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986U - 유리창 크리너 - Google Patents

유리창 크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986U
KR20110000986U KR2020090009582U KR20090009582U KR20110000986U KR 20110000986 U KR20110000986 U KR 20110000986U KR 2020090009582 U KR2020090009582 U KR 2020090009582U KR 20090009582 U KR20090009582 U KR 20090009582U KR 20110000986 U KR20110000986 U KR 2011000098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glass window
magnetic body
opening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5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호
최홍기
김종길
Original Assignee
(주)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진 filed Critical (주)명진
Priority to KR20200900095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0986U/ko
Publication of KR201100009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98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09Hand implements for cleaning one side with access from the other side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4Wipes; Absorbent members, e.g. swabs or sponges
    • B08B1/143Wipe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작이 간편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유리창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유리창의 외부면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유리창 크리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미닫이 창문에 있어서, 상기 창문이 닫혀진 상태에서 상호 중첩된 창틀(1, 2) 중 일측 창틀(1)에 유리창(3)을 청소하는 크리너(10)가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이 크리너(10)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폭방향이 창문이 여닫히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타측 창틀(1)의 유리창(3)과 마주보는 면에는 개구부(21)가 형성된 몸체(20)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21)를 통해 상기 타측 유리창(3) 방향으로 출몰하며 타측 유리창(3)과 마주보는 선단부면에는 와이퍼(31)가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슬라이더(30)와; 이 슬라이더(30)의 선단부에서 측방으로 연장 형성된 측방연장부(41)와, 이 측방연장부(41)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후방연장부(42)로 이루어진 푸셔(4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20)의 개구부(21) 측방에는 자성체(50)가 구비되고, 상기 푸셔(40)의 후방연장부(42)의 선단과 측방연장부(41)에는 상기 자성체(50)와 자력에 의해 상호 부착되는 자성체(50)가 각각 구비되어, 푸셔(40)의 후방연장부(42) 선단을 타측 유리창(3) 방향으로 밀면 상기 측방연장부(41)의 자성체(50)와 몸체(20)의 자성체(50)간의 자력이 해제되면서 몸체(20)의 자성체(50)가 후방연장부(42)의 자성체(50)와 자력에 의해 상호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크리너가 제공된다.
몸체, 슬라이더, 푸셔, 자성체, 크리너

Description

유리창 크리너{A cleaner for window}
본 고안은 유리창 크리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작이 간편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유리창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유리창의 외부면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유리창 크리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주택에 설치된 유리창은 실내를 향하는 면은 걸레 등을 사용하여 청소하기가 용이하나, 실외를 향하는 외부면은 청소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상기 외부면은 사람의 손이 닿는 부분까지는 청소가 되어 있으나, 손이 닿지 않는 부분은 대기오염이나 황사 등에 의해 얼룩진 상태가 그대로 남게 되어 미관상 좋지 않다.
이에 따라, 걸레가 부착된 긴 막대를 이용하여 유리창의 외부면을 청소는 경우가 많은데, 비교적 무게가 무거울 뿐만 아니라 자세가 좋지 않아서 청소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힘든 문제가 있다. 특히, 유리창이 크면 청소작업이 더욱 힘들고, 고층일 경우에는 매우 위험한 문제가 있다. 한편, 옥상에서 줄을 매달고 유리창을 청소하는 경우도 있으나, 안전상의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들어 건물들의 외관이 외부로 돌출되거나 함몰되는 부분이 많아지면서 옥상에 매단 줄에 의지해서 청소하기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를 간단하게 하면서도 조작이 매우 간편하여 사용하기 편리하며, 유리창을 원활하게 개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리창의 외부면을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유리창 크리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미닫이창문에 있어서, 상기 창문이 닫혀진 상태에서 상호 중첩된 창틀(1, 2) 중 일측 창틀(1)에 유리창(3)을 청소하는 크리너(10)가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이 크리너(10)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폭방향이 창문이 여닫히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타측 창틀(1)의 유리창(3)과 마주보는 면에는 개구부(21)가 형성된 몸체(20)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21)를 통해 상기 타측 유리창(3) 방향으로 출몰하며 타측 유리창(3)과 마주보는 선단부면에는 와이퍼(31)가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슬라이더(30)와; 이 슬라이더(30)의 선단부에서 측방으로 연장 형성된 측방연장부(41)와, 이 측방연장부(41)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후방연장부(42)로 이루어진 푸셔(4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20)의 개구부(21) 측방에는 자성체(50)가 구비되고, 상기 푸셔(40)의 후방연장부(42)의 선단과 측방연장부(41)에는 상기 자성체(50)와 자력에 의해 상호 부착되는 자성체(50)가 각각 구비되어, 푸셔(40)의 후방연장부(42) 선단을 타측 유리 창(3) 방향으로 밀면 상기 측방연장부(41)의 자성체(50)와 몸체(20)의 자성체(50)간의 자력이 해제되면서 몸체(20)의 자성체(50)가 후방연장부(42)의 자성체(50)와 자력에 의해 상호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크리너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몸체(20)의 개구부(21)에는 걸림턱(22)이 내향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30)의 폭방향 기단부 또는 중간부에는 상기 걸림턱(22)에 걸려지는 걸림돌기(32)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크리너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창틀(1)에 설치되는 몸체(20)에서 출몰되는 슬라이더(30)의 측방에 구비된 푸셔(40)의 측방연장부(41)에 구비된 자성체(50)가 몸체(20)에 구비된 자성체(50)에 부착되었다가 사용자가 푸셔(40)의 후방연장부(42)를 타측 창틀(2)의 유리창(3) 방향으로 밀기만 하면, 상기 후방연장부(42)의 선단에 구비된 자성체(50)가 몸체(20)의 자성체(50)에 부착되면서 와이퍼(31)가 구비된 슬라이더(30)가 출몰하여 실외측의 유리창(3)을 청소하게 되므로,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도 슬라이더(30)를 간편하게 출몰시킬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며, 유리창(3) 개폐가 원활할 뿐 아니라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곳까지 용이하고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람이 청소도구를 가지고 실외측의 유리창(3)을 직접 청소하는 것에 비해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 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몸체(20)에 걸림턱(22)을 형성하고 슬라이더(30)에 상기 걸림턱(22)에 걸려지는 걸림돌기(32)를 형성하여 슬라이더(30)가 몸체(20)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뿐 아니라 슬라이더(30)의 선단에 구비된 와이퍼(31)와 유리창(3)간의 거리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어 슬라이더(30)의 출몰에 의해 유리창(3)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리창 크리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유리창 크리너는 미닫이 창문, 즉 유리창(3)이 각각 결합된 한 쌍의 창틀(1, 2)이 상호 교차되어 여닫히는 창문 중 보다 실외쪽에 위치된 창틀(1)에 설치되는데, 창문이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창틀(1, 2)이 상호 중첩된 세로방향의 창틀(1)에 설치된다.
이 유리창 크리너는 창문이 여닫히는 방향으로 돌출설치되며 타측 유리창(3)과 마주보는 면에는 개구부(21)가 형성된 몸체(20)와, 이 몸체(20)의 개구부(21)를 통해 상기 타측 유리창(3) 방향으로 출몰하는 슬라이더(30)와, 이 슬라이더(30)의 선단부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푸셔(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20)는 단면 사각형인 바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호 중첩되는 세로방향 창틀(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데, 창문이 여닫히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일면이 타측 창틀(2)의 유리창(3)과 마주보게 된다. 이 타측 유리창(3)과 마주보는 몸체(20)의 일면에는 개구부(2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이 개구부(21)에는 내측을 향하는 걸림턱(22)이 형성된다. 그리고, 개구부(21)에서 유리창(3)이 여닫히는 방향으로 돌출부(23)가 돌출 형성되고, 이 돌출부(23)에는 자성체(50)가 구비된다. 한편, 몸체(20)의 개구부(21)와 인접된 측면에는 폭방향으로 복수개의 장공(24)이 형성되며, 이 장공(24)에는 장공(24)을 따라 왕복이동되도록 결합핀(25)이 결합되고, 이 측면에는 폭방향으로 만곡 형성된 커버(26)가 부착되어 상기 장공(24)을 은폐시킨다.
상기 슬라이더(30)는 일방향으로 긴 판형상이며, 폭방향의 선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와이퍼(31)가 길게 구비되고, 기단부에는 상기 몸체(20)의 걸림턱(22)에 걸려지는 걸림돌기(32)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이 슬라이더(30)는 폭방향으로 상기 몸체(20)의 개구부(21)를 통해 타측 유리창(3)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걸림돌기(32)에 의해 슬라이더(30)가 몸체(2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타측 유리창(3)과의 거리에 따른 슬라이더(30)의 이동거리의 제한이 이루어진다. 또한, 슬라이더(30)의 폭방향 선단부에는 와이퍼(31)의 측방에 스폰지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단순히 유 리창(3)의 물기만을 닦아내는 것이 아니라 물기를 이용하여 유리창(3)에 묻은 먼지 기타 얼룩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30)의 기단부에는 폭방향으로 결합부(33)가 연장 형성되고, 이 결합부(33)에는 몸체(20)의 장공(24)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결합공(34)이 형성되어, 몸체(20)의 장공(24)에 결합된 결합핀(25)이 끼워지게 된다.
상기 푸셔(40)는 상기 슬라이더(30)의 선단부에서 측방으로 돌출 연장된 측방연장부(41)와, 이 측방연장부(41)의 선단에서 후방으로 돌출 연장되며 그 선단부가 측방연장부(41)와 평행하게 형성된 후방연장부(4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몸체(20)의 자성체(50)와 대응되는 후방연장부(42)의 선단부 및 측방연장부(41)의 부위에는 자성체(50)가 구비된다.
상기 자성체(50)는 자석과 같이 자성을 갖는 물체와 강철과 같이 자성에 반응하는 물체를 총칭하는 것이다. 이때, 돌출부(23)의 자성체(50)가 자석이라면 측방 및 후방연장부(41, 42)의 자성체(50)는 강철이 될 수 있으며, 그 역의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돌출부(23)와 측방 및 후방연장부(41, 42) 양쪽 모두가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에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석으로 서로 끌어당기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유리창 크리너의 작동상태를 도 3 및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은 창문이 닫혀진 상태에서 본 고안 유리창 크리너가 설치된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몸체(20)의 돌출부(23)에 구비된 자성체(50)와 푸셔(40)의 측방연장부(41)에 구비된 자성체(50)간의 자력에 의해 결합되어 슬라이더(30)가 몸체(20) 내부에 구비된 상태이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비가 오거나 또는 기타의 이유로 유리창(3)에 물기가 묻은 경우에 유리창(3)을 청소하게 되는데, 도 4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푸셔(40)의 후방연장부(42) 선단부를 타측 유리창(3) 방향으로 밀면, 돌출부(23)와 측방연장부(41)의 자성체(50)간의 자력에 의한 결합이 해제됨과 동시에 후방연장부(42)에 구비된 자성체(50)와 상기 돌출부(23)에 구비된 자성체(50)간에 상호 끌어당기는 자력이 작용하여 후방연장부(42)가 돌출부(23)에 부착된다. 이때, 슬라이더(30)가 몸체(20)의 개구부(21)를 통해 타측 유리창(3) 방향으로 인출되어, 와이퍼(31)가 타측 유리창(3)에 접촉하게 된다.
그런 후에, 일측 또는 타측 창틀(1, 2)을 슬라이드시키게 되면 타측 유리창(3)이 와이퍼(31)에 의해 물기가 제거된다. 이때, 스폰지를 구비하여 유리창(3)에 묻은 먼지 기타 얼룩이 물기와 함께 섞이면서 스폰지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되며, 남아있는 물기는 와이퍼(31)에 의해 완전히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측방연장부(41)를 상기 타측 유리창(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면, 돌출부(23)와 후방연장부(42)의 자성체(50)간의 자력에 의한 결합이 해제됨과 동시에 측방연장부(42)에 구비된 자성체(50)와 상기 돌출부(23)에 구비된 자성체(50)간에 상호 끌어당기는 자력이 작용하여 측방연장부(42)가 돌출부(23)에 부착된다. 이때, 슬라이더(30)가 몸체(20)의 개구부(21)를 통해 몸체(20) 내부로 인입되어, 와이퍼(31)가 타측 유리창(3)에서 떨어지게 되므로, 일측 또는 타측 창틀(1, 2)을 원활하게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리창 크리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설치상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작동전의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Claims (2)

  1. 미닫이창문에 있어서, 상기 창문이 닫혀진 상태에서 상호 중첩된 창틀(1, 2) 중 일측 창틀(1)에 유리창(3)을 청소하는 크리너(10)가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이 크리너(10)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폭방향이 창문이 여닫히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타측 창틀(2)의 유리창(3)과 마주보는 면에는 개구부(21)가 형성된 몸체(20)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21)를 통해 상기 타측 유리창(3) 방향으로 출몰하며 타측 유리창(3)과 마주보는 선단부면에는 와이퍼(31)가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슬라이더(30)와; 이 슬라이더(30)의 선단부에서 측방으로 연장 형성된 측방연장부(41)와, 이 측방연장부(41)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후방연장부(42)로 이루어진 푸셔(4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20)의 개구부(21) 측방에는 자성체(50)가 구비되고, 상기 푸셔(40)의 후방연장부(42)의 선단과 측방연장부(41)에는 상기 자성체(50)와 자력에 의해 상호 부착되는 자성체(50)가 각각 구비되어, 푸셔(40)의 후방연장부(42) 선단을 타측 유리창(3) 방향으로 밀면 상기 측방연장부(41)의 자성체(50)와 몸체(20)의 자성체(50)간의 자력이 해제되면서 몸체(20)의 자성체(50)가 후방연장부(42)의 자성체(50)와 자력에 의해 상호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크리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0)의 개구부(21)에는 걸림턱(22)이 내향 형성되 고, 상기 슬라이더(30)의 폭방향 기단부에는 상기 걸림턱(22)에 걸려지는 걸림돌기(32)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크리너.
KR2020090009582U 2009-07-22 2009-07-22 유리창 크리너 KR2011000098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582U KR20110000986U (ko) 2009-07-22 2009-07-22 유리창 크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582U KR20110000986U (ko) 2009-07-22 2009-07-22 유리창 크리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986U true KR20110000986U (ko) 2011-01-28

Family

ID=44206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582U KR20110000986U (ko) 2009-07-22 2009-07-22 유리창 크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098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7942A (ko) 유리창 청소기구
KR200454552Y1 (ko) 도어 손잡이
KR101427215B1 (ko) 세척장치를 구비한 공동주택용 창호
CN214330364U (zh) 一种建筑装饰用的窗体结构
KR20100012869U (ko) 유리창 크리너
KR20110000986U (ko) 유리창 크리너
CN104523198B (zh) 一种擦窗器
KR20060087305A (ko) 청소기능이 있는 공동주택의 발코니 창문
KR200488191Y1 (ko) 세척구가 구비된 청소장치
KR101475259B1 (ko) 다목적 청소기
CN104523199B (zh) 一种可出水擦窗器
JPH0642594Y2 (ja) 電気掃除機の吸口ユニツト
CN108065876A (zh) 电动吸尘扫灰毛掸子
KR200442016Y1 (ko) 중앙집중식 진공청소기의 흡입부재 탈.착 구동장치
KR100968699B1 (ko) 유리판 내외부 동시 청소용 창문
JP3159047U (ja) 掃除道具
KR100547000B1 (ko) 청소가 용이한 창문 프레임 구조
KR200447357Y1 (ko) 유리세척용구
US1416817A (en) Window washer and cleaner
CN212563039U (zh) 一种三趟式自清洗纱窗
CN208828389U (zh) 一种骨料碱活性抑制用的掺合料的分类存放装置
CN219500940U (zh) 一种磁吸式组合扫把
CN213838256U (zh) 一种便于清洁的窗户
KR200419386Y1 (ko) 유리창 청소기
KR200468686Y1 (ko)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리프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