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257A - 압축 음식물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압축 음식물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257A
KR20110002257A KR1020090059756A KR20090059756A KR20110002257A KR 20110002257 A KR20110002257 A KR 20110002257A KR 1020090059756 A KR1020090059756 A KR 1020090059756A KR 20090059756 A KR20090059756 A KR 20090059756A KR 20110002257 A KR20110002257 A KR 20110002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compression plate
food waste
plate
ou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5365B1 (ko
Inventor
김경중
Original Assignee
김경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중 filed Critical 김경중
Priority to KR1020090059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365B1/ko
Publication of KR20110002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05Compressing means incorporat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쉽게 음식물쓰레기를 압축한 후 배출 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이 간편한 압축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원판의 압축판으로 외부원통 안의 음식물쓰레기를 압축하여 걸름판 아래로 수분을 배출시키고, 남은 음식물 쓰레기 역시 압축판을 이용하여 손쉽게 배출 할 수 있도록 하는 압축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이동, 압축, 쓰레기통, 종량제 쓰레기봉투

Description

압축 음식물 쓰레기통{THE DUSTBIN FOR COMPRESSING A GARBAGE}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 찌꺼기를 압축시켜 수분을 걸러낸 뒤 배출시키도록 하는 압축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통 중 전기를 이용한 제품들은 고가의 제품들이어서 서민들이 구입하여 사용하기에는 경제적 부담이 커서 일반화되지 못하고 있으며, 국가적으로 쓰레기수거량을 줄이는데 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전기를 사용하지 않은 음식물 쓰레기통이라도 쓰레기통이 부피가 크거나 설치 및 사용이 복잡하거나 불편하여 가정용으로 보편화되지 못하고 있으며, 들통형은 쓰레기를 많이 장시간 모아서 보관하여야 하기 때문에 부패의 악취가 심하고, 주부들이 싱크대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놓고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종량제 음식물 쓰레기봉투에 쉽게 옮겨 넣을 수 없어서 종량제봉투 사용지역에서는 들통형을 잘 쓰지 않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를 손쉽게 압축하고, 압축된 쓰레기를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압축판을 구비하고 있는 압축 음식물 쓰레기통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판의 압축판과; 상기 압축판의 가장자리가 내벽면에 닿으면서 상하 이동하도록 압축판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며, 압축판을 거치시키도록 내벽면 상부에 제1돌출혹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하부 외벽면에는 제2돌출혹을 구성하고 있는 관통형의 외부원통과; 외부원통의 하부에 위치하여 외부원통 내벽면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며, 복수개의 배출구를 형성하고 있는 원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하향의 옆면을 형성하고 있는 걸름판과; 상기 외부원통의 제2돌출혹과 상부에서 결합하도록 제1걸림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 하부에는 제2걸림부를 형성하고, 내벽면에 수직바를 형성하고 있는 관통형의 밑받침대와; 상기 배출구를 통과한 오수가 집수되도록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걸림부와 결합하도록 그 상부 끝단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있는 오수수거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음식물 쓰레기통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압축 음식물 쓰레기통은 전기의 힘없이 손쉽게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짜내고 압축 할 수 있어 가정의 쓰레기처리 비용을 절약 할 수 있게 되며, 압축된 음식물쓰레기를 종량제봉투속에 넣거나 외부로 배출함에 있어서도 압축판을 이용하여 손쉽고 간단하게 배출할 수 있어 편리하고, 쓰레기통 내부 벽면에 이탈되지 않고 붙어 있는 음식물 찌거기를 일소에 제거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위생적인 음식물쓰레기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축 음식물 쓰레기통은 제1돌출혹과 수직바 사이에 걸름판이 형성되어 있어 압축판을 이용하여 이동, 압축, 배출을 하는 음식물 쓰레기 통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압축판이 돌출혹 상부에 위치하여 뚜껑으로 사용되도록 하며, 상기 압축판이 돌출혹 아래에 위치할 때는 압축판이 돌출혹에 걸리도록 하여 연결봉을 쥐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압축판이 하부 수직바 하단으로부터 올라옴으로써 걸름판을 밀어올려 내부 음식물 쓰레기 및 찌꺼기를 말끔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압축판과 오수수거통 없이 쓰레기통 내부에 물을 부어 오수를 배출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기능을 가짐으로써 보다 위생적이고 간편하게 음식물쓰레기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종량제봉투 사용시에 봉투를 본체에 뒤집어 씌운 후 거꾸로 배출 할 수 있어 오물이 외부에 묻지 않고 종량제봉투에 옮길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압축 음식물 쓰레기통의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압축 음식물 쓰레기통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압축판(10), 외부원통(20), 걸름판(30), 밑받침대(40), 오수수거통(50)으로 구성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부원통(20)과 오수수거통(50)이 밑받침대(40)의 상하에서 각각 조립되어지며, 외부원통(20) 내부에 걸름판(30)과 압축판(10)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압축판(10)은 외부원통 내벽을 미끄러져 상하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을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원판이며,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상부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까지 동일한 경사면을 갖도록 중심이 솟은 형태를 하고 있어, 압축판(10) 상부에 물이 담기더라도 고여 있지 않고 가장자리로 흘러내리도록 한다.
상기 압축판(10)의 중심에는 압축봉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압축봉은 중심으로부터 상부로 솟아 있는 바 형태의 연결봉(13)과, 연결봉 상부 끝단에 위치하도록 결합되어 있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압축판(10)의 가장자리에는 3개 이상의 관통홈(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홈(11)은 압축판 가장자리로부터 솟아 있는 한 쌍의 요철이며, 상 기 요철 사이에는 일정 간격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하기에 설명될 제1돌출혹과 수직바가 억지관통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관통홈(11)은 각각의 제1돌출혹과 수직바를 관통하기 위해 이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폭도 돌출혹과 수직바의 너비에 대응하는 치수를 갖는다.
또한 상기 관통홈(11)은 그 상부 양단에 걸림턱(11a)을 형성하고 있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축판을 돌출혹 아래에 두고 연결봉을 위로 들어올리게 될 경우 압축판이 돌출혹 아래에서 회전하더라도 관통홈 양단의 걸림턱(11a)에 걸려 회전이 자유롭지 않도록 함으로써, 관통홈(11)이 돌출혹을 관통하여 압축판이 본체로부터 이탈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외부원통(20)은 상하가 관통되도록 옆면(21)만을 형성하고 있는 원통이다.
상기 외부원통(20)은 그 상부에 제1돌출혹(22)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하부에 제2돌출혹(23)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1돌출부(22)는 상기 압축판(10)의 관통홈(11)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일정 너비를 가지는 요철이며, 관통홈(11)에 억지끼움 되어 관통되는 수치를 가지고 있다.
이때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돌출부(22) 상부가 상기 관통홈(11)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상부 끝단이 산부를 형성하도록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돌출부(22)는 상기 관통홈(11)과 대응되는 수 만큼 옆면(2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외부원통(20) 옆면(21)의 하부 외표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어 있어, 하기에 설명할 밑받침대(40)의 제1걸림부와 각각 1개씩 결합된다.
또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부원통(20)의 옆면(21) 상부 끝단에는 상기 제1돌출혹(22)과 대응되는 위치에 홈(24)이 형성되어 있어 내부에 위치하는 제1돌출혹(22)의 위치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걸름판(30)은 상부가 복수개의 배출구(31)를 형성하고 있는 원판이며, 그 가장자리로 수직의 옆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걸름판(30)의 옆면 외부는 상기 외부원통(20)의 옆면(21) 내면과 밀착되어 있어, 음식물쓰레기가 그 사이에 끼지 않고 원판 위에서 걸러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걸름판(30)의 배출구(31)는 음식물쓰레기의 내용물은 배출시키지 않고 그 수분만을 하부로 걸러내도록 하여 하기에 설명될 오수수거통(50)에 집수시키도록 한다.
상기 걸름판은 하기에 설명할 밑받침대와 외부원통의 견고한 조립에 의해, 밑받침대의 수직바(42)와 외부원통의 제1돌출혹 사이에서만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밑받침대와 외부원통이 조립된 이상 분해되지 않으므로 상기 걸림판은 본체 밖으로 이탈할 수 없게 된다.
상기 밑받침대(40)는 상하가 뚫려 있는 관통형의 원통이며, 그 옆면을 따라 단턱이 형성되어 있어 그 단턱을 중심으로 상하로 나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는 외부원통(20)과 결합되며, 하부는 오수수거통(50)과 결합되도록 각각 걸림부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걸림부는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1걸림부(41)는 상기 제2돌출혹(23)과 결합되도록, 상기 밑받침대(40)의 상부 끝단으로부터 수직 및 수평으로 파여져 있는 'ㄴ' 형태의 음각 단턱이다.
따라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돌출혹(23)이 수직의 홈에 삽입된 후(a) 수평의 홈으로 이동하게 되면(b) 상기 제2돌출혹(23)이 상기 제1걸림부(41) 내에서 상하 이동이 되지 않도록 결합하게 되며, 이때 수평홈은 적어도 제2돌출혹(23)과 동일 폭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상하 이동이 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1걸림부(41)의 하부에 내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원형 단턱(44)은 상기 외부원통(20)의 하부 끝단과 맞닿아진다.
상기 단턱(44)으로부터 수직되게 형성되어 있는 옆면은 그 내부에 수직바(42)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부에 제2걸림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바(42)는 상기 압축판(10)의 관통홈(11)의 너비에 대응되는 폭을 형성하고 있는 바이며, 상기 관통홈(11)이 상기 수직바 하부 끝단으로부터 관통하여 걸름판을 밀어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된다.
이때 상기 수직바가 형성되어 있는 내부옆면의 직경은 상기 압축판(10)의 직경 그리고 외부원통(20)의 내부직경과 동일하여 상기 압축판(10)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걸림부(43)는 상기 밑받침대(40) 하부 외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된 'ㄴ' 형태의 돌출턱이다.
상기 오수수거통(50)은 원형의 밑면과 상기 밑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된 옆면을 가지고 있는 원통이며, 상기 걸름판(30)으로부터 배출구를 통과한 오수가 집수되는 통이다.
상기 오수수거통(50)의 외경은 밑받침대(40)의 외경과 동일하다.
상기 오수수거통(50)의 상부 끝단에는 걸림턱(51)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걸림부(43)의 수평돌부 상에 슬라이딩되게 끼워진다.
즉,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오수수거통의 상단과 상기 밑받침대(40)의 단턱하부가 맞닿은 상태에서 걸림턱(51)을 상기 제2걸림부의 수평부 상에서 슬라이딩 시키게 되면 (a), 상기 걸림턱(51)이 제2걸림부(43)와 단턱 사이에 고정되어 상하로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b)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압축판(10)의 압력이 없을 때는 압축판 하면이 제1돌출혹(22) 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거치되도록 하였다가,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원통(20)에 넣은 후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압축판(10)을 압축봉으로 눌러 상기 제1돌출혹(22)이 관통홈(11)을 통과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외부원통(20)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가 일정량이 찼을 경우, 상기 압축판(10)의 관통홈(11)을 제1돌출혹(22)에 통과시킨 후에 압축판(10)이 제1돌출혹 하부에 압축판(10) 상면이 닿도록 걸어 손잡이를 잡고 들어 올려 원하는 장소로 음식물쓰레기통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음식물쓰레기를 종량제 비닐봉투 혹은 다른 쓰레기통으로 배출할 경우에는, 도 10에서와 같이 오수수거통을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압축봉이 아래로 향하도록 압축판(10)을 밑받침대(40) 하부에 삽입한 뒤 상기 압축봉을 외부원통 내부로 밀게 되면 상기 관통홈(11)이 상기 수직바(42)를 관통하면서 음식물쓰레기를 밀어내게 되어 사용자의 손에 오물이 묻지 않도록 손쉽게 위생적으로 쓰레기를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압축 음식물 쓰레기통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사시도,
도 3은 압축판이 제1돌출혹을 관통하는 상태도,
도 4는 외부원통과 밑받침대의 결합 상태도,
도 5는 밑받침대와 오수수거통의 결합 상태도,
도 6은 압축판의 단면도,
도 7에서 도 10은 압축판의 상태도.
*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0 : 압축판 11 : 관통구
12 : 손잡이 13 : 연결봉
20 : 외부원통 21 : 옆면
22 : 제1돌출혹 23 : 제2돌출혹
30 : 걸름판 31 : 배출구
40 : 밑받침대 41 : 제1걸림부
42 : 수직바 43 : 제2걸림부
50 : 오수수거통 51 : 걸림턱

Claims (4)

  1.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관통홈을 형성하는 압축판과;
    상기 압축판의 가장자리가 내벽면에 닿으면서 상하 이동하도록 압축판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며, 내벽면 상부에 제1돌출혹을 형성하고 있어 상기 제1돌출혹 상에 거치되어 있는 압축판이 상기 관통홈으로 상기 제1돌출혹을 관통한 후 하단에 거치되도록 상기 제1돌출혹은 상기 관통홈에 대응하는 개수와 위치에 서로 동일 폭을 가지며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 외벽면에는 제2돌출혹을 구성하고 있는 관통형의 외부원통과;
    외부원통의 내부에 위치하여 외부원통 내벽면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며, 복수개의 배출구를 형성하고 있는 원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하향의 옆면을 형성하고 있는 걸름판과;
    상기 외부원통의 제2돌출혹과 상부에서 결합하도록 단턱 형태의 제1걸림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 하부에는 단턱 형태의 제2걸림부를 형성하고 있고, 내벽면에 상기 관통홈과 대응하는 위치에 외부원통의 제1돌출혹과 폭과 높이가 같고 개수가 같은 수직바가 형성되어 있는 관통형의 밑받침대와;
    상기 배출구를 통과한 오수가 집수되도록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걸림부와 결합하도록 그 상부 끝단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있는 오수수거통
    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음식물 쓰레기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판은 상판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까지 동일한 경사면을 갖도록 중심에 산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음식물 쓰레기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판의 중심에는 손잡이 및 손잡이와 압축판 중심을 연결하는 연결봉으로 구성되는 압축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음식물 쓰레기통.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은 그 양단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있어, 상기 제1돌출혹 하단에서 거치되어 상기 압축판이 회전하더라도 걸림턱이 제1돌출혹에 걸려 관통홈에 제1돌출혹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음식물 쓰레기통.
KR1020090059756A 2009-07-01 2009-07-01 압축 음식물 쓰레기통 KR101055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756A KR101055365B1 (ko) 2009-07-01 2009-07-01 압축 음식물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756A KR101055365B1 (ko) 2009-07-01 2009-07-01 압축 음식물 쓰레기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257A true KR20110002257A (ko) 2011-01-07
KR101055365B1 KR101055365B1 (ko) 2011-08-09

Family

ID=43610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756A KR101055365B1 (ko) 2009-07-01 2009-07-01 압축 음식물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53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2558A (zh) * 2016-04-12 2016-07-13 浙江理工大学 一种可压缩垃圾的垃圾桶
CN109703944A (zh) * 2019-03-03 2019-05-03 徐超 一种市政建设用垃圾收放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44503A (zh) * 2017-06-28 2017-10-13 柳州国淘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垃圾桶
CN109205139A (zh) * 2018-07-16 2019-01-15 梅金琪 一种便于收集垃圾的垃圾箱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8817U (ko) * 1997-04-10 1997-07-29 박권수 젖은 음식 쓰레기용 수거용기
KR20090028333A (ko) * 2007-09-14 2009-03-18 주식회사 샤바스 탈취용 음식물 쓰레기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2558A (zh) * 2016-04-12 2016-07-13 浙江理工大学 一种可压缩垃圾的垃圾桶
CN109703944A (zh) * 2019-03-03 2019-05-03 徐超 一种市政建设用垃圾收放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5365B1 (ko) 201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4805B1 (ko) 청소기의 집진기
KR101055365B1 (ko) 압축 음식물 쓰레기통
KR20120124881A (ko) 압축형 음식물 쓰레기통
KR101209592B1 (ko) 압축형 음식물 쓰레기통
CN209777331U (zh) 餐厨垃圾干湿分离装置
KR101468721B1 (ko) 음식물 쓰레기 거름망
KR200410765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10913860U (zh) 一种新型厨房垃圾固液分离装置
KR20090099941A (ko) 원터치 복귀형 거름망
CN213595120U (zh) 具有高效沥水结构的厨余垃圾沥水器
CN208593680U (zh) 一种具有固液分离功能的园林用垃圾桶
KR20140002037U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거름망
KR20130131855A (ko) 하부 배출도어를 갖는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KR101369553B1 (ko) 분할 개폐되는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KR200468254Y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CN210504105U (zh) 厨余垃圾脱水垃圾桶
KR100662947B1 (ko) 싱크대의 음식쓰레기 간편 수거장치
CN204489729U (zh) 一种压缩垃圾的垃圾桶
CN210557000U (zh) 一种厨房用垃圾收集装置
KR101416772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기
KR101232280B1 (ko) 음식물쓰레기통
KR102306006B1 (ko) 이동싱크대가 구비된 주방시스템
CN210175670U (zh) 一种厨房用垃圾分类箱
CN211033863U (zh) 一种新型压缩垃圾桶
KR200374095Y1 (ko) 압축 겸용 커버가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