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767U - 식생이 가능한 의자 - Google Patents

식생이 가능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767U
KR20110001767U KR2020090010605U KR20090010605U KR20110001767U KR 20110001767 U KR20110001767 U KR 20110001767U KR 2020090010605 U KR2020090010605 U KR 2020090010605U KR 20090010605 U KR20090010605 U KR 20090010605U KR 20110001767 U KR20110001767 U KR 201100017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chairs
vegetation
base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6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면식
공병화
공수빈
Original Assignee
(주)비에프조경개발
공병화
공수빈
공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에프조경개발, 공병화, 공수빈, 공면식 filed Critical (주)비에프조경개발
Priority to KR20200900106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1767U/ko
Publication of KR201100017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76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생이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부에 다수개의 판체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착석부; 상기 베이스에 안치되고, 상기 척석부에 이웃하게 구비되는 식생부; 및 상기 베이스에 저면에 구비되는 구동부;로 이루어진다.
의자, 식생, 이동, 석재

Description

식생이 가능한 의자{Chair in which the vegetation is possible}
본 고안은 식생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시설 등 공공 장소에 설치되어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환경 친화적인 식생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자가 착석하여 쉴 수 있게 하는 역할이 주된 목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의자의 역사는 가구의 하나로 등받이·시트 및 그것을 받쳐주는 다리로 이루어진다. 서양에서는 의자를 사용하는 의자식 생활을 주로 해왔기 때문에 각 시대의 생활양식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의자가 만들어졌다. 중국에서도 옛날부터 의자식 생활을 해왔다. 서양에서도 옛날에는 주로 상류계급에서만 의자를 사용하였는데 이것이 일반화된 것은 18세기경으로 본다.
의자의 기원은 원래 권좌에서 유래하는데 고대 이집트의 옛 왕조시대에 왕좌로서 비롯되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의자란 안락하게 앉는 가구로서보다는 왕후·귀족의 권위를 나타내는 것이고 서민은 의자 없이 지내는 평좌식(平座式) 생활을 했다.
왕좌 중에서도 대표적인 것이 제18왕조의 투탕카멘의 의자이다. 그것은 동물의 다리 모양으로 의장(意匠)을 택하였고 시트는 높은데 전면에 금을 바르고 장식부에는 은·보석·상아 등을 사용한 호화로운 형태이며 이것이 모든 왕좌의 원형이 되었다. 귀족들이 사용한 의자는 장식이 간소하고 시트도 낮고 계급에 따라서 의장도 달랐다.
그리스시대에 이르면서 의자는 권위보다 편리한 생활을 위한 기능적인 면을 중시하게 되어 표면의 장식이 억제되고 인체공학적인 면에 부합하는 기능적인 형태로 생산되었다. 클리스모스(klismos)라는 소형의자는 다리가 둥그스름한 곡선이고 등받이는 凹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여성이 앉기 위한 기능을 중시한 대표적인 의자이다. 그리스에는 등받이가 없는 남자용 접는 의자 오클라디아스(okladias)라는 의자와 손님용의 드로노스(thronos)라는 장식용 의자가 있었다.
로마의 의자는 거의 그리스의 것을 모방하였으나 제정기에 들어서면서 쾌적한 느낌을 갖는 것과 동시에 권위를 상징하는 호화로운 장식을 해서 만들게 되었다. 솔리움(solium)이란 대리석왕좌, 집정관과 원로원의원들이 사용한 브론즈제 셀라 쿠룰리스(sella curulis)라는 접는 의자, 부인들이 사용한 카테드라(cathedra) 등이 중요한 그 시대 의자였는데, 재료는 목재 외에 브론즈나 대리석을 사용하였다.
중세기 이르러 로마의 전통의자가 비잔틴 제국에 전해졌는데 6세기경의 ‘막시미누스의 옥좌’라 불리는 상아조각판으로 만든 의자가 그 대표적인 것이다. 서유럽에서 의자가 지배계급층에 보급된 것은 13세기경부터이다. 중세기 의자는 지배 자의 권위를 나타내는 데 중점을 두었는데 그 형태는 건축양식을 축소한 것이 많았다. 웨스트민스터대성당의 에드워드 1세의 대관식 의자는 등받이가 고딕 성당의 첨탑(尖塔) 모양을 나타냈으며, 팔걸이는 트레이서리(tracery)의 조각이 있는 중세기 왕좌의 전형이었다.
15세기에 이르러 의자는 테두리에 판자를 대었고 앉는 부문은 앉기에 편한 받침판을 만들어 붙였다. 등받이가 높고 판자를 댄 팔걸이 의자는 배고의자(背高椅子:high-back chair)라 하여 권위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것이었다. 연단(dais)에 놓여 있는 천개(天蓋)와 팔걸이가 달린 호화로운 조각장식을 한 긴 의자도 또한 권위의 상징이었다. 일상생활에는 세틀(settle)이라는 높은 등받이와 팔걸이가 붙은 긴 의자와 판자로 간단히 만든 스툴(stool)이 널리 쓰였다.
르네상스에 이르자 의자는 다시 고대 로마의 형태를 받아들여 그 종류도 다양해졌으며, 등받이나 시트에는 멋진 천을 씌웠고 한층 더 호화롭게 만들었다. 단테스카(dantesca)나 사보나롤라(savonarola)라고 하는 접었다 폈다하는 팔걸이의자와, 호화로운 조각으로 장식된 카사팡카(cassapanca)라는 긴 의자는 모두 귀족들이 사용했던 의자이다. 일상생활에 널리 사용된 의자는 판자로 만들어 조각장식을 한 스가벨로(sgabello)라는 소의자였다.
17세기 프랑스에서는 루이 14세 양식의 호화로운 장식 의자가 유행하였다. 절대주의 시대였으므로 궁정에서는 격식이 중시되고 의자는 사회적 지위를 상징하는 것으로 계급에 따라 형태와 장식이 달랐다. 의자의 다리는 각형(角型)으로 직선이었으며 4개의 다리는 조각 장식의 X형, H형의 오리목으로 접합되었다. 등받이와 시트는 큰 화초무늬의 고블랭직으로 씌워져 앉기에 편한 점보다도 권위를 과시하는 데 중점을 둔 것이다. 영국에서는 자코비앙 양식의 중후한 판자로 된 의자와 윌리엄 앤드메리의 선반으로 된 의자가 유행하였다.
18세기에 들어서자 프랑스의 궁정생활은 엄격한 격식을 찾는 생활에서 해방되어 귀족들은 살롱을 중심으로 자유롭고 향락적인 생활을 즐기게 되었다. 그에 따라 의자도 루이 14세 양식의 엄숙하고 딱딱한 형태로부터 곡선 구성의 우아한 형태로 변모하였다. 루이 15세 양식의 의자는 카브리올(cabriole)이라는 아름다운 곡선으로 된 다리, 카르투슈(cartouche) 모양으로 휘어진 팔걸이의자, 부채 모양의 시트, 거기다 등받이는 모서리가 없어지고 전체가 여성의 육체를 표현한 듯한 관능적인 형태로 된 것이었다. 시트를 덮는 천인 고블랭직의 무늬가 작아지고 시트에는 스프링이 들어가서 의자에 앉는 기분은 더욱 좋아졌다. 귀족이 사용한 의자로는 포퇴유(fauteuil)와 베르제르(bergere)가 있는데, 전자는 팔걸이 부분이 개방된 것이고 후자는 등받이와 팔걸이가 연속되고 전체에 천을 씌운 것이다. 또한 귀부인을 위한 뒤셰스 브리제(duchesse brisee)라는 우아한 휴식용 의자와 카나페라는 긴의자, 튀르쿠아즈(turquoise)라는 소파 겸용의 디 베드 등이 고안되었다. 프랑스 루이 15세 시대는 의자의 종류와 디자인에 있어 가장 다채로운 때였는데 기능적으로 우수한 동시에 의자가 예술품으로까지 평가될 수 있는 시대이기도 하였다.
18세기 중엽부터 유럽 전역에 신고전주의 운동이 일어났기 때문에, 루이 16세 시대가 되자 의자의 다리는 다시 끝이 가늘고 골이 처진 직선을 이루고 등받이도 곡선에서 직선구성으로 변하였다. 의자의 디테일에도 클래식의 모티브가 가미되 어 전체적으로 엄격한 프로포션을 보여 주었다. 18세기 영국에서는 퀸 앤 양식의 의자가 나타났는데 이것은 프랑스의 것과는 별개의 독자적 영국식 곡선구성의 의자였다. 그 후 이 형식은 18세기 영국가구의 황금시대를 열게 한, 뛰어난 가구 디자이너 T.치펀데일에 의하여 개량되어 일반시민을 위한 의자로 널리 쓰였다. 그는 재료로 마호가니를 사용하고 등받이에 투조(透彫)의 리본 디자인을 썼으며 실용적이고도 아름다운 의자를 제작하였다. 이 시대에 윈저 지방에서 농민이 사용하던 활나무와 선반으로 깎은 재료를 쓴 지방색이 풍부한 의자는 후일 미국으로 수출되어 윈저 체어(Windsor chair)로서 널리 유행하였다.
프랑스혁명에 의해 궁정양식의 의자는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고 나폴레옹 제정기에는 고대 로마 앙피르(Empire) 양식의 의자가 나왔다. 그것은 재료로 마호가니를 썼고 금을 도금한 브론즈 표장을 붙인 비교적 단순한 형태이다. 이 앙피르 양식은 19세기 중엽까지 유럽과 미국에서 유행하였다. 19세기 후반에 영국에서는 빅토리아 양식 의자가 유행하였는데 이것은 디자인이 통일되어 있지 않았으나 안락한 면으로 많이 개량한 것이었다. 그 당시의 공예품들은 전반적으로 산업혁명의 영향을 많이 받아 기계에 의한 양산(量産)이었으므로 의장이 정교하지 못하였고 품질이 조잡하였다. 그러나 제1차 세계대전 후 바우하우스를 중심으로 디자인 운동이 일어나 과거의 수공예적인 장식 과잉 양식을 배제하고 기능성에 중점을 둔 모던 스타일의 의자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M.브로이어는 1925년에 강관(鋼管)을 사용해서 캔틸리버드 체어(cantilivered chair)를 제작하고, 32년에는 A.알토가 성형합판 의자를 고안하였다. 다시 40년대에 C.임스와 E.사리넨에 의해 와이어셸 구조의 의자나 플 라스틱제 곡면구성의 의자가 만들어졌다. 이들에 의하여 모던 디자인의 방향이 결정되었는데 공업재료의 개발과 생산기술의 발달이 의자의 디자인과 구조에 혁명적인 영향을 주게 되었다.
이와 같이 의자는 시대와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용도로 변천해왔으며, 현대에 들어서는 사용 목적에 더불어 디자인적인 측면과 환경적인 측면까지 생각해야하는 상황이 되었고 이러한 이유로 다양한 소재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의자들은 대부분이 안는 용도로만 이용되었을 뿐 별다른 용도가 없었으나 근래 들어 자연친화적인 녹색정책 등으로 의자 또한 자연친화적으로 변화해야 한다는 인식이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외부 시설 등 공공 장소에 이용되는 밴치의 경우 크게 인식되었다.
따라서 자연 친화력이 우수하면서도 주변환경과 적절히 조화를 이룰수 있는 의자가 시급한 실정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외부 시설 등 공공 장소에 설치되어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환경 친화적인 식생 가능한 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이동성이 용이하여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식생 가능한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고안의 식생 가능한 의자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부에 다수개의 판체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착석부; 상기 베이스에 안치되고, 상기 척석부에 이웃하게 구비되는 식생부; 및 상기 베이스에 저면에 구비되는 구동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식생부는,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자갈 및 토사가 충진되며, 식물과 같이 적층되는 석재; 및 상기 석재를 토사에 고정하는 고정 포스트;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식생부는 상부에 위치되는 석재 상에 내부로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 포스트는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내부가 빈 원뿔 형태이거나 또는 판재를 "ㄷ"자로 절곡하여 형성된 형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외부 시설 등 공공 장소에 설치되어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환경 친화적인 주변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이동성이 용이하여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토사에 포함되는 숫가루를 통해 식생되는 식물의 성장을 촉진하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하는 기대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생 가능한 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생 가능한 의자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식생 가능한 의자의 식생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 시된 고정 포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고정 포스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식생 가능한 의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의자(10)는 판재 형태의 베이스(110) 상부 일측에 다수개의 판재(121)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착석부(120)와 상기 척석부(120)에 이웃하게 결합되며, 다수개의 석재(131a,131b)가 적층된 상태로 내부에 토사가 충진된 식생부(130)와 상기 베이스(110) 저면에 프레임(141)과 상기 프레임(141)에 축설되어 회전하는 바퀴(142)로 이루어진 구동부(14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판재는 플라스틱, 석재, 나무 등을 이용해 구현할 수 있는 것은 주지사실이다.
여기서 상기 식생부(1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 상부에 측면 석재(131a)를 베이스 둘레면을 따라 적층시켜 내부가 빈 상태가 되게 한 후 상기 빈 상태의 내부에 토사(134)를 충진시킨고 충진된 측면 석재 상단에 상부 석재(131b)를 덮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토사에는 숫가루가 포함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숫가루를 통해 식물 뿌리가 세균 등에 의해 고사하는 것을 방지하고, 식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석재(131a,131b) 내측면에는 토사와 결속되게 하는 "ㄷ"자 형태의 고정 포스트(133)를 볼트를 이용해 결합시키고, 이를 이용해 토사(134)와 석재가 서로 결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있다. 한편 상기 토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식생부 상부 일측은 개방하여 개방된 측을 통해 식물(PL)이 식생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도면상에 기재하고 있지는 않지만 석재간 연결되는 에지 부분에 공간을 확보하여 공간을 통해 식물이 식생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태의 고정 포스트(133)에 돌출편(133a)을 형성시켜 토사와의 결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구멍(133a')이 외주면을 따라 개구되고, 내부가 빈 원뿔 형태의 고정 포스트(133')를 구비시켜 고정 포스트 내주로 토사가 충진되고 구멍을 통해 토사와 고정 포스트의 결속력을 강화시켜 토사로부터 석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상기 상부 석재(131b)에는 충진된 토사 측으로 연통되는 다수개의 통공(132)이 개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통공을 통해 토사 측으로 물이 쉽게 침투하여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함이며, 상기 통공을 통해서도 식물이 성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식생부 외부를 식물 성장에 의해 감싸도록 하여 의자가 자연 친화적인 형태가 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프레임(141)과 상기 프레임에 축설되는 바퀴(142)를 이용해 의자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도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 가능함으로 사용용도에 따라 설치 위치를 쉽고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베이스(110) 상부에 착석부(120)와 상기 착석부(120)와 이웃하게 식물(PL)이 식생하는 식생부(130)를 마련하고 이를 구동부(140)를 통해 쉽게 이 동시킬 수 있어 의자가 단순히 의자의 역할뿐만 아니라 자연 환경에 조화되는 의자를 조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친환경 조성을 이루수 있게 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부(130)를 기준으로 착석부(120,120')를 확장시켜 다양한 형태의 의자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여 다양한 시설물에 대해 대응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생 가능한 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생 가능한 의자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식생 가능한 의자의 식생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고정 포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고정 포스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식생 가능한 의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의자 110 : 베이스
120 : 착석부 121 : 판재
130 : 식생부 131a,131b : 석재
132 : 통공 133 : 고정 포스트
134 : 토사

Claims (4)

  1.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부에 다수개의 판체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착석부;
    상기 베이스에 안치되고, 상기 척석부에 이웃하게 구비되는 식생부; 및
    상기 베이스에 저면에 구비되는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가능한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부는,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자갈 및 토사가 충진되며, 식물과 같이 적층되는 석재; 및
    상기 석재를 토사에 고정하는 고정 포스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가능한 의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부는 상부에 위치되는 석재 상에 내부로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가능한 의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포스트는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내부가 빈 원뿔 형태이거나 또는 판재를 "ㄷ"자로 절곡하여 형성된 형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가능한 의자.
KR2020090010605U 2009-08-14 2009-08-14 식생이 가능한 의자 KR2011000176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605U KR20110001767U (ko) 2009-08-14 2009-08-14 식생이 가능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605U KR20110001767U (ko) 2009-08-14 2009-08-14 식생이 가능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767U true KR20110001767U (ko) 2011-02-22

Family

ID=44207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605U KR20110001767U (ko) 2009-08-14 2009-08-14 식생이 가능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176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9885B2 (en) * 2012-10-17 2014-07-29 Pomme De Terre Design, Llc Furniture emulating lawn environment
BE1026733B1 (nl) * 2018-10-26 2020-06-02 Ebema Nv Buitenmeubel met plantenba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9885B2 (en) * 2012-10-17 2014-07-29 Pomme De Terre Design, Llc Furniture emulating lawn environment
BE1026733B1 (nl) * 2018-10-26 2020-06-02 Ebema Nv Buitenmeubel met plantenba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resser Principles of decorative design
Miller Furniture: world styles from classical to contemporary
KR20110001767U (ko) 식생이 가능한 의자
Zhang Chinese furniture
Dresser Principles of Victorian Decorative Design
Salomonsky Masterpieces of furniture in photographs and measured drawings
Abouali Iran China Visual Tradition Encounter: Furniture Design
Singleton French and English Furniture
Miller Miller's Art Deco: Living with the Art Deco Style
Odom A history of Italian furniture from the fourteenth to the early nineteenth centuries
Abouali et al. Reflection of Femininity in Tang Furniture: Chairs and Tables
Abouali et al. Chinese visual traditions encountered on Safavid furniture
Namicev et al. Comparative analyses of antique furniture with regard to the Scandinavian design
CN204541450U (zh) 一种椅子
Kikuchi Visualising Oriental Crafts: Contested Notion of ‘Japaneseness’ and the Crafts of the Japanese Empire
Zhang Discussion on application for interior space design and the application of interior design style
Kamperidou et al. Ancient greek furniture: source of inspiration for the designers and manufacturers of modern times
Adramanova et al. The chair important functional element in the space
Bensley Paradise by design: Tropical residences and resorts by Bensley Design Studios
Kongsuwan Dualism: an investigation of Thai and Tasmanian environmental and cultural heritage through contemporary furniture
CN109198949A (zh) 一种带按摩的红木沙发
Liu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17th century Ming and western European chairs
Qiu et al. Furniture creative evolution and design innovation factor
Krema Mixing Modernism & historical luxurious styles in furniture design applying Art Nouveau movement concept & aspects
RESULOĞLU BENCH PROPOSAL FOR OUTDOOR PUBLIC SPACES: YIN YANG BEN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