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986U - Earring-type auxiliary device for earphone - Google Patents

Earring-type auxiliary device for ear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986U
KR20110002986U KR2020090012267U KR20090012267U KR20110002986U KR 20110002986 U KR20110002986 U KR 20110002986U KR 2020090012267 U KR2020090012267 U KR 2020090012267U KR 20090012267 U KR20090012267 U KR 20090012267U KR 20110002986 U KR20110002986 U KR 2011000298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ear
wire
diameter
wire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26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차도영
Original Assignee
차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도영 filed Critical 차도영
Priority to KR20200900122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2986U/en
Publication of KR201100029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986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귀 뒤쪽에 착설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한편, 기존의 통상적인 이어폰으로부터 연장하는 전선을 수납, 고정하여 전선을 정리하여 전선으로 인해 가해지는 중량을 줄여 귀에 대한 부하를 줄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귀걸이형 이어폰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우산손잡이 형태의 "C" 형상을 가지는 본체와, 본체의 일단에 일체로 설치되는 전선수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는 강성체로 이루어지고 그 외면은 부드러운 탄성을 가지는 탄성물질로 코팅되며, 상기 전선수납부에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두 개 이상의 홈이 형성되어 이어폰의 전선을 수납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be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ear, while storing and fixing wires extending from conventional earphones to organize the wires, thereby reducing the weight on the wires, thereby reducing the load on the ears and improving the wearing comfort. A earpiece-type earphone assist device, comprising: a body having an umbrella-shaped “C” shape and a wire storage unit integrally installed at one end of the body, wherein the body is made of a rigid body and its outer surface is soft and elastic. It is coated with an elastic material having a one or more, preferably two or more grooves are formed in the wire housing to accommodate the wire of the earphone.

Description

귀걸이형 이어폰 보조기구{Earring-type auxiliary device for earphone}Earring-type earphone device {Earring-type auxiliary device for earphone}

본 고안은 귀걸이형 이어폰 보조기구 것으로서, 특히 기존의 이어폰들을 귀걸이형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통상적인 이어폰으로부터 연장하는 전선을 수납, 고정하여 전선을 정리하여 전선으로 인해 가해지는 중량을 줄여 귀에 대한 부하를 줄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귀걸이형 이어폰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earpiece-type earphone aid,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use the existing earphones as earrings, as well as to store and fix the wires extending from the conventional earphones are arranged due to the wires It is to provide an earring-type earphone aid that can reduce the weight to reduce the load on the ear to improve the fit.

음향기기가 소형화되어가고 또한 전자기술과 음향기술이 발전하면서 이어폰이 많은 발전을 하여 지금은 아주 많은 사람들이 이어폰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음향재생기능을 가지는 MP3기기와, DMB 단말기와, 휴대폰 등이 아주 널리 보급되면서, 이들 기기로부터 재생되어 발생되는 소음이 문제가 되어 이어폰을 많이 사용하는 편이다. 특히, 많은 대중들이 이용하는 지하철이나 버스 등에서는 이어폰의 사용이 필수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실정이다.As the sound equipment has become smaller and the electronic and sound technologies have improved, earphones have been developed a lot, and nowadays, many people are using them. In particular, as MP3 devices, DMB terminals, mobile phones, etc., which have a sound reproducing function, are widely used, noise generated by these devices becomes a problem, and thus a lot of earphones are used. In particular,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use of earphones is essential in subways and buses used by many people.

이와 같이 이어폰은 통상적으로 원형으로 이루어져 귓구멍 입구에서 장착되는 오픈형과 반구형으로 이루어져 귓구멍 입구 내측에 삽입 장착되는 커널형의 이어폰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이어폰은 이어폰 본체와 이어폰 본체와 음향재 생기기를 연결하는 전선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통상적인 오픈형 이어폰은 귓구멍 입구에서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원형의 이어폰 본체를 삽입하여 귓구멍에 착설시켜 사용하는 방식이고, 커널형 이어폰의 경우에는 귓구멍 입구에 이어폰의 일단을 삽입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오픈형 또는 커널형 구조의 이어폰 본체에서 이어폰이 아래방향으로 전선에 의해 하중을 받게 됨으로써, 연약한 귀의 피부에 지속으로 영향을 주게 되어 나중에는 귀에 통증이 발생하고 하였다. 또한, 이어폰 본체와 음향재생기기를 이어주는 전선들이 정리되지 않아서 다른 물건에 걸려 이어폰이 빠지는 등 문제점이 많았다.In this way, the earphone is usually made of a circular-shaped and a hemispherical shape is mounted in the ear hole inlet consists of a kernel-type earphone is inserted into the ear hole inlet. The earphone a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a wire connecting the earphone main body and the earphone main body and the sound material, such a conventional open earphone is inserted into the ear canal by inserting a circular earphone main body from the top to the bottom downward. In the case of a kernel-type earphone, one end of the earphone is inserted into the ear hole. However, in the earphone body of such an open or kernel-type structure, the earphone is subjected to a load by the wire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reby continuously affecting the skin of the soft ear and causing pain in the ear. In addition, since the wires connecting the earphone body and the sound reproducing apparatus are not arranged, there are a lot of problems such as the earphone being caught by another objec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귀걸이형 이어폰이 출시되어 판매되고 있지만, 귀걸이 부분과 이어폰이 분리가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또한 귀걸이 부분이 변형이 어렵게 구성되어 있는 관계로 사람에 따라서는 착용에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귀걸이형 이어폰은 상대적으로 비용이 비싸 일반인들은 구매를 꺼리는 경향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earring-type earphones have been released and sold, but since the earrings and the earphones are inseparably connected and the earrings are difficult to deform, some people are uncomfortable to wear. Sometimes I felt. And most of all, earring-type earphones are relatively expensive, and the general public tends to be reluctant to buy them.

한편, 블루투스통신 기술이 보편화되면서, 컴팩트한 귀걸이형 이어폰이 출시되고 있지만 블루투스 기능을 지원하지 못하는 기기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고 또한 이 역시 고가인 관계로 일반적인 사용자들은 섣불리 구매를 하는 경우가 없었다.On the other hand, as Bluetooth communication technology becomes popular, compact ear-shaped earphones are being released, but they are not available in devices that do not support the Bluetooth function, and because they are also expensive, the general users have never purchased them.

그리고, 이외에도 골진동 이어폰이 개발되어 일부 시판중에 있지만 이 역시 너무 고가인 관계로 주로 전문적인 분야, 예컨대 군, 경찰 등에서 특수한 임무를 수행하는 사람들만 사용할 뿐 일반인들은 거의 이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In addition, bone vibration earphones have been developed in some markets, but they are also too expensive and are mainly used only by people performing special tasks in specialized fields such as military and police, but are rarely used by the general public.

그러나, 무엇보다도 기존에 나와 있는 귀걸이형 이어폰은 이어폰 본체와 일 체형으로 나오는 관계로 기존에 시판되는 통상적인 이어폰이나, 아니면 음향재생기기를 구매할 시에 제공되는 이어폰 등에는 전혀 적용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above all, existing earring-type earphones come in one-piece form with the main body of the earphone, so they cannot be applied to conventional earphones that are commercially available or earphones provided when purchasing an audio playback device. There is this.

그러므로, 기존의 이어폰을 귀걸이형 이어폰으로 사용하게 해 줄 수 있는 장치가 있다면 바람직할 것이다.Therefore, it would be desirable to have a device capable of using existing earphones as earring-type earphones.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귀 뒤쪽에 착설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한편, 기존의 통상적인 이어폰으로부터 연장하는 전선을 수납, 고정하여 전선을 정리하여 전선으로 인해 가해지는 중량을 줄여 귀에 대한 부하를 줄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귀걸이형 이어폰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the installation on the back of the ear, while storing the wires extending from the conventional earphones and secured by arranging the wires to reduce the weight applied by the wires to reduce the load on the ear wear It is to provide an earring-type earphone aid to improve the.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형 이어폰 보조기구는 우산손잡이 형태의 "C" 형상을 가지는 본체와, 본체의 일단에 일체로 설치되는 전선수납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는 강성체로 이루어지고 그 외면은 부드러운 탄성을 가지는 탄성물질로 코팅되며, 상기 전선수납편에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두 개 이상의 홈이 형성되어 이어폰의 전선을 수납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ring-type earphon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main body having a "C" shape of the umbrella handle shape, and a wire storage piece integrally install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the main body Is made of a rigid body and the outer surface is coated with an elastic material having a soft elasticity, the wire storage piece is formed with one or more, preferably two or more grooves to accommodate the wire of the earphone.

본 고안에 따라서, 전선수납편에서 귓구멍으로 이어지는 전선은 귓구멍과 수평으로 유지됨으로써 귓바퀴로부터 거의 90도의 각도를 만들어 전선의 밀어내는 탄력으로 이어폰이 귀에 살짝 갖다 놓은 상태에서도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되고 전선의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가려는 힘은 이어폰 자체중량을 분산해줘서 사용자가 장시간에 걸쳐 사용하여도 이질감이나 불편함이 없이 안락하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귓바퀴는 이어폰을 귀에 착용할 때 필요에 따라 젖혀지므로 전선이 늘어났다 줄어드는 역할을 해주므로 이어폰을 귀에 탈부착하기 쉽게 해준다 또한 무리한 힘이 전선에 가해질때 자연스럽게 이탈됨으로써 귀를 보호할 수 있고 기존의 사용방식보다는 전선의 저항에 자유롭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wire leading from the wire storage piece to the ear hole is kept horizontal with the ear hole, making the angle about 90 degrees from the ear wheel to push the electric wire so that the earphone is not easily detached even when the earphone is lightly put on the ear and The power to return to the shape of the earphone distributes its own weight so that users can use it comfortably and comfortably without any discomfort or discomfort even after using it for a long time. In addition, the ear wheels are flipped as needed when the earphone is worn on the ear, so the wire stretches and shrinks, making it easy to attach and detach the earphone to the ear. Rather than being free of wire resistance.

또한, 본 고안에 따라, 본 고안의 이어폰 보조기구를 기존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이어폰에도 적용할 수 있게 되어, 귀고리형 이어폰을 사용하고자 할 때 귀고리형의 이어폰을 별도로 구입하여야만 하는 문제를 제거하여 사용자 입장에서 비용절감을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pply the earphone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ventional earphones that are used in the existing, eliminating the problem of having to purchase separately the ear-hook earphone when you want to use the ear-hook earphone Cost savings can be achieved from the standpoint.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형 이어폰 보조기구의 정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형 이어폰 보조기구에 통상적인 이어폰을 설치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형 이어폰 보조기구를 귀에 착설했을 때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front view of the ear-shaped earphone assistiv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ventional earphone is installed in the ear-shaped earphone assistiv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Figure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earpiece-type earphone aid according to the invention when installed on the ear.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형 이어폰 보조기구(100)는 귀의 외각 형상에 대응하는 "C" 형태의 몸체(10)와, 몸체의 일정부분에 설치되어 이어폰에서부터 연장하는 전선을 수납하여 고정하는 수납홈(21)에 형성되어 있는 전선수납편(20)으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ure 1, the earring-type earphone auxiliar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dy 10 of the "C"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ear, the wire i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ody extending from the earphone It consists of an electric wire storage piece 20 formed in the accommodating groove 21 for accommodating and fixing.

상기 몸체는 사람의 보편적인 귀 외각 형상을 닮은 "C"자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기 몸체의 상단은 착용시에 귀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몸체가 귀에 확실하게 착용되도록 해준다. 상기 몸체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류의 고형체로 제작이 되고, 그 외면에는 사람의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실리콘이나 또는 합성수지와 같은 탄성재료로 코팅되거나 또는 피복된다.The body has a "C" shape resembling a human ear outer shape. The top of the body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top of the ear when worn, so that the body is securely worn on the ear. The body is made of a solid body of metal or plastics, and the outer surface is coated or coated with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e or synthetic resin so as not to irritate human skin.

상기 전선수납편(20)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4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원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선수납편은 본체(10)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거나 또는 별도로 제작하여 본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wire storage piece 20 may be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s, but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circle as necessary. In addition, the wire storage piece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10 or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attached to the main body.

상기 전선수납편에는 이어폰의 전선을 수납하여 고정하기 위한 원형의 수납홈(21)이 형성되는데, 수납홈은 전선수납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되고 또한 수납홈의 직경은 이어폰 전선의 직경과 동일하게 또는 이어폰 전선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수납홈에 이어폰의 전선이 수납되면 수납홈으로부터 이어폰의 전선이 이탈이 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수납홈에 이어폰을 수납하기 위해 수납홈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방부는, 이어폰 전선의 직경보다 작게, 바람직하게 1/3정도가 되도록 형성되어 이어폰 전선이 수납홈에 수납되면, 수납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wire storage piece is formed with a circular accommodating groove 21 for accommodating and fixing the wire of the earphone, the accommodating groove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re storage piece and the diameter of the accommodating groove is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earphone wire Equally o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earphone wire, if the wire of the earphone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so that the wire of the earphone is not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groove. In addition, the opening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earphone in the accommodating groove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earphone wire, preferably about one third, and is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ng groove when the earphone wire is stored in the accommodating groove. To prevent it.

상기 전선수납편(20)을 몸체(10)에 형성 또는 부착하게 되는 위치는, 몸체를 귀에 착용하였을 때 전선수납편이 귓구멍과 수평을 이룰 수 있는 지점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전선수납편에 전선을 수납한 다음에 몸체를 귀에 착용하였을 때 이 어폰이 통상적인 수직방식이 아닌 수평방식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귀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이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전선수납편의 설치위치는 반드시 귓구멍과 수평을 이루지 않는 지점이라도 좋다.The position at which the wire storage piece 20 is formed or attached to the body 10 is a point where the wire storage piece may be horizontal to the ear hole when the body is worn on the ear. In this way, when the wire is stored in the wire storage piece and the body is worn on the ear, the upper ear is placed in a horizontal manner rather than a normal vertical manner to reduce the burden on the ear. However,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wire storage piece may be a point that is not necessarily parallel to the ear hole.

또한, 도면에서는 하나의 전선수납편을 도시하였지만, 몸체의 하단부(12)에 이어폰을 전선을 수납, 고정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전선수납편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전선수납편은 전선을 고정할 목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하나의 수납홈이 형성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전선수납홈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one wire storage piece is shown in the drawing, another wire storage piece for accommodating and fixing the wires to the earphone can be installed at the lower end portion 12 of the body. Since the wire storage pieces are used for fixing the wires, one receiving groove is formed. However, if necessary, one or more wire storage grooves can be formed.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형 이어폰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이어폰을 사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2 and 3 are diagrams showing the use of the earphone using the earring-type earphon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쪽에 연결되는 전선이 전선수납편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도록 이어폰의 전선을 수납한다. 그리고, 몸체(10)를 귀에 착용한 후에 이어폰의 전선을 몸체 뒤쪽으로 돌려 이어폰을 귓구멍에 착설하게 된다. 그러면, 전선수납편이 귓구멍과 수평을 이루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이어폰의 전선이 수평이 되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은 착용모습을 갖추게 된다. 이와 같이, 이어폰을 착용하게 되면, 이어폰의 전선이 귀 뒤쪽으로 돌아가는 관계로 휘어져 탄성복원력을 가지게 되고, 이러한 탄성복원력은 귓 구멍에 착설된 이어폰을 살짝 들어올리는 역할을 하여 이어폰에 의해 귓구멍에 가해지는 압박력을 저감시켜, 장시간 착용시에 이어폰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하게 된다.As shown in FIG. 2, the wires of the earphones are stored so that the wires connected to the earphones extend downward from the wire storage pieces. Then, after the body 10 is worn on the ear, the wires of the earphone are turned to the rear of the body to install the earphone in the ear hole. Then, the wires of the earphones are horizontal because the wire storage pieces are provided at a portion parallel to the ear hole. Therefore, it has a wearing appearance as schematically shown in FIG. As such, when the earphone is worn, the wires of the earphone are bent to the back of the ear to have elastic restoring force, and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cts to slightly lift the earphone installed in the ear hole to be applied to the ear hole by the earphone. The pressing force is reduced, and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earphone is eliminated when worn for a long tim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형 이어폰 보조기구의 정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 front view of the ear-shaped earphone assistiv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형 이어폰 보조기구에 통상적인 이어폰을 설치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ventional earphone is installed in the earring-type earphone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형 이어폰 보조기구를 귀에 착설했을 때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n the ear-shaped earphone assistiv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ear.

Claims (2)

귀의 외각 형상에 대응하는 "C" 형태의 몸체(10)와, 몸체의 일정부분에 설치되어 이어폰에서부터 연장하는 전선을 수납하여 고정하는 수납홈(21)에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전선수납편(20)들로 이루어지고,One or more wire storage pieces 20 formed in the body 10 having a "C"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ear, and a receiving groove 21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ody to receive and fix the wires extending from the earphones. ) 상기 몸체(1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류의 고형체로 제작이 되고, 그 외면에는 사람의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실리콘이나 또는 합성수지와 같은 탄성재료로 코팅되거나 또는 피복되며,The body 10 is made of a solid body of metal or plastics, the outer surface is coated or coated with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e or synthetic resin so as not to irritate human skin, 전선수납편(20)은 본체(10)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거나 또는 별도로 제작하여 본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수납홈(21)은 원형의 단면을 가지고서 수납편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수납홈의 직경은 이어폰 전선의 직경과 동일하게 또는 이어폰 전선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수납홈에 이어폰을 수납하기 위해 수납홈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방부는 이어폰 전선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형 이어폰 보조기구.The wire storage piece 20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10 or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attached to the main body, and the receiving groove 21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piece. The diameter of the accommodating groove is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earphone wire o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earphone wire, the opening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earphone in the accommodat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earphone wire Earphone assistiv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이어폰 전선의 직경의 1/3 크기를 가지고,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pening has a size 1/3 of the diameter of the earphone wire, 상기 전선수납편(20)들 중 선택된 하나는, 몸체(10)를 귀에 착용하였을 때 상기 선택된 전선수납편이 귓구멍과 수평을 이룰 수 있는 지점에서 상기 몸체(10)에 형성되거나 또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형 이어폰 보조기구.The selected one of the wire storage pieces 20,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r attached to the body 10 at a point where the selected wire storage piece can be parallel to the ear hole when the body 10 is worn on the ear. Earphone assistive device.
KR2020090012267U 2009-09-17 2009-09-17 Earring-type auxiliary device for earphone KR20110002986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267U KR20110002986U (en) 2009-09-17 2009-09-17 Earring-type auxiliary device for ear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267U KR20110002986U (en) 2009-09-17 2009-09-17 Earring-type auxiliary device for ear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986U true KR20110002986U (en) 2011-03-23

Family

ID=44208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267U KR20110002986U (en) 2009-09-17 2009-09-17 Earring-type auxiliary device for ear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2986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230B1 (en) * 2013-09-02 2014-11-13 안재희 Tangle preventing type earph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230B1 (en) * 2013-09-02 2014-11-13 안재희 Tangle preventing type ear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1433B2 (en) Acoustic apparatus wearable on the head
US20130216087A1 (en) Earbud Positioning Device
JP4835550B2 (en) Headphone device
CN1984505A (en) Bone conduction receiver
JP4482833B2 (en) Headphone device
JP2003078984A (en) Earphone
JP2007520125A (en) Ear wrap headphones or headset with ornaments
US20170238078A1 (en) Electronic headphone
KR101159795B1 (en) Portable electronic head set
JP4289376B2 (en) headset
US10009679B1 (en) Bluetooth earphone combined with a pair of eyeglasses
CN1126936A (en) Ergonomic ear mounted headset
EP1969897B1 (en) Headphones with detachable headband
KR20110002986U (en) Earring-type auxiliary device for earphone
KR100808734B1 (en) Headwear for installation of mp3 player
US20090274331A1 (en) Microphone device adapted to be worn on an ear
KR20110028946A (en) Earring-type auxiliary device for earphone and earphone used for the same
KR20110033561A (en) Hairpin-type fixing device and auxiliary device for earphone using the same
CN209964233U (en) Portable bluetooth speaker of multipurpose
KR101784610B1 (en) Device for fixing the earphone
JP2006005583A (en) Ear hanging earphone
KR100904026B1 (en) Receiving set
KR101914091B1 (en) Earphone fastening instrument fixed to clothes on
KR200379160Y1 (en) Earring Earphone
CN205430551U (en) Portable bluetooth head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