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712U - 휴대용 걸이구 - Google Patents

휴대용 걸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712U
KR20110002712U KR2020100001185U KR20100001185U KR20110002712U KR 20110002712 U KR20110002712 U KR 20110002712U KR 2020100001185 U KR2020100001185 U KR 2020100001185U KR 20100001185 U KR20100001185 U KR 20100001185U KR 20110002712 U KR20110002712 U KR 201100027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connecting rod
portable
guide hole
portable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1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림오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림오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림오피스
Priority to KR20201000011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2712U/ko
Publication of KR201100027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71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Holders for articles of personal use in general, e.g. brushes
    • A47G29/083Devices for suspending handbags from tables, chai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0Key holders; Key board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걸이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휴대 중 필요에 따라 탁자나 화장실 벽 등에 간단히 고정 부착하여 가방, 핸드백, 옷 등의 물품을 간단히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부피를 최소화시켜 휴대가 간편하고 외관이 미려하여 장신구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열쇠 등의 간단한 소지품을 함께 걸어서 보관할 수 있는 등 다용도 및 다목적 사용이 가능한 휴대용 걸이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걸이구는, 두께를 가지며, 면 상으로는 구조물(300)에 접촉되는 고정부재(101)를 구비하고, 일부분에는 안내공(102)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안내공(102)을 따라 안내되어 몸체(100) 속으로 넣으면 안으로 진입하고 당기면 빠져나오고 회전될 수 있게 몸체(100)에 설치된 연결봉(103); 상기 연결봉(103)에 일단이 결합 되어 몸체(100)를 중심으로 오므릴 수 있고 반대로 펼쳐서 밑으로 내려 물품을 걸 수 있는 고리 구조로 가변 되는 걸이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걸이구{PORTABLE HANGER}
본 고안은 휴대용 걸이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휴대 중 필요에 따라 탁자나 화장실 벽 등에 간단히 고정 부착하여 가방, 핸드백, 옷 등의 물품을 간단히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부피를 최소화시켜 휴대가 간편하고 외관이 미려하여 장신구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열쇠 등의 간단한 소지품을 함께 걸어서 보관할 수 있는 등 다용도 및 다목적 사용이 가능한 휴대용 걸이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가능한 물품으로 분류되는 책가방, 배낭, 핸드백 등의 가방류와 자켓 및 외투 등의 의류를 포함하여 손으로 쥘 수 있는 각종 다양한 물건들은 손으로 잡아서 휴대하거나 또는 착용한 상태에서 활동 중 보관이 필요할 때가 생기는데 걸어 놓을 수 있는 걸이구가 있으면 이것을 이용하고, 없으면 테이블이나 선반, 의자 등에 적당히 올려놓고 보관하게 된다.
휴대중이던 물품 보관이 필요할 때 적당히 이용할 수 있는 걸이구나 그 밖에 올려놓을 수 있는 테이블이 있으면 휴대한 물건을 보관하는데 문제가 없지만 마땅한 걸이구가 없고 보관공간을 이용하기가 여의치 않으면 휴대한 물건을 보관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예를 들면 화장실 이용 중 휴대 중인 가방이나 옷을 걸 수 있는 적당한 걸이구 또는 받칠 수 있는 테이블이 없으면 상당한 불편이 따른다. 마찬가지로 가방을 상시 휴대하게 되는 교실과 학원, 여행을 위한 여객터미널 승하차 대기실 등 기타 여러 장소에서 휴대 중인 가방류를 비롯한 의류 잡화 등의 소지품을 보관할 필요가 있을 때 걸어놓거나 올려놓을 수 있는 수단이 없으면 불편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 가능한 걸이구와 관련된 기술들이 공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09-0004944호에 '휴대용 가방걸이'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0398987호에는 '도난방지용 흡착식 걸이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알려진 휴대용 걸이구 들은 공통적으로 책상과 같은 구조물 표면에 접촉하는 걸이구 몸체가 있고, 그 몸체로부터 연장시켜 가방을 걸게 하는 걸이구를 몸체에 매달아 구성된 것으로, 휴대용 걸이구가 필요할 때 현장에서 꺼내서 바로 사용 목적에 맞게 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알려진 휴대용 걸이구 들은 공통적으로 책상과 같은 구조물 표면에 접촉하는 걸이구 몸체가 있고, 그 몸체로부터 연장시켜 가방을 걸게 하는 걸이구를 몸체에 매달아 구성된 것으로, 휴대용 걸이구가 필요할 때 현장에서 꺼내서 바로 사용 목적에 맞게 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걸이구 들은 책상, 탁자 및 벽 구조물에 걸이구 몸체를 고정하여 필요에 따라 물건을 걸어서 보관하는 용도로 쓸 수 있었으나 걸이구 자체 부피가 커서 포켓에 간단히 넣고 휴대하기 불편했으며 외관 디자인도 투박하고 미감이 떨어져 상시 휴대하면서 필요할 때 이용할 수 있는 기능상 특성을 만족시키기 어려웠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휴대용 걸이구의 이용 불편 및 기능상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부피가 작아서 휴대 및 이용을 간편하게 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처리함으로써 상시 휴대하면서 필요할 때 쓸 수 있는 휴대용 걸이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물건을 걸 수 있는 걸이 기능 이외에 열쇠나 액세서리와 같이 보관이 필요한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다기능화된 휴대용 걸이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걸이구는,
두께를 가지며, 면 상으로는 구조물에 접촉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일부분에는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상기 몸체의 안내공을 따라 안내되어 몸체 속으로 넣으면 안으로 진입하고 당기면 빠져나오고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 연결봉;
상기 연결봉에 일단이 결합 되어 몸체를 중심으로 오므릴 수 있고 반대로 펼쳐서 밑으로 내려 물품을 걸 수 있는 고리 구조로 가변 되는 가변형 걸이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는 원형, 타원형, 사각형, 사다리꼴 형, 마름모 형, 기하학적인 다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안내공은 몸체의 둘레면을 따라 홈 형상으로 파여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봉은 안내공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걸림턱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몸체의 안내공에는 걸림턱의 이탈을 막는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둘레면에 자석이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걸이부의 내측에도 자석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이대는 몸체의 하부로 연장되도록 다수의 연결대들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말단에는 물건을 거는 걸이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봉의 외부측 일단에는 고리구멍이 형성되고, 그 고리구멍에는 고리링이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탁자나 화장실 벽 등의 구조물에 간단히 고정 부착하여 가방, 핸드백, 옷 등의 물품을 간단히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부피를 최소화시켜 휴대가 간편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외관이 미려하여 장신구로 사용할 수 있고, 열쇠 등의 간단한 소지품을 함께 걸어서 보관할 수 있는 등 다용도 및 다목적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걸이구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부 상세도.
도 3은 도 1의 B부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걸이대의 걸이구를 펼친 상태로 나타낸 일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걸이대를 접은 상태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걸이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a)는 연결봉을 몸체에 집어 넣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연결봉을 몸체 밖으로 빼내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며, (c)는 연결봉을 몸체에서 밖으로 빼낸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 설명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걸이구의 펼친 상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걸이구를 접은 상태에서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걸이구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이다. 도 2는 도 1의 A부 상세도로써, 연결봉과 연결대의 결합부 상세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3은 도 1의 B부 상세도로써, 연결대와 걸이구의 결합부 상세도 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걸이대의 걸이구를 펼친 상태에서 나타낸 일측면도 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걸이대를 접은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걸이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a)는 연결봉을 몸체에 집어넣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연결봉을 몸체 밖으로 빼내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며, (c)는 연결봉을 몸체로부터 밖으로 빼낸 상태로 나타낸 동작 설명도 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 설명도 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휴대용 걸이구를 펼친 상태에서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걸이구를 접은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이다.
주요 부분은, 도 1과 같이, 두께를 가지며, 면 상으로는 구조물(300)에 접촉되는 고정부재(101)를 구비하고, 일부분에는 안내공(102)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안내공(102)을 따라 안내되어 몸체(100) 속으로 넣으면 안으로 진입하고 당기면 빠져나오고 회전될 수 있게 몸체(100)에 설치된 연결봉(103)과, 연결봉(103)에 일단이 결합 되어 몸체(100)를 중심으로 오므릴 수 있고 반대로 펼쳐서 밑으로 내려 물품을 걸 수 있는 고리 구조로 가변 되는 걸이대(20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0)는 원형, 타원형, 사각형, 사다리꼴 형, 마름모 형, 기하학적인 다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0)에 형성되는 안내공(102)은 몸체(100)의 둘레면(104)을 따라 안쪽 방향으로 파여진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봉(103)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몸체(100)의 안내공(102)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걸림턱(105)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몸체(100)의 안내공(102)에는 걸림턱(105)의 이탈을 막는 스토퍼(106)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100)의 둘레면(104)에 자석(107)이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여 걸이대(200)의 내측에도 자석(10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이대(200)는 몸체(100)의 하부로 연장되도록 다수의 연결대(201)(202)(203)들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말단에는 가방이나 핸드백 등 걸 것을 걸 수 있는 걸이구(204)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봉(102)의 외부측 일단에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고리구멍(108)이 형성되고, 그 고리구멍(108)에는 고리링(109)을 부설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걸이구는 휴대 보관과 사용에 따라 몸체(100)의 안과 밖으로 연결봉(103)을 넣거나 빼내서 쓸 수 있게 설치된다.
연결봉(103)은 핀(110)으로 연결대(201)와 직접 연결되며, 연결대(201)(202)(203) 들은 몸체(100)의 둘레면(104)을 따라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면 도 1 내지 도 5에는 몸체(100)의 형상이 원형인 형상이 나타나 있고, 걸이대(200)를 구성하는 연결대(201)(202)(203) 및 걸이구(204) 들은 몸체(100)의 원형 둘레면(104)을 따라 밀착될 수 있는 대응되는 호 형상으로 만곡 곡률을 형성하여 원형 몸체(100)의 둘레면(104)을 따라 밀착 가능하도록 구성한 예가 나타나 있다.
걸이대(200)를 몸체(100)의 둘레면(104)을 따라 밀착시키는 것은 걸이대(200)를 몸체(100)의 둘레면(104)을 따라 접어넣어 부피를 최소화하고 휴대와 보관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몸체(100)의 형상에 따라 몸체(100)의 둘레면(104)을 따라 접혀지는 연결대(201)(202)(203)와 걸이구(204)의 형상도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핀(110)으로 연결봉(103)에 연결된 연결대(201)(202)(203)들은 말단 걸이구(204)를 포함하여 몸체(100)의 둘레면(104)을 깜싸도록 접혀지거나 몸체(100)로부터 분리되어 일렬로 펼쳐지게 연결된다.
몸체(100)의 형상이 도면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 형상의 몸체(100)인 경우, 연결봉(103)에 연결되는 연결대(201)는 몸체(100)의 둘레면(104) 중 반원, 즉 180°정도에 밀착되도록 하고, 나머지 반원은 말단 걸이구(204)가 밀착되도록 하여 원형 몸체(100)에 걸이대(201)를 접어서 밀착시키도록 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할 경우 연결봉(103)에 연결된 연결대(201)와 말단 걸이구(204)는 원형 몸체(100)를 중심으로 밀착되어 접혀진 상태로 결합 되어 보관 및 휴대시 부피가 최소화 된다.
또한 걸이대(200)를 구성하는 연결대(201)(202)(203)와 말단 걸이구(204)를 몸체(100)에 밀착시켜 접을 때 걸이대(200)가 몸체(100)에서 흘러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100)의 둘레면(104)을 따라 자석(107)을 일정 간격을 두어 적소에 배치하고, 몸체(100)의 둘레면(104)을 따라 배치된 자석(107)에 대응하여 연결대(201)(202)(203)와 걸이구(204)의 내측면에도 자석(107)을 배치하여 접혀진 상태를 자력 접촉으로 지속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휴대용 걸이구를 구성하는 몸체(100) 및 걸이대(200)를 구성하는 연결대(201)(202)(203)와 걸이구(204)는 가방이나 핸드백 등을 걸어 놓았을 때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금속이나 기타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100)에는 몸체(100)의 둘레면(104)을 따라 몸체(100)의 안과 밖으로 넣어지거나 돌출가능하도록 연결봉(103)을 안내하는 안내공(102)이 형성된다.
연결봉(103)은 몸체(100)로부터 걸이대(200)가 늘어지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수평면 구조물(300)에 몸체(100)를 부착하였을 때 몸체(100)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된 연결봉(103)에 물려져 하부로 펼쳐져 내려간 걸이대(200)가 탁자, 책상 등의 구조물(300)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연결봉(103)의 외부측 일단에는 고리구멍(108)을 형성하고, 이 고리구멍(108)에는 고리링(109)을 부설하여 고리링(109)에 열쇠(111)나 액세서리 등 보관이 필요한 물품을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00)의 양면 중 일측면에는 몸체(100)를 탁자, 책상 등의 구조물(300)에 고정할 수 있는 흡착부재 또는 마찰력을 강화시키는 마찰부재 등과 같은 고정부재(101)가 구비되어 있다. 고정부재(101)는 가능하면 마찰력으로 몸체(100)를 구조물(300) 표면에 지지할 수 있는 소재 또는 흡착력으로 몸체(100)를 구조물(300)에 지지할 수 있는 구조가 적합하다.
그리고 몸체(100)의 타측 면에는 다양한 무늬, 문자, 캐릭터 등이 형성된 장식부재(11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장식적 미감을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여 표면을 처리할 수 있다.
고정부재(101)와 장식부재(112)는 몸체(100)에 단턱부(113)를 형성하여 그 단턱부(113)를 통해 결합하되 몸체(100) 위로 돌출되거나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부착할 수 있다.
연결봉(103)과 연결봉(103)이 안내되는 몸체(100)의 안내공(102) 구조를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몸체(100)의 둘레면(104)을 형성하는 외곽 부분은 변형이 적은 소재를 사용하여 구성되고 내측으로는 변형을 방지하고 보강할 수 있는 보강부재(미도시)를 더 설치할 수 있다. 보강부재는 교차 형태의 격벽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격벽을 이용하여 스토퍼홈(114)을 갖는 스토퍼(106)를 구성할 수 있다.
스토퍼(106)는 연결봉(103)이 몸체(100) 내로 삽입되거나 몸체(100) 외부로 인출된 다음 연결봉(103)이 회전되어 몸체(100)와 직교 상태로 걸이대(200)가 회전되었을 때 연결봉(103)이 몸체(100) 내외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스토퍼(106)에 의해 몸체(100)의 내부는 좌, 우측 공간부로 구분되고, 스토퍼(106)는 연결봉(103)의 걸림턱(105)이 통과되거나 통과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퍼홈(114)이 구비된다. 그리고 연결봉(103)은 걸림턱(105) 외에 단부측 방향으로 이탈방지턱(105a)이 형성되어 스토퍼(106)에서 빠지지 않는다.
스토퍼(106)의 스토퍼 홈(114) 형상은 연결봉(103)의 걸림턱(105) 형상에 대응되거나 동일한 형상이고 걸림턱(105)이 진입되거나 빠져나올 수 있는 형상 정도면 충분하다.
이와 같이 몸체(100)의 내부 공간부에는 연결봉(103)의 출몰을 억제하기 위해 걸림턱(105)이 형성되어 연결봉(103)이 회전되면 걸림턱(105)이 스토퍼(106)에 걸려서 몸체(100) 내부 또는 몸체(100) 외부로 이동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6의 (a)(b)(c)와 같이, 걸이대(200)를 몸체(100)와 동일 평면으로 유지한 다음 연결봉(103)을 몸체(100)에서 잡아당기면 걸림턱(105)은 스토퍼(106)의 스토퍼 홈(114)을 통과하고, 걸이대(200)를 회전시켜서 몸체(100)와 직각으로 하는 경우 걸림턱(105)은 스토퍼(106)를 통과하지 못한다.
연결봉(103)의 걸림턱(105)이 스토퍼(106)의 스토퍼 홈(114)을 통과하여 우측 공간부에 위치된 후 연결봉(103)이 회전되어 걸이대(200)가 몸체(100)와 수평 상태가 아니면 연결봉(103)을 밀어 넣어도 스토퍼(106)의 스토퍼 홈(114)을 통과하지 못하고 스토퍼(106)에 걸려서 몸체(100) 내로 들어가지 않는다.
이와 반대로 걸이대(200)를 회전시켜서 몸체(100)를 수평상태로 유지한 다음 연결봉(103)을 몸체(100) 안으로 밀어넣으면 걸림턱(105)이 스토퍼(106)의 스토퍼 홈(114)을 통과하고 걸이대(200)를 몸체(100)의 둘레면(104)을 따라 밀착시켜 감아서 보관할 수 있다.
몸체(100) 외부로 노출되는 원형봉 형태의 연결봉(103)의 선단부는 핀(110)으로 연결대(201)와 연결되도록 핀공(115)을 갖는 결합편(116)이 형성된다.
이 결합편(116)에 대응하여 연결대(201)는 결합편(116)이 삽입되도록 한 쌍의 다리(205)에 의해 연결봉(103)의 결합편(116)을 안착시키는 결합홈(206)이 형성되고, 이 결합홈(206)에 삽입된 연결봉(103)의 결합편(116)이 뒷 방향으로 회전되어 뒤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결대(201)의 뒷부분에는 멈춤편(207)이 형성되고, 한 쌍의 다리(205)에는 핀공(208)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대(201)의 타단에는 결합편(209)과 핀공(208)이 형성된다. 그 후 연결되는 연결대(202)는 상부측 연결대(201)와 마찬가지로 동일 형상 및 크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말단의 걸이구(204)도 연결대(203)에 형성된 결합편에 핀으로 동일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걸이구(204)의 선단은 한 쌍의 다리(205)에 의해 결합홈(206)이 형성되며, 가방 또는 핸드백을 걸 수 있도록 다른 연결대(201)(202)(203)에 비해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대(201)(202)(203)와 걸이구(204)는 몸체(100)의 형상을 원형으로 하는 경우, 동일 형태 및 크기를 갖는 3개의 연결대(201)(202)(203)가 일렬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3개의 연결대(201)(202)(203) 들은 몸체(100)의 반원(대략 180°)에 접촉되는 길이로 등분된 호 형상으로 하고, 나머지 걸이구(204)는 이들 3개의 연결대(201)(202)(203)와 조합되어 몸체(100)의 둘레면(104)을 따라 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대략 180°의 호를 갖는 반원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몸체(100)의 둘레면(104)을 감싸는 걸이대(200)가 몸체(100)에 둘레면(104)을 따라 밀착되도록 감싸여지는 상태로 고정되도록 몸체(100)의 둘레면(104) 및 이 몸체(100) 둘레면(104)에 접촉되는 걸이대(200)에 자석(107)이 각각 설치되어 걸이대(200)를 몸체(100)에 밀착시켜 고정시키는 경우 걸이대(200)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휴대용 걸이대는 가방이나 핸드백 및 포켓 등에 간단히 휴대할 수 있으므로, 가방이나 핸드백을 책상, 테이블, 벽체 등의 구조물에 걸어서 보관하고자 할 때 간단히 사용할 수 있으며, 열쇠나 액세서리류 등의 잡화를 보관할 때도 고리링(109)에 끼워서 간단히 보관할 수 있으므로, 열쇠고리 겸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휴대용 걸이구를 테이블과 같은 수평 구조물(300)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사용법을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걸이대(200)가 구조물(300)의 하부로 늘어질 수 있도록 몸체(100)를 탁자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 부착한 후 몸체(100)를 감싸고 있는 걸이대(200)의 말단 걸이구(204)를 외측으로 잡아당기면 몸체(100)의 둘레면(104)을 따라 밀착되어 있는 걸이대(200)가 분리되고 연속적으로 연결봉(103)의 걸림턱(105)이 스토퍼(196)의 스토퍼 홈(114)을 통과하여 우측으로 이동하며, 걸이대(200)를 구성하는 각각의 연결대(201)(202)(203) 및 걸이구(204)는 자중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낙하되면서 그 힘으로 연결봉(103)이 회전되어 걸이대(200)는 구조물(300) 하부로 늘어지는 상태가 된다.
이때 연결봉(103)을 약 90°정도 회전시키면 걸림턱(105)은 스토퍼(106)의 스토퍼 홈(114)을 지나서 빠져나온 상태이므로 연결봉(103)을 몸체(100)측 방향으로 밀어넣어도 스토퍼(106)에 의해 삽입이 방지되므로 몸체(100)로부터 외측으로 빠져나온 연결봉(103)은 그 상태가 유지된다.
즉, 연결봉(103)에 핀(110)으로 연결된 연결대(201)(2020(203)와 말단의 걸이구(204)는 구조물(300) 모서리에서 외부측으로 이동된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걸이대(200)를 줄처럼 아래로 일렬로 늘어뜨린 상태를 유지하며, 말단의 걸이구(204)를 이용하여 이곳에 가방이나 핸드백 등의 걸 것을 걸어서 보관할 수 있으며, 걸이구(204)에 건 물건들은 바닥에 닿지 않게 깨끗하게 보관된다.
또한, 몸체(100)에 밀착된 걸이대(200)를 먼저 떼어낸 후 수평상태에서 연결봉(103)을 잡아당겨 걸이대(200)를 하부로 늘어뜨린 상태로 변형 시킨 후 몸체(100)의 고정부재(101)가 구조물(300) 표면에 밀착되도록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봉(103)의 외부측 일단에 고리구멍(108)을 형성하고, 이 고리구멍(108)에는 고리링(109)을 설치하여 열쇠나 액세서리 등 보관이 필요한 물품을 휴대용 걸이구를 통해 걸어서 보관할 수 있어 열쇠고리 겸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고, 단순한 수정 및 변형은 모두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에 속한다.
100 : 몸체 101 : 고정부재
102 : 안내공 103 : 연결봉
104 : 둘레면 105 : 걸림턱
106 : 스토퍼 107 : 자석
108 : 고리구멍 109 : 고리링
110 : 핀 111 : 열쇠
112 : 장식부재 113 : 단턱부
114 : 스토퍼 홈 115 : 핀공
116 : 결합편 200 : 걸이대
201.202.203 : 연결대 204 : 걸이구
205 : 다리 206 : 결함홈
207 : 멈춤편 208 : 핀공
209 : 결합편

Claims (7)

  1. 두께를 가지며, 면 상으로는 구조물(300)에 접촉되는 고정부재(101)를 구비하고, 일부분에는 안내공(102)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안내공(102)을 따라 안내되어 몸체(100) 속으로 넣으면 안으로 진입하고 당기면 빠져나오고 회전될 수 있게 몸체(100)에 설치된 연결봉(103);
    상기 연결봉(103)에 일단이 결합 되어 몸체(100)를 중심으로 오므릴 수 있고 반대로 펼쳐서 밑으로 내려 물품을 걸 수 있는 고리 구조로 가변 되는 걸이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걸이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원형, 타원형, 사각형, 사다리꼴 형, 마름모 형, 기하학적인 다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걸이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에 형성되는 안내공(102)은,
    몸체(100)의 둘레면(104)을 따라 안쪽 방향으로 파여진 홈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걸이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103)은,
    상기 몸체(100)의 안내공(102)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걸림턱(105)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몸체(100)의 안내공(102)에는 걸림턱(105)의 이탈을 막는 스토퍼(10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걸이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둘레면(104)에 자석(107)이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여 걸이대(200)의 내측에도 자석(107)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걸이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200)는 몸체(100)의 하부로 연장되도록 다수의 연결대(201)(202)(203)들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말단에는 물건을 거는 걸이구(20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걸이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102)의 외부측 일단에는 고리구멍(108)이 형성되고, 그 고리구멍(108)에는 고리링(109)을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걸이구.
KR2020100001185U 2009-09-08 2010-02-02 휴대용 걸이구 KR2011000271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185U KR20110002712U (ko) 2009-09-08 2010-02-02 휴대용 걸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783 2009-09-08
KR2020100001185U KR20110002712U (ko) 2009-09-08 2010-02-02 휴대용 걸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712U true KR20110002712U (ko) 2011-03-16

Family

ID=44208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185U KR20110002712U (ko) 2009-09-08 2010-02-02 휴대용 걸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271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601B1 (ko) * 2013-05-21 2014-11-03 남기태 휴대용 가방걸이
KR20210028470A (ko) * 2019-09-04 2021-03-12 류안수 휴대용 가방 걸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601B1 (ko) * 2013-05-21 2014-11-03 남기태 휴대용 가방걸이
KR20210028470A (ko) * 2019-09-04 2021-03-12 류안수 휴대용 가방 걸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7814B2 (en) Travel bag and foam roller
US9247838B2 (en) Collapsible clothes and article hanger
US6065618A (en) Closet organizing system
US20100276241A1 (en) Hanging shelf system and travel organizer for use in combination with a suitcase
US20070183691A1 (en) Hanging Laundry Basket
JP6094001B2 (ja) 衣料品の格納及び取出用携帯装置
US5065864A (en) Laundry valet
EP0294473A1 (en) Improved garment bag
US6659273B1 (en) Laundry tote
US3437181A (en) Self-supporting luggage unit
US5718490A (en) Assembled clothes storage closet
US20140306082A1 (en) Hang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20110002712U (ko) 휴대용 걸이구
JPH09505491A (ja) 所持品入れ
JP2007185407A (ja) スーツケース
EP0872200A2 (en) Folding hanger system for luggage
US20150053520A1 (en) Portable closet system
US20040070318A1 (en) Folding hanger closet
GB2546125A (en) Organizer
US20110083932A1 (en) Garment organizing system,assembly, and method
KR20120079410A (ko) 옷걸이를 구비한 여행가방
US20170000226A1 (en) Retractable hanger used in compartments for carrying personal effects
JP2012081084A (ja) 折畳可能な衣類収納具
JP6999935B2 (ja) 吊下げ支持具
KR20180000609U (ko) 가방용 파티션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