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260A - 회전식 세탁기를 설치하기에 적합한 싱크대 - Google Patents

회전식 세탁기를 설치하기에 적합한 싱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260A
KR20110002260A KR1020090059763A KR20090059763A KR20110002260A KR 20110002260 A KR20110002260 A KR 20110002260A KR 1020090059763 A KR1020090059763 A KR 1020090059763A KR 20090059763 A KR20090059763 A KR 20090059763A KR 20110002260 A KR20110002260 A KR 20110002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washing machine
opening
top surface
inst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우
허기녕
Original Assignee
이정우
허기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우, 허기녕 filed Critical 이정우
Priority to KR1020090059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2260A/ko
Publication of KR20110002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2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2Draining-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조(또는 회전조)가 직립으로 되어 있는 회전식 세탁기를 싱크대에 빌트인(built-in) 형태로 설치하여 드럼식 세탁기에 비해 여러 장점을 갖는 회전식 세탁기를 주방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회전식 세탁기를 설치하기에 적합한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회전식 세탁기를 설치하기에 적합한 싱크대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에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또는 상기 세탁기에서 세탁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싱크대의 상부면을 개폐식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90059763
세탁기, 싱크대, 주방, 회전식, 빌트인, 슬라이드, 여닫이

Description

회전식 세탁기를 설치하기에 적합한 싱크대{Sink for fitting rotating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주방공간에 설치되는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탁조(또는 회전조)가 직립으로 되어 있는 회전식 세탁기를 싱크대에 빌트인(built-in) 형태로 설치하여 드럼식 세탁기에 비해 여러 장점을 갖는 회전식 세탁기를 주방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회전식 세탁기를 설치하기에 적합한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물에 충격 등의 에너지를 가하여 오염물을 박리시키는 장치로서, 세탁물에 에너지를 가하는 방식에 따라 펄세이터방식 세탁기("회전식 세탁기"라고도 함)와 드럼방식 세탁기로 나눌 수 있다. 즉, 세탁기는 펄세이터에 의하여 세탁물에 충격을 주거나, 드럼의 회전에 의하여 세탁물을 낙하시켜 세탁물에 충격을 주어 세탁물을 세탁한다. 그리고 여기에 세제의 작용이 가미되어 세탁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술한 세탁기들은 일반적으로 사람의 눈에 잘 띄지 않는 장소인 베란다나 화장실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회전식 세탁기는, 어느 정도의 높이를 가져야 세탁용량을 충족시킬 수 있는 직립형 구조로서, 지면과 수직된 상태로 세탁조인 내조가 놓여져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음과 더불어 상부로 세탁물을 투입하는 상부개폐형 구조를 취함에 따라, 상기한 장소(베란다 또는 화장실)가 아닌 일반 주방에 설치하여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회전식 세탁기는 상부에서 세탁물을 투입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세탁기를 주방에서 설치하기에 가장 좋은 곳인 싱크대 내에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드럼방식 세탁기는 높이가 낮은 수평형 구조로서, 지면과 수평된 상태로 세탁조인 내조가 높여져 있는 구조를 취함과, 더불어 정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정면 개폐형 구조를 취함에 따라 상기 회전식 세탁기에 비해 주방 설치가 어느 정도 용이하나, 회전식 세탁기에 비해 세탁용량이 작으며, 내조가 뉘어져 있고 그 일단에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됨에 따라 코니칼 모드 진동 등 과도한 진동이 야기되어, 이 드럼방식 세탁기 역시 주방의 싱크대에 설치하기에는 부적합한 면이 있고, 또한 과도한 진동으로 인해 그 상단에 다른 물건이나 다른 기기 등을 올려놓고 사용하기에도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드럼방식 세탁기 보다 일반적으로 세탁능력이 양호하고, 전력소비량이 적고 세탁시간이 짧으며, 세탁물의 추가 투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진동이 적은 회전식 세탁기의 주방내 싱크대에서의 사용을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즉, 회전식 세탁기를 싱크대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조 개선하고, 회전식 세탁기를 싱크대에 설치 후 세탁물을 상부에서 투입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싱크대를 개폐가능한 구조로 개발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상술한 필요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조(또는 회전조)가 직립으로 되어 있는 회전식 세탁기를 싱크대에 빌트인(built-in) 형태로 설치하여 드럼식 세탁기에 비해 여러 장점을 갖는 회전식 세탁기를 주방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회전식 세탁기를 설치하기에 적합한 싱크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세탁기를 설치하기에 적합한 싱크대는, 상기 세탁기에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또는 상기 세탁기에서 세탁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싱크대의 상부면을 개폐식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싱크대의 개폐식 상부면은 상부면의 좌우측 모서리 및 뒤쪽 모서리 중의 어느 한 모서리를 기준으로 여닫이 식으로 개폐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싱크대의 개폐식 상부면은 좌우측 방향 및 전방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열리고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닫히는 구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싱크대의 개폐식 상부면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열릴 때, 상기 싱크대의 상부면의 전후좌우 모서리 중 어느 한 모서리 주변에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두루마리 형태로 말리는 구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싱크대의 개폐식 상부면의 일부분으로서 상기 세탁기의 세탁조 개구부에 대응하는 일부분만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일부개폐 도어부가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부개폐 도어부는 뚜껑 방식의 여닫이 구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부개폐 도어부는 다수의 부분 날개편들이 상기 도어부 주변에 마련된 중심점 및 중심축을 중심으로 펼쳐지거나 모아져서 상기 세탁조 개구부에 대응하는 일부분을 개폐하도록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싱크대의 개폐식 상부면은 강화유리와 같은 투명재질이며, 상기 슬라이딩 동작은 원터치 방식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조(또는 회전조)가 직립으로 되어 있는 회전식 세탁기를 싱크대에 빌트인(built-in) 형태로 설치하여 드럼식 세탁기에 비해 여러 장점을 갖는 회전식 세탁기를 주방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세탁기를 설치하기에 적합한 싱크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세탁기를 설치하기에 적합한 싱크대의 구성도 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서 싱크대 상부면 개폐 방향을 다르게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서 싱크대 상부면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구성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서 싱크대 상부면이 두루마리 형태로 말리면서 슬라이드 되는 구성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서 세탁기의 세탁조 개구부에 대응하는 일부분의 싱크대 상부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구성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싱크대 상부면 일부분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구성도이고, 도 4c는 도 4a의 싱크대 상부면 일부분이 접는 부채 방식으로 펼쳐지거나 모아져서 개폐되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세탁기를 설치하기에 적합한 싱크대(1)에 따르면, 싱크대의 한 영역에 세탁기(50)가 고정으로 바람직하게는 빌트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된다. 세탁기(50)가 설치된 싱크대의 상부면(10)은 세탁기(50)의 세탁조(30) 내에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또는 세탁기(50)의 세탁조(30) 내에서 세탁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여닫이 개폐 덮개로 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식 상부면(10)이 세탁기(50)의 덮개가 되기 때문에, 세탁기(50)는 자체 상부 덮개가 제거될 수 있다. 도 1에서 부재번호 55u는 세탁기(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세탁기(5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어 패널이다.
도 1에서 상기 싱크대의 개폐식 상부면이 싱크대(1)의 뒤쪽 모서리 측을 기준으로 여닫이 되게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싱크대의 개폐식 상부면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식 상부면(10a)을 싱크대(1)의 좌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하여 여닫이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우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여닫이 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싱크대의 개폐식 상부면은 싱크대(1)의 상부면 재질과 동일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세탁 과정을 살펴볼 수 있도록 강화유리와 같은 투명재질로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싱크대의 개폐식 상부면(10)을 여닫이 방식으로 하는 경우, 여닫이 개폐식 상부면(10)에 물건이 놓여 있는 경우 물건을 다른 곳으로 옮긴 후에야 여닫이 개폐식 상부면(10)을 열 수 있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3a 및 도 3b와 같은 슬라이드 방식 또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은 뚜껑 방식의 일부 개폐 도어부를 채택할 있다.
도 3a는 싱크대의 개폐식 상부면을 슬라이드 방식, 즉 미닫이 방식으로 구성한 것으로서, 이에 따르면 어느 정도의 물건이 올려져 있어도 옆으로 치우지 않고 슬라이드 개폐식 상부면(12)을 슬라이딩하여 세탁기(50)의 세탁조(30)에 세탁물을 넣거나 또는 세탁기(50)의 세탁조(30)에서 세탁물을 빼낼 수 있다.
도 3a에서 상기 싱크대의 개폐식 상부면(12)이 싱크대(1)의 전방으로 슬라이딩되게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싱크대의 슬라이딩 개폐식 상부면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으로 슬라이딩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싱크대의 상부면(12)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하는 경우, 상부면(12)이 싱크대(1) 앞쪽으로 둘출되면서 열리기 때문에 불편할 수가 있고, 또한 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열 수 없는 공간적인 제약이 있을 수 있는 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3b와 같이 싱크대(1)의 상부면(12a)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열릴 때 상기 상부면 모서리 주변의 어느 한 곳에 회전축(R)을 설치하여 이곳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면(12a)이 두루마리 형태로 말리게 하여 해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면(12a)은 두루마리 형태로 말릴 수 있는 접철식 구조로 되어야 함은 물론이고, 이러한 구조는 널리 공지된 기술에 의해 달성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싱크대의 개폐식 상부면들의 각 개폐 동작은 수동식으로 또는 바람직하게 원터지 방식의 자동식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개폐식 상부면들에 대한 원터치 방식의 자동식 개폐 구조는 널리 공지된 원터치 개폐 구조에 의해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적용가능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싱크대의 상부면 구조는 그 전체가 움직이는 구조로 되어 있지만,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기(50)의 세탁조(30) 개구부에 대응하는 일부분만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일부개폐 도어부(100, 100a, 1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한 일부개폐 도어부(100)는 뚜껑 형태의 구조로서, 이는 손잡이(H)을 잡고 열면, 세탁기(50)의 세탁조(30)가 오픈되므로 세탁조(30)에서 세탁물을 간단하게 투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한 일부개폐 도어부(100a)는, 경첩부재(P)를 통해 일부개폐 도어부(100a)를 여닫이 할 수 있게 한 구조로서, 이 또한 간단하게 일부개폐 도어 부(100a)를 열어 졉힌 후에 세탁물을 간단하게 투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손잡이(H)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뉘어 있거나 안으로 들어가는 형태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c에 도시한 일부개폐 도어부(110)는, 접는 부채와 같이, 다수의 부분 날개편(w)들이 상기 도어부 주변에 마련된 고정 중심점(c1) 및 중심축(c2)을 중심 및 기준으로, 접는 부채와 같이, 펼쳐지거나 모아져서 세탁조(30)의 개구부를 개폐한다.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접는 부채 형태의 일부개폐 도어부(110)의 기능을 위해서는 일부개폐 도어부(110)의 원호부 주변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레일이 싱크대(1)의 상부면 저면에 형성되어야 할 것이라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고, 이러한 구조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은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한다.
도 4a 내지 도 4c와 같이 일부개폐 도어부를 형성하는 경우, 세탁기(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패널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기(50)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으면 조작이 불편하므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패널(55f)을 세탁기(50)의 전면 상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세탁기를 설치하기에 적합한 싱크대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서 싱크대 상부면 개폐 방향을 다르게 도시한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에서 싱크대 상부면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구성도.
도 3b는 본 발명에서 싱크대 상부면이 두루마리 형태로 말리면서 슬라이드 되는 구성도.
도 4a는 본 발명에서 세탁기의 세탁조 개구부에 대응하는 일부분의 싱크대 상부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구성도.
도 4b는 도 4a의 싱크대 상부면 일부분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구성도,
도 4c는 도 4a의 싱크대 상부면 일부분이 접는 부채 방식으로 펼쳐지거나 모아져서 개폐되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싱크대 10 : 싱크대 상부면
30 : 세탁조 50 : 세탁기

Claims (8)

  1. 회전식 세탁기를 설치하기에 적합한 싱크대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에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또는 상기 세탁기에서 세탁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싱크대의 상부면을 개폐식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세탁기를 설치하기에 적합한 싱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의 개폐식 상부면은 상부면의 좌우측 모서리 및 뒤쪽 모서리 중의 어느 한 모서리를 기준으로 여닫이 식으로 개폐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세탁기를 설치하기에 적합한 싱크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의 개폐식 상부면은 좌우측 방향 및 전방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열리고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닫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세탁기를 설치하기에 적합한 싱크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의 개폐식 상부면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열릴 때, 상기 싱크대의 상부면의 전후좌우 모서리 중 어느 한 모서리 주변에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두 루마리 형태로 말리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세탁기를 설치하기에 적합한 싱크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의 개폐식 상부면의 일부분으로서 상기 세탁기의 세탁조 개구부에 대응하는 일부분만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일부개폐 도어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세탁기를 설치하기에 적합한 싱크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개폐 도어부는 뚜껑 방식의 여닫이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세탁기를 설치하기에 적합한 싱크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개폐 도어부는 다수의 부분 날개편들이 상기 도어부 주변에 마련된 중심점 및 중심축을 중심으로 펼쳐지거나 모아져서 상기 세탁조 개구부에 대응하는 일부분을 개폐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세탁기를 설치하기에 적합한 싱크대.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의 개폐식 상부면은 강화유리와 같은 투명재질이며, 상기 슬라이 딩 동작은 원터치 방식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세탁기를 설치하기에 적합한 싱크대.
KR1020090059763A 2009-07-01 2009-07-01 회전식 세탁기를 설치하기에 적합한 싱크대 KR201100022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763A KR20110002260A (ko) 2009-07-01 2009-07-01 회전식 세탁기를 설치하기에 적합한 싱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763A KR20110002260A (ko) 2009-07-01 2009-07-01 회전식 세탁기를 설치하기에 적합한 싱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260A true KR20110002260A (ko) 2011-01-07

Family

ID=43610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763A KR20110002260A (ko) 2009-07-01 2009-07-01 회전식 세탁기를 설치하기에 적합한 싱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226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4263B2 (en) Drum washing machine having foldable door
US8826701B2 (en) Laundry machine
EP3135800B1 (en) Auxiliary washing machine
CA2535106C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home appliance having a door
CN104264426B (zh) 洗衣机
EP1389643A2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1643633B1 (ko) 세탁장치
KR20110130089A (ko) 세탁장치
EP2607544B1 (en) Top loading laundry washing machine
KR20060036536A (ko) 상측 개방형 도어를 갖는 드럼 세탁기
US20210238792A1 (en) Washing machine
WO2007039135A3 (en) Top-loading clothes washing machine with lid interlock means
KR20040009400A (ko) 드럼세탁기
KR20060115230A (ko) 드럼 세탁기의 리프트
KR101564598B1 (ko) 드럼세탁기
CN105088706A (zh) 洗涤组件
KR20110002263A (ko) 싱크대에 적합하도록 구조개선된 회전식 세탁기
KR100600764B1 (ko) 하측 개방형 도어를 갖는 드럼 세탁기
KR20110002260A (ko) 회전식 세탁기를 설치하기에 적합한 싱크대
KR101608769B1 (ko) 세탁장치
AU2009224127A1 (en) Washing machine
CN204959396U (zh) 洗涤组件
JP2015054157A (ja) 洗濯機
KR101306035B1 (ko) 세탁물 오염 방지용 세탁기
JP6111428B2 (ja) ドラム式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