되는 서랍을 가지는 기념패케이스
AU2006100021A4 (en) Container openable and closable in different ways
CA112478S (en) Product display tray
KR101673434B1 (ko) 부상품이 내장된 기념패
CN204114743U (zh) 展柜下翻灯箱
USD651525S1 (en) Box for cosme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