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190U - 에어벤트 기능을 구비한 보일러의 팽창탱크 - Google Patents

에어벤트 기능을 구비한 보일러의 팽창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190U
KR20110001190U KR2020090009864U KR20090009864U KR20110001190U KR 20110001190 U KR20110001190 U KR 20110001190U KR 2020090009864 U KR2020090009864 U KR 2020090009864U KR 20090009864 U KR20090009864 U KR 20090009864U KR 20110001190 U KR20110001190 U KR 201100011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water
expansion tank
boiler
diaphragm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8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5150Y1 (ko
Inventor
박노진
Original Assignee
대성쎌틱에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쎌틱에너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쎌틱에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98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150Y1/ko
Publication of KR201100011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1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1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0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expansion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16K15/16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with tongue-shaped lamin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24D19/082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083Ven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8Expansion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용 보일러의 배관 내부를 순환하는 난방수의 팽창압을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보일러의 팽창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팽창탱크의 난방수 출입구 전/후방 내벽에 격막을 구비함으로써, 난방수의 온도변화에 따른 배관 내부의 팽창압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팽창탱크의 난방수 표면에서 공기방울이 터지면서 발생하는 소음 또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에어벤트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보일러의 팽창탱크에 관한 것이다.
보일러, 팽창탱크, 에어벤트, 난방수, 배관

Description

에어벤트 기능을 구비한 보일러의 팽창탱크{The Expansion Tank of Boiler}
본 고안은 가정용 보일러의 배관 내부를 순환하는 난방수의 팽창압을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보일러의 팽창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팽창탱크의 난방수 출입구 전방 내벽에 격막을 구비함으로써, 난방수의 온도변화에 따른 배관 내부의 팽창압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팽창탱크의 난방수 표면에서 공기방울이 터지면서 발생하는 소음 또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에어벤트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보일러의 팽창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크게 기름을 원료로 하는 기름보일러와 가스를 원료로 하는 가스보일러로 구분되는데, 근래에는 크기가 협소하고 사용이 편리한 가스보일러가 주로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스보일러는 점화에 의한 연소 작용으로 난방수를 가열하는 열교환 작용을 이루고, 난방수가 가열되면 대류현상에 의해 온수가 실내바닥에 배관된 코일관을 환류하며, 실내바닥을 온수의 열로 가열하여 다시 가열위치로 되돌아가는 난방 싸이클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난방 싸이클에 의해 순환되는 난방수에는 공기가 잔류하게 되어 난 방수에 잔류하고 있는 공기는 난방효율을 크게 저하시키고, 공기에 의한 부식 위험성이 있다.
이러한 공기는 가열될 때 난방수와 분리되어 공기 중으로 분산되어야 하지만, 난방수가 시공된 배관 내부를 통해 순환되기 때문에 난방수에 잔류하고 있는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지 못한 상태에서 난방수와 함께 순환된다.
이와 같이, 난방수에 잔류하고 있는 공기는 방울 현상으로 배관 파이프 내면에 밀착되어, 난방관과 난방수 사이에 공간층을 형성하여 열전달을 방해하고 있음에 따라, 열교환 장치에서 열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난방수 내에 생성되는 공기(기포)를 제거함이 요구된다.
상기한 난방시스템의 요구 조건에 부합하기 위하여 난방수 내에 생성되는 기포를 난방수의 순환과정에서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벤트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팽창탱크가 공지되고 있으나, 이러한 팽창탱크는 기포가 제거되는 과정 즉, 팽창탱크의 난방수 표면에서 공기방울이 터지면서 발생하는 소음이 심각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팽창탱크의 난방수 출입구 전방 내벽에 격막을 구비함으로써, 난방수의 온도변화에 따른 배관 내부의 팽창압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팽창탱크의 난방수 표면에서 공기방울이 터지면서 발생하는 소음 또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에어벤트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보일러의 팽창탱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 추구하는 기술적 수단은 보일러의 배관 내부를 흐르는 난방수의 온도변화에 따른 팽창압을 조절하기 위한 팽창탱크에 있어서, 팽창탱크의 난방수 출입구에 격막을 구비하여 팽창탱크의 난방수 표면에서 공기방울이 터지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에어벤트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기능을 구비한 보일러의 팽창탱크를 제시한다.
본 고안은 상기 팽창탱크의 난방수 입구에 구비되는 격막은 팽창탱크의 난방수 입구 전방 내벽에 구비되며 난방수에 혼입되어 들어오는 기포를 잘게 부수는 분쇄 격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기능을 구비한 보일러의 팽창탱크를 제시한다.
본 고안은 상기 팽창탱크의 난방수 출구에 구비되는 격막은 팽창탱크의 난방수 출구 후방 내벽에 구비되며 팽창탱크 내부의 난방수에 혼입되어 있는 미세 기포 가 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출방지 격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기능을 구비한 보일러의 팽창탱크를 제시한다.
본 고안은 상기 팽창탱크의 난방수 출입구에 구비되는 격막의 길이는 적어도 난방수 출입구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그 내경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기능을 구비한 보일러의 팽창탱크를 제시한다.
본 고안은 팽창탱크의 난방수 출입구 전/후방 내벽에 격막을 구비함으로써, 난방수의 온도변화에 따른 배관 내부의 팽창압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격막에 의하여 기포를 잘게 부셔 미세한 기포로 배출함으로써, 팽창탱크의 난방수 표면에서 공기방울이 터지면서 발생하는 소음 또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에어벤트 기능을 구비한 보일러의 팽창탱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벤트 기능을 구비한 보일러 팽창탱크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에 있어서 팽창탱크(10)에는 난방수가 출입하는 통로인 입구(20)와 출구(30)가 구비된다. 상기 난방수가 출입하는 입구(20)와 출구(30)는 상기 팽창탱크(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이 입구(20)와 출구(30)를 통하여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난방수의 부피 팽창에 따른 난방수가 출입함으로써 배관 내부의 팽창압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팽창탱크(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입구(20)와 출구(30)의 전방, 구체적으로는 상기 입구(20)와 출구(30)가 구비된 팽창탱크(10)의 내벽 입구(20)의 전방과 출구(30)의 후방에는 각각 격막(21)(31)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팽창탱크(10)의 난방수 입구(20)에 구비되는 격막(21)은 상기 팽창탱크(10)의 난방수 입구(20) 전방 내벽에 구비되며, 이 격막(21)은 난방수에 혼입되어 들어오는 기포를 잘게 부수는 분쇄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난방수에 혼입된 기포가 상기 난방수 입구(20)를 통하여 팽창탱크(10) 내부로 들어올 때 상기 격막(21)에 부딪혀 잘게 부셔져서 미세한 기포로 배출됨으로써, 팽창탱크의 난방수 표면에서 공기방울이 터지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팽창탱크(10)의 난방수 출구(30)에 구비되는 격막(31)은 팽창탱크(10)의 난방수 출구(30) 후방 내벽에 구비되며, 이 격막(31)은 팽창탱크(10) 내부의 난방수에 혼입되어 있는 미세 기포가 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격막(31)에 의하여 미세기포가 난방수에 혼입되어 순환펌프로 빨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배관 내부로 기포가 재순환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팽창탱크(10)의 난방수 입구(20)와 출구(30)에 구비되는 격막(21)(31)의 길이는 적어도 상기 난방수 입구(20)와 출구(30)의 내경과 동일하거 나 그 내경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팽창탱크(10)의 난방수 입구(20)와 출구(30)에 구비되는 격막(21)(31)의 설치위치 또한, 기포의 크기를 감안하면 상기 난방수 입구(20)와 출구(30)의 상단 수평부로부터 적어도 상기 난방수 입구(20)와 출구(3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그 내경보다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팽창탱크의 난방수 출입구 전/후방 내벽에 격막을 구비함으로써, 난방수의 온도변화에 따른 배관 내부의 팽창압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격막에 의하여 기포를 잘게 부셔 미세한 기포로 배출함으로써, 팽창탱크의 난방수 표면에서 공기방울이 터지면서 발생하는 소음 또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내에서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보일러 팽창탱크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팽창탱크 20: 입구
21: 격막 30: 출구
31: 격막

Claims (4)

  1. 보일러의 배관 내부를 흐르는 난방수의 온도변화에 따른 팽창압을 조절하기 위한 팽창탱크에 있어서,
    팽창탱크의 난방수 출입구에 격막을 구비하여 팽창탱크의 난방수 표면에서 공기방울이 터지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에어벤트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기능을 구비한 보일러의 팽창탱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팽창탱크의 난방수 입구에 구비되는 격막은 팽창탱크의 난방수 입구 전방 내벽에 구비되며 난방수에 혼입되어 들어오는 기포를 잘게 부수는 분쇄 격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기능을 구비한 보일러의 팽창탱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팽창탱크의 난방수 출구에 구비되는 격막은 팽창탱크의 난방수 출구 후방 내벽에 구비되며 팽창탱크 내부의 난방수에 혼입되어 있는 미세 기포가 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출방지 격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기능을 구비한 보일러의 팽창탱크.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탱크의 난방수 출입구에 구비되는 격막의 길이는 적어도 난방수 출입구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그 내경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기능을 구비한 보일러의 팽창탱크.
KR2020090009864U 2009-07-28 2009-07-28 에어벤트 기능을 구비한 보일러의 팽창탱크 KR2004551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864U KR200455150Y1 (ko) 2009-07-28 2009-07-28 에어벤트 기능을 구비한 보일러의 팽창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864U KR200455150Y1 (ko) 2009-07-28 2009-07-28 에어벤트 기능을 구비한 보일러의 팽창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190U true KR20110001190U (ko) 2011-02-08
KR200455150Y1 KR200455150Y1 (ko) 2011-08-19

Family

ID=44206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864U KR200455150Y1 (ko) 2009-07-28 2009-07-28 에어벤트 기능을 구비한 보일러의 팽창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15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879B1 (ko) * 2011-07-29 2013-10-29 남동욱 휴대용 난방장치
KR102438974B1 (ko) 2022-03-28 2022-08-31 정세진 공기제거수단이 구비된 보일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247B1 (ko) 2010-03-02 2012-03-06 이동호 소형 전기보일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1102Y1 (ko) * 1994-12-07 1999-07-15 전주범 가스보일러의 팽창탱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879B1 (ko) * 2011-07-29 2013-10-29 남동욱 휴대용 난방장치
KR102438974B1 (ko) 2022-03-28 2022-08-31 정세진 공기제거수단이 구비된 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5150Y1 (ko) 201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5566B2 (en) Hot water-centered combined hot water and heating boiler
CN101313182A (zh) 配置有套管式换热器的锅炉的热水供应系统
JP2007187419A (ja) 給湯暖房装置
KR200455150Y1 (ko) 에어벤트 기능을 구비한 보일러의 팽창탱크
AU2009200847A1 (en) Hot water generator
EP3286503B1 (en) A boiler system
KR20170033658A (ko) 온도 저감식 스케일 방지 구조를 갖는 저탕식 열교환기
US9671105B2 (en) Continuous flow steam generator with a two-pass boiler design
CN110678706B (zh) 具有涡流引导部的储水式锅炉
RU2436018C1 (ru) Котел наружного размещения
US20160109140A1 (en) Central heating system
KR100541401B1 (ko) 듀얼타입 가스보일러
KR20110030035A (ko) 전기보일러의 온수가열관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전기보일러
CN104596105A (zh) 燃气热水器及其控制方法
CN203893431U (zh) 用于燃气热水器的热交换器及具有其的燃气热水器
CN103776018A (zh) 不带泵的直流锅炉启动系统及启动方法
KR20140025881A (ko)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펜 코일 온풍기
RU2449225C1 (ru) Конденсационный котел наружного размещения
CN202485213U (zh) 一种带混流装置的燃油气铸铁锅炉
US20110239959A1 (en) Water heat source generator device
CN211011916U (zh) 具有卧式水箱的热泵热水器
CN205717944U (zh) 一种燃气壁挂炉
CN208859582U (zh) 一种蒸汽发生器
CN201954653U (zh) 一种全自动电采暖壁挂炉
CN106288397A (zh) 一种锅炉循环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