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253U - 변기 막힘 해소용 변기 덮개 - Google Patents

변기 막힘 해소용 변기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253U
KR20110005253U KR2020090015072U KR20090015072U KR20110005253U KR 20110005253 U KR20110005253 U KR 20110005253U KR 2020090015072 U KR2020090015072 U KR 2020090015072U KR 20090015072 U KR20090015072 U KR 20090015072U KR 20110005253 U KR20110005253 U KR 201100052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cover
air pump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0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경
Original Assignee
이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경 filed Critical 이태경
Priority to KR20200900150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5253U/ko
Publication of KR201100052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25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10Hand tools for cleaning the toilet bowl, seat or cover, e.g. toilet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0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 E03C1/304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using fluid under pressure
    • E03C1/308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using fluid under pressure by means of a pumping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변기에 장착되는 변기 덮개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변기 덮개는 변기의 좌대와 연결되며 좌대 상부에 안착되어 변기를 덮고, 중앙부에 변기 내부의 공기압을 증가시키기 위한 에어 펌프가 장착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변기 덮개를 이용하여 변기가 막혔을 때 에어 펌프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변기 막힘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변기, 에어 펌프, 변기 막힘, 공기압

Description

변기 막힘 해소용 변기 덮개{Cover for clogged toilet}
본 고안은 변기 막힘 해소용 덮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 펌프를 구비하여 변기 막힘을 해소할 수 있는 변기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 및 회사에는 사람들이 앉아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좌변기를 보유하고 있다. 사람들은 좌변기에 앉아 용변을 본 후, 좌변기 내에 화장지를 넣는 일이 빈번한데 이 과정에서 변기가 막히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화장지 외에 여성 용품을 넣는 다던지, 용변의 양이 많을 경우에도 변기가 막히게 된다.
변기의 막힘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사람들은 1회에서 2회 정도 물을 더 내려보내지만, 이 경우에는 물이 역류하게 되어 오히려 문제점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고무로 만들어진 도구(뚫어뻥)를 이용하거나, 약품(트래펑)을 이용하거나 전문 업체에 맡기는 방법에 있다.
우선, 뚫어뻥을 이용하는 경우 뚫어뻥에 묻은 이물질을 씻어야 하는 번거러움과 사용 중에 오는 불쾌감 및 냄새로 인한 피해가 발생되고, 트래펑을 사용할 경 우에는 장시간의 약품이 반응할 시간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또한, 전문 업체를 통한 방법은 비용부담이 크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에어 펌프를 구비하여 변기가 막혔을 때 에어 펌프를 가압함으로써 변기 내부의 공기압을 증가시켜 변기 막힘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는 변기 덮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막힘 해소를 위해 변기에 장착되는 변기 덮개는, 좌변기의 좌대와 연결되며 상기 좌대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변기를 덮고 중앙부에 상기 변기의 내부의 공기압을 증가시키기 위한 에어 펌프가 장착된다.
본 고안에 따른 변기 덮개에서 상기 에어 펌프는 외측면에 주름이 형성되어 수직 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펌프는 상기 변기의 바깥쪽 방향에 위치한 면에 가압력이 형성되면, 수축되어 공기를 상기 변기 내부로 주입시킬 수 있게 된다.
또는, 상기 에어 펌프는, 상기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변기의 바깥쪽 방향에 위치한 면에 형성된 상기 가압력이 제거되면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팽창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변기 덮개는 상기 좌대가 개방형인 경우, 상기 좌대의 개방된 부분과 접하는 위치에 상기 개방된 부분을 밀폐시키기 위한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펌프는 폴리프로필렌(P.P) 재질 또는 폴리에틸렌(P.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변기 덮개는, 상기 좌대를 덮는 경우 긴밀하게 밀폐되도록 밀폐부가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폐부는 상기 좌대의 상면과 접하는 하면에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변기가 막혔을 때, 변기 덮개에 형성된 에어 펌프를 누르는 것에 의해 공기를 변기 내부 공간에 순간적으로 주입함으로써, 변기를 뚫어 변기 막힘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변기 뚫음 작업시 발생하는 이물질에 의해 불쾌감이나 냄새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별도의 비용을 들이지 않고 빠 른 시간 내에 변기 막힘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덮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은 변기 덮개(200)의 사시도이며, 도 1b는 변기 덮개(200)의 바깥쪽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c는 변기 덮개(200)에 위치한 에어 펌프(210)가 수축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변기 덮개(200)는 변기의 좌대(20)와 연결되어 사람이 약 90°정도 손으로 올리고 내리는 것에 의해 열고 닫을 수 있다.
변기 덮개(200)는 그 중앙부에 변기 내부의 공기압을 증가시키기 위한 에어 펌프(210)가 장착된다. 이 에어 펌프(210)는 변기 덮개(200)의 바깥쪽에 위치한 부분(A)은 폐쇄되어 있으며, 변기 덮개(200)의 안쪽에 위치한 부분(B)은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 에어 펌프(210)는 변기 덮개(200)의 바깥쪽 부분(A)에서 일정 높이 돌출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외측면에는 주름이 형성되어 수직 방향으로 플렉시블하 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에어 펌프(210)는 플렉시블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폴리프로필렌(P.P) 재질 또는 폴리에틸렌(P.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에어 펌프(210)의 수직 방향 이동에 의해 에어 펌프(210)는 수축 또는 팽창될 수 있게 된다. 도 1a에서 에어 펌프(210)의 외측면을 확대한 부분을 참조하면, 외측면에는 지그재그 형태의 주름(일명:자바라 주름)이 형성된 것을 보다 자세히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변기 덮개(200)가 좌대(20)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변기 덮개(200)의 바깥쪽 부분(A)에 위치한 에어 펌프(210)의 일 면에 가압력이 형성되면, 외측면에 형성된 주름이 접혀져 수축된다. 이에 따라, 에어 펌프(210)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던 공기가 변기 내부로 주입되어 변기 내부의 공기압이 순간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갑자기 높아진 공기압에 의해 막혀있던 변기가 뚫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에어 펌프(210)가 수축된 상태에서 변기 덮개(200)의 바깥쪽 부분(A)에 위치한 에어 펌프(210)의 일 면에 형성된 가압력이 제거되면 에어 펌프(21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팽창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가압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변기 덮개(200)를 90°정도 올려 좌대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덮개가 장착된 변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변기(100)는 일반 가정, 회사 및 공공 장치에 설치되는 좌변기로서, 크게 물탱크(110), 용변기(120), 레버(130), 배관(140)으로 분류될 수 있다.
용변기(120) 입구 둘레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좌대(20)가 위치하여 사람은 좌대(20)에 앉아 용변을 볼 수 있다. 용변을 본 후에 레버(130)를 하부 방향으로 끌어내리게 되면, 물탱크(110)에서 용변기(120) 내부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레버(130)에는 체인이 연결되며, 또 체인은 물탱크(110) 내부에 위치한 배수뚜껑(미도시)에 연결된다. 따라서, 레버(130)가 이동하게 되면 체인에 의해 배수뚜껑이 열려져 물탱크(110)에 있는 물이 공급된다. 이때, 물탱크(110)에서 물이 공급되는 경우, 물의 중력과 수량에 의해 발생하는 수압으로 인해 용변이 배관(140)을 타고 연결된 정화조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용변의 양이 많거나, 화장지 또는 여성 용품 등에 의해 배관(140)이 막히는 경우, 물탱크(110)에서 공급된 물이 용변과 함께 배관(140)을 통해 정화조로 이동하지 못하고 용변기(120) 내에 잔존하게 된다.
이때, 변기 덮개(200)를 내려 좌대(20) 상부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변기 덮개(200)의 바깥쪽에 있는 에어 펌프(210)의 일면을 손으로 눌러 가압한다. 이 후, 에어 펌프(210)에 형성된 가압력에 의해 에어 펌프(210)가 수축하게 되며, 그 내부 공간에 존재하던 공기가 용변기(120) 내부로 주입되게 된다. 이러한 현상에 의해 용변기(120) 내부의 공기압이 순간적으로 증가하게 되며, 증가된 공기압은 배관(140)에 막혀있는 용변, 화장지 또는 여성 용품들을 밀어내 변기(100)를 뚫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변기(100)가 뚫리면 에어 펌프(210)에서 손을 떼고, 변기 덮개(200)를 올려 좌대(20)로부터 분리시킨다. 이 경우, 에어 펌프(210)의 내부 공간에 다시 공기가 유입되어 외측면에 위치한 주름이 펴져 팽창하게 된다.
만약, 1회의 가압 동작으로 변기(100)가 뚫리지 않는 경우에는, 변기 덮개(200)를 열어 에어 펌프(210)를 팽창시킨 후, 다시 변기 덮개(200)를 닫아 에어 펌프(210)를 손으로 누르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변기 덮개(200)를 이용함으로써, 변기(100)가 막혔을 시에 에어 펌프(210)를 누르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변기를 뚫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변기(100)를 뚫는 과정에서 용변기(120) 내부에 있는 용변을 보지 않게 되며, 변기(100)를 덮어놓은 상태에서 이용하는 것이므로 냄새로 인한 불편함 역시 해소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변기(100)가 막히면 사용자는 에어 펌프(210)를 이용하여 바로바로 뚫을 수 있게 되어 신속한 변기 막힘 해소가 가능해지며, 전문업체를 이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 역시 절감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다른 변기 덮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변기 덮개(200)에 위치한 에어 펌프(210)는 도 1a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나, 변기 덮개(200)에 돌출부(230)가 더 포함된다.
현재 이용되고 있는 좌대는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은 타원형 좌대(20)가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앞부분, 즉, 사람이 좌대에 앉았을 때 다리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개방된 개방형 좌대(30)가 있다.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은 타원형 좌대는 변기 덮개(200)를 덮는 경우 밀폐되어 에어 펌프(210)를 가압하는 경우 공기가 새지 않는다. 하지만,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개방형 좌대(30)는 개방된 부분으로 공기가 새나가 에어 펌프(210)를 이용하더라도 막힌 변기를 뚫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개방형 좌대(30)와 연결되는 변기 덮개(200)는 좌대(30)의 개방된 부분과 접하는 위치에 돌출부(230)를 포함하고 있어 변기 덮개(200)를 덮는 경우 개방된 부분이 밀폐된다. 이 경우, 밀폐력을 높이기 위해, 돌출부(230)는 개방된 부분과 동일한 폭(넓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변기 덮개는 좌대를 덮는 경우 긴밀하게 밀폐되도록 밀폐부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밀폐부는 좌대의 상면과 접하는 하면에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좌대의 상면에도 상기 밀폐부가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밀폐부는 본 고안에 의해 실리콘 재질에 한정되지 않고, 변기 덮개와 좌대가 접할 때 전체적으로 면접되어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재질이면 될 뿐, 어떠한 것도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밀폐부는 변기 덮개가 좌대를 덮고 에어 펌프에 가압력이 형성될 때, 내부에 형성되는 높은 공기압이 낮춰지지 않도록 공기가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덮개를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기 덮개가 장착된 변기를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다른 변기 덮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변기
200 : 변기 덮개
210 : 에어 펌프
20 : 좌대

Claims (8)

  1. 변기에 장착되는 변기 덮개에 있어서,
    상기 변기의 좌대와 연결되며 상기 좌대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변기를 덮고, 중앙부에 상기 변기 내부의 공기압을 증가시키기 위한 에어 펌프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펌프는,
    외측면에 주름이 형성되어 수직 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덮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펌프는,
    상기 변기 덮개의 바깥쪽 부분에 위치한 면에 가압력이 형성되면, 수축되어 공기를 상기 변기 내부로 주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덮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펌프는,
    상기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변기 덮개의 바깥쪽 방향에 위치한 면에 형성된 상기 가압력이 제거되면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덮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가 개방형인 경우, 상기 좌대의 개방된 부분과 접하는 위치에 상기 개방된 부분을 밀폐시키기 위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덮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펌프는,
    폴리프로필렌(P.P) 재질 또는 폴리에틸렌(P.E)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덮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를 덮는 경우 긴밀하게 밀폐되도록 밀폐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덮개.
  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상기 좌대의 상면과 접하는 하면에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덮개.
KR2020090015072U 2009-11-20 2009-11-20 변기 막힘 해소용 변기 덮개 KR201100052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072U KR20110005253U (ko) 2009-11-20 2009-11-20 변기 막힘 해소용 변기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072U KR20110005253U (ko) 2009-11-20 2009-11-20 변기 막힘 해소용 변기 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253U true KR20110005253U (ko) 2011-05-26

Family

ID=49294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072U KR20110005253U (ko) 2009-11-20 2009-11-20 변기 막힘 해소용 변기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5253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825B1 (ko) * 2016-02-03 2018-07-12 주식회사 한반도 변기 덮개장치
CN109875454A (zh) * 2019-04-22 2019-06-14 代玉豪 马桶盖
KR102555525B1 (ko) * 2023-02-24 2023-07-12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막힘 감지 및 해소 기능을 갖춘 스마트 변기 뚜껑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825B1 (ko) * 2016-02-03 2018-07-12 주식회사 한반도 변기 덮개장치
CN109875454A (zh) * 2019-04-22 2019-06-14 代玉豪 马桶盖
KR102555525B1 (ko) * 2023-02-24 2023-07-12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막힘 감지 및 해소 기능을 갖춘 스마트 변기 뚜껑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5253U (ko) 변기 막힘 해소용 변기 덮개
KR20100006760U (ko) 이중 덮개를 갖는 휴지통
KR101748435B1 (ko) 변기 커버
KR200453545Y1 (ko) 변기압축 기능이 부가된 좌변기
KR960009981A (ko) 환자용 침대에 조립된 배설장치
KR101162288B1 (ko) 개폐볼을 이용한 역류 방지 소변기
KR20140045757A (ko) 다기능 위생비데
KR200454684Y1 (ko) 변기의 막힘을 뚫는 기구
KR20090005257U (ko) 변기 뚫음 장치
KR20110005049U (ko) 변기 막힘 해소용 기구
KR101330057B1 (ko) 변기의 막힌 배수로 개방수단
CN201296962Y (zh) 一种新型下水器
FI128232B (fi) Lisäosa
KR102213795B1 (ko) 막힘 제거 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KR200438258Y1 (ko) 침출수 제거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062337A (ko) 막힘 해소용 좌변기 커버
KR101186534B1 (ko) 자동승강식 변기시트와 착탈식 오물차단막이 구비된 좌변기
KR20100010818U (ko) 막힌 변기를 뚫기 위한 막힘제거 압력장치
KR20130089626A (ko) 변기 덮개장치
KR100941727B1 (ko) 막힘제거 기능이 있는 변기
KR20080002751U (ko) 변기시트 자동세척장치
KR200436367Y1 (ko) 양변기용 남성소변기
KR20090120163A (ko)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100575097B1 (ko) 휴대용 비데
KR920002370Y1 (ko) 양변기의 자동 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