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865U - 먼지제거가 용이한 진공청소기의 필터구조 - Google Patents

먼지제거가 용이한 진공청소기의 필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865U
KR20110000865U KR2020090009395U KR20090009395U KR20110000865U KR 20110000865 U KR20110000865 U KR 20110000865U KR 2020090009395 U KR2020090009395 U KR 2020090009395U KR 20090009395 U KR20090009395 U KR 20090009395U KR 20110000865 U KR20110000865 U KR 201100008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vacuum cleaner
frame
drum body
u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3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호
Original Assignee
이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호 filed Critical 이중호
Priority to KR20200900093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0865U/ko
Publication of KR201100008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86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7Dry filters tube- or sleeve-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5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vertical type, e.g. tank or bucke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먼지털이 제거가 용이한 진공청소기용 필터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탈착가능한 덮개(101) 내부에 공기를 강제흡입시키기 위한 송풍팬(10) 및 하우징이 구비된 헤드(100)와, 상기 헤드의 하부에 설치되는 드럼 본체(200)와, 상기 드럼본체의 내부에 외부로부터 공기흡입에 의한 쓰레기를 수집하기 위한 수거백(30)이 구비되고, 내측 상부에는 미세먼지를 여과하는 필터(40)가 상부프레임(50)과 하부프레임(60)에 연결되며, 개방된 상단에 플랜지(41)가 구비되어 드럼 본체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하부프레임(60)의 저부에 마련된 지지고리(61)에 일단이 관통 설치되어 필터를 상하로 흔드는 작동레버(70)가 외부로부터 관통 설치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40)는 저부에 각각 원통형으로 함몰된 포켓(43)이 다수개 하향지게 형성되는 한편, 포켓(43)이 형성된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상부프레임(50)과 하부프레임(60)에 포켓(40)의 상부와 하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끈(45)이 하나 이상 배열되어 부착되고, 상기 상부프레임(50)의 외측둘레에는 드럼 본체(200)의 상부에 지지되는 지지대(201)로부터 인장스프링(80)이 다수개 연결 설치되어 상부프레임(50)을 포함한 필터(4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본 고안에 따른 필터는 원통형의 하부에 각각 다수개의 포켓이 하향지게 형성하여 여과면적을 대폭 늘림과 동시에,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은 상하 서로 간섭없이 대응되는 위치에서 필터의 포켓부분 상하측을 고정끈으로서 고정함으로써, 작동레버를 이용한 하부프레임을 흔들게 되면, 필터의 움직임는 범위가 크게 작동하여 외표면에 달라붙은 먼지제거가 손쉽게 이루어져 진공청소시 여과효율을 높여 청소시간을 줄임은 물론, 송풍팬의 과부하를 방지하여 진공청소기의 사용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진공청소기, 필터, 포켓, 고정끈, 상부프레임, 하부프레임, 작동레버

Description

먼지제거가 용이한 진공청소기의 필터구조{Filter structure of vacuum cleaner that dust separation is easy}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드럼방식의 진공청소기에 있어, 내부에 설치되어 미세먼지를 여과하는 필터 및 필터의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본체 외부에 적용 설치된 작동레버로서 필터에 부착된 먼지털이가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필터의 여과면적을 확보하여 효율적인 미세먼지를 포집할 수 있도록 한 먼지제거가 용이한 진공청소기의 필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타입의 진공청소기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를 빨아내는 헤드(100)와 공기를 포함한 미세먼지를 흡입하여 여과하는 드럼 본체(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01)가 구비되고, 덮개(101) 내에는 모터의 회전구동으로서 공기를 강제흡입하는 송풍팬(10)이 제공되는 하우징(20)내에 구비되어 덮개 내에 고정 설치되는 한편, 하우징 일측에는 공기 배출구(21)가 설치되어 외부로 순수공기만을 배출하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드럼 본체(200) 내에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차적으로 부피와 비중이 있는 쓰레기를 수집하는 수거 백(30)이 드럼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미세한 먼지를 여과시키기 위한 필터(40)가 설치된다.
상기 수거 백(30)은 드럼 본체(200)에 마련되는 공기흡입구(201)측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공기흡입구(201)로부터는 흡입호스를 포함한 흡입관, 흡입판이 연결 설치되어 쓰레기를 포함하는 미세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바, 이하부터 상기 흡입호스, 흡입관, 흡입판의 설명은 일반적이므로 부호의 설명과 제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드럼 본체(200) 내에 마련되는 필터(40)는 도 3에서 확대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반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그 저면 상에는 미세먼지의 여과면적을 넓히기 위한 목적에서 상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두고 직각되게 함몰된 요홈원통부(41)가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필터(40)의 상단은 드럼 본체(200)의 상부에 걸쳐져 고정되기 위한 플랜지부(42)가 부착되고, 이 플랜지부는 드럼 본체의 상부에 위치한 헤드(100)측 하우징(20)의 가장자리 저면으로부터 안착 설치되고, 덮개(101)의 폐쇄시 이와 함께 고정되는 구조로서 상기 드럼 본체(200) 내부에 부상 설치된다.
통상적으로 진공청소시 발생하는 강한 공기흡입으로 인해 필터의 여과면적으로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상기 필터(40)의 내부 직경 및 상기 요홈원통부(41)의 외측형상을 맞게 상부프레임(50)이 안내되고, 이 상부프레임(50)으로부터는 고정 끈(T)을 필터(40)에 관통하는 방식으로 필터를 지지한다.
또한, 상기 필터(40)의 저면 외측으로부터는 상기 상부프레임(50)과 별도로 필터의 저면을 포함하는 요홈원통부(41)의 함몰된 내측을 지탱하는 하부프레임(60)이 위치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과 필터를 고정끈(T)으로서 필터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부프레임(60)의 저면에는 지지고리(61)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지지고리(61)에는 작동레버(70)의 일단이 관통 설치되며, 상기 작동레버(70)의 타단은 드럼 본체(2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프레임(60)을 상하로 흔들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일차적으로 수거 백에 부피가 있는 일반쓰레기를 송풍팬(10)의 공기 강제흡입작용으로서 수거함과 동시에, 상기 수거백(30)을 통과하는 미세 먼지 등은 그 상부에 설치된 필터(40)를 통해 순수한 공기만을 여과시키고, 여기서 순수한 공기는 상기 송풍팬(10)이 설치된 하우징(20)측 공기배출구(21)를 통해 외부로 환원시킨다.
상기 미세먼지는 드럼 본체(200) 내에 수집하며, 진공청소기의 일정기간 사용 후 상기 수거 백(30) 내의 쓰레기 처리와 함께 필터로서 여과된 미세먼지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용에 있어, 미세먼지는 필터(40)의 외부에 상당한 량이 부착되는바, 미세먼지의 부착 정도에 따라서는 여과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드럼 본체(200)의 외부에서 작동레버(70)를 손으로 쥐고, 상하로 흔들어 주면, 상기 작동레버와 연계된 하부프레임(60)이 상하로 흔들거리면서 움직이는 동작으로 하여금 필터 외측에 부착된 미세먼지 등을 털어낼 수 있었다.
그러나, 도 3에서 도시된 하부프레임(60)의 움직임은 상부프레임(50)에 대해 상하 높이가 제한되며, 이는 거리가 비교적 짧아 미세먼지가 쉽게 털리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미세먼지가 쉽게 털리지 않는다 함은 그만큼 필터로부터 미세먼지의 여과면적이 좁아짐은 물론, 여과율 또한 매우 저조하고, 구동되는 송풍팬에 과부하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진공청소기의 전반적인 성능을 저하시키고 궁극적으로 진공청소기의 고장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드럼방식의 진공청소기에 있어, 내부에 설치되어 미세먼지를 여과하는 필터 및 필터의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본체 외부에 적용 설치된 작동레버로서 필터에 부착된 먼지털이가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필터의 여과면적을 확보하여 효율적인 미세먼지를 포집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부에 탈착가능한 덮개 내부에 공기를 강제흡입시키기 위한 송풍팬 및 하우징이 구비된 헤드와, 상기 헤드의 하부에 설치되는 드럼 본체와, 상기 드럼본체의 내부에 외부로부터 공기흡입에 의한 쓰레기를 수집하기 위한 수거백이 구비되고, 내측 상부에는 미세먼지를 여과하는 필터가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 연결되며, 개방된 상단에 플랜지가 구비되어 드럼 본체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저부에 마련된 지지고리에 일단이 관통 설치되어 필터를 상하로 흔드는 작동레버가 외부로부터 관통 설치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저부에 각각 원통형으로 함몰된 포켓이 다수개 하향지게 형성되는 한편, 포켓이 형성된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 포켓의 상부와 하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끈이 하나 이상 배열되어 부착되고, 상기 상부프 레임의 외측둘레에는 드럼 본체의 상부에 지지되는 지지대로부터 인장스프링이 다수개 연결 설치되어 상부프레임을 포함하는 필터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원통형의 하부에 각각 다수개의 포켓이 하향지게 형성하여 여과면적을 대폭 늘림과 동시에,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은 상하 서로 간섭없이 대응되는 위치에서 필터의 포켓부분 상하측을 고정끈으로서 고정함으로써, 작동레버를 이용한 하부프레임을 흔들게 되면, 필터의 움직임는 범위가 크게 작동하여 외표면에 달라붙은 먼지제거가 손쉽게 이루어져 진공청소시 여과효율을 높여 청소시간을 줄임은 물론, 송풍팬의 과부하를 방지하여 진공청소기의 사용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4는 본 고안인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주요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주요부분 작동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상부에 탈착가능한 덮개(101) 내부에 공기를 강제흡입시키기 위 한 송풍팬(10) 및 하우징이 구비된 헤드(100)와, 상기 헤드의 하부에 설치되는 드럼 본체(200)와, 상기 드럼본체의 내부에 외부로부터 공기흡입에 의한 쓰레기를 수집하기 위한 수거백(30)이 구비되고, 내측 상부에는 미세먼지를 여과하는 필터(40)가 상부프레임(50)과 하부프레임(60)에 연결되며, 개방된 상단에 플랜지(42)가 구비되어 드럼 본체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하부프레임(60)의 저부에 마련된 지지고리(61)에 일단이 관통 설치되어 필터를 상하로 흔드는 작동레버(70)가 외부로부터 관통 설치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40)는 저부에 각각 원통형으로 함몰된 포켓(43)이 다수개 하향지게 형성되는 한편, 포켓(43)이 형성된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상부프레임(50)과 하부프레임(60)에 포켓(40)의 상부와 하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끈(45)이 하나 이상 배열되어 부착되고, 상기 상부프레임(50)의 외측둘레에는 드럼 본체(200)의 상부에 지지되는 지지대(201)로부터 인장스프링(80)이 다수개 연결 설치되어 상부프레임(50)을 포함한 필터(4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포켓(40)에는 상부프레임(50)에 일단을 걸어 지지하고, 하부프레임(60)과 상부프레임(50) 사이에 탄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90)이 각각 안내 설치된다.
상기 상부프레임(50) 및 하부프레임(60)은 각기 다른 직경의 지지링(52,62)이 동심원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지지링(52,62)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지지봉(53,63)을 다방향으로 교차하여 부착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1은 하우징에 마련된 공기배출구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진공청소기의 필터의 장착 사용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기술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헤드(100)측의 하우징(20) 내에 설치된 송풍팬(10)의 구동으로서 강제흡입이 이루어지고, 여기서 흡입판을 통해 어느 정도 크기가 있는 쓰레기는 드럼 본체(200) 내의 수거백(30)에 수거가 이루어지고, 그 상부측 필터(40)를 통해서는 미세먼지가 여과되어 드럼 본체(200) 내에 포집되고, 필터를 통과한 순수 공기는 상기 하우징(20)측 공기배출구(21)를 통해 외부로 환원된다.
본 고안에 따른 필터(40)는 저부에 각각 원통형으로 함몰된 포켓(43)이 다수개 하향지게 형성되어 있는 이유에서 종래의 필터 형상구조에 비해 여과면적을 넓어 미세먼지 여과효율이 높다.
한편, 진공청소기를 오랜 시간 사용하다 보면, 본 고안에 따른 필터(40) 외측면에도 먼지가 부착되어 쉽게 떨어지지는 않는바, 드럼 본체(200)의 외측으로부터 관통 설치된 작동레버(70)를 쥐고 흔들어 주면, 하부프레임(60)측 지지고리(61)를 기준으로 하부프레임(60)을 흔들게 된다.
이는 하부프레임(60)과 상부프레임(50)측 지지링(52,62) 및 지지봉(53,63)에 고정끈(45)으로 묶음 고정된 필터(40) 또한 상하로 유동되면서 그 외표면에 달라붙은 먼지를 손쉽게 털어낼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프레임(60)과 상부프레임(50) 사이에 위치한 필터(40)는 하부프레임(60)이 상부프레임(50)과 상호 간섭됨이 없이 대응되게 위치되어 있는 이유에서 포켓(43)을 흔드는 여유 폭이 기존의 필터에 비해 작동이 크기 때문에 쉽게 먼지가 떨어져 나가게 된다.
상기 상부프레임(50)은 드럼 본체(200)측의 지지대(201)에 인장스프링(80)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어, 필터를 흔드는 효과가 배가되어 필터(40)에 달라붙은 먼지털이가 훨씬 수월해 진다.
또한, 일 예로 상기 상부프레임(50)에 일단이 고정되고, 각각의 포켓(43) 내부에 위치한 코일스프링(90)은 필터(40)의 포켓(43) 형상은 그대로 유지시키면서 탄발력을 제공함으로써 먼지가 쉽게 털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손쉬운 먼지털이는 그만큼 필터의 여과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진공청소시 공기의 흡입조건과 미세먼지의 여과조건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따른다.
상기와 같은 이점은 진공청소 또한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으며, 송풍팬에 발생할 수 있는 과부하를 해결해 줌으로써 잔고장 없이 진공청소기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드럼방식의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종래 진공청소기의 주요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주요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주요부분 작동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송풍팬 20: 하우징
30: 수거백 40: 필터
43: 포켓 45: 고정끈
50: 상부프레임 60: 하부프레임
70: 작동레버 80: 인장스프링
90: 코일스프링 100: 헤드
101: 덮개 200: 드럼 본체
201: 지지대

Claims (3)

  1. 상부에 탈착가능한 덮개(101) 내부에 공기를 강제흡입시키기 위한 송풍팬(10) 및 하우징이 구비된 헤드(100)와, 상기 헤드의 하부에 설치되는 드럼 본체(200)와, 상기 드럼본체의 내부에 외부로부터 공기흡입에 의한 쓰레기를 수집하기 위한 수거백(30)이 구비되고, 내측 상부에는 미세먼지를 여과하는 필터(40)가 상부프레임(50)과 하부프레임(60)에 연결되며, 개방된 상단에 플랜지(42)가 구비되어 드럼 본체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하부프레임(60)의 저부에 마련된 지지고리(61)에 일단이 관통 설치되어 필터를 상하로 흔드는 작동레버(70)가 외부로부터 관통 설치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40)는 저부에 각각 원통형으로 함몰된 포켓(43)이 다수개 하향지게 형성되는 한편, 포켓(43)이 형성된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상부프레임(50)과 하부프레임(60)에 포켓(40)의 상부와 하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끈(45)이 하나 이상 배열되어 부착되고, 상기 상부프레임(50)의 외측둘레에는 드럼 본체(200)의 상부에 지지되는 지지대(201)로부터 인장스프링(80)이 다수개 연결 설치되어 상부프레임(50)을 포함한 필터(4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제거가 용이한 진공청소기의 필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40)에는 상부프레임(50)에 일단을 걸어 지지하고, 하부프레임(60)과 상부프레임(50) 사이에 탄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90)이 각각 안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제거가 용이한 진공청소기의 필터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50) 및 하부프레임(60)은 각기 다른 직경의 지지링(52,62)이 동심원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지지링(52,62)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지지봉(53,63)을 다방향으로 교차하여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제거가 용이한 진공청소기의 필터구조.
KR2020090009395U 2009-07-20 2009-07-20 먼지제거가 용이한 진공청소기의 필터구조 KR201100008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395U KR20110000865U (ko) 2009-07-20 2009-07-20 먼지제거가 용이한 진공청소기의 필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395U KR20110000865U (ko) 2009-07-20 2009-07-20 먼지제거가 용이한 진공청소기의 필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865U true KR20110000865U (ko) 2011-01-27

Family

ID=44205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395U KR20110000865U (ko) 2009-07-20 2009-07-20 먼지제거가 용이한 진공청소기의 필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0865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270B1 (ko) * 2011-02-10 2014-01-08 김재홍 진공청소기
KR101345222B1 (ko) * 2012-04-12 2014-01-15 김근식 먼지털이장치가 구비된 산업진공청소기
KR101833162B1 (ko) * 2017-01-03 2018-02-28 김범주 연속 필터청소기능이 구비된 집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270B1 (ko) * 2011-02-10 2014-01-08 김재홍 진공청소기
KR101345222B1 (ko) * 2012-04-12 2014-01-15 김근식 먼지털이장치가 구비된 산업진공청소기
KR101833162B1 (ko) * 2017-01-03 2018-02-28 김범주 연속 필터청소기능이 구비된 집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5802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RU2182457C1 (ru) Пылесобир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циклонного типа для вакуумного пылесоса
US8591615B2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having function of removing dust detached from filter
KR100647195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RU2423066C2 (ru) Устройство очистки фильтра пылесоса
JP4390738B2 (ja) 空気清浄機
RU2003117801A (ru) Пылеулавл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циклонного типа для пылесоса
KR102498701B1 (ko) 사이클론과 필터백을 이용한 초음파 탈진구조의 멀티집진장치
JP2005204880A (ja) 電気掃除機及びその集塵装置
KR101345222B1 (ko) 먼지털이장치가 구비된 산업진공청소기
KR20130063655A (ko) 자동필터 구조를 갖는 산업진공청소기
RU2258451C1 (ru) Пылесос вертикального типа (варианты)
KR200490878Y1 (ko) 이동식 집진장치
CN1502294A (zh) 真空吸尘器用集尘过滤器及带有该过滤器的真空吸尘器
KR20110000865U (ko) 먼지제거가 용이한 진공청소기의 필터구조
JP2006043561A (ja) 集塵装置
KR100485717B1 (ko) 진공청소기용 필터 조립체
JP2008253376A (ja) 遠心力集塵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2006346141A (ja) 電気掃除機
CN112473262A (zh) 一种环保脉冲式布袋除尘器
US1946665A (en) Dust separator
KR100662644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CN102475523A (zh) 具有自清洁过滤器的集尘装置
KR100657923B1 (ko) 진공청소기용 싸이클론식 집진유니트
JP2008207085A (ja) 遠心力集塵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