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249A - 동물 원피의 콜라겐을 이용한 바이오 흡착제의 제조방법 및 그 바이오 흡착제 - Google Patents

동물 원피의 콜라겐을 이용한 바이오 흡착제의 제조방법 및 그 바이오 흡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249A
KR20110001249A KR1020090058704A KR20090058704A KR20110001249A KR 20110001249 A KR20110001249 A KR 20110001249A KR 1020090058704 A KR1020090058704 A KR 1020090058704A KR 20090058704 A KR20090058704 A KR 20090058704A KR 20110001249 A KR20110001249 A KR 20110001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gen
bio
raw material
adsorbent
vege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8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7511B1 (ko
Inventor
김근한
양재규
백인규
박재형
Original Assignee
(주)선진환경
한국신발피혁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진환경, 한국신발피혁연구소 filed Critical (주)선진환경
Priority to KR1020090058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511B1/ko
Publication of KR20110001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4Naturally occurring macromolecular compounds, e.g. humic acids or their deriva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21Milling, crushing or gr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5Addition of material, later completely removed, e.g. as result of heat treatment, leaching or washing, e.g. for forming po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혁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형 폐기물의 콜라겐 섬유를 식물성 타닌으로 고정화하여 중금속 이온 등의 흡착 성능이 우수한 바이오 흡착제를 제조하게 되는 동물 원피의 콜라겐을 이용한 바이오 흡착제의 제조방법 및 그 바이오 흡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콜라겐을 함유한 원료인 동물 원피의 고형 폐기물을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된 원료를 탈회 및 탈지하는 단계와, 상기 탈회 및 탈지된 원료를 식물성 타닌이 함유된 피클 용액에 침지시켜 상기 식물성 타닌을 상기 원료 중의 콜라겐과 결합시키는 고정화 단계와, 상기 식물성 타닌이 고정화된 콜라겐의 섬유상 조직을 풀어해치는 해섬 단계와, 상기 해섬 단계를 거친 식물성 타닌이 고정화된 콜라겐의 섬유상 조직체를 분쇄하여 최종 바이오 흡착제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동물 원피의 콜라겐을 이용한 바이오 흡착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바이오 흡착제를 제공한다.
바이오 흡착제, 식물성 타닌, 고정화, 콜라겐, 피혁

Description

동물 원피의 콜라겐을 이용한 바이오 흡착제의 제조방법 및 그 바이오 흡착제{Manufacturing method of bio-absorbent using collagen of raw hide and bio-absorbent therefrom}
본 발명은 바이오 흡착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혁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형 폐기물의 콜라겐 섬유를 식물성 타닌으로 고정화하여 중금속 이온 등의 흡착 성능이 우수한 바이오 흡착제를 제조하게 되는 동물 원피의 콜라겐을 이용한 바이오 흡착제의 제조방법 및 그 바이오 흡착제에 관한 것이다.
국내의 피혁 제조 공정에서는 섬유산업과는 달리 동물체로부터 유래한 원피(hide & skin)를 주원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공정 특성에 따라 셰이빙 스크랩(shaving scrap)이나 펠트 스크랩(pelt scrap), 버핑 더스트(buffing dust) 등의 고형 폐기물이 상당량 발생하고 있다.
현재, 국내의 전문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이러한 고형 폐기물을 자원으로 재활용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고, 어느 정도 실효성을 거두고 있으 나 대부분 제한된 용도로 사업화가 진행되고 있을 뿐, 매일 수백∼수천 톤의 고형 폐기물이 효율적으로 재활용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피혁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고형 폐기물에 함유된 콜라겐을 흡착제로 재활용함으로써, 폐수 등에 함유된 유/무기물 특히 중금속을 효과적이고 친환경적으로 제거하여 고형 폐기물의 재자원화에 기여할 수 있는 흡착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종래에는 활성탄이나 합성 제올라이트이 금속 이온의 흡착제로 사용이 되어 왔고, 현재는 키토산과 여러 가지 무기물질이 금속 이온의 흡착 제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흡착제들은 흡착 용량이 우수한 반면,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지고, 여러 가지 상평형 특성과 재생의 비효율성으로 인해 흡착 효율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실정과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피혁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형 폐기물 중의 콜라겐 섬유를 이용하여 중금속 이온 등에 대한 흡착 성능이 우수한 바이오 흡착제를 제조할 수 있게 되는 동물 원피의 콜라겐을 이용한 바이오 흡착제의 제조방법 및 그 바이오 흡착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콜라겐을 함유한 원료인 동물 원피의 고형 폐기물을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된 원료를 탈회 및 탈지하는 단계와, 상기 탈회 및 탈지된 원료를 식물성 타닌이 함유된 피클 용액에 침지시켜 상기 식물성 타닌을 상기 원료 중의 콜라겐과 결합시키는 고정화 단계와, 상기 식물성 타닌이 고정화된 콜라겐의 섬유상 조직을 풀어해치는 해섬 단계와, 상기 해섬 단계를 거친 식물성 타닌이 고정화된 콜라겐의 섬유상 조직체를 분쇄하여 최종 바이오 흡착제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동물 원피의 콜라겐을 이용한 바이오 흡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동물 원피의 고형 폐기물은 입도 1∼5메시의 크기로 분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쇄된 원료의 탈회 및 탈지는, 분쇄된 원료 중량 100%(이하, 중 량%)를 기준으로 물 150∼200%, 염화암모늄 2.0∼2.5%, 황산암모늄 1.0∼1.5%, 탈지제 0.5∼1.0%를 혼합한 25∼35℃의 용액에서 70∼90분간 방치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 고정화 단계의 피클 용액은, 상기 탈회 및 탈지된 원료 중량 100%(이하, 중량%)를 기준으로 물 100∼150%, 염화나트륨 5∼8%, 포름산 0.5∼1.0%, 황산 0.6∼0.8%, 포름산나트륨 0.5∼1.0%, 탄산수소나트륨 2.5∼3.0%, 침투제 0∼3%, 식물성 타닌 5∼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탈회 및 탈지된 원료는 온도 25∼35℃, pH 4∼7의 상기 피클 용액에서 14∼16시간 동안 침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해섬 단계를 거친 식물성 타닌이 고정화된 콜라겐의 섬유상 조직체는 5∼10메시의 크기로 분쇄되어 최종 바이오 흡착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바이오 흡착제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중금속 등의 흡착 성능이 매우 우수한 바이오 흡착제를 피혁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형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환경적인 측면과 경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바이오 흡착제를 제공하게 됨으로써 폐수 처리를 비롯한 환경 분야 관련 산업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피혁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원피 무게의 50% 이상인 고형 폐기물로부터 유래된 콜라겐 섬유 기재(matrix)를 재활용하여 폐수 등에 함유된 Cu(Ⅱ) 및 Pb(Ⅱ) 등과 같은 다양한 양이온형 중금속들을 여과할 수 있는 바이오 흡착제를 제조하게 된다.
피혁의 원료인 원피(原皮)는 구성 성분이 콜라겐 단백질의 천연 섬유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흡착성이 우수하여 천연 물질로서의 바이오 흡착제로 사용할 경우, 유기물 및 무기물을 흡착 제거하는 데에 매우 우수한 성능을 지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콜라겐에 식물성 타닌(vegetable tannin)을 결합시켜 고정화하는데, 통상적으로 식물성 타닌은 구조적으로 인접한 다중 페놀릭 하이드록실(phenolic hydroxyl)을 보유하고 있어 대부분의 금속 이온에 대해 특별한 친화력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식물성 타닌은 수용액 중의 다양한 금속 이온을 제거하기 위한 흡착제 성분으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식물성 타닌을 흡착제 성분으로 그대로 이용하는 것은 식물성 타닌이 구조적 특성상 수용성이기 때문에 적용하는 데에 분명한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본 발명에서는 식물성 타닌을 불용성 매트릭스화를 위해 변성 고정화시키는 방안을 적용하였다.
종래에 식물성 타닌을 적용하여 중금속 제거용 흡착제로 사용한 사례를 검토해보면, 식물성 타닌 성분을 포름알데히드, 글루타르알데히드 등의 몇 가지 알데히드 화합물로 변성 유동체화 반응을 통해 불용성 침전화를 하여 중금속 제거용 흡착여재로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일본 특개평 3-206494(미국특허 07/631,946)에서는, 알데히드 수용액에 타닌을 용해하고, 이것에 암모니아를 첨가하여 침전물을 생성한 후, 이 침전물을 숙성하여 흡착제로 사용하고 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고정화된 식물성 타닌(immobilized tannins)을 도입하기 위해 피혁 제조시 발생한 고형 폐기물의 콜라겐 섬유에 식물성 타닌을 결합하는 메카니즘 원리에 근거하고 있다. 도 1은 이렇게 콜라겐에 식물성 타닌을 고정화한 화학적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적인 고정화 반응 결합 모델은, 식물성 타닌을 피혁 조직 내의 콜라겐과 공유결합을 강하게 유도하여 결과적으로 타닌의 하이드록실 그룹(Hydroxyl group)이 거의 자유로운 상태로 존재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금속 이온 흡착에 대한 배위자(Ligand)로서의 효율성이 커진다. 일반적으로 식물성 타닌은 그 기본 구조가 방향족 폴리페놀 축합체로서 다수의 인접된 수산기를 보유하고 있어, 중금속 제거에 매우 효과적인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식물성 타닌은 작업화나 등산화와 같은 강인한 물성의 제화와 두꺼운 가죽을 제조하는 데 적용되고 있으며, 피혁에 충만감과 적당한 감촉을 부여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산성 보조 타닌제의 경우 표백 효과, 균염 효과 및 페일 셰이드(pale shade) 효과를 나타내며, 버핑(buffing) 가죽의 경우 표면의 스무딩 효과 부여 등의 목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같이 식물성 타닌의 리간드로서의 특성과 내열성(내구성) 증진 등의 효과를 복합적으로 응용하여 흡착여재의 불용성 매트릭스화를 위해 적용함으로써 동물성 단백질 구조의 특성은 3차원적 섬유상으로 존재하게 되어 효율적인 여재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동물 원피의 콜라겐을 이용한 바이오 흡착제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콜라겐을 함유한 원료인 동물 원피(피혁)의 고형 폐기물, 즉 플레싱 스크랩(fleshing scrap), 셰이빙 스크랩(shaving scrap), 펠트 스크랩(pelt scrap), 버핑 더스트(buffing dust) 등을 수집하여 수세한 후에 분쇄하는 과정을 거친다. 특히, 이들 원료의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쉽게 제거하고 추후의 식물성 타닌을 고정화하는 데에 공정의 효율성(결합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입도 1∼5메시의 크기로 원료를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b),(c)는 각각 원료 중 하나인 펠트 스크랩, 육절기를 이용하여 원료를 분쇄하는 모습, 분쇄된 원료를 차례로 나타낸 사진이다.
상기 원료에는 일반적으로 소석회(Ca(OH)2)나 유화소다(Na2S) 등이 함유되어 강한 알칼리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섬유 단백질이 알칼리 팽윤(alkali swelling)되어 있기 때문에, 단백질의 섬유 조직이 파괴되지 않은 범위에서 불순물인 석회 등을 물리-화학적으로 제거할 필요가 있다. 즉, 상기 분쇄된 원료를 탈회 및 탈지 하는 공정을 거치는데, 분쇄된 원료 중량 100%(이하, 중량%)를 기준으로 물 150∼200%, 염화암모늄(Ammonium Chloride) 2.0∼2.5%, 황산암모늄(Ammonium Sulfate) 1.0∼1.5%, 탈지제 0.5∼1.0% 등의 약품을 혼합한 25∼35℃의 용액에서 70∼90분간 방치함으로써, 원료에 포함된 석회 및 유지의 90% 이상을 제거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탈지제 및 화학 약품들은 상기와 같은 함량 비율에서 탈회 및 탈지 효율이 최적임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으며, 상기 원료를 상기 용액에 침지할 때 90분 동안까지는 탈회 및 탈지 효율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큰 변화가 없어 반응시간을 90분으로 한정하였다.
이어서, 상기 탈회 및 탈지된 원료를 식물성 타닌이 함유된 피클(pickle) 용액에 침지시켜 식물성 타닌을 상기 원료 중의 콜라겐과 결합시키는 고정화 단계를 거친다. 이 고정화 단계의 피클 용액은, 상기 탈회 및 탈지된 원료 중량 100%(이하, 중량%)를 기준으로 물 100∼150%, 염화나트륨(NaCl) 5∼8%, 포름산(Formic Acid) 0.5∼1.0%, 황산(Sulfuric Acid) 0.6∼0.8%, 포름산나트륨(HCOONa) 0.5∼1.0%, 탄산수소나트륨(NaHCO3) 2.5∼3.0%, 침투제 0∼3%, 식물성 타닌 5∼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피클 용액의 온도는 25∼35℃, pH는 4∼7이 적절하며, 상기 탈회 및 탈지된 원료를 이 피클 용액에서 14∼16시간 동안 침지시킴으로써, 식물성 타닌이 콜라겐 내부로 효과적으로 침투하여 결합되도록 한다. 이렇게 식물성 타닌이 콜라겐에 결합 고정되면 중금속 이온에 대하여 우수한 내열성(내약품성) 및 내구성을 나타내게 된다. 상기 황산은 pH 2.6-2.8의 산도를 갖는 것이 사 용될 수 있으며, 탄산수소나트륨은 pH 4.5-4.9의 것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침투제로는 나프탈렌(Naphthalene)계 침투제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물성 타닌으로는, 도 3(a),(b),(c)에 각각 도시된 낙엽송 타닌(larch tannin), 미모사 타닌(mimosa tannin), 베이베리 타닌(bayberry tannin)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 밖에 케브라초(quebracho), 체스넛(chestnut), 타라(tara) 등에서 유래된 타닌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어서, 위와 같이 식물성 타닌이 고정화된 콜라겐의 섬유상 조직을 풀어해치는 해섬 단계를 거치는데, 해섬 공정을 통해 섬유의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조직의 표면적을 극대화하여 중금속의 흡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a)는 해섬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인 나이아가라 비터(Niagara beater)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4(b)는 해섬된 섬유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어서, 상기 해섬 단계를 거친 식물성 타닌이 고정화된 콜라겐의 섬유상 조직체를 디스크 밀(disk mill) 등을 이용하여 분쇄함으로써 최종 바이오 흡착제로 형성하는데, 분쇄 크기는 5∼10메시로 함으로써 중금속의 흡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도 5(a),(b),(c),(d)는 각각 분쇄장치인 디스크 밀, 식물성 타닌이 고정화된 콜라겐의 섬유상 조직체의 분쇄 상태 및 그의 확대 사진, 포장된 제품을 나타낸 사진들이다.
다음의 표 1∼표 3은 전술한 바와 같은 공정에 기반하여 식물성 타닌의 종류와 사용량 및 첨가제에 따른 영향, 그리고 하이드록실의 추가를 위한 글루타르 알 데히드계 타닌 보조제(GT-50)의 활용 여부, 식물성 타닌과 피혁 조직(콜라겐)과의 결합 효율 증대를 위한 나프탈렌계 침투제(Ukatan GM 0-3%)의 사용 등에 따른 실시예들을 나타내고 있다.
<표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피클 용액의 pH 4.6
식물성 타닌 미모사 15% 미모사 15% 미모사 15% 미모사 10%
침투제 - GM 1.5% GM 1.5% GM 1.5%
타닌 보조제 - - - GT-50 1.5%
반응시간/온도 14시간/30℃
내열성(℃) 76 82 80 79
내수성-온수용출 1.8% 0.2%이하 0.2%이하 0.2%이하
섬유추출수율 96% 97% 98% 97%
<표 2>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피클 용액의 pH 4.6
식물성 타닌 미모사 15% 체스넛 15% 미모사 15% 미모사 10%
침투제 GM 3% GM 1.5%
타닌 보조제 - - - DLE 5%
반응시간/온도 14시간/30℃
내열성(℃) 78 77 76 84
내수성-온수용출 0.2%이하 0.2%이하 0.2%이하 0.2%이하
섬유추출수율 98% 97% 98% 98%
<표 3>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피클 용액의 pH 5.6
식물성 타닌 미모사 15% 미모사 10% 체스넛 10% 체스넛 10%
침투제 - GM 1.5% GM 1.5% GM 1.5%
타닌 보조제 - - - DLE 5%
반응시간/온도 14시간/30℃
내열성(℃) 80 78 79 82
내수성-온수용출 1.2% 0.2%이하 0.2%이하 0.2%이하
섬유추출수율 97% 97% 97% 98%
도 6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바이오 흡착제의 상기 실시예들 중 일부에 대해 pH 변화에 따른 Cu(Ⅱ) 이온의 흡착 제거율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Cu(Ⅱ)의 흡착 제거는 모든 바이오 흡착제들에서 pH가 증가할수록 흡착능이 증가하는 전형적인 양이온형 흡착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경향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바이오 흡착제의 표면에 대하여 중금속에 배위결합특성을 갖는 리간드들이 pH가 높아짐에 따라 탈양성자화작용(deprotonation) 되기 때문에 보다 음하전을 갖는 분율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써 양하전을 띈 Cu(Ⅱ)의 흡착이 보다 유리해지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으로서, 중금속에 대한 제거 메카니즘은 주로 <화학식> 같은 표면 착화합물 형성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겨진다.
<화학식>
Figure 112009039700923-PAT00001
특히, 실시예 6과 실시예 11의 바이오 흡착제의 경유에는 다른 흡착제들에서보다 동일한 pH 조건에서 우수한 Cu(Ⅱ) 흡착능을 보였다. 이들 두 흡착제의 경우, pH 4에서 초기 주입 구리농도 (5×10-4 M, 31.8ppm)의 80% 이상을 제거하였다. 이러한 제거율은 흡착제 단위 kg당 12.71g의 Cu(Ⅱ)가 제거됨을 의미한다. 특히, pH 5 이상의 조건에서는 모든 흡착제들에서 거의 완전한 Cu(Ⅱ) 제거 결과를 보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피혁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형 폐기물의 콜라겐 섬유를 식물성 타닌으로 고정화하여 제조된 바이오 흡착제는 고형 폐기물을 100% 자원화할 수 있으므로 친환경적이며 경제적으로도 매우 이익이 되는 획기적인 바이오 흡착제가 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콜라겐에 식물성 타닌을 고정화한 화학적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원료 중 하나인 펠트 스크랩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라 육절기를 이용하여 원료를 분쇄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c)는 본 발명에 따라 분쇄된 원료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식물성 타닌으로서 낙엽송 타닌에 대한 구조식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식물성 타닌으로서 미모사 타닌에 대한 구조식이다.
도 (3c)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식물성 타닌으로서 베이베리 타닌에 대한 구조식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해섬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인 나이아가라 비터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라 해섬된 섬유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쇄장치인 디스크 밀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라 식물성 타닌이 고정화된 콜라겐의 섬유상 조직체의 분쇄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c)는 도 5(b)의 확대 사진이다.
도 5(d)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바이오 흡착제의 포장된 제품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바이오 흡착제의 실시예들 중 일부에 대해 pH 변화에 따른 Cu(Ⅱ) 이온의 흡착 제거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6)

  1. 콜라겐을 함유한 원료인 동물 원피의 고형 폐기물을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원료를 탈회 및 탈지하는 단계;
    상기 탈회 및 탈지된 원료를 식물성 타닌이 함유된 피클 용액에 침지시켜 상기 식물성 타닌을 상기 원료 중의 콜라겐과 결합시키는 고정화 단계;
    상기 식물성 타닌이 고정화된 콜라겐의 섬유상 조직을 풀어해치는 해섬 단계;
    상기 해섬 단계를 거친 식물성 타닌이 고정화된 콜라겐의 섬유상 조직체를 분쇄하여 최종 바이오 흡착제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동물 원피의 콜라겐을 이용한 바이오 흡착제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 원피의 고형 폐기물은 입도 1∼5메시의 크기로 분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원피의 콜라겐을 이용한 바이오 흡착제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원료의 탈회 및 탈지는, 분쇄된 원료 중량 100%(이하, 중량%)를 기준으로 물 150∼200%, 염화암모늄 2.0∼2.5%, 황산암모늄 1.0∼1.5%, 탈지제 0.5∼1.0%를 혼합한 25∼35℃의 용액에서 70∼90분간 방치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원피의 콜라겐을 이용한 바이오 흡착제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화 단계의 피클 용액은, 상기 탈회 및 탈지된 원료 중량 100%(이하, 중량%)를 기준으로 물 100∼150%, 염화나트륨 5∼8%, 포름산 0.5∼1.0%, 황산 0.6∼0.8%, 포름산나트륨 0.5∼1.0%, 탄산수소나트륨 2.5∼3.0%, 침투제 0∼3%, 식물성 타닌 5∼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탈회 및 탈지된 원료는 온도 25∼35℃, pH 4∼7의 상기 피클 용액에서 14∼16시간 동안 침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원피의 콜라겐을 이용한 바이오 흡착제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섬 단계를 거친 식물성 타닌이 고정화된 콜라겐의 섬유상 조직체는 5∼10메시의 크기로 분쇄되어 최종 바이오 흡착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원피의 콜라겐을 이용한 바이오 흡착제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바이오 흡착제.
KR1020090058704A 2009-06-30 2009-06-30 동물 원피의 콜라겐을 이용한 바이오 흡착제의 제조방법 및 그 바이오 흡착제 KR101077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704A KR101077511B1 (ko) 2009-06-30 2009-06-30 동물 원피의 콜라겐을 이용한 바이오 흡착제의 제조방법 및 그 바이오 흡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704A KR101077511B1 (ko) 2009-06-30 2009-06-30 동물 원피의 콜라겐을 이용한 바이오 흡착제의 제조방법 및 그 바이오 흡착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249A true KR20110001249A (ko) 2011-01-06
KR101077511B1 KR101077511B1 (ko) 2011-10-27

Family

ID=43609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8704A KR101077511B1 (ko) 2009-06-30 2009-06-30 동물 원피의 콜라겐을 이용한 바이오 흡착제의 제조방법 및 그 바이오 흡착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75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80688A (zh) * 2012-02-24 2012-07-18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去除室内甲醛气体的吸附材料
KR101300100B1 (ko) * 2011-02-11 2013-09-09 (주)선진환경 고형폐기물을 이용한 바이오 흡착제의 제조방법
CN116510695A (zh) * 2023-03-28 2023-08-01 浙江坤泽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胶原纤维/β-环糊精吸附剂及其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100B1 (ko) * 2011-02-11 2013-09-09 (주)선진환경 고형폐기물을 이용한 바이오 흡착제의 제조방법
CN102580688A (zh) * 2012-02-24 2012-07-18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去除室内甲醛气体的吸附材料
CN116510695A (zh) * 2023-03-28 2023-08-01 浙江坤泽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胶原纤维/β-环糊精吸附剂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7511B1 (ko) 201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eng et al. Removal of hazardous heavy metals from aqueous environment by low-cost adsorption materials
US86585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rbent production, primarily for removing arsenic from drinking water
Öztürk et al. Design and optimization of Cu (II) adsorption conditions from aqueous solutions by low-cost adsorbent pumice with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Sadon et al. An overview of rice husk applications and modification techniques in wastewater treatment
Eletta et al. A review of fish scales as a source of biosorbent for the removal of pollutants from industrial effluents
Nguyen et al. Phosphorous removal from aqueous solutions by agricultural by-products: A critical review
Esmael et al. Adsorption of heavy metals from industrial wastewater using palm date pits as low cost adsorbent
KR101077511B1 (ko) 동물 원피의 콜라겐을 이용한 바이오 흡착제의 제조방법 및 그 바이오 흡착제
Jimenez-Paz et al. Solutions to hazardous wastes issues in the leather industry: adsorption of Chromium iii and vi from leather industry wastewaters using activated carbons produced from leather industry solid wastes
Cardoso et al. Evaluation of metal affinity of Ag+, Cd 2+, Cr 3+, Cu 2+, Ni 2+, Zn 2+ and Pb 2+ in residue of double alginate extraction from Sargassum filipendula seaweed
Balbinoti et al. Plant-based coagulants for food industry wastewater treatment
Adegoke et al. Sequestering nickel (II) ions from aqueous solutions using various adsorbents: A Review
KR101300100B1 (ko) 고형폐기물을 이용한 바이오 흡착제의 제조방법
Kumari et al. Cost effective and eco-friendly method for copper removal by adsorption with Emu feather (Dromaius novaehollandiae) and Chitosan (Agaricus bisporus) Composite
EP3900806B1 (en) Health function-customized natural mineral activating composite filt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Parameswari et al. Biosorption of chromium ions through modified Eichhornia crassipes biomass form the aqueous medium
US8133838B2 (en) Water purification material
do Nascimento et al. Biomass adsorbent for removal of toxic metal ions from electroplating industry wastewater
Neamhom Use of Agricultural Residues to Remove Iron from Groundwater in Modified Airlift Aerator.
Akter et al. Development of low-cost natural adsorbent for the abatement of pollution from tannery effluent-A green technology
Gupta et al. Defluoridation capability of Jharkhand raw bentonite without transferring neurotoxin aluminium by potash alum of Nalgonda technique
KR20200077385A (ko) 건강 기능 맞춤형 천연 미네랄 활성화 복합필터 및 이의 제조 방법
JP3820484B1 (ja) 廃液や廃水中に含まれる6価クロムの無害化を目的とした木質抽出溶液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Moreno et al. APPLICATION OF AGRO-INDUSTRIAL WASTE BIOMASS OF PLANTAIN (Musa paradisiaca) AND TANGERINE (Citrus reticulata) FOR SELECTIVE REMOVAL OF NITRATES FROM AGRICULTURAL WASTEWATER.
JP6122369B2 (ja) 有機肥料及び有機飼料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