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608U - Apparauts for assisting in rise and fall of pin-jig and pin-jig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uts for assisting in rise and fall of pin-jig and pin-jig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608U
KR20110001608U KR2020090010393U KR20090010393U KR20110001608U KR 20110001608 U KR20110001608 U KR 20110001608U KR 2020090010393 U KR2020090010393 U KR 2020090010393U KR 20090010393 U KR20090010393 U KR 20090010393U KR 20110001608 U KR20110001608 U KR 201100016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ousing
pin jig
pin
restor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39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54194Y1 (en
Inventor
남기훈
Original Assignee
(주)엘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티 filed Critical (주)엘티
Priority to KR20200900103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194Y1/en
Publication of KR201100016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60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1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19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2Shores or struts, e.g. individual oblique support elements for stabilizing hulls in dry-d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핀 지그용 승하강 보조장치에 있어서,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한 쌍의 장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 상기 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일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유닛 ; 상기 장착부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유닛에서 제공하는 복원력의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유닛 ;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구비되되, 일단부가 상기 제1유닛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제1유닛에서 제공하는 복원력 방향으로 지지되는 슬라이더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여 핀 지그의 높이 조절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 pin jig lifting aids, the housing in which a pair of mounting portions are form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unit provided in any one of the mounting parts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in one direction; A second unit provided in the other one of the mounting parts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estoring force provided by the first unit; And a slider provided outside the housing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the slider being supported in a restoring force direction provided by the first unit as one end thereof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unit;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thereby making it easy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in jig.

Description

핀 지그용 승하강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핀 지그{apparauts for assisting in rise and fall of pin-jig and pin-jig using the same}Lifting aid for pin jig and pin jig using the same {apparauts for assisting in rise and fall of pin-jig and pin-jig using the same}

본 고안은 핀 지그용 승하강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핀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성이 향상된 핀 지그용 승하강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핀 지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jig for a pin jig and a pin jig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fting jig for pin jig improved workability and a pin jig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선박의 선체는 여러 개의 대형 블럭(block)으로 조립구성되며, 상기 블럭들은 각각 다수개의 핀 지그(pin-jig)의 상부에 안치되어 제작된다.In general, the hull of a ship is composed of a number of large blocks (block), each of which is placed on top of a plurality of pin jig (pin-jig) is produced.

이러한 핀 지그는 상기 블럭의 저면을 지지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주로, 직립한 파이프 형태를 이루며 베이스에 설치되는 제2봉과, 상기 제2봉의 내측에 삽입되어 승강하는 제1봉으로 구성된다.The pin jig is used for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block, and is mainly composed of a second rod installed in a base having an upright pipe shape, and a first rod inserted into and lifted from the inside of the second rod.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되는 핀 지그는 베이스상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종횡으로 다수개가 배치되는데, 상기 블럭 저면의 지지점 높이에 따라 상기 제1봉의 높이를 각각 조절하여, 상기 제1봉과 제2봉을 고정핀 등이 삽입 관통함에 따라 서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블럭을 여러 지점에서 받쳐주게 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pin jig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rrang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pac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base,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irst ro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upport point of the bottom of the block, respectively, the first rod and the second rod fixing pin As the back penetrates, the blocks are fixed to each other to support the blocks at various points.

그러나, 제1봉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일일이 제1봉을 잡고 밀어올리거나 밑으로 내려 높이를 조절해야하는데, 무게가 약 20㎏ 정도인 제1봉의 무거운 하중 때문에 작업자가 쉽게 피로에 지쳐 작업능률이 저하됨은 물론, 다수개의 핀 지그 높이 조절로 인하여 작업시간과 작업인력이 많이 소요되며, 작업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ord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first rod, the operator must grasp the first rod and push it up or down to adjust the height. The heavy load of the first rod, which weighs about 20 kg, makes the operator easily Exhausted work efficiency is reduced, as well as a large number of pin jig height adjustment requires a lot of work time and manpower, there was a problem that a safety accident occurs during the work process.

또한 이와 같은 핀 지그의 높이 조절 작업은 적어도 2명의 작업자를 필요로 한다. 이는 한 명의 작업자가 제1봉을 들고 있는 채로 제1봉과 제2봉을 서로 고정시키는 작업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In addition, such height adjustment of the pin jig requires at least two workers. This is because it is not possible to fix the first and second rods to each other while one worker is holding the first rod.

한편, 본 고안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379658호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등이 제안된 바 있으며, 상기 종래 기술은 본 명세서에 일체화된 것으로 본다.On the other hand, the domestic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79658 "pin jig easy to adjust the lifting and lowering" and the like as the conventional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he prior art is considered to be incorporated herein.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작업성이 향상된 핀 지그용 승하강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핀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n jig lifting device for improved pin work and pin jig using the same.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핀 지그용 승하강 보조장치에 있어서,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한 쌍의 장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 상기 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일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유닛 ; 상기 장착부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유닛에서 제공하는 복원력의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유닛 ;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구비되되, 일단부가 상기 제1유닛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제1유닛에서 제공하는 복원력 방향으로 지지되는 슬라이더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 pin jig lifting device, a housing in which a pair of mounting portions are form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unit provided in any one of the mounting parts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in one direction; A second unit provided in the other one of the mounting parts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estoring force provided by the first unit; And a slider provided outside the housing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the slider being supported in a restoring force direction provided by the first unit as one end thereof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unit;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 각각은, 완충가스가 충진된 실린더와 일단이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며 타단이 상기 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마련되는 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스 스프링이며,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은 상기 제1유닛의 로드 및 상기 제2유닛의 로드가 상기 하우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as spring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comprises a cylinder filled with a buffer gas and a rod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cylinder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er.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are preferably provided in the housing such that the rod of the first unit and the rod of the second unit protrude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housing.

상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타단부에 멈춤단이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op end protrudes in the radial direction at the other end of the slider.

상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 일측에 멈춤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opper is formed on an outer side of the housing.

상기에 있어서, 상기 멈춤단은 원판 형태이며, 상기 멈춤턱은 원판 형태이며, 상기 멈춤단과 상기 멈춤턱은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op end is in the form of a disc, and the stop jaw is in the form of a disc, and the stop end and the stop jaw have the same diameter.

본 고안의 다른 사상으로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2결합홀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안내관이 마련되는 스탠드, 하단부가 상기 안내관 내부에 삽입되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방향의 제1결합홀이 다수 형성된 지지몸체, 상기 지지몸체의 상단에 마련되는 지지구, 상기 제1결합홀 및 상기 제2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몸체를 상기 안내관에 결합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핀 지그에 있어서, 상기의 핀 지그용 승하강 보조 장치가 상기 안내관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n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guide tube having a second coupling hol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s provided, and a lower end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guide tube and has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holes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a length direction. In the pin jig comprising a formed support body, a support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ody, the fixing pin for coupling the support body to the guide tube through the first coupling hole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The lifting jig for the pin ji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guide tube.

본 고안에 따른 핀 지그용 승하강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핀 지그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Lifting device for pin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ffect of the pin jig using the same as follows.

첫째, 승하강 보조장치에 구비되는 제1유닛과 제2유닛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비되어 서로 반대방향의 복원력을 제공하므로, 스트로크가 증가하여 핀 지그의 높이가 더욱 높아질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다 큰 선박의 블록 작업도 가능해진다.First, since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provided in the elevating assistance device are provided in opposite directions to provide the restoring force in opposite directions, the height of the pin jig can be increased to increase the stroke, and thus the larger ship Block operation is also possible.

둘째, 가스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제1유닛과 제2유닛이 승하강 보조장치에 구비되어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지지대를 용이하게 상향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Second,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made of a gas spring is provided in the elevating assist device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so that the support can be easily moved upward,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 지그용 승하강 보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 지그용 승하강 보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 지그용 승하강 보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낸 작동예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jig for a pin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fting jig for a pin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n operation example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lifting aid for the pin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 보조장치(20)는 제1유닛(40), 제2유닛(50), 하우징(30) 그리고 슬라이더(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lifting aid 20 is preferably made of a first unit 40, the second unit 50, the housing 30 and the slider 60.

여기서, 상기 제1유닛(40) 및 상기 제2유닛(50)은 가스 스프링(gas spring)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상기 제1유닛(40) 및 상기 제2유닛(50)은 실린더(41,51)와 로드(45,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first unit 40 and the second unit 50 may be a gas spring, for example, the first unit 40 and the second unit 50 may be a cylinder ( 41 and 51 and rods 45 and 55.

그리고, 상기 실린더(41,51)는 일측이 개방형성되고 내측에는 완충가스 등이 충진될 수 있다.The cylinders 41 and 51 may be open at one side thereof and filled with a buffer gas.

또한, 상기 로드(45,55)의 일단부에는 피스톤(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41,51)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로드(45,55)의 타단부는 실린더(41,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rod (45, 55) is provided with a piston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cylinder (41, 51) inside, the other end of the rod (45, 55) cylinder (41, 51) Protrude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따라서, 상기 로드(45,55)에 외력이 적용되어 상기 로드(45,55)가 상기 실린더(41,51)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피스톤이 상기 실린더(41,51) 내부를 압축하게 됨으로써 상기 로드(45,55)에는 원래 상태로 복원하려는 복원력이 발생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rods 45 and 55 so that the rods 45 and 55 move inside the cylinders 41 and 51, the piston compresses the inside of the cylinders 41 and 51. As a result, a restoring force may be generated in the rods 45 and 55 to restore the original state.

그리고, 상기 제1유닛(40) 및 상기 제2유닛(50)은 상기 하우징(30)의 내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이때, 상기 제1유닛(40) 및 상기 제2유닛(50)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복원력이 제공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unit 40 and the second unit 50 are preferably provided inside the housing 30. At this time, the first unit 40 and the second unit 50 It is preferable that the restoring force is provid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30)은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장착부(31a,31b)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housing 30 is preferably made so that a pair of mounting portions 31a, 31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그리고, 상기 어느 하나의 장착부(31a)에는 상기 제1유닛(4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나머지 하나의 상기 장착부(31b)에는 상기 제2유닛(5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unit 40 is provided in one of the mounting parts 31a, and the second unit 50 is provided in the other one of the mounting parts 31b.

이때, 상기 제1유닛(40)의 로드(45) 및 상기 제2유닛(50)의 로드(55)는 하우징(30)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rod 45 of the first unit 40 and the rod 55 of the second unit 50 may be provided to protrude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housing 30.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30)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1유닛(40)과 상기 제2유닛(50)의 실린더(41,51)에 형성된 고정고리(42,52)에 대응되도록 관통홀(33)이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33)과 상기 고정고리(42,52)로 결합핀(11)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1유닛(40)과 상기 제2유닛(50)은 상기 하우징(30)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To this end, through holes 33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housing 30 so as to correspond to fixing rings 42 and 52 formed in the cylinders 41 and 51 of the first unit 40 and the second unit 50. The first unit 40 and the second unit 50 may be formed as the coupling pin 11 is coupled to the through hole 33 and the fixing rings 42 and 52, respectively. It can be fixed to 30.

한편, 상기 하우징(30)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더(6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lider 6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30.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60)의 내측에는 상기 하우징(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6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space 61 is preferably formed inside the slider 60 so that the housing 30 can be inserted.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60)는 일단부(62)는 막히고, 타단부(63)는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lider 60 may be formed such that one end 62 is blocked and the other end 63 is opened.

이때, 상기 타단부(63)는 상기 하우징(30)이 상기 공간(61)으로 유출입이 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30)이 흔들림이나 덜컹거림 등이 없이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30)의 길이방향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other end 63 not only allows the housing 30 to flow in and out of the space 61, but also allows the housing 30 to move naturally without shaking or rattle. 30 is preferably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shape.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60)의 막힌 일단부(62) 내측면에는 상기 제1유닛(40)의 로드(45)가 밀착될 수 있게 되어 상기 슬라이더(60)는 상기 제1유닛(40)에서 제공하는 복원력 방향으로 지지되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60)의 막힌 일단부(62) 내측면은 상기 제1유닛(40)의 로드(45)의 단부와 고정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rod 45 of the first unit 4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the closed end portion 62 of the slider 60 so that the slider 60 may be moved from the first unit 40. It is supported in the direction of the restoring force to provide. An inner surface of the closed end 62 of the slider 60 may be fixedly coupled to an end of the rod 45 of the first unit 40.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60)에 상기 제1유닛(40)에서 제공하는 복원력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되게 되면 상기 슬라이더(60)는 상기 제1유닛(40)의 로드(45)가 압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슬라이더(60)가 적절한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30)의 타단부에는 멈춤턱(35)이 형성될 수 있다.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lider 6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estoring force direction provided by the first unit 40, the slider 60 compresses the rod 45 of the first unit 40. In this case, the stopper 35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housing 30 so that the slider 60 can be stopp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또한, 상기 슬라이더(60)의 타단부(63) 외측면에는 상기 멈춤턱(35)에 밀착되도록 상기 멈춤턱(35)에 대응되는 형상의 멈춤단(65)이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멈춤단(65)의 용도는 멈춤턱(35)과 밀착되기 위한 용도와, 멈춤턱(35)과 동일 형태가 되기 위한 용도와, 후술하는 지지몸체(81)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여러가지 용도가 있다.In addition, the stop end 65 of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top jaw 35 may protrude in a radi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end 63 of the slider 6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top jaw 35. . The use of the stop end 65 is inten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topper 35, the use of the same shape as the stopper 35, and various uses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body 81 to be described later have.

이에 따라, 상기 제1유닛(40)의 로드(45)가 압축되도록 상기 슬라이더(60)가 이동하게 될 때, 상기 슬라이더(60)는 상기 멈춤단(65)이 상기 멈춤턱(35)에 밀착될 때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slider 60 is moved so that the rod 45 of the first unit 40 is compressed, the slider 6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top 35. Until you get to it.

상기 멈춤턱(35)은, 상기 슬라이더(60)의 일단부(62)가 상기 하우징(30)의 상단부(37)에 거의 밀착될 때 상기 멈춤단(65)이 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 stop 35 is preferably provided so that the stop 65 is in close contact when one end 62 of the slider 60 is almost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37 of the housing 30. Do.

이를 통해, 상기 슬라이더(60)에 적용되는 외력이 상기 하우징(30)의 상단부(37)와 상기 멈춤턱(35)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게 되어 상기 슬라이더(60)와 상기 하우징(30)의 파손이 방지되어 내구성도 향상될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slider 60 can be evenly distributed on the upper end 37 and the stopper 35 of the housing 30 to damage the slider 60 and the housing 30. This can be prevented and durability can be improved.

한편 멈춤턱(35)과 멈춤단(65)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태이며, 멈춤턱(35)과 멈춤단(65)은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승하강 보조장치(20)가 안내관(71) 내부에 삽입될 때 멈춤턱(35)과 멈춤단(65)에 의하여 본 승하강 보조장치(20)가 수직 방향으로 입설될 수 있기 때문이다.Meanwhile, the stop jaw 35 and the stop end 65 have a disc shape as shown in FIG. 1, and the stop jaw 35 and the stop end 65 preferably have the same diameter. This is because the elevating assistance device 20 can be vertically entered by the stopper 35 and the stop end 65 when the elevating assistance device 20 is inserted into the guide tube 71. to be.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 지그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 지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 지그의 작동예를 나타낸 작동예시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n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in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in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on example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핀 지그(10)는 상기 승하강 보조장치(20), 스탠드(70) 그리고 지지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상기 승하강 보조장치(20)는 상기 스탠드(70)의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 보조장치(20)의 상부에는 상기 승하강 보조장치(20)와 연동되어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대(8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중량물인 상기 지지대(80)는 상기 승하강 보조장치(20)에서 제공되는 복원력에 의해 용이하게 상향이동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유닛(40)과 상기 제2유닛(50)에 의하여 높낮이 조절을 위한 스트로크가 증가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4 to 6, the pin jig 10 is preferably made of the lifting aid 20, the stand 70 and the support 80. Here, the lifting aid 20 is configured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each other is preferably provided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stand (70). In addition, the support 80 is preferably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elevating assistance device 20 so as to be able to move in conjunction with the elevating assistance device 20. Accordingly, the support 80, which is a heavy object, can be easily moved upward by the restoring force provided by the lifting aid 20, and the first unit 40 and the second unit 50 can be easily moved. ), The stroke for height adjustment can be increased.

상기 스탠드(70)는 안내관(71)과 지지플레이트(7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tand 70 may include a guide tube 71 and a support plate 77.

여기서, 상기 안내관(71)은 상하방향으로 구비되며, 내측에는 안내홀(72)이 형성된다.Here, the guide tube 71 is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guide hole 72 is formed inside.

그리고, 상기 안내홀(72)에는 상기 승하강 보조장치(2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되게 된다.In addition, the guide hole 72 is provided so that the lifting aid 20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때 승하강 보조장치(20)의 멈춤턱(35)과 멈춤단(65)이 안내홀(72)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승하강 보조장치(20)의 안내홀(72)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입설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op jaw 35 and the stop end 65 of the elevating assistance device 20 slide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hole 72, thereby vertically along the guide hole 72 of the elevating assistance device 20. Can be entered.

이때, 상기 승하강 보조장치(20)는 상기 제1유닛(40)이 상측에 위치되고, 상 기 제2유닛(50)이 하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ifting assisting device 20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first unit 40 is located above, and the second unit 50 is located below.

그리고,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제2유닛(50)의 로드(55)는 하단부가 베이스(미도시)에 밀착되도록 구비되게 된다.The lower end of the rod 55 of the second unit 50 is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ase (not shown).

이와 같이 상기 제1유닛(40)과 상기 제2유닛(50)이 상하방향으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승하강 보조장치(20)는 상하방향으로 더욱 긴 스트로크를 가질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후술할 지지대(80)의 설치높이가 더욱 높아질 수 있어 보다 큰 선박의 블록 작업도 가능해지게 된다.As the first unit 40 and the second unit 50 are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aid 20 may have a longer stroke in the vertical direction. Since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support 80 can be higher, the block work of a larger ship becomes possible.

그리고, 상기 안내홀(72)은 상기 승하강 보조장치(20)가 흔들거림이나 덜컹거림이 없이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멈춤턱(35) 및 상기 멈춤단(65)의 외측 지름에 대응되는 지름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guide hole 72 has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diameter of the stopper 35 and the stop end 65 so that the lifting aid 20 can move naturally without shaking or rattles. It is preferable to form.

이에 따라, 상기 안내홀(72)의 내측에서 상기 승하강 보조장치(20)는 상기 멈춤턱(35) 및 상기 멈춤단(65)에 의해 두 지점에서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lifting aid 20 in the guide hole 72 is supported at two points by the stopper 35 and the stop end 65 can be stably moved.

그리고, 상기 안내관(71)의 외측면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77)가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플레이트(77)는 베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안내관(71)이 직립하도록 지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77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tube 71, the support plate 77 is fixed to the base to support the guide tube 71 to stand upright.

상기 지지플레이트(77)는 상기 안내관(71)의 외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각도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하단부가 넓게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 베이스와의 접촉면적이 증가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으로 상기 안내관(71)을 지지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77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tube 71, the lower end is preferably formed wide, through which the contact area with the base can be increased The guide tube 71 can be supported more stably.

그리고, 상기 승하강 보조장치(20)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대(8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pport 80 is preferably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elevating assistance device 20.

여기서, 상기 지지대(80)는 지지몸체(81), 플러그(85) 그리고 지지구(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support 80 may include a support body 81, a plug 85 and the support 90.

먼저, 상기 지지몸체(81)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부는 상기 슬라이더(60)에 결합될 수 있다.First, the support body 81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lower end may be coupled to the slider 60.

이때, 상기 지지몸체(81)는 상기 슬라이더(60)가 상기 지지몸체(81)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몸체(81)의 하단부가 상기 멈춤단(65)의 상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body 81 may be coupled such that the slider 60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body 81, and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body 81 is on the upper side of the stop 65. It can be tightly fixed.

따라서 상기 지지몸체(81)의 하단부는 그 내주면이 슬라이더(60)의 외주면에, 그 하단이 멈춤단(65)의 상측면에, 그 외주면이 안내관(71)의 내주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수직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body 81 is stable in a state wher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suppor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ider 60, the lower end thereof is on the upper side of the stop end 65,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suppor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tube 71. It will be able to maintain a vertical posture.

그리고, 상기 지지몸체(8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제1결합홀(83)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body 81 may have a first coupling hole 83 formed therethrough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여기서, 상기 제1결합홀(83)은 지름방향으로 관통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각 하나의 쌍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oupling holes 83 may be penetrated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us may be formed in a pair.

또한, 상기 안내관(71)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1결합홀(83)에 대응되도록 제2결합홀(7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결합홀(83)과 상기 제2결합홀(75)을 관통하여 고정핀(15)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지지대(80)의 높이는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second coupling hole 75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guide tube 71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upling hole 83, and the first coupling hole 83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 As the fixing pin 15 is coupled to penetrate through 75, the height of the support 80 may be selectively fixed.

그리고, 상기 지지몸체(81)의 상단부에는 상기 플러그(85)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g 85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ody 81.

여기서, 상기 플러그(85)는 상기 지지몸체(81)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plug 85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support body 81 by welding or the like.

그리고, 상기 플러그(85)의 중앙부에는 결합공(86)이 관통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공(86)에는 제1나사산(87)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upling hole 86 may b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plug 85, and a first screw thread 87 may be formed in the coupling hole 86.

또한, 상기 플러그(85)에는 상기 지지구(90)가 결합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지지구(90)는 상기 제1나사산(87)과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산(96)이 형성되는 조절부(95)와, 상기 조절부(95)의 상부에 구비되어 선체 블럭과 같은 중량물(100)이 받치는 헤드(9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90 may be coupled to the plug 85. For this purpose, the support 90 is formed with a second screw thread 96 screwed with the first screw thread 87.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adjustment unit 95, and a head 91 provided on the control unit 95 is supported by the weight 100, such as the hull block.

상기 지지구(90)는 나사결합된 상기 조절부(95)가 적절히 회전됨에 따라 높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The support 90 can be adjusted in height as the screwed control portion 95 is properly rotated.

한편, 상기 제1유닛(40) 및 상기 제2유닛(50)은 전술한 가스 스프링뿐만 아니라,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unit 40 and the second unit 50 may be made of not only the above-described gas spring, but also other forms of elastic members capable of providing elastic forc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d such vari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보조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ft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보조장치의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ft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보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낸 작동예시도.Figure 3 is an operation example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lift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 지그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n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 지그의 분해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in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 지그의 작동예를 나타낸 작동예시도.6 is an operation example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pin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핀 지그 20: 승하강 보조장치10: pin jig 20: lifting aid

30: 하우징 35: 멈춤턱30: housing 35: stop

40: 제1유닛 45,55: 로드40: first unit 45, 55: rod

50: 제2유닛 60: 슬라이더50: second unit 60: slider

65: 멈춤단 70: 스탠드65: stop 70: stand

80: 지지대 81: 지지몸체80: support 81: support body

85: 플러그 90: 지지구85: plug 90: support

Claims (6)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한 쌍의 장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A housing in which a pair of mounting portions are form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일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유닛 ;A first unit provided in any one of the mounting parts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in one direction; 상기 장착부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유닛에서 제공하는 복원력의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유닛 ; 그리고A second unit provided in the other one of the mounting parts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estoring force provided by the first unit; And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구비되되, 일단부가 상기 제1유닛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제1유닛에서 제공하는 복원력 방향으로 지지되는 슬라이더 ;A slider provided on an outer side of the housing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the slider being supported in a restoring force direction provided by the first unit as one end thereof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unit;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지그용 승하강 보조장치.Lifting aid for pin jig,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 각각은, 완충가스가 충진된 실린더와 일단이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며 타단이 상기 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마련되는 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스 스프링이며, Each of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is a gas spring including a cylinder filled with a buffer gas and a rod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cylinder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er. 상기 제1유닛 및 상기 제2유닛은 상기 제1유닛의 로드 및 상기 제2유닛의 로드가 상기 하우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지그용 승하강 보조장치.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lifting support for the pin jig,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housing so that the rod of the first unit and the rod of the second unit protrudes in the opposit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타단부에 멈춤단이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지그용 승하강 보조장치.The elevating assistance device for the pin ji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top end protrudes in the radial direction at the other end of the slider.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하우징의 외부 일측에 멈춤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지그용 승하강 보조장치.Lifting aid for pin jig,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housing.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멈춤단은 원판 형태이며, 상기 멈춤턱은 원판 형태이며,The stop end is in the form of a disc, the stop jaw is in the form of a disc, 상기 멈춤단과 상기 멈춤턱은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지그용 승하강 보조장치.Lifting assistance device for the pin jig,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 end and the stop has the same diameter.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2결합홀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안내관이 마련되는 스탠드, 하단부가 상기 안내관 내부에 삽입되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방향의 제1결합홀이 다수 형성된 지지몸체, 상기 지지몸체의 상단에 마련되는 지지구, 상기 제1결합홀 및 상기 제2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몸체를 상기 안내관에 결합 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핀 지그에 있어서,Stand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guide tube is provided with a second coupling ho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lower end is inserted into the guide tube, the support body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hol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upport body In the pin jig comprising a fixing pin for coupling the support body to the guide tube through the support provided on the top, the first coupling hole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핀 지그용 승하강 보조 장치가 상기 안내관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마련되는 것The lifting aid for the pin jig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is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guide tube. 을 특징으로 하는 핀 지그. Pin jig characterized by.
KR2020090010393U 2009-08-10 2009-08-10 apparauts for assisting in rise and fall of pin-jig and pin-jig using the same KR20045419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393U KR200454194Y1 (en) 2009-08-10 2009-08-10 apparauts for assisting in rise and fall of pin-jig and pin-jig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393U KR200454194Y1 (en) 2009-08-10 2009-08-10 apparauts for assisting in rise and fall of pin-jig and pin-jig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608U true KR20110001608U (en) 2011-02-17
KR200454194Y1 KR200454194Y1 (en) 2011-06-21

Family

ID=44206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393U KR200454194Y1 (en) 2009-08-10 2009-08-10 apparauts for assisting in rise and fall of pin-jig and pin-jig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194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009U (en) * 2016-06-22 2018-01-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Assistant Device for Leg lifti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793B1 (en) * 2001-12-22 2008-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Cap assembly formed reinforcing bead and round-type secondary battery therewith
JP4054208B2 (en) * 2002-04-01 2008-02-27 富士通株式会社 Contactor manufacturing method
KR200353600Y1 (en) 2004-03-13 2004-06-22 주식회사 심텍 A manual pin-jig having a lift unit
KR200379658Y1 (en) 2005-01-04 2005-03-23 기득산업 주식회사 Pin Jigger for easily adjusting it's Height
KR20080093933A (en) * 2008-08-11 2008-10-22 남주희 Springy pin jig for supporting the block of a hull
KR101126421B1 (en) * 2008-10-06 2012-03-28 김종영 Pin Jigger for supporting Blocks in the Body of a Shiputilizing Elastic Memb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009U (en) * 2016-06-22 2018-01-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Assistant Device for Leg lif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4194Y1 (en) 201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994197U (en) A kind of edge-on ingot stripper, Mo Tai and precast concrete production system
KR200479122Y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rotation of pipe
KR101150185B1 (en) Self elevation device for barge
KR200454194Y1 (en) apparauts for assisting in rise and fall of pin-jig and pin-jig using the same
KR101673982B1 (en) Tension jockey base and support having this same
JP2007178151A (en) Fatigue testing machine
KR101762895B1 (en) Load Bearing Device for Railroad Construction
KR101197713B1 (en) Lifting device
KR200480480Y1 (en) Cable lifting device
KR200346998Y1 (en) Moving type support jig of curved block
CN208375206U (en) A kind of pressure mounting of the spring frame
JP3127625U (en) Material testing machine
KR200381787Y1 (en) Pin Jigger for easily adjusting it&#39;s Height
CN219219031U (en) Adjustable steel supporting structure
JP2007308289A (en) Block lifting method and device
KR200492304Y1 (en) Assistant Device for Leg lifting
CN204710561U (en) A kind of cathode line pre-tightening apparatus
CN214364827U (en) Movable operation frame for constructional engineering
JP2018009346A (en) Seismic isolator installation method
JP2007070083A (en) Hoisting method and device of block
KR200379658Y1 (en) Pin Jigger for easily adjusting it&#39;s Height
CN217758681U (en) Bearing capacity detection device for building engineering foundation detection
KR100618180B1 (en) Pin Jigger for easily adjusting it&#39;s Height
KR102657372B1 (en) Penetrating sleeve with improved construction convenien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N112267883B (en) Splitting rod for rock exploi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