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072U - Prefabricated building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bui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072U
KR20110002072U KR2020090011036U KR20090011036U KR20110002072U KR 20110002072 U KR20110002072 U KR 20110002072U KR 2020090011036 U KR2020090011036 U KR 2020090011036U KR 20090011036 U KR20090011036 U KR 20090011036U KR 20110002072 U KR20110002072 U KR 201100020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prefabricated building
roof
beams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03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금수
Original Assignee
서금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금수 filed Critical 서금수
Priority to KR20200900110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2072U/en
Publication of KR201100020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072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6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longitudi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4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supported by horizontal beams or the equivalent resting on th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조립식 건물이 개시된다. 이 조립식 건물은 상기 조립식 건물의 각 코너를 형성하는 복수의 수직빔과, 이웃하는 상기 수직빔을 상호 연결하는 수평빔과, 상기 수직빔과 상기 수평빔을 상호 연결하는 몸체 연결부를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측을 커버하는 지붕을 포함하고, 상기 지붕은, 상기 각 수직빔과 연결되고, 내측 단부가 상기 몸체의 내측 상방으로 연장되고, 외측 단부가 상기 몸체의 외측 하방으로 연장되어 처마영역을 형성하는 경사빔; 상기 각 수직빔의 상단부에 체결되고, 상기 각 수직빔과 상기 각 경사빔을 상호 연결하는 몸체/지붕 연결부; 및 상기 각 경사빔의 내측 단부를 모두 연결하는 지붕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몸체와 지붕 상호 간의 조립이 용이할 뿐 아니라 몸체 또는 지붕에 포함된 구성 간의 조립이 용이하기 때문에 조립식 건물의 제작이 용이하고 조립식 건물을 제작하기 위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A prefabricated building is disclosed. The prefabricated building includes a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vertical beams forming each corner of the prefabricated building, a horizontal beam interconnecting the neighboring vertical beams, and a body connecting portion interconnecting the vertical beam and the horizontal beam; And a roof covering an upper side of the body, wherein the roof is connected to each of the vertical beams, the inner end of which extends inwardly above the body, and the outer end of which extends outwardly downward of the body. Inclined beam forming a; A body / roof connection unit coupled to an upper end of each vertical beam and interconnecting each of the vertical beams and the respective inclined beams;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of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all of the inner end of each inclined beam. Accordingly, not only the assembly between the body and the roof can be easily performed, but also the assembly between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body or the roof can be easily manufactured, and the cost for manufacturing the prefabricated building can be reduced.

조립식 건물, 연결부, Prefab Building,

Description

조립식 건물{Prefabricated building}Prefabricated Building

본 고안은 조립식 건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building.

공원 등과 같이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야외 장소에는 사람들이 쉼터로 사용되는 정자와 같은 건물이 설치된다.In outdoor places used by many people, such as parks, buildings such as sperm, which people use as shelter, are installed.

일반적으로 이러한 건물은 골조를 절단하고 절단된 골조를 상호 용접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작공정은 과도한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다.Typically, such buildings are fabricated by cutting the frames and welding the cut frames together. However, such a manufacturing process has a problem that consumes excessive time and cost.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립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조립식 건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building configured to be easy to assembl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립식 건물로서, 상기 조립식 건물의 각 코너를 형성하는 복수의 수직빔과, 이웃하는 상기 수직빔을 상호 연결하는 수평빔과, 상기 수직빔과 상기 수평빔을 상호 연결하는 몸체 연결부를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측을 커버하는 지붕을 포함하고, 상기 지붕은, 상기 각 수직빔과 연결되고, 내측 단부가 상기 몸체의 내측 상방으로 연장되고, 외측 단부가 상기 몸체의 외측 하방으로 연장되어 처마영역을 형성하는 경사빔; 상기 각 수직빔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각 수직빔과 상기 각 경사빔을 상호 연결하는 몸체/지붕 연결부; 및 상기 각 경사빔의 내측 단부를 모두 연결하는 지붕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refabricated building, a plurality of vertical beams forming each corner of the prefabricated building, a horizontal beam interconnecting the adjacent vertical beams, and the vertical beam A body including a body connection part interconnecting the horizontal beams; And a roof covering an upper side of the body, wherein the roof is connected to each of the vertical beams, the inner end of which extends inwardly above the body, and the outer end of which extends outwardly downward of the body. Inclined beam forming a; A body / roof connection unit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each vertical beam and interconnecting the vertical beams and the respective inclined beams; And a prefabricated building is provided comprising a roof connection portion for connecting all of the inner end of each of the inclined beams.

상기 지붕 연결부는 상기 몸체의 내측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The roof connection part may be disposed at an inner center of the body.

이웃하는 상기 경사빔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처마영역을 형성하는 연결빔; 및 상기 각 경사빔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경사빔과 상기 연결빔을 연결하는 경사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connecting beam interconnecting the neighboring warp beams and forming the cornice region; And an inclined beam connecting unit installed at an outer end of each inclined beam and connecting the inclined beam and the connecting beam.

상기 몸체 연결부는 상기 수직빔이 관통하는 수직 개구부와, 상기 수평빔이 삽입되는 수평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 연결부는 상기 수직빔에 대해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body connecting part may include a vertical opening through which the vertical beam passes, and a horizontal opening into which the horizontal beam is inserted, and the body connecting part may be installed to be height-adjustab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beam.

상기 수직빔은 내부가 빈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지붕 연결부는, 상기 수직빔에 삽입되는 연결부 몸체; 및 상기 연결부 몸체의 일 측에 마련되고, 상기 경사빔이 관통하는 경사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rtical beam is made of a hollow hollow shape, the body / roof connecting portion, the connecting body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beam; And an inclined opening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onnecting unit body and through which the inclined beam passes.

상기 연결부 몸체에는 상기 경사빔의 상단부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부가 마련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body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portion that is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beam.

상기 몸체 연결부는, 상기 각 수직빔의 하부영역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몸체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빔은, 상기 하부 몸체 연결부에 의해 상기 수직빔과 연결되는 하부 수평빔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수평빔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마루부가 마련될 수 있다.The body connecting part includes a lower body connecting part which is installed in a lower region of each vertical beam so as to be adjustable in height, and the horizontal beam includes a lower horizontal beam connected to the vertical beam by the lower body connecting part, The floor portion may be provided in an area defined by the lower horizontal beam.

상기 마루부는, 상기 하부 수평빔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빔을 포함할 수 있다.The ridge may include at least one support beam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lower horizontal beam.

본 고안에 따르면, 몸체와 지붕 상호 간의 조립이 용이할 뿐 아니라 몸체 또는 지붕에 포함된 구성 간의 조립이 용이하기 때문에 조립식 건물의 제작이 용이하고 조립식 건물을 제작하기 위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assembly between the body and the roof is easy, but also the assembly between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body or the roof is easy to manufacture the prefabricated building and the cost for manufacturing the prefabricated building can be reduced.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or corresponding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1)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1)은 몸체(3)와 지붕(5)을 포함할 수 있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buildin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prefabricated building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body 3 and a roof 5.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3)와 지붕(5) 상호 간의 조립이 용이할 뿐 아니라 몸체(3) 또는 지붕(5)에 포함된 구성 간의 조립이 용이하기 때문에 조립식 건물의 제작이 용이하고 조립식 건물을 제작하기 위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not only the assembly between the body 3 and the roof 5 is easy, but also the assembly between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body 3 or the roof 5 is easy to manufacture the prefabricated building. The cost for building a prefabricated building can be reduced.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1)의 일부를 분해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도 2를 참고하여 조립식 건물(1)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2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prefabricated buildin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fabricated building 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1)에 포함된 몸체(3)는 수직빔(10)과, 수평빔(20)과 몸체 연결부(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3 included in the prefabricated building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vertical beam 10, a horizontal beam 20, and a body connection part 30.

수직빔(10)은 조립식 건물(1)의 각 코너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1)은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네 개의 코너를 구비하기 때문에 수직빔(10)은 네 개이다. 이러한 네 개의 수직빔(10)은 상측에서 볼 때 정사각형 형상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The vertical beams 10 form each corner of the prefabricated building 1. Since the prefabricated building 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four corners as can be seen in FIG. 2, there are four vertical beams 10. These four vertical beams 10 may be arranged in a square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다만, 이러한 수직빔(10)의 개수 및 배치는 예시에 불과하고, 복수의 수직빔이 상측에서 볼 때 다각형 형상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However,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vertical beams 10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lurality of vertical beams may be arranged in a polygonal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수직빔(10)은 내부가 빈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빔(10)의 무게 및 단가를 줄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내부가 채워진 형태의 수직빔이 사용될 수 있다.The vertical beam 10 may be formed in a hollow shape inside. Accordingly, the weight and unit cost of the vertical beam 10 can be reduced.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a vertical beam having a form filled inside may be used.

수직빔(10)의 하단부에 지지 브라켓(12)이 설치될 수 있다. 지지 브라켓(12)은 지면과 같은 지지면(미도시)과 접촉하여 수직빔(10)을 지지면에 대해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브라켓(12)의 바닥면은 앵커 볼트에 의해 지지면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The support bracket 12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eam 10. The support bracket 12 may contact the support surface (not shown) such as the ground to support the vertical beam 10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urface. In this case,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bracket 12 can be firmly fixed to the support surface by the anchor bolt.

도 2를 참조하면, 이웃하는 수직빔(10) 사이에 수평빔(20)이 배치될 수 있다. 수평빔(20)은 이웃하는 수직빔(10)을 상호 연결한다.Referring to FIG. 2, a horizontal beam 20 may be disposed between neighboring vertical beams 10. The horizontal beams 20 interconnect adjacent vertical beams 10.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빔(20)은 수직빔(10)의 하부영역에 배치된 하부 수평빔(20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수평빔(20a)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마루부(40)가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rizontal beam 20 may include a lower horizontal beam 20a dispos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vertical beam 10. The floor portion 40 may be provided in an area defined by the lower horizontal beam 20a.

마루부(40)는 몸체(3)의 내측으로 들어온 사용자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사용자와 직접 접촉하는 마루패널(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마루패널(42)은 전체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인접 배치된 복수의 단위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마루패널(42)은 하부 수평빔(20a)에 직접 지지될 수 있다.The floor portion 40 may include a floor panel 42 in direct contact with the user as a configuration for supporting the user coming into the body 3. The floor panel 42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unit panels are integrally formed or disposed adjacent to the whole. The floor panel 42 may be directly supported by the lower horizontal beam 20a.

본 실시예에 따른 마루부(40)는 하부 수평빔(20a)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빔(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빔(44)은 하부 수평빔(20a)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브라켓(46)에 의해 하부 수평빔(20a)과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46)은 하부 수평빔(20a)의 내측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빔(44)은 마루패널(42)을 효과적으로 지지한다.The floor portion 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upport beam 44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lower horizontal beam 20a. In this case, the support beam 44 may be coupled to the lower horizontal beam 20a by a bracket 46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horizontal beam 20a. The bracket 46 may be screw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horizontal beam 20a. This support beam 44 effectively supports the floor panel 42.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빔(20)은 수직빔(10)의 상부 영역에 배치된 상부 수평빔(2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수평빔(20b)은 이웃하는 수직빔(10)을 더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rizontal beam 20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horizontal beam 20b disposed in an upper region of the vertical beam 10. The upper horizontal beam 20b may more effectively support the neighboring vertical beam 10.

수평빔(20)은 몸체 연결부(30)에 의해 수직빔(10)과 연결된다. 도 3은 본고 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에 포함된 몸체 연결부(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The horizontal beam 20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beam 10 by the body connecting portion 30.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ody connection portion 30 included in the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을 참조하면, 몸체 연결부(30)는 수직빔(10)이 관통하는 수직 개구부(31)와 수평빔(20)이 삽입되는 수평 개구부(32)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3, the body connection part 30 includes a vertical opening 31 through which the vertical beam 10 passes and a horizontal opening 32 through which the horizontal beam 20 is insert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수직빔(10)은 두 개의 수평빔(20)과 연결되기 때문에 몸체 연결부(30)는 두 개의 수평 개구부(32)를 구비한다. 이러한 수평 개구부(32)는 수직 개구부(31)와 만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each vertical beam 10 is connected to two horizontal beams 20, the body connection portion 30 has two horizontal openings 32. This horizontal opening 32 may meet the vertical opening 31.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1)에 포함된 몸체 연결부(30)의 높이조절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몸체 연결부(30)는 수직 개구부(31)를 통해 수직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즉, 몸체 연결부(30)는 수직빔(10)에 대해 높이 조절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다.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eight adjustment process of the body connecting portion 30 included in the prefabricated building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body connection par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sl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beam 10 through the vertical opening 31. That is, the body connection portion 30 can be moved height adjustab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beam (10).

수직빔(10)에 대해 높이 조절된 몸체 연결부(30)는 수직빔(10)과 볼트 결합되어 수직빔(10)에 대해 높이 고정될 수 있다.The body connection part 30 adjusted to the vertical beam 10 may be bolted to the vertical beam 10 and fixed to the vertical beam 10.

도 2를 참조하면, 몸체 연결부(30)는 수직빔(10)의 하부 영역에 설치되는 하부 몸체 연결부(3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몸체 연결부(30a)는 수직빔(10)과 하부 수평빔(20a)를 상호 연결한다.Referring to FIG. 2, the body connector 30 may include a lower body connector 30a install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vertical beam 10. The lower body connecting portion 30a interconnects the vertical beam 10 and the lower horizontal beam 20a.

하부 몸체 연결부(30a)는 수직빔(10)에 대해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하부 수평빔(20a)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마련된 마루부(4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Since the lower body connecting portion 30a is installed to be height-adjustab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beam 10, the height of the floor portion 40 provided in the area defined by the lower horizontal beam 20a may be adjusted.

몸체 연결부(30)는 수직빔(10)의 상부 영역에 설치되는 상부 몸체 연결부(3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몸체 연결부(30b)는 수직빔(10)과 상부 수평빔(20b)을 상호 연결한다.The body connection part 30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body connection part 30b installed in an upper region of the vertical beam 10. The upper body connecting portion 30b interconnects the vertical beam 10 and the upper horizontal beam 20b.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1)은 몸체(3)의 상측을 커버하는 지붕(5)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지붕(5)은 경사빔(50)과, 몸체/지붕 연결부(60)와, 지붕 연결부(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prefabricated building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roof 5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body 3. In more detail, the roof 5 may include an inclined beam 50, a body / roof connection 60, and a roof connection 70.

경사빔(50)은 수직빔(10)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빔(10)이 네 개이기 때문에 경사빔(50)은 네 개이다.The inclined beam 50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beam 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re are four vertical beams 10, there are four oblique beams 50.

경사빔(50)의 내측 단부는 몸체(3)의 내측 상방으로 연장된다. 경사빔(50)의 외측 단부는 몸체(3)의 외측 하방으로 연장되어 처마영역을 형성한다. 여기서, 처마 영역이란 몸체(3)의 외측으로 돌출된 지붕(5)의 일부를 의미한다.The inner end of the warp beam 50 extends above the inside of the body 3. The outer end of the inclined beam 50 extends outwardly below the body 3 to form a cornice region. Here, the eaves region means a part of the roof 5 protruding outward of the body 3.

이러한 경사빔(50)은 몸체/지붕 연결부(60)에 의해 수직빔(1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1)에 포함된 몸체/지붕 연결부(6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몸체/지붕 연결부(60)는 적어도 일부가 수직빔(10)에 삽입되는 연결부 몸체(61)와, 연결부 몸체(61)의 일 측에 마련되고 경사빔(50)이 관통하는 경사 개구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 몸체(61)는 수직빔(10)의 상단부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부(63)가 마련될 수 있다.This inclined beam 50 may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vertical beam 10 by the body / roof connection 60 Figure 5 is a body / roof included in the prefabricated buildin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gure which shows the connection part 60 schematically. Referring to FIG. 5, the body / roof connection part 6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part body 61, at least a part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beam 10, and the inclined beam 50 penetrates. It may include an inclined opening 62. The connection body 61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portion 63 to be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beam (10).

도 2를 참조하면, 경사빔(50)의 내측 단부는 지붕 연결부(70)와 결합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1)에 포함된 지붕 연결부(70)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지붕 연결부(70)에는 경사빔(50)의 내측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72)가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inner end of the inclined beam 50 is coupled to the roof connection 70. 6 is a schematic view of the roof connection 70 included in the prefabricated buildin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roof connection part 70 may be provided with an insertion groove part 72 into which the inner end of the inclined beam 50 is inserted.

이 경우, 경사빔(50)은 삽입홈부(72)에 삽입되어 지붕 연결부(70)와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또는 경사빔(50)은 삽입홈부(72)에 억지 끼움 방식 등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clined beam 5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72 to be bolted to the roof connection 70. Or the inclined beam 50 may be coupled in a variety of known manners such as interference fit method to the insertion groove (72).

본 실시예에 따른 경사빔(50)은 네 개이기 때문에 지붕 연결부(70)에는 네 개의 삽입홈부(7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지붕 연결부(70)에 의해 각 경사빔(50)의 내측 단부가 모두 연결될 수 있다.Since there are four gradient beams 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our insertion grooves 72 may be provided in the roof connection part 70. All of the inner ends of the inclined beams 50 may be connected by the roof connection part 70.

이러한 지붕 연결부(70)는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몸체(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붕 연결부(70)를 포함하는 지붕(5)이 몸체(3)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 이 경우, 지붕 연결부(70)는 몸체(3)의 내측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사빔(50)이 몸체(3)에 대해 균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is roof connection 7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3, as can be seen in FIG. Accordingly, the roof 5 including the roof connection part 70 may cover the upper side of the body 3. In this case, the roof connection part 70 may be dispos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body 3. Accordingly, the inclined beam 50 may be disposed in a balanced manner with respect to the body 3.

도 2를 참조하면, 지붕(5)은 이웃하는 경사빔(50)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빔(80)과, 경사빔(50)과 연결빔(80)을 연결하는 경사빔 연결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roof 5 includes a connecting beam 80 interconnecting neighboring inclined beams 50 and an inclined beam connecting unit 90 connecting the inclined beam 50 and the connecting beam 80. It may further include.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에 포함된 경사빔 연결부(9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경사빔 연결부(90)는 경사빔(50)의 외측 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경사빔 연결부(90)에는 경사빔(50)의 외측 단부가 삽입되는 제 1 삽입홈부(91)가 마련될 수 있다.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clined beam connecting portion 90 included in the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inclined beam connecting unit 90 may be coupled to an outer end of the inclined beam 50. To this end, the inclined beam connecting unit 9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insertion groove 91 into which the outer end of the inclined beam 50 is inserted.

이 경우, 경사빔(50)은 제 1 삽입홈부(91)에 삽입되어 경사빔 연결부(90)와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또는 경사빔(90)은 제 1 삽입홈부(91)에 억지 끼움 방식 등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clined beam 5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91 to be bolted to the inclined beam connecting unit 90. Alternatively, the inclined beam 9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91 by various known methods such as an interference fit method.

경사빔 연결부(90)는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개 연결빔(80)과 결합된다. 이를 위해 경사빔 연결부(90)에는 두 개의 연결빔(80)이 각각 삽입되는 두 개의 제 2 삽입홈부(92)가 마련될 수 있다.The inclined beam connecting unit 90 is combined with two connecting beams 80 as can be seen in FIG. For this purpose, two second insertion grooves 92 into which the two connecting beams 80 are inserted may be provided in the inclined beam connecting unit 90.

이 경우, 연결빔(80)은 제 2 삽입홈부(92)에 삽입되어 경사빔 연결부(90)와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연결빔(80)은 제 2 삽입홈부(92)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necting beam 80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92 to be bolted to the inclined beam connecting portion 90. Alternatively, the connection beam 8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92 by a force fitting method.

도 2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붕(5)은 이웃하는 경사빔(50)과, 이웃하는 경사빔(50)을 연결하는 연결빔(80)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설치되는 지붕 패널(95)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지붕 패널(95)은 네 개이고, 각 지붕 패널(95)은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roof 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roof panel installed in an area defined by a neighboring inclined beam 50 and a connecting beam 80 connecting the neighboring inclined beam 50. 95 may be installed. In this case, there are four roof panels 95, and each roof panel 95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이러한 지붕 패널(95)은 이웃하는 경사빔(50)과, 이웃하는 경사빔(50)을 연결하는 연결빔(80)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을 커버한다.The roof panel 95 covers an area defined by the neighboring inclined beam 50 and the connecting beam 80 connecting the neighboring inclined beam 50.

이상에서 살펴본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1)은 몸체(3)와 지붕(5) 상호 간의 조립이 용이할 뿐 아니라 몸체(3) 또는 지붕(5)에 포함된 구성 간의 조립이 용이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The prefabricated building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not only easy to assemble between the body 3 and the roof 5, but also easy to assemble between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body 3 or the roof 5. It is easy to manufacture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이상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 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Other embodiments may be easily proposed by addition, modification, deletion, addition, etc., but this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의 일부를 분해한 개략적인 도면이고,Figure 2 is a schematic exploded view of a part of the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에 포함된 몸체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ody connection included in a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에 포함된 몸체 연결부의 높이조절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eight adjustment process of the body connecting portion included in the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에 포함된 몸체/지붕 연결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ody / roof connection included in the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에 포함된 지붕 연결부의 개략적인 도면이고,6 is a schematic view of a roof connection included in a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물에 포함된 경사빔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clined beam connection included in the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조립식 건물 3 : 몸체1: prefabricated building 3: body

5 : 지붕 10 : 수직빔5: roof 10: vertical beam

20 : 수평빔 30 : 몸체 연결부20: horizontal beam 30: body connection

40 : 마루부 50 : 경사빔40: floor portion 50: inclined beam

60 : 몸체/지붕 연결부 70 : 지붕 연결부60: body / roof connection 70: roof connection

80 : 연결빔 90 : 경사빔 연결부80: connecting beam 90: inclined beam connecting portion

Claims (8)

조립식 건물로서,Prefabricated building, 상기 조립식 건물의 각 코너를 형성하는 복수의 수직빔과, 이웃하는 상기 수직빔을 상호 연결하는 수평빔과, 상기 수직빔과 상기 수평빔을 상호 연결하는 몸체 연결부를 포함하는 몸체; 및A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vertical beams forming each corner of the prefabricated building, a horizontal beam interconnecting the neighboring vertical beams, and a body connecting portion interconnecting the vertical beams and the horizontal beams; And 상기 몸체의 상측을 커버하는 지붕을 포함하고,A roof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body, 상기 지붕은,The roof is, 상기 각 수직빔과 연결되고, 내측 단부가 상기 몸체의 내측 상방으로 연장되고, 외측 단부가 상기 몸체의 외측 하방으로 연장되어 처마영역을 형성하는 경사빔;An inclined beam connected to each of the vertical beams, the inner end of which extends inwardly above the body, and the outer end of which extends outward of the body to form an eave region; 상기 각 수직빔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각 수직빔과 상기 각 경사빔을 상호 연결하는 몸체/지붕 연결부; 및A body / roof connection unit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each vertical beam and interconnecting the vertical beams and the respective inclined beams; And 상기 각 경사빔의 내측 단부를 모두 연결하는 지붕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Prefabricated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of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all of the inner end of the inclined beam.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붕 연결부는 상기 몸체의 내측 중앙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조립식 건물.Prefabricated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roof connection portion is dispos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bod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이웃하는 상기 경사빔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처마영역을 형성하는 연결빔; 및A connecting beam interconnecting the neighboring warp beams and forming the cornice region; And 상기 경사빔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경사빔과 상기 연결빔을 연결하는 경사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 The prefabricated building is installed at an outer end of the inclined beam, and further comprising an inclined beam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inclined beam and the connecting beam.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몸체 연결부는 상기 수직빔이 관통하는 수직 개구부와, 상기 수평빔이 삽입되는 수평 개구부를 구비하고,The body connection part has a vertical opening through which the vertical beam passes, and a horizontal opening through which the horizontal beam is inserted, 상기 몸체 연결부는 상기 수직빔에 대해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Prefabricated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connecting portion is installed to be adjustable in height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beam.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수직빔은 내부가 빈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The vertical beam is made of a hollow hollow shape, 상기 몸체/지붕 연결부는,The body / roof connection, 상기 수직빔에 삽입되는 연결부 몸체; 및A connection body inserted into the vertical beam; And 상기 연결부 몸체의 일 측에 마련되고, 상기 경사빔이 관통하는 경사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The prefabricated building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body, and includes an inclined opening through which the inclined beam passes.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연결부 몸체에는 상기 경사빔의 상단부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Prefabricated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beam to the connecting portion body.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몸체 연결부는, 상기 각 수직빔의 하부영역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몸체 연결부를 포함하고,The body connection part includes a lower body connection part which is installed to be height-adjustable in the lower area of each vertical beam, 상기 수평빔은, 상기 하부 몸체 연결부에 의해 상기 수직빔과 연결되는 하부 수평빔을 포함하고,The horizontal beam includes a lower horizontal beam connected to the vertical beam by the lower body connecting portion, 상기 하부 수평빔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에 마루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Prefabricated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or is provided in the area defined by the lower horizontal beam.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마루부는,The floor portion, 상기 하부 수평빔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And at least one support beam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lower horizontal beam.
KR2020090011036U 2009-08-24 2009-08-24 Prefabricated building KR20110002072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036U KR20110002072U (en) 2009-08-24 2009-08-24 Prefabricated bui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036U KR20110002072U (en) 2009-08-24 2009-08-24 Prefabricated build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072U true KR20110002072U (en) 2011-03-03

Family

ID=44207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036U KR20110002072U (en) 2009-08-24 2009-08-24 Prefabricated bui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2072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563A (en) * 2018-08-07 2020-02-17 주식회사 한일티앤에이치 Assembly-type gazeb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563A (en) * 2018-08-07 2020-02-17 주식회사 한일티앤에이치 Assembly-type gazeb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456B1 (en) Self assembly multi purpose pavil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JP4648736B2 (en) Unit building
KR20110002072U (en) Prefabricated building
KR101896358B1 (e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Light-Weight Roof Tile of Pavilion Comprising Rafters with Enhanced Buildability
KR101929335B1 (en) Prefabricated partition
JP5308168B2 (en) Unit building
JP6233395B2 (en) Building frame
KR102114477B1 (en) Construction Structure of Pole Plate, Comprising Column Head with Upper/Lower Combining Structure for Enhanced Durability of Column and Buildability of Pole Plate
JP6075341B2 (en) Wooden frame building
KR101912098B1 (e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Heavy Roof Tile of Pavilion Comprising Rafters with Enhanced Buildability
JP6233394B2 (en) Residential
JP7126202B2 (en) handrail
JP2963507B2 (en) Residential units for skip floors
CN213233815U (en) View room
JPH1193272A (en) Building unit
JP4783703B2 (en) Unit building
KR101839469B1 (en) korean style house support structure
JP4163325B2 (en) Unit building
JP5775333B2 (en) Unit for balcony, unit type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for unit type building
JP2604324Y2 (en) Balcony enclosure
JP5066354B2 (en) Building units and unit buildings
JP2010013876A (en) Balcony
JP4047211B2 (en) Handrail and handrail unit
JP6233371B2 (en) Temporary housing
JP5845164B2 (en) Roof structure of unit type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