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883U - Fixing apparaus and ventilato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ixing apparaus and ventilato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883U
KR20110001883U KR2020090010754U KR20090010754U KR20110001883U KR 20110001883 U KR20110001883 U KR 20110001883U KR 2020090010754 U KR2020090010754 U KR 2020090010754U KR 20090010754 U KR20090010754 U KR 20090010754U KR 20110001883 U KR20110001883 U KR 201100018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device
wall
ventilation
bracket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75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영철
Original Assignee
박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철 filed Critical 박영철
Priority to KR20200900107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1883U/en
Publication of KR201100018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883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72Modules for easy installation or trans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에 안착될 수 있는 브라켓부, 그리고 상기 브라켓부에 고정되고 상기 벽체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브라켓부를 상기 벽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모듈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fixing device including a bracket that can be seated in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wall, and a fixing part fixed to the bracket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wall to detachably mount the bracket to the wall and It provides a ventilation module including the same.

브라켓부, 고정부, 탄성, 벽체, 고정장치, 환기 Bracket part, fixing part, elasticity, wall, fixing device, ventilation

Description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모듈{FIXING APPARAUS AND VENTILATOR HAVING THE SAME}Fixing device and ventilation module including same {FIXING APPARAUS AND VENTILATOR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벽체에 쉽게 탈, 부착되는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ing device that is easily detached and attached to a wall and a ventilation module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음식점, 사무실, 욕실, 화장실 등에는 내부의 냄새나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천정이나 벽면에 환기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고기를 구워 먹을 수 있는 음식점을 예로 들면,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많은 연기와 냄새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된 연기와 냄새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켜 주지 못하면, 연기와 냄새가 음식점 내에 그대로 퍼져 실내 공기를 오염시켜 손님에게 불쾌감을 줄 뿐만 아니라 미세입자들이 테이블이나 천정, 벽면 등에 붙어 실내를 오염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부분의 음식점에서는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나 냄새를 주변의 공기와 함께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켜 실내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환기시설을 갖추어 놓고 있다.In general, restaurants, offices, bathrooms, toilets, etc. are provided with a ventilation system on the ceiling or wall to discharge the smell or smoke inside. In particular, for example, a restaurant where grilled meat is eaten, a lot of smoke and smell occurs during the grilling process. At this time, if the generated smoke and odor cannot be quick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smoke and odor spread in the restaurant as it is, contaminating the indoor air, causing discomfort to the guests, and micro particles contaminating the interior with the table, ceiling, wall, etc. Let's go.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most restaurants are equipped with ventilation facilities to keep the indoor environment pleasant by quickly discharging smoke or odor generated in the process of grilling meat to the outside together with the surrounding air.

환기시설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예컨대, 냄새나 연기를 직접적으로 흡입하기 위해 관 형태로 실내의 오염원까지 인출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 고, 미관을 고려하여 천정 또는 벽면에 환기구 형태로도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환기시설은 구조적 특성에 따라 천정 또는 벽면에 고정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천정 또는 벽면에는 환기관 또는 환기구를 고정하는 브라켓이 구비된다. 물론, 브라켓은 환기시설 외에도 천정에 설치되는 구조물 또는 조명등을 고정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Ventilation facilities can be provided in a variety of forms, for example, can be installed in the form of a pipe to draw out the source of pollution in the form of a pipe to directly inhale odors or smoke, and in the form of a ventilation opening on the ceiling or wall in consideration of aesthetics Can also be installed. Such ventilation facilities should be fixed to the ceiling or the wall according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the ceiling or the wall is provided with a bracket for fixing the ventilation pipe or the ventilation hole. Of course, the bracket may be installed to fix the structure or lighting installed in the ceiling in addition to the ventilation.

하지만, 종래의 브라켓은 천정 또는 벽면에 못이나 볼트 또는 피스 등으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 환기관, 환기구, 기타 구조물 및 그 자체의 노후나 이상 발생 시 수리 또는 교체를 위해 브라켓을 천정 또는 벽면으로부터 분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랐다. 그리고 브라켓을 다시 결합시킬 경우 못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천정이 파손될 수도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bracket is firmly fixed to the ceiling or wall with nails, bolts or pieces, so that the bracket is separated from the ceiling or wall for repair or replacement in the event of an aging or abnormality of the ventilation pipes, vents, other structures and itself. Many difficulties were followed. And when the bracket is combined again, the ceiling may be damaged by the coupling means such as nails.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벽체에 쉽게 탈, 부착되는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xing device and a ventilation module including the same easily detachable, attached to the wall.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는, 벽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에 안착될 수 있는 브라켓부, 그리고 상기 브라켓부에 고정되고 상기 벽체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브라켓부를 상기 벽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 portion that can be seated in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wall, and is fixed to the bracket portion and elastically support the wall to mount the bracket portion detachably to the wall It includes a fixing part.

여기서,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벽체의 일면 위에 위치하며, 중심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브라켓 몸체, 그리고 상기 브라켓 몸체 의 둘레를 따라 트렌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벽체의 타면 측에 위치되는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bracke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and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wall, the bracket body is formed in the opening portion in the center, and formed in a trench form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bracket body and located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wall It may include a support plate.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브라켓부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장착되는 가이드 몸체, 상기 가이드 몸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탄성력을 가지는 코일부, 상기 코일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벽체의 일면을 탄성 지지하는 제1 리드부, 그리고 상기 코일부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결합홀의 가장자리를 탄성 지지하는 제2 리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part may include a guide body mounted along at least one circumference of the bracket part, a coil part connected to the guide body and having an elastic force, 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il part to elastically support one surface of the wall. It may include a first lead portion and a second lead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il portion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edge of the coupling hole.

또한, 상기 제2 리드부는 상기 제1 리드부를 기준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리드 및 상기 제1 리드로부터 하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제2 리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lead part may include a first lead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first lead part and a second lead formed bent downward from the first lead.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이드 몸체에 형성되어 있는 회동 지지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코일부는 상기 회동 지지구에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support formed on the guide body, and the coil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support.

또한, 상기 가이드 몸체는 상기 브라켓부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body may be welded to the bracket portion.

또한, 상기 브라켓부 및 상기 고정부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cket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may include a metal.

한편,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환기모듈은, 위와 같이 정의되어 있는 고정장치,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와 결합되어 실내, 외를 연통시키는 환기부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ventilation module including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device is defined as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a ventilation unit to communicate with the fixing device, the interior,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환기부는 평판 형태의 환기 몸체, 그리고 상기 환기 몸체와 상기 고정장치를 축 결합하고, 회전을 통해 상기 고정장치에 대한 상기 환기 몸체의 상대적 높낮이를 조절하는 환기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ventilation unit may include a ventilation body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the ventilation body and the ventilation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relative height of the ventilation body relative to the fixing device by rotating the shaft and the fixing device.

또한, 상기 환기부는 상기 실내까지 인출되는 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장치를 관통하고, 상기 고정장치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ntilation unit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tube drawn out to the room, penetrate the fixing device, and may be screwed to the fixing device.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장치를 쉽게 탈, 부착시킴으로써, 이에 고정되는 환기모듈, 기타 구조물 및 그 자체의 노후나 이상 발생 시 용이하게 수리 또는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easily detaching and attaching the fixing devi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repaired or replaced in the event of aging or abnormality of the ventilation module, other structures and itself fixed thereto.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맨손으로 탈,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고,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공구를 잘못 사용하여 천정의 석고보드나 벽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can be detached and attached with bare hands, so that the work can be quickly performed, noise can be reduced by not using a separate tool, and the wrong plaster is used to make the ceiling of the ceiling. There is an advantage to prevent damage to the board or wall.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parts are designated by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그러면,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을 참고하여 설명한다.Then, 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가 천정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2의 일측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탈, 부착 상태를 나타낸 동작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the ceiling,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2 4 is an ope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detachment and attachment state of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100)는 천정이나 벽면을 포함하는 벽체(1)에 고정되는 장치로, 브라켓부(110) 및 고정부(120)를 포함한다.1 to 4, the fix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ixed to a wall 1 including a ceiling or a wall, and a bracket part 110 and a fixing part 120. It includes.

브라켓부(110)는 이와 상응되는 크기로 벽체(1)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1a)에 안착된다. 브라켓부(110)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주조나 압연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성형될 수 있다.The bracket portion 110 is seated in the coupling hole (1a) previously formed in the wall (1) in a size corresponding thereto. The bracket unit 11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may be mold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casting or rolling.

이러한 브라켓부(110)는 브라켓 몸체(111) 및 지지판(112)을 포함한다. 브라켓 몸체(111)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반구 형태의 브라켓 몸체(111)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브라켓 몸체(111)는 고정장치(100)가 벽체(1)에 안착될 시 결합홀(1a)을 통해 벽체(1) 내부로 삽입되어 벽체(1)의 내부 일측면에 돌출되어 위치된다. 또한, 브라켓 몸체(111)의 중심에는 개구부(111a)가 형성된다. 이때, 개구부(111a)는 고정장치(100)에 결합될 다양한 설치물들의 직경에 상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판(112)은 브라켓 몸체(111)의 둘레를 따라 트렌치 형태로 형성되는 홈부(112a)를 포함한다. 홈부(112a)는 후술되는 고정부(120)의 제2 리드부(123)를 일부 수용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이들의 상호 작용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bracket portion 110 includes a bracket body 111 and the support plate 112. The bracket body 111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bu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bracket body 111 of the hemispherical shape. The bracket body 111 is inserted into the wall 1 through the coupling hole 1a when the fixing device 100 is seated on the wall 1, and protrudes into one side surface of the wall 1. In addition, an opening 111a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racket body 111. At this time, the opening 111a is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various installation to be coupled to the fixing device (100). The support plate 112 includes a groove portion 112a formed in a trench shap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racket body 111. The groove part 112a is formed to accommodate a part of the second lead part 123 of the fixing part 1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interac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한편, 지지판(112)은 고정장치(100)가 벽체(1)에 안착될 시 브라켓 몸체(111)와 상반되는 벽체(1)의 타면 측에 밀착되어 위치된다. 즉, 지지판(112)은, 브라켓부(110)가 벽체(1)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1a)을 완전히 관통하는 것을 방지하고, 브라켓 몸체(111)가 통과된 후 브라켓부(110)의 더 이상의 삽입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plate 112 is loca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wall (1) opposite the bracket body 111 when the fixing device 100 is seated on the wall (1). That is, the support plate 112 prevents the bracket portion 110 from completely penetrating the coupling hole 1a formed in the wall 1, and after the bracket body 111 passes, It serves to prevent further insertion.

고정부(120)는 벽체(1)를 탄성 지지하여 브라켓부(110)를 벽체(1)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고정부(120)는 브라켓부(110)의 일측면 외곽, 즉, 브라켓 몸체(111)를 따라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20) 조작 시 하중의 치우침을 방지하고 작업성을 확보하기 위해 복수개의 고정부(120)가 등 간격으로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고정부(120)는 브라켓부(110)에 용접 결합될 수 있으며, 브라켓부(110)와 마찬가지로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브라켓부(1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The fixing part 120 is an apparatus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wall 1 to detachably mount the bracket part 110 to the wall 1. At least one fixing part 120 may be formed along one side of the bracket part 110, that is, along the bracket body 111. At this tim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a plurality of fixing parts 120 should be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order to prevent bias of the load and to ensure workability when operating the fixing part 120. In addition, the fixing part 120 may be welded to the bracket part 110 and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imilar to the bracket part 110, but may not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racket part 110.

이러한 고정부(120)는 가이드 몸체(121), 제1 리드부(122), 제2 리드부(123) 포함한다. 이때, 제1 리드부(122)와 제2 리드부(123)의 연결부위에는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코일부(124)가 형성된다. 즉, 제1 리드부(122), 제2 리드부(123) 및 코일부(124)는 클램프 형태를 탄성력에 의해 집게 역할을 하게 된다.The fixing part 120 includes a guide body 121, a first lead part 122, and a second lead part 123. In this case, a coil part 124 for generating an elastic force is form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lead part 122 and the second lead part 123. That is, the first lead part 122, the second lead part 123, and the coil part 124 serve to clamp the clamp shape by elastic force.

가이드 몸체(121)는 브라켓부(110)에 결합되어 제1 리드부(122) 및 제2 리드부(123)를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 몸체(121)에는 코일부(124)가 삽입되는 회동 지지구(121a)가 형성된다. 회동 지지구(121a)는 클램프 형태의 제1 리드부(122), 제2 리드부(123) 및 코일부(124)와 결합되어 이를 지지하고, 이의 회동을 위한 회동축으로 작용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코일부(124)는 가이드 몸체(121) 양측에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클램프 구조물의 손상 시 제1 리드부(122)를 오므려, 가이드 몸체(12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함이고, 반대로, 동일한 방법으로 가이드 몸체(121)에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회동 지지구(121a)는 가이드 몸체(121)의 너비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분리된 구조를 이루어야 되는데, 예컨대, 서로 마주보는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동 지지구(121a)는 보다 용이한 탈, 부착을 위해 가이드 몸체(121)의 측벽에 관통하여 코일부(124)에 삽입되는 핀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body 121 is coupled to the bracket portion 110 and serves to elastically support the first lead portion 122 and the second lead portion 123. To this end, the guide body 121 is formed with a rotation support 121a is inserted into the coil portion 124. The rotation support 121a is coupled to and supports the first lead part 122, the second lead part 123, and the coil part 124 in the form of a clamp, and serves as a rotation shaft for its rotation. Here, the coil part 12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pair to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guide body 121, which, when damaged the clamp lead portion 122, This is for easily separating from the guide body 121, on the contrary, for easy coupling to the guide body 121 in the same manner. To this end, the rotation support (121a) is to form a structure separated on both sides based on the width of the guide body 121, for example,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facing each other. In addition, the rotation support 121a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in penetrating the side wall of the guide body 121 and inserted into the coil unit 124 for easier detachment and attachment.

제1 리드부(122)는 가이드 몸체(121)에 탄성 지지되어 벽체(1)의 내부면을 탄성 지지한다. 또한, 제1 리드부(122)는 코일부(124)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코일부(124)는 이격된 한 쌍으로 형성되므로, 제1 리드부(122)는 이러한 한 쌍의 코일부(121a) 각각의 일단으로부터 한 쌍의 선이 일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고 그 끝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일체를 이루게 된다. 즉, 제1 리드부(122)는 대략 레버 형태가 되어 보다 견고한 구조를 형성한다. 한편, 제2 리드부(123)는 제1 리드부(122)와 일체로 형성되고 벽체(1)의 결합홀(1a) 가장자리를 탄성 지지한다. 또한, 제2 리드부(123)는 코일부(124)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제2 리드부(123)는 제1 리드부(122)를 기준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리드(123a) 및 상기 제1 리드(123a)로부터 하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제2 리드(123b)를 포함한다. 이때, 코일부(124)는 한 쌍으로 형성되므로, 이에 따라 제2 리드부(123)는 동일 평면 상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구부러진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2 리드부(123)의 끝단도 제1 리드부(122)와 마찬가지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리드부(123)가 서로 구부러진 제1 리드(123a) 및 제2 리드(123b)로 형성되는 이유는, 이에 밀착되는 벽체(1) 및 결합홀(1a)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보다 많은 탄성 지지력을 가하기 위함이고, 고정장치(100)를 벽체(1)에 탈, 부착할 경우 작업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때, 제2 리드(123b)의 하단은 지지판(112)의 홈부(112a)에 수용될 수 있다.The first lead part 122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guide body 121 to elastically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1. In addition, the first lead portion 122 is formed to extend from one end of the coil portion 124,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il portion 124 is formed in a pair separated, the first lead portion 122 ) Is a pair of lines extending from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coil portion 121a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bent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t its ends to form a single body. That is, the first lead portion 122 is in the form of a lever to form a more rigid structure.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lead portion 123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lead portion 122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edge of the coupling hole (1a) of the wall (1). In addition, the second lead part 123 extends from the other end of the coil part 124. The second lead part 123 may include a first lead 123a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first lead part 122 and a second lead 123b bent downward from the first lead 123a. Include. In this case, since the coil parts 124 are formed in a pair, the second lead parts 123 may be formed in a pair of bent bar shap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ame plane. Of course, the ends of the second lead part 123 may be formed to be integrally bent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like the first lead part 122. Here, the reason that the second lead part 123 is formed of the first lead 123a and the second lead 123b that are bent to each other is increased in contact area with the wall 1 and the coupling hole 1a which are in close contact therewith. This is to add more elastic support force, and to secure the workability and stability when the fixing device 100 is detached and attached to the wall 1. In this case,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ead 123b may be accommodated in the groove portion 112a of the support plate 112.

이와 같은 제1 리드부(122) 및 제2 리드부(123)는 클램프 구조물의 양 축으로, 탄성력에 의해 벽체(1)를 지지하게 된다. 즉, 벽체(1)에 고정장치(100)를 설치할 경우, 제1 리드부(122)는 벽체(1)의 내부면을 눌러 지지하는 형태가 되고, 제2 리드부(123)는 브라켓 몸체(111)와 결합홀(1a) 사이에 끼어, 결합홀(1a) 가장자리를 밀어 지지하는 형태가 된다. 이와 같이, 벽체(1)가 제1 리드부(122) 및 제2 리드부(123)에 끼여 지지되면, 못이나 피스 등을 통해 고정되는 힘에 못지 않는 고정력이 발생된다. 여기서, 벽체(1)가 석고보드와 같이 비교적 강도가 약한 재질로 형성될 경우, 선형으로 형성되는 제1 리드부(122) 및 제2 리드부(123)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제1 리드부(122) 및 제2 리드부(123)가 벽체(1)에 파고들어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따라서 제1 리드부(122) 및 제2 리드부(123)의 표면에는 사출물 등이 외피로 덧입혀 지거나, 벽체(1)와 맞닿는 부분에 사출물이 충격 흡수재로 끼워질 수 있다.The first lead part 122 and the second lead part 123 as described above are supported by both axes of the clamp structure and support the wall 1 by an elastic force. That is, when the fixing device 100 is installed on the wall 1, the first lead part 122 is configured to press and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1, and the second lead part 123 may be a bracket body ( It is sandwiched between the 111 and the coupling hole (1a), so that the edge of the coupling hole (1a) is pushed and supported. As such, when the wall 1 is sandwiched between and supported by the first lead portion 122 and the second lead portion 123, a fixing force that is no less than a force fixed through a nail or a piece is generated. Here, when the wall 1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ow strength, such as gypsum board,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lead portion 122 and the second lead portion 123 formed linearly, the first lead portion The 122 and the second lead part 123 may penetrate into the wall 1 and may be damaged. Accordingly, the injection molded material may be coated on the surfaces of the first lead part 122 and the second lead part 123 by an outer skin, or the injection material may be fitted as a shock absorber in a portion contacting the wall 1.

제1 리드부(122), 제2 리드부(123) 및 코일부(124)로 형성되는 클램프 구조 물은 탄성력을 이용하여 벽체(1)에 고정장치(100)를 탈, 부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클램프 구조물을 사용하면, 벽체(1)에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고정장치(100)를 탈,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이를 위해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작업자가 맨손으로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여 신속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로 인해, 고정장치(100) 탈, 부착에 따른 소음도 줄일 수 있고 공구를 잘못 사용하여 천정의 석고보드나 벽면이 손상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The clamp structure formed of the first lead part 122, the second lead part 123, and the coil part 124 detaches and attaches the fixing device 100 to the wall 1 using an elastic force. By using the clamp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fixing device 100 to the wall 1 with a small force. For this purpose, the worker can work with bare hands without using a separate tool. You can proceed quickly. And because of this, it is also possible to reduce the noise due to the removal and attachment of the fixing device 100,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plasterboard or wall surface of the ceiling by using the wrong tool.

위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되는 고정장치(100)를 벽체(1)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 리드부(122) 및 제2 리드부(123)를 상방으로 기립시킨다. 다음으로, 브라켓 몸체(111) 및 고정부(120)를 결합홀(1a)에 삽입시킨다. 이때, 제2 리드부(123)는 벽체(1)의 결합홀(1a)에 걸려 삽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통해, 제1 리드부(122)와 제2 리드부(123) 간에는 서로 오므려 지려는 탄성력이 작용되어 벽체(1)를 지지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지지판(112)을 벽체(1) 방향으로 눌러 이에 밀착시키면,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100)의 설치가 완료된다.In order to install the fixing device 100 formed in the above structure on the wall 1, first, the first lead portion 122 and the second lead portion 123 is standing up. Next, the bracket body 111 and the fixing portion 12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a). At this time, the second lead part 123 is not caught by the coupling hole 1a of the wall 1. Through this, an elastic force that is to be enclosed between the first lead portion 122 and the second lead portion 123 is applied to support the wall 1. Finally, when the support plate 112 is pres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1) direction, the installation of the fix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한편, 고정장치(100)를 벽체(1)로부터 분리시킬 경우에는 제1 리드부(122)를 위로 당김과 동시에 브라켓 몸체(111)를 삽입된 반대방향으로 밀어주면, 간단하게 고정장치(10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장치(100)는 제1 리드부(122)와 제2 리드부(123) 간의 반발력 및 구부러진 제1 리드(123a)와 제2 리드(123b)에 의해 어느 정도 지지되며 단계적으로 분리되므로, 고정장치(100)의 예기치 않은 추락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xing device 100 is separated from the wall 1, the first lead portion 122 is pulled up and the bracket body 111 is push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be inserted, the fixing device 100 is simply Can be separated. At this time, the fixing device 100 is supported to some extent by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first lead part 122 and the second lead part 123 and the bent first lead 123a and the second lead 123b, and are separated in stages. , Safety accidents due to unexpected fall of the fixing device 100 can be prevented.

이하,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환기모듈을 도 5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ventilation module including 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도 5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환기모듈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ntilation module including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FIG.

도 5 및 도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환기모듈(20)은 고정장치(100) 및 환기부(200)를 포함한다.5 and 6, the ventilation modul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device 100 and a ventilation unit 200.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고정장치의 구성 요소들은 도 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기 설명되어 있으므로, 이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components of the fixing devic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환기부(200)는 고정장치(100)와 결합되어 실내의 연기나 냄새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장치로, 실내, 외를 연통시킨다. 이러한 환기부(200)는 환기 몸체(210) 및 환기 조절부(220)를 포함한다.Ventilation unit 200 is a device that is coupled to the fixing device 100 to discharge the smoke or smell of the room to the outside, the interior, the outside communicates. The ventilation unit 200 includes a ventilation body 210 and the ventilation control unit 220.

환기 몸체(210)는 평판 형태로, 고정장치(100)의 개구부(111a)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를 위해, 환기 몸체(210)와 고정장치(100)는 몸통이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있는 환기 조절부(220)에 의해 축 결합된다. 따라서 실내에서는 고정장치(100)의 지지판(112)과 환기 몸체(210)만이 관측된다. 이때, 환기 조절부(220)는 회전을 통해 고정장치(100)에 대한 환기 몸체(210)의 상대적 높낮이를 조절하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물론, 별도로 설치되는 팬(미도시)에 의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도 있다. 즉,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100)를 포함하는 환기모듈(20)을 통해, 작업자는 임의로 환기량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ventilation body 210 has a flat plate shape and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111a of the fixing device 100. To this end, the ventilation body 210 and the fixing device 100 are axially coupled by the ventilation control unit 220, the body is formed of a screw thread. Therefore, only the support plate 112 and the ventilation body 210 of the fixing device 100 are observed indoors. At this time, the ventilation control unit 220 to adjust the relative height of the ventilation body 210 relative to the fixing device 100 through the rotation to adjust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course, air may also b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by a separately installed fan (not shown). That is, through the ventilation module 20 including the fix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can arbitrarily adjust the amount of ventilation, it can facilitate the maintenance work therefor.

이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환기모듈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ventilation module including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환기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ntilation module including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모듈(30)은 고정장치(100) 및 환기부(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ventilation module 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device 100 and a ventilation unit 300.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모듈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환기부만 차이가 있을 뿐 고정장치는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Ventilation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only the ventilation unit compared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nce the fixing device is the sam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given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환기부(300)는 실내까지 인출되는 관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환기부(300)는 고정장치(100)를 관통하여 실내부터 실외까지 이어져 형성된다. 이를 통해, 환기모듈(30)은 냄새나 연기를 직접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때, 환기부(300)는 벽체(100)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장치(10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환기모듈(30) 및 고정장치(100)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ventilation part 3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tube drawn out to the room. The ventilation part 300 is formed through the fixing device 100 to extend from indoors to outdoors. Through this, the ventilation module 30 can directly remove the smell or smoke. At this time, the ventilation unit 300 may be screwed to the fixing device 100 is fixed to the wall (100).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acilitate the maintenance work for the ventilation module 30 and the fixing device 100 a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를 고정장치(100)는 이를 포함하는 환기모듈(20, 30)에 한정되지 않고 조명등과 같은 다양한 구조물과 결합하여 이를 천정이나 벽면에 용이하게 탈, 부착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ventilation module (20, 30) including it can be easily detached and attached to the ceiling or wall by combining with various structures such as lighting. have.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가 천정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the ceiling.

도 3은 도2의 일측 단면도.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4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탈, 부착 상태를 나타낸 동작도.Figure 4 is an operation showing the detachment, attachment state of 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환기모듈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ntilation module including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FIG. 5. FIG.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환기모듈을 나타낸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ntilation module including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고정장치 110 : 브라켓부100: fixing device 110: bracket portion

111 : 브라켓 몸체 111a : 개구부111: bracket body 111a: opening

112 : 지지판 112a : 홈부112: support plate 112a: groove portion

120 : 고정부 121 : 가이드 몸체120: fixed portion 121: guide body

122 : 제1 리드부 123 : 제2 리드부122: first lead portion 123: second lead portion

123a : 제1 리드 123b : 제2 리드123a: first lead 123b: second lead

124 : 코일부 125 : 회동 지지구124: coil portion 125: rotation support

200, 300 : 환기부 210 : 환기 몸체200, 300: ventilation portion 210: ventilation body

220 : 환기 조절부 20, 30 : 환기모듈220: ventilation control unit 20, 30: ventilation module

Claims (10)

벽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에 안착될 수 있는 브라켓부, 그리고Bracket part that can be seated in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wall, and 상기 브라켓부에 고정되고 상기 벽체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브라켓부를 상기 벽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는 고정부A fixing part fixed to the bracket part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wall to detachably mount the bracket part to the wall 를 포함하는 고정장치.Fixing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브라켓부는,The bracket portion,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벽체의 일면 위에 위치하며, 중심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브라켓 몸체, 그리고A bracket body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and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wall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at a center thereof; and 상기 브라켓 몸체의 둘레를 따라 트렌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벽체의 타면 측에 위치되는 지지판A support plate formed in a trench shap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racket body and positioned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wall 을 포함하는 고정장치.Fixing device comprising a. 제1항 또는 제2항에서,The method of claim 1 or 2, 상기 고정부는,The fixing part, 상기 브라켓부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장착되는 가이드 몸체,At least one guide body mount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bracket part; 상기 가이드 몸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탄성력을 가지는 코일부,A coil part connected to the guide body and having an elastic force, 상기 코일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벽체의 일면을 탄성 지지하는 제 1 리드부, 그리고A first lead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il part and elastically supporting one surface of the wall; and 상기 코일부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결합홀의 가장자리를 탄성 지지하는 제2 리드부를 포함하는 고정장치.And a second lead par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il part and elastically supporting an edge of the coupling hole. 제3항에서,4.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2 리드부는 상기 제1 리드부를 기준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리드 및 상기 제1 리드로부터 하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제2 리드를 포함하는 고정장치.The second lead part includes a first lead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first lead portion and a second lead formed bent downward from the first lead. 제3항에서,4.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가이드 몸체에 형성되어 있는 회동 지지구를 더 포함하며,Further comprising a rotation support is formed in the guide body, 상기 코일부는 상기 회동 지지구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장치.The coil unit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upport. 제3항에서,4.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가이드 몸체는 상기 브라켓부에 용접 결합되는 고정장치.The guide body is fixed to the welded to the bracket portion.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브라켓부 및 상기 고정부는 금속을 포함하는 고정장치.The bracket part and the fixing part comprises a metal.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되어 있는 고정장치, 그리고A fastener as defined in any one of claims 1 to 7, and 상기 고정장치와 결합되어 실내, 외를 연통시키는 환기부Ventilation unit is coupled to the fixing device to communicate the interior, the outside 를 포함하는 환기모듈.Ventilation module comprising a. 제8항에서,In claim 8, 상기 환기부는,The ventilation unit, 평판 형태의 환기 몸체, 그리고Flat ventilating body, and 상기 환기 몸체와 상기 고정장치를 축 결합하고, 회전을 통해 상기 고정장치에 대한 상기 환기 몸체의 상대적 높낮이를 조절하는 환기 조절부A ventilation control unit for axially coupling the ventilation body and the fixing device, and adjusts the relative height of the ventilation body relative to the fixing device through rotation. 를 포함하는 환기모듈.Ventilation module comprising a. 제8항에서,In claim 8, 상기 환기부는 상기 실내까지 인출되는 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장치를 관통하고, 상기 고정장치에 나사 결합되는 환기모듈.The ventilation un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ube drawn out to the room penetrating the fixing device, the ventilation module screwed to the fixing device.
KR2020090010754U 2009-08-18 2009-08-18 Fixing apparaus and ventilator having the same KR20110001883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754U KR20110001883U (en) 2009-08-18 2009-08-18 Fixing apparaus and ventilato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754U KR20110001883U (en) 2009-08-18 2009-08-18 Fixing apparaus and ventilator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883U true KR20110001883U (en) 2011-02-24

Family

ID=44207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754U KR20110001883U (en) 2009-08-18 2009-08-18 Fixing apparaus and ventilator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1883U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831B1 (en) * 2015-07-13 2016-12-28 성경선 diffuser for air conditioner
FR3073934A1 (en) * 2017-11-23 2019-05-24 Baillindustrie AERAULIC MOUTH AND METHOD OF INSTALL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831B1 (en) * 2015-07-13 2016-12-28 성경선 diffuser for air conditioner
FR3073934A1 (en) * 2017-11-23 2019-05-24 Baillindustrie AERAULIC MOUTH AND METHOD OF INSTALL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502006002054D1 (en) MOUNTING SUPPORT WITH FRAMED CONSTRUCTION
AU2014303665A1 (en) Decorative-panel attaching structure for air conditioner, and indoor equipment
KR20110001883U (en) Fixing apparaus and ventilator having the same
KR100977666B1 (en) Apparatus for fixing air conditioning ventilater
WO2009057923A3 (en) Multiple ventilation system
JP2007032085A (en) Erection support for panel, screen and folding screen
JP3815377B2 (en) Equipment fall prevention bracket
JP2004085001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205066060U (en) Supporting structure and installation component and air purifier that have this structure
KR100543860B1 (en) Fixing apparatus of diffuser for air conditioning
KR101355403B1 (en) Ventilator installation device
KR101355402B1 (en) Ventilator installation device based on outlet pipe and ventilator install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0450750Y1 (en) duct frame fixing structure of diffuser for air condition
KR100956699B1 (en) Fixing apparatus of diffuser for air conditioning
CN221033316U (en) Embedded exhaust fan
KR101473707B1 (en) Vents for air conditioning which can be easily attached or detached
KR100940558B1 (en) Hanger for fan
JPS59197745A (en) Ventilating fan for duct
CN208170183U (en) LED ceiling lamp easy for installation
KR200461342Y1 (en) Diffusor with Easy Attachment and Detachment
KR200385804Y1 (en) Grill construction structure for chamber of air diffuser device
KR100644208B1 (en) Fan external case of ventilating apparatus
KR970002494Y1 (en) Bait-up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of a bus
KR20070107196A (en) Installing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200294717Y1 (en) Movable type toilet venti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