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299U - 훌라후프 - Google Patents

훌라후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299U
KR20110002299U KR2020090011353U KR20090011353U KR20110002299U KR 20110002299 U KR20110002299 U KR 20110002299U KR 2020090011353 U KR2020090011353 U KR 2020090011353U KR 20090011353 U KR20090011353 U KR 20090011353U KR 20110002299 U KR20110002299 U KR 201100022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a hoop
button
segment
pai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3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규
Original Assignee
김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규 filed Critical 김태규
Priority to KR20200900113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2299U/ko
Priority to PCT/KR2010/005842 priority patent/WO2011025330A2/ko
Publication of KR201100022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29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9/00Hoop exercising apparatus
    • A63B19/02Freely-movable rolling hoops, e.g. gyrowheels or spheres or cylinders, carrying the user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9/00Hoop exercising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Buckle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훌라후프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훌라후프는, 세그먼트의 일단과 이웃한 세그먼트의 타단이 상호 연결되어 원형을 구성하는 훌라후프에 있어서, 분할된 상하부 몸체가 결합되어 원호를 이루며, 상기 몸체 양단이 요철(凹凸) 형태로 구비되는 복수의 세그먼트(Segment); 상기 몸체의 일단 내부에 구비되어 대향된 양방향에서 탄성력에 의해 버튼부가 상승하는 결착구; 및 상기 몸체의 타단에 삽입 고정되어 상하 몸체를 상호 결속시키는 결속구;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가 상기 몸체의 타단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결합공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세그먼트를 이루는 몸체의 일단에 탄지되는 한 쌍의 버튼부를 구비하고 몸체의 타단에 버튼부가 각각 결합되도록 결합공을 형성하여 용이하게 세그먼트의 연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고, 강한 지압자극으로 인한 운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몸체의 외주면에 부드러운 섬유소재가 신체에 닿을 수 있도록 합사를 감아 피부에 자극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훌라후프, 세그먼트, 연결, 분리, 지압

Description

훌라후프{HULA HOOP}
본 고안은 훌라후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세그먼트를 상호 연결하여 원형을 구성하는 훌라후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훌라후프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둥근 테를 허리나 목으로 빙빙 돌리는 놀이 또는 그 테를 말한다.
이러한 훌라후프는 헬스클럽, 요가, 댄스 등과 같은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운동과는 다르게 저렴한 비용으로 언제 어디서나 운동할 수 있도록 각 가정에 비치되어 있는데, 특히, 놀이로 즐기면서 운동효과도 겸비하고 있으므로 사람들이 즐겨 찾는 운동기구의 일종이다.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되고 등록된 '훌라후프'(등록번호: 20-0418050)에 의하면, 각 결합단위는 그 중앙부에 불룩한 형태로 지압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결합단위의 일측은 볼트형 결합부로, 타측은 너트형 결합부를 가지도록 성형되어 있어서 하나의 결합단위에 형성된 볼트형 결합부와 다른 결합단위의 너트형 결합부를 강제로 끼워서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 결합단위의 몸체 외면은 다수의 원사를 꼬아 만든 합사가 상기 결합부를 제외한 전면에 걸쳐서 조밀하게 감아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각 결합단위가 결합되는 부위에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결합연결부재가 끼워진 채로 다수개의 결합단위가 조립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에 의한 훌라후프는 결합단위를 상호 연결할 때 볼트형 결합부와 너트형 결합부를 체결하는 바, 체결하고 분리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세그먼트를 이루는 몸체의 일단에 탄지되는 한 쌍의 버튼부를 구비하고 몸체의 타단에 버튼부가 각각 결합되도록 결합공을 형성하여 용이하게 세그먼트의 연결 또는 분리가 가능할 수 있게 한 훌라후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강한 지압자극으로 인한 운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몸체의 외주면에 부드러운 섬유소재가 신체에 닿을 수 있도록 합사를 감아 피부에 자극을 줄일 수 있게 한 훌라후프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세그먼트의 일단과 이웃한 세그먼트의 타단이 상호 연결되어 원형을 구성하는 훌라후프에 있어서, 분할된 상하부 몸체가 결합되어 원호를 이루며, 상기 몸체 양단이 요철(凹凸) 형태로 구비되는 복수의 세그먼트(Segment); 상기 몸체의 일단 내부에 구비되어 대향된 양방향에서 탄성력에 의해 버튼부가 상승하는 결착구; 및 상기 몸체의 타단에 삽입 고정되어 상하부 몸체를 상호 결속시키는 결속구;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가 상기 몸체의 타단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결합공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의 상기 결착구는, 상기 상하부 몸체의 내부 상하에 구비되어 승강하는 한 쌍의 버튼부; 상기 버튼부에 탄성력이 외측 방향으로 가해지도록 각각 내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탄성부재; 및 상기 한 쌍의 탄성부재의 사이에 구비되도록 상기 상하부 몸체의 중심부에 고정되는 탄성부재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의 상기 결착구는, 상기 상하부 몸체의 내부 상하에 구비되어 승강하는 한 쌍의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에 탄성력이 외측방향으로 가해지도록 상기 버튼부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상하부 몸체의 양 끝단에 형성되는 돌출부의 외벽과 홈부의 내벽에 상호 대응되는 면취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훌라후프는, 세그먼트를 이루는 몸체의 일단에 탄지되는 한 쌍의 버튼부를 구비하고 몸체의 타단에 버튼부가 각각 결합되도록 결합공을 형성하여 용이하게 세그먼트의 연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고, 강한 지압자극으로 인한 운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몸체의 외주면에 부드러운 섬유소재가 신체에 닿을 수 있도록 합사를 감아 피부에 자극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훌라후프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훌라후프(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그먼트(110), 결착구(130) 및 결속구(140)를 포함하며, 어느 한 세그먼트(110)의 일단과 이웃한 다른 세그먼트(110)의 타단이 상호 연결되어 원형을 구성한다.
세그먼트(Segment: 110)는 몸체(120) 및 요철(凹凸) 형태의 돌출부(124, 126)를 포함하여 복수로 구비되는바, 몸체(120)는 분할된 상하부 몸체(122a, 122b)가 결합되어 원호를 이룬다. 이때, 몸체(120)를 상, 하부로 구성하는 이유는 제조가 용이하고 후술할 결착구(130)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하부 몸체(122a, 122b)의 내측단 중심부에 지압돌기(120a)가 형성되어 훌라후프(100) 사용시 지압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외주면을 합사(合絲: W)로 감 아 훌라후프(100)의 사용시 피부에 자극을 줄여주게 된다.
더욱이, 상하부 몸체(122a, 122b)의 외주면에 다양한 색상의 원사를 꼬아 만든 합사를 권취시켜 마감하므로 심미감 부여와 함께 미사용시 실내인테리어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하부 몸체(122a, 122b)는 접촉면에 다수 형성되는 돌기와 홈에 의해 상호 결합시키면서 외주면을 합사(W)로 권춰시켜 상호 결합시키는 것이다.
돌출부(124, 126)는 몸체(120)의 일단과 타단에 중간 부위보다 직경이 축소되면서 돌출 형성되며, 어느 한 돌출부(124)의 내부에 결착구(130)가 설치되고, 다른 돌출부(126)에 돌출부(124)가 삽입되도록 홈부(126a)가 형성되면서 외주면에 결속구(140)가 장착된다.
이때, 홈부(126a)가 형성되는 돌출부(126)에는 결착구(130)의 버튼부(132)가 위치된 상태에서 걸릴 수 있도록 결합공(128)이 형성된다.
한편, 돌출부(124)의 외면과 홈부(126a)의 내면에 상호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면취면이 형성되므로 이웃한 세그먼트(110)의 돌출부(124)를 다른 세그먼트(110)의 홈부(126a)에 삽입할 경우 진입 방향을 안내하여 세그먼트(11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착구(130)는 몸체(120)의 일단 내부 즉, 돌출부(124)의 내부에 구비되어 어느 한 세그먼트(110)의 일단과 다른 세그먼트(110)의 타단을 상호 연결할 때 결합공(128, 142)에 버튼부(132)가 걸려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버튼부(132), 탄성부재(134) 및 탄성부재 지지부(136)를 포함한다.
버튼부(132)는 상하부 몸체(122a, 122b) 중 대향된 양방향에서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돌출부(124)의 내부 상하에 홀이 각각 형성되고 이 홀을 따라 승강하도록 한 쌍이 구비된다. 이때, 버튼부(132)의 하단에 홀보다 면적이 큰 플랜지가 형성되어 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한 쌍의 버튼부(132) 내부 천장면과 이와 대향되는 탄성부재 지지부(136)의 양면에 돌기(도면에 미도시)가 각각 형성되어 이 돌기에 탄성부재(134)의 양단이 지지될 수 있으므로 탄성부재(134)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134)는 버튼부(132)에 탄성력이 항시 외측방향으로 가해지도록 버튼부(132)에 일대일 대응 구비되며 버튼부(132)의 저면과 이와 대향되는 탄성부재 지지부(136)의 표면에 양단이 각각 지지된다.
탄성부재 지지부(136)는 한 쌍의 탄성부재(134)의 사이에 구비되도록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는 판상 형태로, 상하부 몸체(122a, 122b)의 중심부 즉, 돌출부(124)의 내부 중심에 볼트 등으로 고정된다.
결속구(140)는 몸체(110)의 타단인 돌출부(126)의 외주면에 삽입 고정되어 상하부 몸체(122a, 122b)를 상호 결속시키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돌출부(126) 상하에 형성된 결합공(128)과 연결되도록 상하에 결합공(142)이 각각 형성된다.
다른 실시 예의 결착구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버튼부 및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버튼부는 앞선 실시 예의 결착구의 버튼부와 동일한 구조와 기 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탄성부재는 한 쌍의 버튼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 본 실시 예에서는 2개가 나란히 개재되어 버튼부가 항시 외측 방향으로 상승하도록 한다. 더욱이, 탄성부재는 한 쌍의 버튼부 내부 천장면에 탄성부재의 수에 대응되는 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탄성부재의 이동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의한 훌라후프(100)는 복수의 세그먼트(110)를 서로 연결하여 원 형태를 구성하되, 몸체(120)의 일단인 돌출부(124) 내부에 탄성부재(134)에 의해 탄지되는 버튼부(132)를 상하에 구비하고, 돌출부(124)가 삽입될 수 있도록 몸체(120)의 타단에 홈부(126a)가 형성되면서 버튼부(132)가 걸릴 수 있도록 결합공(128)이 형성된다.
결국, 세그먼트(110) 연결시 어느 한 세그먼트(110)의 일단에 설치되는 결착구(130)의 상하 버튼부(132)를 가압한 상태에서 돌출부(124)를 다른 세그먼트(110)의 타단에 형성된 홈부(126a)에 삽입하면 상하 버튼부(132)가 홈부(126a)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결합공(128, 142) 내에 위치됨과 동시에 탄성부재(134)의 탄성력에 의해 결합공(128, 142)에 걸리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영역 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훌라후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상기 훌라후프에서 세그먼트 결합 부분인 "A"에 있어서 결합 전후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세그먼트 120: 몸체
120a: 지압돌기 124, 126: 돌출부
126a: 홈부 130: 결착구
132: 버튼부 134: 탄성부재
136: 탄성부재 지지부 140: 결속구

Claims (4)

  1. 세그먼트의 일단과 이웃한 세그먼트의 타단이 상호 연결되어 원형을 구성하는 훌라후프에 있어서,
    분할된 상하부 몸체가 결합되어 원호를 이루며, 상기 몸체 양단이 요철(凹凸) 형태로 구비되는 복수의 세그먼트(Segment);
    상기 몸체의 일단 내부에 구비되어 대향된 양방향에서 탄성력에 의해 버튼부가 상승하는 결착구; 및
    상기 몸체의 타단에 삽입 고정되어 상하부 몸체를 상호 결속시키는 결속구;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가 상기 몸체의 타단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결합공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훌라후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구는,
    상기 상하부 몸체의 내부 상하에 구비되어 승강하는 한 쌍의 버튼부;
    상기 버튼부에 탄성력이 외측방향으로 가해지도록 각각 내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탄성부재; 및
    상기 한 쌍의 탄성부재의 사이에 구비되도록 상기 상하부 몸체의 중심부에 고정되는 탄성부재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훌라후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구는,
    상기 상하부 몸체의 내부 상하에 구비되어 승강하는 한 쌍의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에 탄성력이 외측방향으로 가해지도록 상기 버튼부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훌라후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몸체의 양 끝단에 형성되는 돌출부의 외면과, 상기 돌출부의 외면과 대응되는 홈부의 내면에 상호 대응되는 면취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훌라후프.
KR2020090011353U 2009-08-31 2009-08-31 훌라후프 KR20110002299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353U KR20110002299U (ko) 2009-08-31 2009-08-31 훌라후프
PCT/KR2010/005842 WO2011025330A2 (ko) 2009-08-31 2010-08-30 훌라후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353U KR20110002299U (ko) 2009-08-31 2009-08-31 훌라후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299U true KR20110002299U (ko) 2011-03-08

Family

ID=43628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353U KR20110002299U (ko) 2009-08-31 2009-08-31 훌라후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002299U (ko)
WO (1) WO2011025330A2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715Y1 (ko) * 2000-12-26 2001-07-19 서덕용 훌라후프
KR200261693Y1 (ko) * 2001-08-22 2002-01-23 김동민 훌라후프
KR20050042884A (ko) * 2003-11-04 2005-05-11 이재임 운동용 링기구
KR100647125B1 (ko) * 2005-11-15 2006-11-23 주식회사 맥스월드 저주파 발생기를 구비한 체결형 훌라후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25330A2 (ko) 2011-03-03
WO2011025330A3 (ko)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8050Y1 (ko) 훌라후프
JP6356640B2 (ja) 改良型運動ローラ
US91865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length of a cord
US9072928B2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20070207904A1 (en) Elastic cord and pull exerciser having the same
KR20100012845U (ko) 손목운동기구
KR20110002299U (ko) 훌라후프
US20220233902A1 (en) A connection arrangement for a trampoline and a trampoline
US20160135601A1 (en) Tile chair
WO2015093830A1 (ko) 골프용 양말
KR200442765Y1 (ko) 훌라후프
KR100857375B1 (ko) 중량조절이 가능한 훌라후프
CN204864808U (zh) 高强度的羽毛球拍框
CA2535432C (en) Modified trampoline holder structure
KR200214328Y1 (ko) 유희감이 양호하고 지압이 부드러운 훌라후프
KR100659028B1 (ko) 탄력성과 결합력이 우수한 훌라후프
CN210521680U (zh) 双向卡接式瑜伽柱
CN218129846U (zh) 一种安全型碳纤维羽毛球拍
KR200233168Y1 (ko) 지압돌기를 구비하는 분할가능 훌라후프
KR200317864Y1 (ko) 손잡이에 지압운동용 돌출 요철이 구성되는 운동기구
WO2014007764A1 (en) Washing machine tub and inertia counterweight assembly
KR20120003565U (ko) 유격방지용 훌라후프
CN210521681U (zh) 双向螺纹连接式瑜伽柱
CN206119408U (zh) 一种新型连体戒指
US20160279458A1 (en) Elastic Cabl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