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959A - 정수기용 청소도구 멸균팩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청소도구 멸균팩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3959A
KR20110003959A KR1020090061495A KR20090061495A KR20110003959A KR 20110003959 A KR20110003959 A KR 20110003959A KR 1020090061495 A KR1020090061495 A KR 1020090061495A KR 20090061495 A KR20090061495 A KR 20090061495A KR 20110003959 A KR20110003959 A KR 20110003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pack
water purifier
cleaning tool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미
Original Assignee
고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미 filed Critical 고영미
Priority to KR1020090061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3959A/ko
Publication of KR20110003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9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02Sterilising, e.g. of complete packages
    • B65B55/12Sterilising content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 B65B55/16Sterilising content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by ir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청소도구 멸균팩 제조방법은 a) 복수의 청소도구를 팩에 삽입하고 상기 청소도구가 삽입된 팩을 밀봉시키는 단계; b) 복수의 상기 밀봉된 팩을 수용용기에 삽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복수의 밀봉된 팩이 삽입된 복수의 수용용기에 감마선을 조사하여 상기 청소도구를 멸균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정수기, 청소도구, 멸균, 감마선

Description

정수기용 청소도구 멸균팩 제조방법{MENUFACTURING METHOD OF STERILIZED CLEANING TOOL PACK FOR CLEANING WATER PURIFIER }
본 발명은 정수기를 주기적으로 청소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수기용 청소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수기를 위생적으로 청소할 수 있도록 청소도구를 멸균된 상태의 팩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정수기용 청소도구 멸균팩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그 내부에 필터 등 정수를 위한 다양한 부품들로 구성되며, 이러한 부품들 중 일부는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교환해주어야 하는 소모품이다. 또한, 정수기는 물을 정수하기 때문에 그 내부에 세균들이 번식하기 위한 적절한 습도가 유지된다.
이러한 이유로 정수기를 구매하거나 렌탈하는 경우, 정수기 업체의 전문 기사가 각 가정마다 주기적으로 방문하여 정수기를 청소하거나 소모품을 교환하는 등 유지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전문 기사들은 장갑을 끼고, 부직포와 같은 와이퍼나 면봉 또는 세정액을 포함하는 청소도구를 이용하여 정수기 를 청소하거나 필터 등의 소모품을 교환한다.
그러나 청소도구들은 세균 등에 의해 오염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청소도구를 이용하여 정수기를 청소할 경우, 정수기가 세균에 의해 오염되어 인체로 전염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병원성 조류독감, 광우병소, 황색 포도상구균, 병원성 대장균 O-157에 의한 집단 식중독 등 세균 또는 바이러스에 의한 식생활안전을 위협하는 사건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어서, 사람이 마시는 물을 정수하는 정수기가 청소도구를 통해 세균 또는 바이러스에 오염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대책이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청소도구들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멸균시켜 간편하게 소지할 수 있도록 정수기용 청소도구 멸균팩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청소도구 멸균팩 제조방법은 정수기를 청소하기 위한 정수기용 청소도구 멸균팩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복수의 청소도구를 팩에 삽입하고 상기 청소도구가 삽입된 팩을 밀봉시키는 단계; b) 복수의 상기 밀봉된 팩을 수용용기에 삽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복수의 밀봉된 팩이 삽입된 복수의 수용용기에 감마선을 조사하여 상기 청소도구를 멸균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청소도구는 청소 작업자가 착용하기 위한 장갑과, 면봉과, 정수기를 닦기 위한 부직포와, 정수기를 청소하기 위한 세정액 및 소독액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청소도구에 조사되는 감마선의 흡수선량은 5 ~ 15kGy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수의 청소도구 멸균 팩을 수용용기로 삽입하고, 다수의 수용용기를 감마선으로 한 번에 멸균함으로써, 정수기 용 청소도구 멸균 팩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멸균 팩에 정수기 청소에 필요한 장갑과, 면봉과, 정수기를 닦기 위한 부직포와, 정수기를 청소하기 위한 세정액 등 일체의 청소도구가 수용됨으로써, 정수기가 청소도구를 통해 세균이나 바이러스 오염이 방지될 수 있음은 물론 전문 서비스 기사가 정수기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투과성이 높은 감마선을 조사하여 수용용기 내부의 청소도구를 멸균시킴으로써, 청소도구의 멸균에 대한 신뢰성이 높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청소도구 멸균팩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청소도구 멸균팩 제조방법은 복수의 청소도구(20)를 팩(10)에 삽입하고 팩(10)을 밀봉하는 단계와, 복수의 상기 밀봉된 팩(10)을 포장 박스와 같은 수용용기(30)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수용용기(30)에 감마선을 조사하여 멸균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청소도구(20)는 정수기를 청소하기 위한 일체의 청소용품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수기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착용해야하는 장갑(21)과, 정수기의 모서리 부분과 같이 협소한 장소를 청소하기 위한 면봉(22)과, 정수기의 외관 또는 내부를 닦기 위한 부직포(23)와, 정수기의 외부 또는 내부의 주요 부분을 효율적으로 청소하기 위한 세정액(24)과, 정수기 및 작업자의 손 등을 소독하기 위한 소독액(25) 등을 포함한다.
상기 장갑(21)은 면장갑 등 다양한 종류의 장갑이 사용될 수 있으나, 물과 접촉되는 점을 고려하면 방수기능을 가진 1회용 비닐 장갑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면봉(22)은 다양한 크기의 공간을 청소할 수 있도록 크기가 다양한 복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청소도구(20)에 대해 전술한 5가지를 예를 들었으나, 정수기의 종류 및 사양에 따라 전술한 5가지 이외의 청소도구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팩(10)은 일반적으로 내부가 투시되는 비닐 등의 재질로 형성된 봉투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팩(10)에 상기 청소도구(20)를 삽입한 후에, 상기 팩(10)의 개방부를 접착제나 열융착 또는 열접착 등의 방법으로 밀봉한다. 이에 의해 상기 팩(10) 내부의 청소도구(20)는 외부로부터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청소도구(20)가 팩(10)에 밀봉된 상태로 멸균 작업이 수행된 후에는 외부의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다시 팩(10) 내부의 청소도구(20)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상기 밀봉된 팩(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박스와 같은 수용용기(30)에 다수개가 적층된 상태로 포장된다. 이는 감마선이 투과성이 강해 수용용기(30) 외부의 흡수선량과 수용용기(30) 내부의 흡수선량이 차이가 없으므로, 수용용기(30) 내부에 다수의 밀봉된 팩(10)을 적층하더라도 팩(10) 내부의 청소도구(20)들이 균질하게 멸균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다수의 밀봉된 팩(10)을 수용용기(30)에 적층한 상태로 멸균 공정을 수행하더라도 멸균 정도의 균질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멸균 팩(10)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감마선을 조사하여 멸균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수용용기(30)를 멸균 작업실(40)에 적층한 상태로 멸균 작업실(40) 내부에 마련된 감마선 발생장치(50)로부터 감마선을 수용용기(30)에 조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멸균 작업실(40)은 감마선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감마선 발생장치(50)는 수용용기(30) 내부의 각 청소도구(20)에 5 ~ 15kGy 범위의 흡수선량이 도달하도록 감마선을 방출한다. 이와 같이, 감마선을 이용하여 멸균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다수의 팩(10)이 적층된 다수의 수용용기(30)를 한번에 멸균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멸균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장갑(21)과, 다양한 크기의 면봉(22)과, 부직포(23)와, 세정액(24) 및 소독액(25)을 포함하는 청소도구(20)를 팩(10)에 직접 삽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청소도구(20)는 자동화 설비에 의해 자동으로 팩(10)에 삽입될 수도 있다.
팩(10)에 청소도구(20)의 삽입이 완료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팩(10)의 개방부를 접착제나 열융착 또는 열접착 등의 방법으로 밀봉한다. 이때, 팩(10)의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팩(10)을 밀봉하기 전에 팩(10)의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팩(10)의 밀봉 공정이 완료되며, 작업자는 포장 박스와 같은 수용용기(30)에 다수의 밀봉된 팩(10)을 삽입하고, 수용용기(30)를 포장한다.
다음으로, 다수의 수용용기(30)를 멸균 작업실(40)로 이동하여 적층하고, 감마선 발생장치(50)를 온(ON)시켜 멸균 작업실(40) 내의 팩(10)에 감마선을 조사한다.
이와 같은 멸균 작업이 완료되면, 수용용기(30)를 멸균 작업실(40)로부터 인출하여 소요되는 장소로 이동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멸균팩 제조공정 중 청소도구를 팩에 삽입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멸균팩 제조공정 중 팩을 밀봉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멸균팩 제조공정 중 팩을 수용용기에 삽입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멸균팩 제조공정 중 감마선을 조사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 팩 20; 청소도구
21; 장갑 22; 면봉
23; 부직포 24; 세정액
25; 소독액 30; 수용용기
40; 멸균 작업실 50; 감마선 발생장치

Claims (3)

  1. 정수기를 청소하기 위한 정수기용 청소도구 멸균팩 제조방법으로서,
    a) 복수의 청소도구를 팩에 삽입하고 상기 청소도구가 삽입된 팩을 밀봉시키는 단계;
    b) 복수의 상기 밀봉된 팩을 수용용기에 삽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복수의 밀봉된 팩이 삽입된 복수의 수용용기에 감마선을 조사하여 상기 청소도구를 멸균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청소도구 멸균팩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청소도구는,
    청소 작업자가 착용하기 위한 장갑과, 면봉과, 정수기를 닦기 위한 부직포와, 정수기를 청소하기 위한 세정액 및 소독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청소도구 멸균팩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도구에 조사되는 감마선의 흡수선량은 5 ~ 15kGy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청소도구 멸균팩 제조방법.
KR1020090061495A 2009-07-07 2009-07-07 정수기용 청소도구 멸균팩 제조방법 KR201100039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495A KR20110003959A (ko) 2009-07-07 2009-07-07 정수기용 청소도구 멸균팩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495A KR20110003959A (ko) 2009-07-07 2009-07-07 정수기용 청소도구 멸균팩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959A true KR20110003959A (ko) 2011-01-13

Family

ID=43611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495A KR20110003959A (ko) 2009-07-07 2009-07-07 정수기용 청소도구 멸균팩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39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249A (ko) * 2018-05-10 2019-11-20 서은경 반영구 화장 시술용 일회용 멸균 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249A (ko) * 2018-05-10 2019-11-20 서은경 반영구 화장 시술용 일회용 멸균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34248B2 (ja) 安全キャビネット
KR102435332B1 (ko) 비활성화 와이프키트 및 그의 제조 및 사용방법(deactivation wipe kit and method of forming and using the same)
ES2312137T3 (es) Metodo de higienizacion, esterilizacion y envasado de conjuntos de instrumentos quirurgicos.
Rani Sterilization protocols in dentistry-A review
AU2015383406A1 (en) Plant cultivation equipment
JP2017528237A (ja) 滅菌容器、滅菌方法及び滅菌装置
JP7216267B2 (ja) 培養容器の収容体および培養処理システムおよび培養用収容体の使用方法
KR101372997B1 (ko) 멸균되는 패스박스를 갖는 무균함
KR20110003959A (ko) 정수기용 청소도구 멸균팩 제조방법
Bhatnagar et al. Infection control strategy in orthodontic office
EP3052144B1 (en) System for washing, disinfecting and/or sterilizing medical, dental, laboratory and/or pharmaceutical goods
Savage et al. The use of autoclaves in the dental surgery
JP6950927B2 (ja) 滅菌コンテナおよび滅菌装置
CN114392370A (zh) 一种感染科用医用消毒箱
JP4589814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の殺菌洗浄方法
CN101693117B (zh) 病原微生物应急处理包
Gupta et al. Current concepts in operative room sterilisation
Kangane Instrument sterilization in the orthodontic clinic: A review
CN215022795U (zh) 一种绿色口罩用消毒设备
JP6899577B2 (ja) 微生物汚染検査システム
US20160059980A1 (en) Methods for packaging and shipping surgical instruments and implants
CN212327020U (zh) 一种新型多功能医疗消毒机
CN215652811U (zh) 一种肿瘤科护理消毒架
CN213608511U (zh) 一种医疗工作服的消毒清洗装置
US20240148922A1 (en) Automated Device for Disinfection of Stethoscope Head Piece Using Dual Means Simultaneous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