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731U - 좌변기용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용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731U
KR20110002731U KR2020090011941U KR20090011941U KR20110002731U KR 20110002731 U KR20110002731 U KR 20110002731U KR 2020090011941 U KR2020090011941 U KR 2020090011941U KR 20090011941 U KR20090011941 U KR 20090011941U KR 20110002731 U KR20110002731 U KR 201100027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toilet seat
operation lever
cleaning device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9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현승
Original Assignee
문현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현승 filed Critical 문현승
Priority to KR20200900119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2731U/ko
Publication of KR201100027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73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04Cisterns with bell siphons
    • E03D1/05Cisterns with bell siphons with movable siphon b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26Devices preventing overflow or locks inhibiting the use of the flushing system ; Devices preventing sucking-up of sealing and flushing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좌변기용 세정장치(100)는 본체(102) 내부에 고정되는 구동모터(105)와; 상기 본체(102)의 외 측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모터(105)의 회전 축(108)에 회전 가능하게 축 설치되며, 끝단 부에 구동 핀(109)이 돌출 형성되는 캠 부(110)와; 상기 본체(102)의 외 측면에 돌출 형성된 회동 축(111)에 회동 가능하게 축 설치되며, 일단 부에 세정수의 배출을 개폐하는 사이펀 덮개(미 도시)의 끈 부(2)에 연결되는 고리 부(112)가 형성되고, 타단 부에 상기 구동 핀(109)이 삽입되는 장 홈(113)이 형성되는 작동 레버(114)와; 상기 본체(102)를 물 탱크(101)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본체 고정수단(150)을 포함하되, 정전시와 상기 구동모터(105)의 고장 시에 상기 사이펀 덮개가 폐쇄되도록 상기 작동 레버(114)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180)이 상기 캠 부(11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동 축(111)에는 토션 스프링(190)이 설치된다.
코일 스프링, 오버플로우 관, 탄성 결합부, 걸림 부, 체결 부, 토션 스프링

Description

좌변기용 세정장치{CLEANER OF CHAMBER POT}
본 고안은 좌변기용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물 탱크 내에 설치가 용이하며, 캠 부 내부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 및 회동 축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에 의해서 정전시 혹은 구동모터 고장 시 작동 레버를 원위치로 복원시켜서 사이펀 덮개가 폐쇄되도록 하여 물 탱크 내의 물이 불필요하게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좌변기용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수형 좌변기는 사용여부와 사용시간 등을 감지함으로써 대변과 소변을 구분하여 소변용 사이펀 덮개와 대변용 사이펀 덮개를 구분하여 작동시키어 절수하게 되어 있다.
종래 절수형 좌변기의 세척장치는 두 개의 사이펀 덮개를 소변용과 대변용으로 구분하여 상하 수위 높이를 두고 설치하여, 용변을 본 후 사용자가 수동으로 핸드 레버를 소변용과 대변용을 구분하여 동작시키면 동작된 핸드 레버에 연결되어 있는 작동 바가 상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작동바에 연결되어 있는 대변용 체인 또는 소변용 체인에 연결되어 있는 사이펀 덮개가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소변 시와 대변 시에 구분하여 핸 드 레버를 조작하므로 많은 불편이 따르며, 사용자의 사용방법의 미숙으로 인한 오작동 등의 경우에 세척작용이 확실하지 못하고, 절수효과도 높지 못하여 동작의 신뢰성이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사용자가 좌변기를 사용하는 시간을 체크하여 사용시간에 해당되는 세정수가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설정된 시간만큼 사이펀 덮개가 개방되게 하는 좌변기용 세정장치(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6-0030620호)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좌변기용 세정장치는, 물 탱크 내에 설치하기가 쉽지 않으며, 정전시 혹은 구동모터 고장 시에 작동 레버가 멈추게 되고 이때 사이펀 마개가 개방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므로 물 탱크 내의 물이 불필요하게 배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물 탱크 내에 설치되는 오버플로우 관(overflow pipe)에 세정장치를 쉽고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캠 부 내부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 및 회동 축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에 의해서 정전시 혹은 구동모터 고장 시 작동 레버를 원위치로 복원시켜서 사이펀 덮개가 폐쇄되도록 하여 물 탱크 내의 물이 불필요하게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좌변기용 세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좌변기용 세정장치는 본체 내부에 고정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본체의 외 측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축에 회전 가능하게 축 설치되며, 끝단 부에 구동 핀이 돌출 형성되는 캠 부와; 상기 본체의 외 측면에 돌출 형성된 회동 축에 회동 가능하게 축 설치되며, 일단 부에 세정수의 배출을 개폐하는 사이펀 덮개의 끈 부에 연결되는 고리 부가 형성되고, 타단 부에 상기 구동 핀이 삽입되는 장 홈이 형성되는 작동 레버와; 상기 본체를 물 탱크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본체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정전시와 상기 구동모터의 고장 시에 상기 사이펀 덮개가 폐쇄되도록 상기 작동 레버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이 상기 캠 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동 축에는 토션 스프링이 설치된다.
상기 본체 고정수단은 상기 물 탱크 내에 설치된 오버플로우 관의 외주 면에 탄력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오버플로우 관의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 측에 절개 홈이 형성되는 탄성 결합부; 상기 탄성 결합부의 외주 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오버플로우 관의 상단에 걸리는 후크 형상의 걸림 부; 상기 탄성 결합부의 외주 면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결합부에 체결되는 체결 부; 및 상기 체결 부에 형성되는 보강 리브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탄성 결합부가 탄력적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기 때문에 오버플로우 관의 직경이 상이한 다른 것에도 장착이 매우 쉽고 체결 력이 떨어지지 않는다.
또한 캠 부 내부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 및 회동 축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에 의해서, 정전시 혹은 구동모터 고장 시 작동 레버를 원위치로 복원시켜서 사이펀 덮개가 폐쇄되도록 하여 불필요하게 물 탱크 내의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용 세정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세정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세정장치의 설치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세정장치의 설치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세정장치 의 설치를 보인 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세정장치에 있어서 사이펀 마개의 폐쇄를 설명하는 정면도,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세정장치에 있어서 사이펀 마개의 개방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세정장치(100)는 물 탱크(101)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인체감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한 인체를 감지하는 수단은, 압전센서, 열적외선, 광센서 등을 이용하여 기존에도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채택되어 사용된 실시 예가 있으며, 또한, 이러한 기술들은 기 특허출원을 통하여 당업자에 널리 알려진 상태이므로, 이하에서는 인체감지수단을 제외한 세정장치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세정장치(100)의 본체(102)는, 본체(102) 내부로 세정수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의 실링 수단에 의하여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이 기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2) 내부에는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05)가 브래킷(104)에 의해 고정되며, 이때, 상기 구동모터(105)의 구동 축(103)은 본체(102)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고정 설치된다.
상기 본체(102)의 외 측에는 캠 부(110)가 위치한다. 상기 캠 부(110)는 상기 구동모터(105)의 회전 축(108)에 회전 가능하게 축 설치되며, 상기 캠 부(110)의 끝단 부에는 구동 핀(109)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본체(102)의 외 측면에 돌출 형성된 회동 축(111)에는 작동 레버(114)가 회동 가능하게 축 설치된다. 상기 작동 레버(114)의 일단 부에는 세정수의 배출을 개폐하는 사이펀 덮개(미 도시)의 끈 부(2)에 연결되는 고리 부(112)가 형성되 고, 타단 부에는 상기 구동 핀(109)이 삽입되는 장 홈(113)이 형성된다.
정전시와 상기 구동모터(105)의 고장 시에 상기 사이펀 덮개가 폐쇄되도록 상기 작동 레버(114)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180)이 상기 캠 부(110) 내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코일 스프링(180)의 일단(180a)은 상기 캠 부(110)에 고정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180)의 타 단(180b)은 상기 본체(102) 외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 축(111)에는 토션 스프링(19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세정장치(100)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모터(105)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구동모터(105)의 회전 축(108)이 회전하면, 상기 회전 축(108)에 연결된 상기 캠 부(110)가 회전한다. 이때 상기 구동 핀(109)이 장 홈(113)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작동 레버(114)는 회동 축(11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코일 스프링(180)이 늘어나거나 줄어들면서 상기 작동 레버(114)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5와 같이 캠 부(110)의 회동 전에 상기 코일 스프링(180)이 줄어들어 있다가 도 6과 같이 캠 부(110)의 회동 후에 상기 코일 스프링(180) 및 상기 토션 스프링(190)이 늘어나 상기 작동 레버(114)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코일 스프링(180) 및 토션 스프링(190)의 탄성력이 정전시 혹은 구동모터(105) 고장 시, 상기 작동 레버(114)를 원위치로 복원시켜서 사이펀 덮개(미 도시)가 폐쇄되도록 하여 불필요하게 물 탱크(101) 내의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세정장치(100)는 본체 고정수단(15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 고정수단(150)은 상기 물 탱크(102) 내에 설치된 오버플로우 관(1)의 외주 면에 탄력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오버플로우 관(1)의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 측에 절개 홈(151a)이 형성되는 탄성 결합부(151); 상기 탄성 결합부(151)의 외주 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오버플로우 관(1)의 상단에 걸리는 후크 형상의 걸림 부(153); 상기 탄성 결합부(151)의 외주 면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본체(102)의 결합부(102a)에 체결되는 체결 부(155); 및 상기 체결 부(155)에 형성되는 보강 리브(157)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세정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탄성 결합부(151)가 탄력적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기 때문에 상기 오버플로우 관(1)의 직경이 상이한 다른 것에도 장착이 매우 쉽고 체결력이 떨어지지 않는다.
상기 탄성 결합부(151)를 상기 오버플로우 관(1)의 외주 면에 밀착시킨 다음 하방으로 끌어내리면, 상기 걸림 부(153)가 상기 오버플로우 관(1)의 상단에 걸리게 되는데, 상기 걸림 부(153)의 걸림 홈(153a) 안에 상기 오버플로우 관(1)의 상단이 끼워지게 됨으로써, 좌변기용 세정장치(100)가 상기 오버플로우 관(1)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정전시 혹은 구동모터(105) 고장 시, 캠 부(110) 내부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180) 및 회동 축(111)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190)이 상기 작동 레버(114)를 원위치로 복원시켜서 사이펀 덮개(미 도시)가 폐쇄되도록 하여 불필요하게 물 탱크(101) 내의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권리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본 고안에서는 코일 스프링을 일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탄성 부재로 사용되는 다른 부재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세정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세정장치의 설치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세정장치의 설치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세정장치의 설치를 보인 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세정장치에 있어서 사이펀 마개의 폐쇄를 설명하는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세정장치에 있어서 사이펀 마개의 개방을 설명하는 정면도
* 주요 부분에 대한 도면부호
1: 오버플로우 관
2: 끈 부
100: 좌변기용 세정장치
102: 본체
102a: 결합부
103: 구동 축
105: 구동모터
108: 회전 축
109: 구동 핀
110: 캠 부
111: 회동 축
112: 고리 부
113: 장 홈
114: 작동 레버
150: 본체 고정수단
151a: 절개 홈
151: 탄성 결합부
153: 걸림 부
155: 체결 부
157: 보강 리브
180: 코일 스프링
190: 토션 스프링

Claims (2)

  1. 본체(102) 내부에 고정되는 구동모터(105)와;
    상기 본체(102)의 외 측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모터(105)의 회전 축(108)에 회전 가능하게 축 설치되며, 끝단 부에 구동 핀(109)이 돌출 형성되는 캠 부(110)와;
    상기 본체(102)의 외 측면에 돌출 형성된 회동 축(111)에 회동 가능하게 축 설치되며, 일단 부에 세정수의 배출을 개폐하는 사이펀 덮개(미 도시)의 끈 부(2)에 연결되는 고리 부(112)가 형성되고, 타단 부에 상기 구동 핀(109)이 삽입되는 장 홈(113)이 형성되는 작동 레버(114)와;
    상기 본체(102)를 물 탱크(101)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본체 고정수단(150)을 포함하되,
    정전시와 상기 구동모터(105)의 고장 시에 상기 사이펀 덮개가 폐쇄되도록 상기 작동 레버(114)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180)이 상기 캠 부(11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동 축(111)에는 토션 스프링(19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세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고정수단(150)은
    상기 물 탱크(101) 내에 설치된 오버플로우 관(1)의 외주 면에 탄력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오버플로우 관(1)의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 측에 절개 홈(151a)이 형성되는 탄성 결합부(151);
    상기 탄성 결합부(151)의 외주 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오버플로우 관(1)의 상단에 걸리는 후크 형상의 걸림 부(153);
    상기 탄성 결합부(151)의 외주 면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본체(102)의 결합부(102a)에 체결되는 체결 부(155); 및
    상기 체결 부(155)에 형성되는 보강 리브(157)를 포함하는 좌변기용 세정장치.
KR2020090011941U 2009-09-11 2009-09-11 좌변기용 세정장치 KR2011000273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941U KR20110002731U (ko) 2009-09-11 2009-09-11 좌변기용 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941U KR20110002731U (ko) 2009-09-11 2009-09-11 좌변기용 세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731U true KR20110002731U (ko) 2011-03-17

Family

ID=44208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941U KR20110002731U (ko) 2009-09-11 2009-09-11 좌변기용 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273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218760A (ja) * 2018-06-20 2019-12-26 Toto株式会社 洗浄水タンク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218760A (ja) * 2018-06-20 2019-12-26 Toto株式会社 洗浄水タンク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2110B2 (en) Automatic flush actuation apparatus
US6840496B2 (en) Automatic flush actuation apparatus
JP6057242B1 (ja) 洗浄水タンク装置用の操作装置、この操作装置を備えた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この洗浄水タンク装置を備えた水洗大便器
US10081936B2 (en) Flush toilet apparatus and drive unit for same
AU2003297353B2 (en) Automatic flush actuation apparatus
KR101785037B1 (ko) 양변기 자동 물내림장치
KR20110002731U (ko) 좌변기용 세정장치
KR200488209Y1 (ko) 양변기용 조정형 시트고정장치
JP2008035973A (ja) 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KR20110002537U (ko) 좌변기용 세정장치
US20130174338A1 (en) Water flow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exterior retrofitting to toilet tank
JP2009046828A (ja) 逆流防止弁体付き桝装置
KR200464194Y1 (ko) 좌변기용 세정장치의 고정장치
KR200338278Y1 (ko) 양변기의 세척수 2단 배수장치
KR200465597Y1 (ko) 소변기용 감지 센서의 감지기능 차단장치
JP5392663B2 (ja) 便器洗浄タンク装置
JP6980176B2 (ja) 操作装置
JP4214189B2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
KR20120110401A (ko) 변기의 오물 배출장치
CN210395546U (zh) 线拉式马桶排水驱动装置及马桶水箱
KR102424052B1 (ko) 팔꿈치용 스위치를 구비한 좌변기
JP2010246773A (ja) 便座装置
KR200436032Y1 (ko) 좌변기용 세정장치
JP4572271B2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407167Y1 (ko) 상부버튼형 변기의 일체형 자동물내림/절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