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552A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and syste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inputting devic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and syste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input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552A
KR20110002552A KR1020090060063A KR20090060063A KR20110002552A KR 20110002552 A KR20110002552 A KR 20110002552A KR 1020090060063 A KR1020090060063 A KR 1020090060063A KR 20090060063 A KR20090060063 A KR 20090060063A KR 20110002552 A KR20110002552 A KR 20110002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ouch
vowel
character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00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75642B1 (en
Inventor
황성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0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642B1/en
Publication of KR20110002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5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6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a touch screen, and a syste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a touch screen inputting device are provided to shorten the time taken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by minimizing the number of the character input keys arranged on a touch screen and combining Korean characters through a minimum touch operation. CONSTITUTION: An input window inputs a character, and a character combination unit combines the characters inputted through a touch screen. An output window displays the combined characters, and the input and output windows are prepared on the touch screen. The input window includes a single consonant, a first vowel, a second vowel, and independently-arranged character input keys. The character combination input unit combines Korean character characters by selecting consonants and vowels according to a drag direction and a single or multi-touch operation.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그 방법 및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and Syste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inputting device}Hangul input device using touch screen, method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and Syste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inputting device}

본 발명은 한글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터치스크린 상에 자음과 특정 모음만을 표시하는 문자입력키만을 배치하고, 터치의 특성 및 터치의 방향에 따라 한글을 조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터치의 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여 한글 입력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그 방법 및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gul input device, and in particular, by placing only a character input key for displaying only consonants and specific vowels on the touch screen, and by combining the Hangul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uch and the direction of the touch, the number of touch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gul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Hangul input, a method thereof, and a Hangul input system using a touch screen input means.

본 발명은 휴대폰, PMP, MID등의 전자기기등에 채용된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스크린에 배치되는 문자입력키를 최소화하고, 특유의 문자 입력 방식을 채용하여 한글 입력을 단순화시키고, 빨리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character input keys disposed on the touch screen on the touch screen employed in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PMPs, MIDs, etc., and employs a unique character input method to simplify the input of Korean characters and allow quick input. A Korean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최근 전자기기가 소형화되고, 터치스크린이 핵심 기술로 부상함에 따라 기존의 입력키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문자 입력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With the recent miniaturization of electronic devices and the emergence of touch screens as core technologies, new text input methods are required to replace existing input keys.

특히, 한국인은 영어를 입력하는 경우보다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가 훨씬 많게 되므로, 한글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설계된 키패드가 제공된 축소형 문자 입력 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In particular, Koreans are much more likely to input Hangul than when entering English. 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a miniature character input device provided with a keypad designed to easily input Hangul.

이에 대하여 공지된 한국특허공개번호 1999-65826은 음소조합방식에 의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음소를 쓰는 개념으로 문자의 타건 방법을 쉽게 익힐 수는 있으나 모음 구성상에서 많은 타건 횟수가 필요하다.Know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9-65826 is composed of a phoneme combination method, it is a concept of using a phoneme can easily learn the keystroke method of the character, but requires a large number of times in the vowel configuration.

또한, 한국특허공개번호 1999-52447은 시각적 재해석에 의하여 구성한 것으로, 자음을 재구성하여 한글을 재구성해야 하므로, 한글의 기본적인 알고리즘에서 벗어나는 시스템이며, 자음의 입력에 많은 타건 횟수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문자의 타건 방법을 쉽게 익힐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9-52447 is constructed by visual reinterpretation, and it is a system deviating from the basic algorithm of Hangul because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the consonant, and it requires not only a large number of keystrokes to input the consonant, but also There is a discomfort that can not be easily learned how to key.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59191호를 참조하면, 자음 입력시의 키의 타건 횟수를 줄이지 못하고 있으며, 겹모음의 입력시에 사용자가 필기 순서를 파악하는데 곤란한 단점이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59191, it is not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keystrokes at the time of consonant input, and it is difficult for a user to grasp the writing order at the time of inputting the consonants.

즉, 종래의 한글 입력 방법은 타건 횟수가 너무 많아 문자 입력시 타건 횟수의 증가로 인한 오입력이 증가하고, 문자 입력에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That is, the conventional Hangul input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number of keystrokes is too large, so that an incorrect input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keystrokes is increased, and the character input takes too much time.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터치스크린에 배치되는 문자입력키를 최소화하여 터치의 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써 한글 입력을 단순하고 빨리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gul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that can perform a Hangul input simply and quickly by minimizing the number of touches by minimizing the character input keys disposed on the touch screen. will b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second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gul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using a Hangul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세 번째 과제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를 적용한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hird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gul input system using a touch screen input means applying the Hangul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상기 첫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first problem,

문자입력수단과, 상기 문자입력수단에 의해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조합수단을 포함하는 한글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터치에 의해 감지되는 입력창과 상기 문자조합수단에 의해 문자 조합의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창이 표시되고, 상기 입력창은 단자음, 제 1 모음인 'l', 및 제 2 모음인 'ㅡ'가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문자입력키를 구비하고, 상기 문자조합수단은 싱글 터치인지 멀티 터치인지의 여부인 터치 특성 및 상기 터치의 드래그(drag) 방향인 터치 방향에 따라 자음과 모음이 선택되어 한글을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를 제공 한다.In the Korean input device comprising a character input means and a character combination means for displaying a character by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by a signal input from the touch screen by the character input means, wherein the touch screen is detected by touch An output window for outputting the result of the character combination is displayed by an input window and the character combination means, and the input window has a character input key in which terminal sounds, a first vowel 'l' and a second vowel 'ㅡ' are independently arranged. The character combining means comprises a consonant and a vowel selected according to a touch characteristic of whether a single touch or a multi touch and a touch direction of a drag direction of the touch, and combines Korean characters. It provides Hangul input device using.

여기서, 상기 문자조합수단은 상기 문자입력키에 상기 싱글 터치가 인식되면 단자음 입력으로 인식하고, 상기 멀티 터치가 인식되면 쌍자음 입력으로 인식되어 한글을 조합할 수 있다.Here, the character combination means may recognize a single input to the character input key and recognize the terminal sound input. If the multi-touch is recognized, the character combination means may recognize a double consonant input to combine Korean characters.

또한, 상기 문자조합수단은 상기 문자입력키에 상기 싱글 터치에 의하여 드래그 방향이 결정되면 'ㅏ, ㅓ, ㅗ, ㅜ'의 입력으로 인식하고, 상기 멀티 터치에 의하여 드래그 방향이 결정되면 'ㅑ, ㅕ, ㅛ, ㅠ'의 입력으로 인식하여 한글을 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acter combination means is recognized as the input of 'ㅏ, ㅓ, ㅗ, TT' when the drag direction is determined by the single touch on the character input key, and when the drag direction is determined by the multi-touch '터치, Hangul can be combined by recognizing it as the input of ㅕ, ㅛ, ㅠ '.

아울러, 상기 문자조합수단은 상기 문자입력키에 서로 다른 드래그 방향이 연속적으로 결정되거나, 상기 터치의 드래그 방향, 상기 제 1 모음 및 상기 제 2 모음의 입력의 조합에 의해 겹모음의 입력을 인식하여 한글을 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acter combining means is determined by the different drag direction to the character input key continuously, or by recognizing the input of the layered collection by the combination of the drag direction of the touch, the input of the first vowel and the second vowel Can be combined.

그리고, 상기 문자조합수단은 자음 입력을 결정하는 자음 입력 모드 및 모음 입력을 결정하는 모음 입력 모드에 의해 한글을 조합할 수 있다.The character combining means may combine Korean characters by a consonant input mode for determining a consonant input and a vowel input mode for determining a vowel input.

한편, 상기 문자조합수단은 상기 문자입력키에 특정 자음이 터치되면 자음 입력 모드가 결정되고, 상기 특정 자음의 결정 후, 상기 특정 자음에서 드래그 방향을 결정하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모음 입력 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 combination means is a consonant input mode is determined when a specific consonant is touched on the character input key, after the determination of the specific consonant, when the drag input to determine the drag direction from the specific consonant is determined vowel input mode is determined Can be.

상기 첫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first problem,

문자입력수단과, 상기 문자입력수단에 의해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조합수단을 포함하는 한글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터치에 의해 감지되는 입력창과 상기 문자 조합수단에 의해 문자 조합의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창이 표시되고, 상기 입력창은 단자음, 쌍자음, 제 1 모음인 'l', 및 제 2 모음인 'ㅡ'가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문자입력키를 구비하고, 상기 문자조합수단은 싱글 터치인지 멀티 터치인지의 여부인 터치 특성 및 상기 터치의 드래그(drag) 방향인 터치 방향에 따라 자음과 모음이 선택되어 한글을 조합할 수 있다.In the Korean input device comprising a character input means and a character combination means for displaying a character by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by a signal input from the touch screen by the character input means, wherein the touch screen is detected by touch An output window for outputting the result of the character combination is displayed by an input window and the character combination means, and the input window is provided with terminal sounds, double consonants, 'l' as the first vowel, and 'ㅡ' as the second vowel, independently. The character combination key may include a consonant and a vowel according to a touch characteristic that is a single touch or a multi-touch and a touch direction that is a drag direction of the touch.

한편, 상기 문자조합수단은 상기 문자입력키에 상기 싱글 터치에 의하여 드래그 방향이 결정되면 'ㅏ, ㅓ, ㅗ, ㅜ'의 입력으로 인식하고, 상기 멀티 터치에 의하여 드래그 방향이 결정되면 'ㅑ, ㅕ, ㅛ, ㅠ'의 입력으로 인식하여 한글을 조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 combination means is recognized as the input of 'ㅏ, ㅓ, ㅗ, TT' when the drag direction is determined by the single touch on the character input key, and when the drag direction is determined by the multi-touch '터치, Hangul can be combined by recognizing it as the input of ㅕ, ㅛ, ㅠ '.

또한, 상기 문자조합수단은 상기 문자입력키에 서로 다른 드래그 방향이 연속적으로 결정되거나, 상기 터치의 드래그 방향, 상기 제 1 모음 및 상기 제 2 모음의 입력의 조합에 의해 겹모음의 입력을 인식하여 한글을 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acter combining means is determined by the different drag direction to the character input key continuously, or by recognizing the input of the layered collection by the combination of the drag direction of the touch, the input of the first vowel and the second vowel Can be combined.

아울러, 상기 문자조합수단은 자음 입력을 결정하는 자음 입력 모드 및 모음 입력을 결정하는 모음 입력 모드에 의해 한글을 조합하되, 상기 문자입력키에 특정 자음이 터치되면 자음 입력 모드가 결정되고, 상기 특정 자음의 결정 후, 상기 특정 자음에서 드래그 방향을 결정하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모음 입력 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acter combination means combines the Hangul by the consonant input mode for determining the consonant input and the vowel input mode for determining the vowel input, if a specific consonant is touched on the character input key is determined consonant input mode, After the consonant is determined, a vowel input mode may be determined when a drag input for determining a drag direction is detected at the specific consonant.

상기 두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second problem,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문자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는 단 자음, 제 1 모음인 'l', 및 제 2 모음인 'ㅡ'의 문자입력키가 독립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터치스크린으로의 터치가 싱글 터치인지 멀티 터치인지의 여부인 터치 특성 및 상기 터치의 드래그(drag) 방향인 터치 방향에 따라 자음과 모음이 선택되어 한글을 조합할 수 있다.In the Korean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for displaying a character by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by a signal input from the touch screen, the touch screen has a single consonant, 'l' as a first vowel, and 'ㅡ as a second vowel. 'Character input keys are arranged independently, and consonants and vowel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touch characteristics of whether the touch to the touch screen is single touch or multi-touch and the touch direction of the drag direction. Can be combined.

그리고, 상기 문자입력키에 상기 싱글 터치가 인식되면 단자음 입력으로 인식하고, 상기 멀티 터치가 인식되면 쌍자음 입력으로 인식되어 한글을 조합할 수 있다.When the single touch is recognized by the character input key, the terminal input may be recognized as a terminal sound input, and when the multi-touch is recognized, it may be recognized as a twin consonant input to combine Korean characters.

또한, 상기 문자입력키에 상기 싱글 터치에 의하여 드래그 방향이 결정되면 'ㅏ, ㅓ, ㅗ, ㅜ'의 입력으로 인식하고, 상기 멀티 터치에 의하여 드래그 방향이 결정되면 'ㅑ, ㅕ, ㅛ, ㅠ'의 입력으로 인식하여 한글을 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rag direction is determined by the single touch on the character input key, it is recognized as an input of 'ㅏ, ㅓ, ㅗ, TT', and when the drag direction is determined by the multi-touch, 'ㅑ, ㅕ, ㅛ, ㅠ Hangul can be combined by recognizing it as an input of '.

한편, 상기 문자입력키에 서로 다른 드래그 방향이 연속적으로 결정되거나, 상기 터치의 드래그 방향, 상기 제 1 모음 및 상기 제 2 모음의 입력의 조합에 의해 겹모음의 입력을 인식하여 한글을 조합할 수 있다.Meanwhile, different drag directions may be continuously determined on the character input key, or Korean characters may be combined by recognizing an input of a layered collection by a combination of a drag direction of the touch, an input of the first vowel and the second vowel. .

상기 두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second problem,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문자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는 단자음, 쌍자음, 제 1 모음인 'l', 및 제 2 모음인 'ㅡ'의 문자입력키가 독립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터치스크린으로의 터치 입력이 싱글 터치인지 멀티 터치인지의 여부인 터치 특성 및 상기 터치의 드래그(drag) 방향인 터치 방향에 따라 자음과 모음이 선택되어 한글을 조합할 수 있다.In the Korean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that displays a character by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by a signal input from the touch screen, the touch screen includes a terminal sound, a double consonant, a first vowel 'l' and a second vowel. Character input keys of 'ㅡ' are arranged independently, and consonants and vowels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touch characteristics of whether the touch input to the touch screen is single touch or multi-touch and the touch direction of the drag direction. Can be selected to combine Hangul.

그리고, 상기 문자입력키에 상기 싱글 터치에 의하여 드래그 방향이 결정되면 'ㅏ, ㅓ, ㅗ, ㅜ'의 입력으로 인식하고, 상기 멀티 터치에 의하여 드래그 방향이 결정되면 'ㅑ, ㅕ, ㅛ, ㅠ'의 입력으로 인식하여 한글을 조합할 수 있다.When the drag direction is determined by the single touch on the text input key, the drag input is recognized as an input of 'ㅏ, ㅓ, ㅗ, TT'. When the drag direction is determined by the multi-touch, 'ㅑ, ㅕ, ㅛ, ㅠ Hangul can be combined by recognizing it as an input of '.

또한, 상기 문자입력키에 서로 다른 드래그 방향이 연속적으로 결정되거나, 상기 터치의 드래그 방향, 상기 제 1 모음 및 상기 제 2 모음의 입력의 조합에 의해 겹모음의 입력을 인식하여 한글을 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different drag directions may be continuously determined on the character input key, or Korean characters may be combined by recognizing an input of a layered collection by a combination of a drag direction of the touch, an input of the first vowel and the second vowel. .

아울러, 자음 입력을 결정하는 자음 입력 모드 및 모음 입력을 결정하는 모음 입력 모드에 의해 한글을 조합하되, 상기 문자입력키에 특정 자음이 터치되면 자음 입력 모드가 결정되고, 상기 특정 자음의 결정 후, 상기 특정 자음에서 드래그 방향을 결정하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모음 입력 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Korean characters are combined by the consonant input mode for determining the consonant input and the vowel input mode for determining the vowel input. When a specific consonant is touched by the character input key, a consonant input mode is determined, and after the determination of the specific consonant, When a drag input for determining a drag direction is detected at the specific consonant, a vowel input mode may be determined.

상기 세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third problem,

문자입력수단과, 상기 문자입력수단에 의해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조합수단과 상기 터치스크린에 터치 명령을 입력하는터치스크린입력수단 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터치에 의해 감지되는 입력창과 상기 문자조합수단에 의해 문자 조합의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창이 표시되고, 상기 입력창은 단자음, 제 1 모음인 'l', 및 제 2 모음인 'ㅡ'가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문자입력키를 구비하고, 상기 문자조합수단은 싱글 터치인지 멀티 터치인지의 여부인 터치 특성 및 상기 터치의 드래그(drag) 방향인 터치 방향에 따라 자음과 모음이 선택되어 한글을 조합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적어도 둘 이상의 지점을 터치할 수 있는 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을 제공한다.And a character combination means for displaying characters by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by a character input means, a signal input from the touch screen by the character input means, and touch screen input means for inputting a touch command to the touch screen. In the Korean input system using a screen input means, the touch screen is displayed an input window detected by the touch and an output window for outputting the result of the character combination by the character combination means, the input window is a terminal sound, the first vowel 'l' and '-2', which is a second vowel, are provid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the character combination means includes touch characteristics, whether single touch or multi-touch, and a drag direction of the touch. Consonants and vowel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touch direction to combine Hangul, and the touch screen input means includes at least two of the touch screens. Using a touch-screen input means, characterized in that including a touch to the touch point provides an input system Hangul.

여기서, 상기 문자조합수단은 상기 문자입력키에 상기 싱글 터치가 인식되면 단자음 입력으로 인식하고, 상기 멀티 터치가 인식되면 쌍자음 입력으로 인식되어 한글을 조합할 수 있다.Here, the character combination means may recognize a single input to the character input key and recognize the terminal sound input. If the multi-touch is recognized, the character combination means may recognize a double consonant input to combine Korean characters.

그리고, 상기 문자조합수단은 상기 문자입력키에 상기 싱글 터치에 의하여 드래그 방향이 결정되면 단모음인 'ㅏ, ㅓ, ㅗ, ㅜ'의 입력으로 인식하고, 상기 멀티 터치에 의하여 드래그 방향이 결정되면 복모음인 'ㅑ, ㅕ, ㅛ, ㅠ'의 입력으로 인식하여 한글을 조합할 수 있다.When the drag direction is determined by the single touch on the character input key, the character combination means recognizes a short vowel 'ㅏ, ㅓ, ㅗ, TT', and when the drag direction is determined by the multi-touch, a double vowel Hangul can be combined by recognizing it as input of 'ㅑ, ㅕ, ㅛ, ㅠ'.

또한, 상기 문자조합수단은 상기 문자입력키에 서로 다른 드래그 방향이 연속적으로 결정되거나, 상기 터치의 드래그 방향, 상기 제 1 모음 및 상기 제 2 모음의 입력의 조합에 의해 겹모음의 입력을 인식하여 한글을 조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acter combining means is determined by the different drag direction to the character input key continuously, or by recognizing the input of the layered collection by the combination of the drag direction of the touch, the input of the first vowel and the second vowel Can be combined.

아울러, 상기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터치 지점의 수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uch screen input means allows the user to selectively adjust the number of touch points.

한편,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수단은 상기 터치스크린과의 터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터치부의 터치 지점 수를 조절할 수 있다.The touch screen input unit may adjust the number of touch points of the touch unit by adjusting a touch angle with the touch screen.

그리고, 상기 터치스크린 입력수단은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하며,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상기 터치부 각각은 독립적으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The touch screen input unit may include a stylus pen, and each of the touch units of the stylus pen may be independently adjusted in height.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기기등에서 활용되는 터치스크린에 배치되는 문자 입력키를 최소화할 수 있고, 한글 입력에 있어서 최소의 터치 동작에 의해 한글을 조합할 수 있기 때문에 한글 입력의 입력 행위를 단순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한글 입력의 입력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진보하는 멀티 터치 환경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명령모드를 복수의 터치부를 구비한 터치 입력 수단의 터치 수로 구분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터치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haracter input keys disposed on the touch screen utilized in the mobile device, and to simplify the input behavior of the Hangul input because Hangul can be combined with a minimum touch operation in the Hangul input. As a result, the input time of the Hangul input can be shortened, and the various command modes required in the advanced multi-touch environment can be divided into the number of touches of the touch input means having a plurality of touch units, thereby realizing a more effective touch interface. It works.

본 발명은, 최소화된 한글 입력키와 싱글 터치인지 멀티 터치인지의 여부, 및 드래그 방향에 따라 자음과 모음을 결정할 수 있는 획기적인 문자 입력 기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volutionary character input technique capable of determining consonants and vowels according to a minimized Hangul input key, whether single-touch or multi-touch, and drag direc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한편,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below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illustrate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일반적인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한글입력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Korean input device provided with a general touch screen.

도 1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한글입력장치는 제어부(110)와 문자를 입력하는 입력창(120),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하여 입력된 문자를 소정의 과정에 의하여 조합하는 문자조합수단(130)과 상기 문자조합수단(130)에서 조합한 문자 를 제어부를 통하여 제어하여 표시하는 출력창(140)을 구비하며, 상기 입력창(120)과 출력창(140)은 터치스크린에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1, the Korean input device including a touch screen includes a character combination means for combining the control unit 110 with an input window 120 for inputting a character and a character input by the touch screen by a predetermined process ( 130 and an output window 140 for controlling and displaying the characters combined by the character combination means 130, the input window 120 and the output window 140 is provided on the touch screen.

본 발명은 상기 한글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입력창은 단자음, 제 1 모음인 'l', 및 제 2 모음인 'ㅡ'가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문자입력키를 구비하고, 문자조합수단은 싱글 터치인지 멀티 터치인지의 여부인 터치 특성 및 상기 터치의 드래그(drag) 방향인 터치 방향에 따라 자음과 모음이 선택되어 한글을 조합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Hangul input device, the input window is provided with a terminal input, the first vowel 'l', and the second vowel '-' is independently arranged, the character combination means is a single touch Consonants and vowel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touch characteristics, whether the touch is multi-touch or the touch direction, which is the drag direction of the touch, to combine Hangul.

한편, 하기에 상술되는 싱글 터치는 일반적인 하나의 단순 터치를 의미하고, 멀티 터치는 2개의 터치가 한번의 터치 동작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터치가 특정 시간 간격으로 두번의 터치 동작으로 수행되는 더블 터치와 구별되는 터치 행위로 간주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single touch described in detail below means a general simple touch, and the multi-touch refers to a double touch in which two touches are performed by one touch operation and a touch is performed in two touch operations at specific time intervals. It will be regarded as a distinct touch ac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의 입력창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2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n input window of a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입력창의 문자입력키는 도 2에 도시된 입력배열을 가질 수 있으며, 실시형태 및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at is, the character input key of the input window may have the input arrangement shown in FIG. 2, and may be variously configur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the use environment.

도 2를 참조하면, 문자입력키 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의 자음과 'l, ㅡ'의 모음이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2, the letter input keys include the consonants of 'b, b, c, d, ㅁ, ㅂ, ㅅ, ㅇ, ㅈ, ㅁ, ㅋ, ㅌ, ッ, ㅎ and vowels of' l, ㅡ '. Each is placed independently.

상기 문자입력키를 바탕으로, 문자조합수단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터치가 싱글 터치인지 멀티 터치인지의 여부인 터치 특성 및 터치의 드래그 방향인 터치 방향에 따라 자음과 모음이 선택되어 한글을 조합하게 된다.Based on the character input keys, the character combination means selects consonants and vowels according to the touch characteristics, whether the touch input by the user is single touch or multi-touch, and the touch direction, the drag direction of the touch, to combine Korean characters. do.

우선, 도 3의 문자입력키를 기반으로 '사'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ㅅ' 자음을 터치하여 자음 'ㅅ'을 입력한 후, 우측으로 드래깅하여 'ㅏ' 모음을 입력함으로써 '사'라는 문자를 완성하게 된다.First, in order to input the letter of 'sa' based on the letter input key of FIG. 3, touch 'zy' consonant to input consonant 'ㅅ', then drag to the right to enter 'vo' Will complete the text.

즉, 드래깅 방향이 모음을 결정하게 되는데, 우측으로 드래깅하면 'ㅏ' 모음이 결정되고, 좌측으로 드래깅하면 'ㅓ' 모음이 결정된다. 같은 방식으로 위쪽으로 드래깅하면 'ㅗ' 모음이 결정되고, 아래쪽으로 드래깅하면 'ㅜ' 모음이 결정된다.That is, the dragging direction determines the vowel. Dragging to the right determines the 'ㅏ' vowel, and dragging to the left determines the 'vowel'. In the same way, dragging upwards determines the 'ㅗ' vowel, dragging downwards determines the 'TT' vowel.

그러면, 쌍자음 'ㄲ, ㄸ, ㅃ, ㅆ'의 입력과 복모음인 'ㅑ, ㅕ, ㅛ, ㅠ'와 겹모음인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의 입력이 문제가 된다.Then, the input of the double consonants 'ㄲ, ㄸ, ㅃ, ㅆ' and the double vowel 'ㅑ, ㅕ, ㅛ, ㅠ' and the fold ''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 Input of ㅢ 'becomes a problem.

쌍자음의 입력과 복모음의 입력은 아래와 같다.Input of double consonants and input of double vowels are as follows.

우선, 쌍자음의 입력을 위해서는 도 2의 문자입력키에 특정 자음에 싱글 터치가 아닌 멀티 터치로 터치 입력을 수행한다.First, in order to input double consonants, a touch input is performed on the character input key of FIG. 2 by multi-touch instead of a single touch on a specific consonant.

그러면, 싱글 터치는 단순 자음의 입력을 위해 터치가 수행되는 것이며, 멀티 터치는 쌍자음의 입력을 위해 터치가 수행되는 것이라 정의할 수 있다.Then, a single touch may be defined as a touch performed for input of a simple consonant, and a multi touch may be defined as a touch performed for input of a twin consonant.

복모음인 'ㅑ, ㅕ, ㅛ, ㅠ'은 멀티 터치 행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멀티 터치에 의한 드래깅 방향이 모음을 결정하게 되는데, 멀티 터치로 우측으로 드래깅하면 'ㅑ' 모음이 결정되고, 멀티 터치로 좌측으로 드래깅하면 'ㅕ' 모음이 결정된다. 같은 방식으로 멀티 터치로 위쪽으로 드래깅하면 'ㅛ' 모음이 결정되고, 멀티 터치로 아래쪽으로 드래깅하면 'ㅠ' 모음이 결정된다.The double vowels 'ㅑ, ㅕ, ㅛ, ㅠ' can be determined by the multi-touch action. That is, the dragging direction by the multi-touch determines the vowel. When dragging to the right with the multi-touch, the 'ㅑ' vowel is determined, and when dragging to the left with the multi-touch, the 'vowel' is determined. In the same way, dragging upward with multitouch determines the 'ㅛ' vowel, and dragging downward with the multitouch determines the 'ㅠ' vowel.

그리고, 겹모음의 입력은 아래와 같이 수행할 수 있다.And, the input of the fold collection can be performed as follows.

'ㅐ'의 모음은 특정 자음에서의 오른쪽 드래깅에 의한 싱글 터치 입력 행위에 의해 'ㅏ'의 모음을 결정하고, 문자입력키에 'l' 모음을 터치하여 'l'모음을 결 정함으로써 'ㅏ'의 모음과 'l'의 모음의 결합에 의해 'ㅐ'의 모음을 결정할 수 있다.The vowel of 'ㅐ' is determined by the single-touch input action by dragging the right side of a certain consonant, and the 'l' vowel is determined by touching the 'l' vowel on the character input key. The vowel of 'ㅐ' can be determined by combining the vowel of 'and the vowel of' l '.

'ㅒ'의 모음은 특정 자음에서의 오른쪽 드래깅에 의한 멀티 터치 입력 행위에 의해 'ㅑ' 모음을 결정하고, 문자입력키에 'l' 모음을 터치하여 'l'모음을 결정함으로써 'ㅑ'의 모음과 'l'의 모음의 결합에 의해 'ㅒ'의 모음을 결정할 수 있다.The vowel of 'ㅒ' is determined by the multi-touch input action by dragging the right side of a certain consonant, and the 'l' vowel is determined by touching the 'l' vowel on the character input key. The combination of the vowel and the vowel of 'l' determines the vowel of 'ㅒ'.

동일한 방식으로 'ㅔ', 'ㅖ', 'ㅚ', 'ㅟ'의 모음을 결정할 수 있다.In the same way, a collection of '모음', 'ㅖ', 'ㅚ' and 'ㅟ' can be determined.

'ㅘ'의 모음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할 수 있다. A vowel of 'ㅘ' can be entered as shown in FIG. 4.

즉, '솨'의 입력을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ㅅ'자음을 결정하고, 위쪽로 드래깅(311)하여 'ㅗ' 모음을 결정하고, 연속 동작에 의해 우측으로 드래깅(312)하여 'ㅏ'모음을 결정함으로써, 'ㅗ'의 모음과 'ㅏ'의 모음의 결합에 의해 'ㅘ'의 모음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311 동작과 312 동작은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그러면 최종적으로 '솨'의 문자를 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for example, the input of '솨',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determine the 'ㅅ' consonant, dragging upward 311 to determine the 'ㅗ' vowel, dragging (312) to the right by continuous operation By determining the 'ㅏ' collec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vowel' by the combination of the 'vowel' and the 'vowel'. On the other hand, operation 311 and 312 are performed continuously. Finally, the character of '문자' can be determined.

도 4와 같이 '솨'의 문자를 결정하기 위해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서 드래깅에 의하여 다른 문자인 'ㄷ'의 문자입력키를 입력하는 영역까지 침범하게 되므로, 문자 입력의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에 대하여 의문점을 가질 수 있다.As it is shown in Figure 4 to enter the vowel to determine the character of '솨' by dragging the area to enter the character input key of the other character 'c' by the dragging, the question about the possibility of error in the character input Can have

그러나, 본 발명은 터치에 의해 자음을 결정하고, 드래깅 행위에 의해 모음을 결정하게 되므로 드래깅 행위가 다른 자음의 영역으로 침범한다고 하더라도 다른 자음의 입력으로 오인식하지는 않는 것이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consonants are determined by touch and vowels are determined by a dragging action, even if a dragging action invades another consonant reg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mistaken as an input of another consonant.

이를 정리하여 유사한 문자의 입력인 '사, 샤, 싸, ㅆㅑ, 쏴'의 입력은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다.In summary, the input of the similar characters 'sa, sha, sa, sa, sa, shoot' is as shown in FIG.

즉, '사'의 문자는 'ㅅ' 자음의 싱글 터치에 의해 'ㅅ' 자음을 결정하고, 싱글 터치의 우측 드래깅에 의해 'ㅏ' 모음이 결정되어 '사' 문자가 완성된다.That is, the letter of 'sa' is determined by the single touch of the 'ㅅ' consonant, the 'ㅅ' consonant, and the 'ㅏ' vowel is determined by the dragging of the single touch to the right 'sa' character is completed.

'ㅅ' 자음의 싱글 터치에 의해 'ㅅ' 자음을 결정하는 것이 자음 입력 모드이며, 싱글 터치의 우측 드래깅에 의해 'ㅏ' 모음을 결정하는 것이 모음 입력 모드이고, 자음 입력 모드에 의해 결정된 자음과 모음 입력 모드에 의해 결정된 모음의 조합에 의해 한글 문자가 완성되는 것이다.The consonant input mode is to determine the consonant input mode by the single touch of the consonant input. The consonant input mode is to determine the vowel by dragging the right touch of the single touch and the consonant determined by the consonant input mode. Hangul characters are completed by the combination of vowels determined by the vowel input mode.

그리고, '샤'의 문자는 'ㅅ' 자음의 싱글 터치에 의해 'ㅅ' 자음을 결정하고, 멀티 터치의 우측 드래깅에 의해 'ㅑ' 모음이 결정되어 '샤' 문자가 완성된다.In addition, the character of 'Sha' is determined by the single touch of the 'ㅅ' consonant, the 'ㅅ' consonant, and the 'ㅑ' vowel is determined by the dragging of the multi-touch to the right 'sha' character is completed.

한편, '싸'의 문자는 'ㅅ' 자음의 멀티 터치에 의해 'ㅆ' 자음을 결정하고, 싱글 터치의 우측 드래깅에 의해 'ㅏ' 모음이 결정되어 '싸' 문자가 완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letter of 'Sai' determines the 'ㅆ' consonant by the multi-touch of the 'ㅅ' consonant, and the 'ㅏ' vowel is determined by dragging the right side of the single touch to complete the letter 'Sai'.

그리고, 'ㅆㅑ'의 문자는 'ㅅ'자음의 멀티 터치에 의해 'ㅆ' 자음을 결정하고, 멀티 터치의 우측 드래깅에 의해 'ㅑ' 모음이 결정되어 'ㅆㅑ' 문자가 완성된다.Then, the letter 'ㅆㅑ' determines the 'ㅆ' consonant by the multi-touch of the 'ㅅ' consonant, and the 'ㅑ' vowel is determined by the right dragging of the multi-touch to complete the 'ㅆㅑ' character.

그리고, 한편, '쏴'의 문자는 'ㅅ' 자음의 멀티 터치에 의해 'ㅆ' 자음을 결정하고, 싱글 터치의 위쪽 드래깅과 연속된 우측 드래깅에 의해 'ㅘ' 모음이 결정되어 '쏴' 문자가 완성된다.Meanwhile, the character of 'shoot' determines the '결정' consonant by the multi-touch of the 'ㅅ' consonant, and the 'ㅘ' collection is determined by the upper dragging of the single touch and the continuous right dragging. Is complet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문자조합수단은 터치스크린에 단자음 및 쌍자음의 자음을 배치하고, 싱글 터치인지 멀티 터치인지의 여부인 터치 특성 및 상기 터치의 드래그(drag) 방향인 터치 방향에 따라 모음이 결정되게 함으 로써, 선택된 자음과 모음에 의해 한글을 조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combination means is arranged on the touch screen terminal consonants and consonants of consonants, the touch characteristics of whether the single touch or multi-touch and the drag (drag) direction of the touch By determining the vowel according to the touch direction, Hangul can be combined by the selected consonants and vowels.

그외에 단모음, 복모음 및 겹모음의 입력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In addition, the input of the short vowel, the double vowel and the double vowel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의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gul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상술에 있어서, 전술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와 중복되는 상술은 과감히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FIG. 6, the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Hangul input device using the above-described touch screen will be omitted.

한편, 하기에 상술하는 단순 터치는 자음의 인식을 위한 단순한 터치 입력의 인식을 의미하며, 드래그 방향 인식은 모음의 인식을 위한 방향성 탐지를 의미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simple touch described in detail below means recognition of a simple touch input for recognizing a consonant, and drag direction recognition means directional detection for recognition of a vowel.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단순 터치가 인식(610)되면 자음 인식을 위한 자음 입력 모드(620)로 진입한다. Referring to FIG. 6, first, when a simple touch is recognized 610, it enters a consonant input mode 620 for consonant recognition.

그 다음, 상기 단순 터치가 싱글 터치의 입력인지를 판단(630)하여 싱글 터치이면 단자음 입력으로 인식(631)하고, 싱글 터치가 아니라 멀티 터치의 입력 인지를 판단(640)하여 멀티 터치이면 쌍자음 입력으로 인식(632)한다.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imple touch is an input of a single touch (630). If it is a single touch, it is recognized as a terminal sound input (631). If it is not a single touch,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put is a multitouch (640). Recognize as an input (632).

그리고, 싱글 터치도 아니고, 멀티 터치도 아닌 경우에는 다시 터치 입력이 인식될 동안 대기한다.If the touch input is neither a single touch nor a multi touch, the apparatus waits while the touch input is recognized again.

한편, 자음의 입력후에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터치가 방향성이 있는 드래그 방향이 인식되는 지를 판단(650)하여 드래그 방향이 인식되면 모음 입력 모드(660)로 진입한다.On the other hand, after inputting the consonants, the touch input by the user determines whether the directional drag direction is recognized 650, and when the drag direction is recognized, the vowel input mode 660 is entered.

그러나, 드래그 방향 인식이 아닌 경우에는 처음 단계로 돌아가 단순 터치 인식인지를 판단(610)하게 된다.However, if it is not the drag direction recognition, the process returns to the first step and determines whether it is simple touch recognition (610).

모음 입력 모드의 경우에는 드래그 방향에 따라 모음을 결정(670)하고, 이에 대한 상술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상술은 과감히 생략한다.In the case of the vowel input mode, the vowel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rag direction (670), and the details thereof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thus duplicated descriptions are drastically omitted.

한편, 모음이 결정되면, 다시 단순 터치가 인식되는 지를 판단(680)하고, 단순 터치가 인식되면 다시 자음 입력 모드로 진입(610)하고, 터치가 인식되지 않을 경우 하나의 문자가 완성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vowel is determin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imple touch is recognized again (680), if the simple touch is recognized again enters the consonant input mode (610), and if the touch is not recognized, one character is completed.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의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gul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우선 단순 터치가 인식(710)되면 자음 인식을 위한 자음 입력 모드(720)로 진입한다. Referring to FIG. 7, first, when a simple touch is recognized 710, a simple touch is entered into a consonant input mode 720 for consonant recognition.

그 다음, 자음 입력 모드(720)로 진입하면 터치스크린의 단자음 및 쌍자음 중에서 자음을 결정(730)하고, 자음의 입력 후에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터치가 방향성이 있는 드래그 방향이 인식되는 지를 판단(740)하여 드래그 방향이 인식되면 모음 입력 모드(750)로 진입한다.Next, when entering the consonant input mode 720, the consonant is determined 730 among the terminal sound and the double consonant of the touch screen, and after the input of the consonan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rag direction in which the touch input by the user is directional is recognized ( In operation 740, when the drag direction is recognized, the vowel input mode 750 is entered.

그러나, 드래그 방향 인식이 아닌 경우에는 처음 단계로 돌아가 단순 터치 인식인지를 판단(710)하게 된다.However, if it is not the drag direction recognition, the process returns to the first step and determines whether it is simple touch recognition (710).

모음 입력 모드의 경우에는 드래그 방향에 따라 모음을 결정(760)하고, 이에 대한 상술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상술은 과감히 생략한다.In the case of the vowel input mode, the vowel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rag direction (760). Since the details of the vowel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the duplicated description is drastically omitted.

한편, 모음이 결정되면, 다시 단순 터치가 인식되는 지를 판단(770)하고, 단순 터치가 인식되면 다시 자음 입력 모드로 진입(710)하고, 터치가 인식되지 않을 경우 하나의 문자가 완성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vowel is determin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imple touch is recognized again (770), if the simple touch is recognized again enters the consonant input mode (710), and if the touch is not recognized, one character is completed.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를 적용하여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gul input system using a touch screen input means by applying the Hangul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문자입력수단과, 상기 문자입력수단에 의해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조합수단과 상기 터치스크린에 터치 명령을 입력하는터치스크린입력수단 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터치에 의해 감지되는 입력창과 상기 문자조합수단에 의해 문자 조합의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창이 표시되고, 상기 입력창은 단자음, 제 1 모음인 'l', 및 제 2 모음인 'ㅡ'가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문자입력키를 구비하고, 상기 문자조합수단은 싱글 터치인지 멀티 터치인지의 여부인 터치 특성 및 상기 터치의 드래그(drag) 방향인 터치 방향에 따라 자음과 모음이 선택되어 한글을 조합한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상세한 설명은 과감히 생략한다.And a character combination means for displaying characters by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by a character input means, a signal input from the touch screen by the character input means, and touch screen input means for inputting a touch command to the touch screen. In the Korean input system using a screen input means, the touch screen is displayed an input window detected by the touch and an output window for outputting the result of the character combination by the character combination means, the input window is a terminal sound, the first vowel 'l' and '-2', which is a second vowel, are provid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the character combination means includes touch characteristics, whether single touch or multi-touch, and a drag direction of the touch. Consonants and vowel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touch direction to combine Hangul.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적어도 둘 이상의 지점을 터치할 수 있는 터치부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touch screen input means includes a touch unit for touching at least two or more points of the touch screen.

이하,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의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8A and 8B illustrate an embodiment of the touch screen input unit of the Hangul input system using the touch screen inpu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은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하며, 설명의 명확화를 위하여 스타일러스 펜에 한정되어 상술하기로 하나,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이 스타일러스 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touch screen input means includes a stylus pen, and for the sake of clarity, the touch screen inpu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ylus pen.

도 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810)은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각도에 따라 두 개의 터치부(821, 822)가 터치스크린을 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두 개의 터치부에 의하여 발생, 검출되는 멀티 터치의 간격은 일반적인 두 손가락에 의한 멀티 터치와 그 간격에서 차이나며, 본 발명은 이러한 간격, 즉, 터치 지점의 이격거리 차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터치 명령 모드를 생성시킨다. Referring to FIG. 8A, in the stylus pen 8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touch units 821 and 822 may touch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angle of touching the touch screen. In this case, the spacing of the multi-touch generated and detected by the two touch units is different from the multi-touch by the two fingers in general, and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spacing, that is, using the differenc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touch points. Create a new touch command mode.

하지만, 도 8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눕혀서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경우, 상기 스타일러스 펜(810)의 터치부 중 하나(821)만이 터치스크린을 터치하게 된다. 이 경우, 스타일러스 펜(810)은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과 동일한 싱글 터치에 기반한 입력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However, referring to FIG. 8B,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by lying down of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one of the touch units 821 of the stylus pen 810 touches the touch screen. In this case, the stylus pen 810 may perform an input mode based on the same single touch as the conventional stylus pen.

도 9는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의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9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touch screen input means of the Hangul input system using the touch screen inpu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910)은 두 개의 터치부(921,922)를 가지는데, 상기 터치부의 높이는 독립적으로 조절,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 개의 터치부 중 제 1 터치부(921)만을 사용하여 터치스크린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 1 터치부(921)는 제 2 터치부(922)보다 긴 높이(즉, 길이)를 갖는다. Referring to FIG. 9, the stylus pen 9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wo touch units 921 and 922, and the height of the touch unit may be independently adjusted and controlled. For example, when inputting a touch screen using only the first touch unit 921 of the two touch units, the first touch unit 921 has a height (ie, length) longer than that of the second touch unit 922. Has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터치부(921)가 연장되거나, 또는 제 2 터치부(922) 높이가 축소될 수 있다. 하지만, 두 개의 터치부(921,922)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을 멀티 터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터치부(921,922)는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조절되며, 이 또한 상기 터치부 높이를 독립적으로 조절, 제어할 수 있는 수 단, 예를 들면, 스프링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first touch unit 921 may be extended or the height of the second touch unit 922 may be reduced. However, when two touch units 921 and 922 are intended to multi-touch the touch screen, the two touch units 921 and 922 are adjusted to have the same height, and the height of the touch unit is independently adjusted and controlled. It may be implemented by means, for example, a spring or the like.

본 발명은 각각의 터치부가 동일한 구성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터치부 각각이 서로 구별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구별이란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장치의 제어부가 각각의 터치부를 인식, 식별할 수 있는 구성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은 터치 입력수단 자체의 회전, 즉, 하나의 터치부를 고정한 채 다른 터치부를 회전시키는 경우, 객체의 회전 등과 같은 명령이 가능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not only the configuration of each touch unit but also a configuration in which each of the plurality of touch units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Here, the distinction mean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ntrol unit of the touch scree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gnize and identify each touch unit.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mmand such as the rotation of the touch input means itself, that is, when rotating the other touch unit while fixing one touch unit, such as the rotation of the object.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The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via software. When implemented in software, the constituen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de segments that perform the necessary work.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The program or code segments may be stored on a processor readable medium or transmitted by a computer data signal coupled with a carrier on a transmission medium or network.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테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is stored which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DVD 占 ROM, DVD-RAM, magnetic tape, floppy disk, hard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device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herefrom.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However, such modifica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일반적인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한글입력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Korean input device provided with a general touch scree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의 입력창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2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n input window of a Hangul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문자입력키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3 shows an example of a character input key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특정 문자 입력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4 shows an example of a specific character inpu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특정 문자 생성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5 shows an example of generating a specific charac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의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gul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의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gul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의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8A and 8B illustrate an embodiment of the touch screen input unit of the Hangul input system using the touch screen inpu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의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9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touch screen input means of the Hangul input system using the touch screen inpu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5)

문자입력수단과, 상기 문자입력수단에 의해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조합수단을 포함하는 한글입력장치에 있어서,In the Korean input device comprising a character input means and a character combination means for displaying a character by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by a signal input from the touch screen by the character input means, 상기 터치스크린은 터치에 의해 감지되는 입력창과 상기 문자조합수단에 의해 문자 조합의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창이 표시되고,The touch screen displays an input window detected by a touch and an output window for outputting a result of the character combination by the character combination means, 상기 입력창은 단자음, 제 1 모음인 'l', 및 제 2 모음인 'ㅡ'가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문자입력키를 구비하고,The input window includes a character input key in which a terminal sound, a first vowel 'l' and a second vowel '-' are independently arranged, 상기 문자조합수단은 싱글 터치인지 멀티 터치인지의 여부인 터치 특성 및 상기 터치의 드래그(drag) 방향인 터치 방향에 따라 자음과 모음이 선택되어 한글을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The character combination means is a Hangul input us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onants and vowel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touch characteristics of whether the single touch or multi-touch and the drag direction of the touch (drag) is selected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문자조합수단은The letter combination means 상기 문자입력키에 상기 싱글 터치가 인식되면 단자음 입력으로 인식하고, 상기 멀티 터치가 인식되면 쌍자음 입력으로 인식되어 한글을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When the single touch is recognized by the character input key, the input is recognized as a terminal sound input, and when the multi-touch is recognized, it is recognized as a twin consonant inpu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문자조합수단은The letter combination means 상기 문자입력키에 상기 싱글 터치에 의하여 드래그 방향이 결정되면 단모음인 'ㅏ, ㅓ, ㅗ, ㅜ'의 입력으로 인식하고, 상기 멀티 터치에 의하여 드래그 방향이 결정되면 복모음인 'ㅑ, ㅕ, ㅛ, ㅠ'의 입력으로 인식하여 한글을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If the drag direction is determined by the single touch on the character input key, the single vowel is input as 'ㅏ, ㅏ, ㅗ, TT', and when the drag direction is determined by the multi-touch, the double vowel 'ㅑ, ㅕ, ㅛ' is determined. Hangul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ation of Hangul by recognizing the input, ㅠ '.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문자조합수단은The letter combination means 상기 문자입력키에 서로 다른 드래그 방향이 연속적으로 결정되거나, 상기 터치의 드래그 방향, 상기 제 1 모음 및 상기 제 2 모음의 입력의 조합에 의해 겹모음의 입력을 인식하여 한글을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A different drag direction is continuously determined on the character input key, or a Korean alphabet is combined by recognizing an input of a layered collection by a combination of a drag direction of the touch, an input of the first vowel and the second vowel. Hangul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문자조합수단은The letter combination means 자음 입력을 결정하는 자음 입력 모드 및 모음 입력을 결정하는 모음 입력 모드에 의해 한글을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A Hangul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gul combination by combining the consonant input mode for determining the consonant input and the vowel input mode for determining the vowel input.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문자조합수단은The letter combination means 상기 문자입력키에 특정 자음이 터치되면 자음 입력 모드가 결정되고,When a specific consonant is touched by the letter input key, a consonant input mode is determined. 상기 특정 자음의 결정 후, 상기 특정 자음에서 드래그 방향을 결정하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모음 입력 모드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After the determination of the specific consonant, Hangul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vowel input mode is determined when a drag input for determining the drag direction in the specific consonant. 문자입력수단과, 상기 문자입력수단에 의해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조합수단을 포함하는 한글입력장치에 있어서,In the Korean input device comprising a character input means and a character combination means for displaying a character by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by a signal input from the touch screen by the character input means, 상기 터치스크린은 터치에 의해 감지되는 입력창과 상기 문자조합수단에 의해 문자 조합의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창이 표시되고,The touch screen displays an input window detected by a touch and an output window for outputting a result of the character combination by the character combination means, 상기 입력창은 단자음, 쌍자음, 제 1 모음인 'l', 및 제 2 모음인 'ㅡ'가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문자입력키를 구비하고,The input window includes a character input key in which a terminal sound, a double consonant, a first vowel 'l', and a second vowel '-' are independently arranged. 상기 문자조합수단은 싱글 터치인지 멀티 터치인지의 여부인 터치 특성 및 상기 터치의 드래그(drag) 방향인 터치 방향에 따라 자음과 모음이 선택되어 한글을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The character combination means is a Hangul input us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onants and vowel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touch characteristics of whether the single touch or multi-touch and the drag direction of the touch (drag) is selected Device.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문자조합수단은The letter combination means 상기 문자입력키에 상기 싱글 터치에 의하여 드래그 방향이 결정되면 단모음 인 'ㅏ, ㅓ, ㅗ, ㅜ'의 입력으로 인식하고, 상기 멀티 터치에 의하여 드래그 방향이 결정되면 복모음인 'ㅑ, ㅕ, ㅛ, ㅠ'의 입력으로 인식하여 한글을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When the drag direction is determined by the single touch on the character input key, the single input is recognized as a single vowel 'ㅏ, ㅓ, ㅗ, TT'. When the drag direction is determined by the multi-touch, the double vowel 'ㅑ, ㅕ, ㅛ' is determined. Hangul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ation of Hangul by recognizing the input, ㅠ '.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문자조합수단은The letter combination means 상기 문자입력키에 서로 다른 드래그 방향이 연속적으로 결정되거나, 상기 터치의 드래그 방향, 상기 제 1 모음 및 상기 제 2 모음의 입력의 조합에 의해 겹모음의 입력을 인식하여 한글을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A different drag direction is continuously determined on the character input key, or a Korean alphabet is combined by recognizing an input of a layered collection by a combination of a drag direction of the touch, an input of the first vowel and the second vowel. Hangul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문자조합수단은The letter combination means 자음 입력을 결정하는 자음 입력 모드 및 모음 입력을 결정하는 모음 입력 모드에 의해 한글을 조합하되,Hangul is combined by the consonant input mode determining consonant input and the vowel input mode determining vowel input. 상기 문자입력키에 특정 자음이 터치되면 자음 입력 모드가 결정되고, 상기 특정 자음의 결정 후, 상기 특정 자음에서 드래그 방향을 결정하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모음 입력 모드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When a specific consonant is touched on the character input key, a consonant input mode is determined, and after determining the specific consonant, a vowel input mode is determined when a drag input for determining a drag direction is detected at the specific consonant. Hangul input device using.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문자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에 있어서,In the Hangul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for displaying characters by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by a signal input from the touch screen, 상기 터치스크린에는 단자음, 제 1 모음인 'l', 및 제 2 모음인 'ㅡ'의 문자입력키가 독립적으로 배치되며,In the touch screen, a terminal sound, a first vowel 'l', and a second vowel '-' character input keys are arranged independently. 상기 터치스크린으로의 터치 입력이 싱글 터치인지 멀티 터치인지의 여부인 터치 특성 및 상기 터치의 드래그(drag) 방향인 터치 방향에 따라 자음과 모음이 선택되어 한글을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A consonant and a vowel are selected according to a touch characteristic of whether the touch input to the touch screen is a single touch or a multi touch and a touch direction of the drag direction of the touch to combine Korean characters. Hangul input method using.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문자입력키에 상기 싱글 터치가 인식되면 단자음 입력으로 인식하고, 상기 멀티 터치가 인식되면 쌍자음 입력으로 인식되어 한글을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When the single touch is recognized by the character input key, the input is recognized as a terminal sound input, and when the multi-touch is recognized, it is recognized as a twin consonant input. 제 1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문자입력키에 상기 싱글 터치에 의하여 드래그 방향이 결정되면 단모음인 'ㅏ, ㅓ, ㅗ, ㅜ'의 입력으로 인식하고, 상기 멀티 터치에 의하여 드래그 방향이 결정되면 복모음인 'ㅑ, ㅕ, ㅛ, ㅠ'의 입력으로 인식하여 한글을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If the drag direction is determined by the single touch on the character input key, the single vowel is input as 'ㅏ, ㅏ, ㅗ, TT'. If the drag direction is determined by the multi-touch, the vowel, ',', 'ㅛ' Hangul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ation of Hangul by recognizing the input, ㅠ '.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문자입력키에 서로 다른 드래그 방향이 연속적으로 결정되거나, 상기 터치의 드래그 방향, 상기 제 1 모음 및 상기 제 2 모음의 입력의 조합에 의해 겹모음의 입력을 인식하여 한글을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A different drag direction is continuously determined on the character input key, or a Korean alphabet is combined by recognizing an input of a layered collection by a combination of a drag direction of the touch, an input of the first vowel and the second vowel. Korean input method using touch screen.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문자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에 있어서,In the Hangul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for displaying characters by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by a signal input from the touch screen, 상기 터치스크린에는 단자음, 쌍자음, 제 1 모음인 'l', 및 제 2 모음인 'ㅡ'의 문자입력키가 독립적으로 배치되며,In the touch screen, a terminal sound, a double consonant, a first vowel 'l' and a second vowel '-' character input keys are arranged independently. 상기 터치스크린으로의 터치 입력이 싱글 터치인지 멀티 터치인지의 여부인 터치 특성 및 상기 터치의 드래그(drag) 방향인 터치 방향에 따라 자음과 모음이 선택되어 한글을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A consonant and a vowel are selected according to a touch characteristic of whether the touch input to the touch screen is a single touch or a multi touch and a touch direction of the drag direction of the touch to combine Korean characters. Hangul input method using.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문자입력키에 상기 싱글 터치에 의하여 드래그 방향이 결정되면 단모음인 'ㅏ, ㅓ, ㅗ, ㅜ'의 입력으로 인식하고, 상기 멀티 터치에 의하여 드래그 방향이 결정되면 복모음인 'ㅑ, ㅕ, ㅛ, ㅠ'의 입력으로 인식하여 한글을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If the drag direction is determined by the single touch on the character input key, the single vowel is input as 'ㅏ, ㅏ, ㅗ, TT'. If the drag direction is determined by the multi-touch, the vowel, ',', 'ㅛ' Hangul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ation of Hangul by recognizing the input, ㅠ '.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문자입력키에 서로 다른 드래그 방향이 연속적으로 결정되거나, 상기 터치의 드래그 방향, 상기 제 1 모음 및 상기 제 2 모음의 입력의 조합에 의해 겹모음의 입력을 인식하여 한글을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A different drag direction is continuously determined on the character input key, or a Korean alphabet is combined by recognizing an input of a layered collection by a combination of a drag direction of the touch, an input of the first vowel and the second vowel. Korean input method using touch screen.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자음 입력을 결정하는 자음 입력 모드 및 모음 입력을 결정하는 모음 입력 모드에 의해 한글을 조합하되,Hangul is combined by the consonant input mode determining consonant input and the vowel input mode determining vowel input. 상기 문자입력키에 특정 자음이 터치되면 자음 입력 모드가 결정되고, 상기 특정 자음의 결정 후, 상기 특정 자음에서 드래그 방향을 결정하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모음 입력 모드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When a specific consonant is touched on the character input key, a consonant input mode is determined, and after determining the specific consonant, a vowel input mode is determined when a drag input for determining a drag direction is detected at the specific consonant. Hangul input method using. 문자입력수단과, 상기 문자입력수단에 의해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조합수단과 상기 터치스크린에 터치 명령을 입력하는터치스크린입력수단 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And a character combination means for displaying characters by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by a character input means, a signal input from the touch screen by the character input means, and touch screen input means for inputting a touch command to the touch screen. In the Hangul input system using the screen input means, 상기 터치스크린은 터치에 의해 감지되는 입력창과 상기 문자조합수단에 의 해 문자 조합의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창이 표시되고,The touch screen displays an input window that is detected by a touch and an output window that outputs the result of the character combination by the character combination means, 상기 입력창은 단자음, 제 1 모음인 'l', 및 제 2 모음인 'ㅡ'가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문자입력키를 구비하고,The input window includes a character input key in which a terminal sound, a first vowel 'l' and a second vowel '-' are independently arranged, 상기 문자조합수단은 싱글 터치인지 멀티 터치인지의 여부인 터치 특성 및 상기 터치의 드래그(drag) 방향인 터치 방향에 따라 자음과 모음이 선택되어 한글을 조합하고,The character combination means is selected by consonants and vowels according to the touch characteristics of whether the single touch or multi-touch and the touch direction of the drag (drag) direction of the touch to combine the Hangul, 상기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적어도 둘 이상의 지점을 터치할 수 있는 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The touch screen input means may include a touch unit capable of touching at least two or more points of the touch screen.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문자조합수단은The letter combination means 상기 문자입력키에 상기 싱글 터치가 인식되면 단자음 입력으로 인식하고, 상기 멀티 터치가 인식되면 쌍자음 입력으로 인식되어 한글을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When the single touch is recognized in the character input key, it is recognized as a terminal sound input, and when the multi-touch is recognized, it is recognized as a twin consonant input.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문자조합수단은The letter combination means 상기 문자입력키에 상기 싱글 터치에 의하여 드래그 방향이 결정되면 단모음인 'ㅏ, ㅓ, ㅗ, ㅜ'의 입력으로 인식하고, 상기 멀티 터치에 의하여 드래그 방향 이 결정되면 복모음인 'ㅑ, ㅕ, ㅛ, ㅠ'의 입력으로 인식하여 한글을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If the drag direction is determined by the single touch on the character input key, the unit recognizes a short vowel 'ㅏ, ㅓ, ㅗ, TT'. If the drag direction is determined by the multi-touch, the double vowel 'ㅑ, ㅕ, ㅛ' is determined. Hangul input system using a touch screen input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ation of Hangul by recognizing the input, ㅠ '.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문자조합수단은The letter combination means 상기 문자입력키에 서로 다른 드래그 방향이 연속적으로 결정되거나, 상기 터치의 드래그 방향, 상기 제 1 모음 및 상기 제 2 모음의 입력의 조합에 의해 겹모음의 입력을 인식하여 한글을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A different drag direction is continuously determined on the character input key, or a Korean alphabet is combined by recognizing an input of a layered collection by a combination of a drag direction of the touch, an input of the first vowel and the second vowel. Hangul input system using the touch screen input means.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터치 지점의 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The touch screen input means is a Hangul input system using a touch screen input means, the user can selectively adjust the number of touch points.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은 상기 터치스크린과의 터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터치부의 터치 지점 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And the touch screen input means is capable of adjusting the number of touch points of the touch unit by adjusting a touch angle with the touch screen.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은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하며,The touch screen input means includes a stylus pen, 상기 스타일러스 펜의 상기 터치부 각각은 독립적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Hangul input system using a touch screen input means,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touch unit of the stylus pen is independently adjusted in height.
KR1020090060063A 2009-07-02 2009-07-02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and Syste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inputting device KR1010756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063A KR101075642B1 (en) 2009-07-02 2009-07-02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and Syste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input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063A KR101075642B1 (en) 2009-07-02 2009-07-02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and Syste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input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552A true KR20110002552A (en) 2011-01-10
KR101075642B1 KR101075642B1 (en) 2011-10-21

Family

ID=43610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0063A KR101075642B1 (en) 2009-07-02 2009-07-02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and Syste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input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564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07792B2 (en) 2012-08-27 2015-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apparatus having hand writing function using multi-touch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07792B2 (en) 2012-08-27 2015-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apparatus having hand writing function using multi-touch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5642B1 (en) 201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29897A1 (en) Handwriting-based predictive population of partial virtual keyboards
KR10108565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JP2009064437A (en)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KR20050119112A (en) Unambiguous text input method for touch screens and reduced keyboard systems
KR20130113622A (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KR2008009711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KR101166292B1 (en) Method and mediu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and mobi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01145090A (en) Comput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6230992B2 (en) User interfa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keyboard layout
KR100852401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of portab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KR201000273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input
KR101030177B1 (en) Data input apparatus and data input method
KR20110082956A (en)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KR20100044772A (en) On the touch-screen,the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multi-touch and drag
KR20100121218A (en) Method for letter inputting of touch screen
KR10107564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and Syste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inputting device
KR20100045617A (en) Korean alphabet input method utilizing a multi-touch sensing touch screen
KR101454896B1 (en) Korean characters input apparatus using touch pannel and method of the same
JP2014140236A (en) Character data input device
KR101207086B1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on touchscreen based upon fisheye effec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269633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hangul using touch input type and method thereof
KR101888754B1 (en) Method for hangeul input using swipe gesture
JP4610200B2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KR101268141B1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on touchscreen based upon consonant-vowel conversi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20001946A (en) Metho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putting charac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