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852A - The jumping robot of jumping mechanism - Google Patents
The jumping robot of jumping mechanis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00852A KR20110000852A KR1020090058151A KR20090058151A KR20110000852A KR 20110000852 A KR20110000852 A KR 20110000852A KR 1020090058151 A KR1020090058151 A KR 1020090058151A KR 20090058151 A KR20090058151 A KR 20090058151A KR 20110000852 A KR20110000852 A KR 201100008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umping
- gear
- wire
- main body
- sp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5—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using batteries, e.g. as a back-up power sour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cables, chains or ribb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7/00—Vehicles characterised by having other propulsion or other ground- engaging means than wheels or endless track, alone or in addition to wheels or endless track
- B62D57/02—Vehicles characterised by having other propulsion or other ground- engaging means than wheels or endless track, alone or in addition to wheels or endless track with ground-engaging propulsion means, e.g. walking members
- B62D57/028—Vehicles characterised by having other propulsion or other ground- engaging means than wheels or endless track, alone or in addition to wheels or endless track with ground-engaging propulsion means, e.g. walking members having wheels and mechanical leg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1/00—Robots
- Y10S901/01—Mobile rob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oy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장애물 감지한 후, 그 장애물을 점핑하여 넘을 수 있는 와이어 구동형 점핑레그부를 통한 점핑로봇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umping robot through a wire-driven jumping leg that can jump over the obstacle after sensing the obstacle.
일반적으로 특정 목적지에 주행을 하거나 또는 청소를 하는 로봇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본체 일측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청소영역과 장애물들을 감지하고, 그 청소영역을 주행하며 자동으로 청소를 한다.In general, a robot traveling or cleaning to a specific destination detects a cleaning area and obstacles by using a senso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ler, and runs the cleaning area to clean automatically.
하지만, 주행도중 계단이나 턱과 같은 장애물이 감지되었을 경우에는 회피모드로 구동되어 장애물 주위를 돌아서 주행하므로, 전력소비가 많아지고, 특정구역만이 청소를 하게끔 설정되어 있어, 문턱이나 계단과 같은 장애물이 있는 구역은 청소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an obstacle such as a stairway or a chin is detected during driving, it is driven in the avoidance mode and travels around the obstacle, thus increasing power consumption and cleaning only a specific area. This area had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clea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점핑로봇이 제시된 바 있으나, 이는 기어 연동시 모터 축이 고정되어 있어, 점핑 높이를 자유자재로 조절하기가 어 렵고, 기존의 점핑로봇이 액츄에이터 방식으로 구동됨으로 인해, 무게가 무겁고, 배터리 소비가 많아, 자주 충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conventional jumping robot has been proposed, but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jumping height freely because the motor shaft is fixed when the gear is interlocked, and the existing jumping robot is driven by the actuator method. Heavy, heavy battery consumption, had to be frequently charged.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로봇의 점핑 높이를 장애물의 종류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어할 수 있고, 와이어를 통한 점핑스프링의 점핑력과 점핑레그부의 바닥방향 지지력에 의해 구동됨으로서, 동력의 전달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무게가 가볍고, 배터리 소비가 낮은 점핑로봇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와이어 구동형 점핑레그부를 통한 점핑로봇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jumping height of the robot can be customized according to the type of obstacle, and is driven by the jumping force of the jumping spring through the wire and the bottom supporting force of the jumping leg part, thereby transmitting pow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umping robot through a wire-driven jumping leg part that can be freely adjusted, and above all, a light weight, low battery consumption jumping robot can be easily manufacture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주행하다가 전방에 계단이나 턱으로 이루어진 장애물을 감지한 후, 그 장애물을 뛰어넘도록 점핑하는 점핑로봇으로 이루어지고,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made of a jumping robot that jumps to jump over the obstacle after sensing the obstacle consisting of stairs or jaws in the front,
상기 점핑로봇은 구동모터와 구동기어를 통해 구동되어 이륜바퀴로 전,후, 좌, 우로 주행하는 드럼형상의 본체와,The jumping robot is driven through a drive motor and a drive gear, and a drum-shaped main body traveling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by a two-wheeled wheel,
본체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어, 전방에 계단이나 턱으로 이루어진 장애물을 감지하는 센서부와,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ont of the main body, the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obstacle consisting of stairs or jaws in front,
본체 후단 바닥면에 설치되어, 각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와,Battery unit which is installed in bottom bottom of the body, and supplies power to each apparatus,
배터리부 하단에 설치되어, 각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A control unit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attery unit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device;
본체의 중앙에 설치되고, 제어부의 제어하에 윈치모터를 통해 와이어로 감아 점핑레그부(Jumping Leg) 중앙에 장착되어 있는 점핑스프링을 인장시키고, 장애물 감지시, 와이어를 풀어 인장된 점핑스프링에 점핑력을 발생시키는 점핑력 생성부와,It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it is wound with a wire through the winch motor to tension the jumping spring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jumping leg. When the obstacle is detected, the jumping spring is released to the tensioned jumping spring. Jumping forc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본체의 후단 양측에 링크바가 좌우로 나뉘어 3축으로 연결되고, 좌측 링크바와 우측 링크바 사이에 점핑스프링이 형성되며, 점핑력 생성부를 통해 점핑스프링에 발생된 점핑력으로 본체가 장애물을 뛰어넘도록 본체를 점핑시키는 점핑레그부(Jumping Leg)로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The link bar is divided into three sides by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and a jumping spring is formed between the left link bar and the right link bar, and the main body jumps over obstacles by the jumping force generated in the jumping spring through the jumping force generating unit. It is achieved by consisting of a jumping leg (Jumping Leg) for jumping.
이상에서 본 발명에서는 로봇의 점핑을 위한 동력의 전달을 별도의 액추에이터 없이 와이어를 통한 점핑스프링의 점핑력과 점핑레그부의 바닥방향 지지력에 의해 점핑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무게가 가벼워 계단이나 턱의 장애물을 손쉽게 점핑할 수 있으며, 배터리 소비가 낮은 좋은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height of the jump by the jumping force of the jumping spring through the wire and the bottom support force of the jumping leg portion without a separate actuator to transfer the power for the jumping of the robot, the weight is light, obstacles of stairs or jaws It is easy to jump, and has a good effect with low battery consump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발명에 따른 와이어 구동형 점핑레그부를 통한 점핑로봇을 도시한 후면사시도에 관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구동형 점핑레그부를 통한 점핑로봇을 도시한 정면사시도에 관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구동형 점핑레그부를 통한 점핑로봇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본체(10), 센서부(20), 배터리부(30), 제어부(40), 점핑력 생성부(50), 점핑레그부(60)로 구성된다.1 relates to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jumping robot through a wire driven jumping leg part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jumping robot through a wire driven jumping le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jumping robot through the wire-driven jumping le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the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점핑로봇의 본체(10)에 관해 설명한다.First, the
상기 본체(10)는 드럼형상으로 이루어져, 각 기기를 지지하는 곳으로, 이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가팅, 좌우 양측에 원통형상의 주행바퀴(11)가 구성되고, 주행바퀴 일측에 구동모터(12)와 구동기어(13)가 각각 구성되며, 본체의 주행방향 선단 일측에 장애물을 감지하는 센서부(20)가 구성되고, 본체의 후면 하단쪽에 배터리부(30)가 내장되고, 그 배터리부 일측에 제어부(40)가 구성된다.The
그리고, 본체의 후단에 양팔로 나란히 뻗은 형상을 갖는 점핑레그부(60)가 구성되고, 점핑레그부의 중앙에 점핑스프링이 내장된 박스형상의 점핑스프링 박스부(65)가 구성된다.Then, a
점핑스프링 박스부(65)의 점핑스프링과 연결된 와이어가 배터리부의 상단 중앙에 점핑력생성부의 와이어 감김롤러와 연결되고, 와이어 감김롤러와 동일한 축 선상에 와이어휠기어가 구성되고, 와이어휠기어에 모터기어, 연동기어, 래치핀이 상호 맞물려 구성된다. The wire connected to the jumping spring of the jumping
그리고, 와이어휠기어, 모터기어, 연동기어, 래치핀은 본체의 좌측 원형지지판(14a)에 지지되어 구성된다.The wire wheel gear, the motor gear, the interlock gear, and the latch pin are supported by the left
본 발명에 따른 본체는 가볍고 내구성이 강한 알루미늄 합금재질로 이루어진다.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light and durable aluminum alloy material.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점핑로봇의 센서부(20)에 관해 설명한다.Next, the
상기 센서부(20)는 본체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어, 전방에 계단이나 턱으로 이루어진 장애물을 감지하는 곳으로, 이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울트라 소닉센서부(21), 제1 PSD 센서부(22), 제2 PSD 센서부(23)로 구성된다.The
상기 울트라 소닉센서부(21)는 점핑로봇이 물체를 감지하고 제1 장애물(가구나 냉장고 등 높은 위치를 갖는 장애물)을 피하며 5cm ~ 50cm 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이는 본체의 주행 방향 전면에 구성된다.The ultra
상기 제1 PSD(Position Sensing Device)센서부(22)와, 제2 PSD(Position Sensing Device)센서부(23)는 적외선 삼각측량 방식으로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이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렌즈, 1차원 CCD 센서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된다.The first PSD (Position Sensing Devic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PSD(Position Sensing Device)센서부(22)는 점핑로봇의 주행시 좌우 측면의 벽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곳으로, 이는 주행바퀴 측면 일측에 구성된 원반지지판의 전면방향에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PSD (Position Sensing Device)
상기 제2 PSD(Position Sensing Device)센서부(23)는 점핑로봇의 주행시 계단이나 턱과 같은 제2 장애물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곳으로, 이는 울트라 소닉센서부의 하단부에 구성된다.The second PSD (Position Sensing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울트라 소닉센서부, 제1 PSD 센서부, 제2 PSD 센서부에서 측정된 센서값은 마이컴 제어부로 전송된다.The sensor values measured by the ultra sonic sensor unit, the first PSD sensor unit, and the second PSD sensor unit are transmitted to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점핑로봇의 배터리부(30)에 관해 설명한다.Next, the
상기 배터리부(30)는 본체 후단 바닥면에 설치되어, 각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곳으로, 이는 5V 전용 충전 배터리(31)로 구성된다.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부(30)는 배터리 충전부(300)가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배터리 충전부(300)는 주행바퀴의 회전운동을 전기에너지로 바꾸어 충전배터리를 충전시키는 곳으로, 이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로테이터부(310), 정류회로부(320), 충전회로부(330), 충전컨넥터(340)로 구성된다.The
로테이터부(310)는 주행보조바퀴에 연결되어 주행보조바퀴의 회전에 의한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The
정류회로부(320)는 로테이터에서 발생된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한다.The rectifier circuit 320 serves to change the AC current generated by the rotator into a DC current.
충전회로부(330)는 정류회로부에서 출력된 직류를 축전지에 충전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charging circuit unit 330 serves to charge the direct current output from the rectifier circuit unit to the storage battery.
충전컨넥터(340)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충전회로부에서 충전된 축전지의 충전전압을 충전배터리(31)에 공급해주는 역할을 한다.The
즉, 주행바퀴의 회전에 의해 로테이터로부터 교류전류가 발생하고, 이에 정류회로에서 직류전류로의 변환이 이루어지고, 직류전류의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That is, the alternating current is generated from the rotator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 the conversion of the rectifying circuit to the direct current, and the charging of the direct current.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점핑로봇의 제어부(40)에 관해 설명한다.Next, the
상기 제어부(40)는 배터리부 일측에 설치되어, 각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곳으로, 이는 PIC 원칩 마이컴인 PIC16C711로 구성된다.The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4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점핑로봇의 주행바퀴를 통해 구동신호가 입력되면, 울트라 소닉센서부를 제어하여 점핑로봇이 물체를 감지하고 가구나 냉장고와 같은 높은 위치를 갖는 제1장애물을 피하며 5cm ~ 50cm 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움직임을 체크하고, 제1 PSD 센서부를 제어하여 좌우 측면의 벽을 체크한 후, 회피 또는 충돌할지를 판단하고, 회피시에는 전방의 제1 장애물로부터 일정거리까지 전진한 후 주행바퀴 중 좌측바퀴와 우측바퀴의 주행방향을 서로 반대로 주행하여 방향전환을 통해 제1 장애물을 회피시키도록 제어한다. As shown in FIG. 4, when the driving signal is input through the driving wheel of the jumping robot, the
또한, 충돌시에는 전방의 제1 장애물로부터 일정거리까지 전진한 후 좌측바퀴와 우측바퀴의 구동속도를 감속시켜 저속으로 전방의 제1 장애물과 충돌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during the collision, the vehicle is advanced to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obstacle in front of the vehicle, and then the driving speeds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are decelerated to control the collision with the first obstacle at the low speed.
그리고, 제2 PSD 센서부를 제어하여, 점핑로봇의 주행시 계단이나 턱과 같은 제2 장애물을 체크한 후, 회피 또는 점핑할지를 판단하고, 윈치모터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래치핀을 우측방향으로 유동시켜 와이어휠기어와 모터기어사이에 상호 맞물림 결합된 연동기어의 선단기어를 원판지지판 일측에 형성된 호형상의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탈시키도록 제어한다.Then, the second PSD sensor unit is controlled to check the second obstacle such as the stairway or the jaw when the jumping robot is driven, determine whether to avoid or jump, rotate the winch motor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rotate the latch pin to the right direction. The front gear of the interlocking gear meshed between the wire wheel gear and the motor gear is moved to move along the arc-shaped guide line formed on one side of the disc support plate.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40)는 울트라 소닉센서부(21)와, 제1 PSD 센서부(22), 제2 PSD 센서부(23)를 통해 제1장애물 또는 제2장애물을 감지할 경우에 회피 또는 충돌, 그리고, 점핑할지를 판단하고, 주행바퀴의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감속제어를 하거나, 또는 원치모터의 회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래치핀을 우측방향으로 유동시켜 와이어휠기어와 모터기어 사이에 상호 맞물림 결합된 연동기어가 이탈되도록 하기 위해 다음의 표1과 같은 6가지 명령어 세트로 구성된다.That is, the
즉, Forward 명령어는 제1장애물과 충돌할 때까지 수행되고, RT 명령어는 점핑로봇의 왼쪽과 정면, LT 명령어는 점핑로봇의 오른쪽과 정면에 장애물이 있을시 수행된다.That is, the Forward command is executed until it collides with the first obstacle, and the RT instruction is executed when there are obstacles on the left and front sides of the jumping robot and the LT instruction is on the right and front sides of the jumping robot.
또한 RT 명령어와 LT 명령어는 점핑로봇의 이동 방향에 따라 정면 충돌만 있을 시에도 수행된다.In addition, RT and LT commands are executed even when there is only a frontal collision depending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jumping robot.
그리고, BRT 명령어는 LT 명령어로 주행할 방향에 장애물이 있다면 장애물을 피할 때까지 되돌아간 후 RT 명령어를 수행한다.If there is an obstacl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T command is to be driven, the BRT instruction returns until the obstacle is avoided and then performs the RT instruction.
또한, BLT 명렁어는 BRT 명령어와 반대로 RT 할 방향에 장애물이 있다면 장애물을 피할때 까지 되돌아간 후 LT명령어를 수행한다.In addition, if there is an obstacle in the direction to RT in contrast to the BRT command, the BLT commander returns to it until the obstacle is avoided and executes the LT command.
JP-1 명령어는 점핑스프링에 30N/m~80N/m의 점핑력이 발생되도록 미리 설정하고, 설정된 점핑력에 따라 1cm~3cm의 높이를 갖는 제2장애물을 점핑하기 위한 제1점핑모드 구동 명령을 수행한다.The JP-1 command is a first jumping mode driving command for presetting a jumping force of 30 N / m to 80 N / m to the jumping spring and jumping a second obstacle having a height of 1 cm to 3 cm according to the set jumping force. Do this.
JP-2 명령어는 점핑스프링에 80N/m~150N/m의 점핑력이 발생되도록 미리 설정하고, 설정된 점핑력에 따라 4cm~6cm의 높이를 갖는 제2장애물을 점핑하기 위한 제2점핑모드 구동 명령을 수행한다.The JP-2 command sets a jump force of 80 N / m to 150 N / m to the jumping spring in advance, and a second jump mode driving command for jumping a second obstacle having a height of 4 cm to 6 cm according to the set jumping force. Do this.
JP-3 명령어는 점핑스프링에 150N/m~210N/m의 점핑력이 발생되도록 미리 설정하고, 설정된 점핑력에 따라 6cm~10cm의 높이를 갖는 제2장애물을 점핑하기 위한 제3점핑모드 구동 명령을 수행한다.The JP-3 command is a preset jumping mode driving command for generating a jumping force of 150 N / m to 210 N / m in the jumping spring and jumping a second obstacle having a height of 6 cm to 10 cm according to the set jumping force. Do this.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점핑로봇의 점핑력 생성부(50)에 관해 설명한다.Next, the jumping
상기 점핑력 생성부(50)는 본체의 후단 양측에 링크바가 좌우로 나뉘어 링크핀에 의해 축 결합되고, 좌측 링크바와 우측 링크바 사이에 점핑스프링이 형성되며, 점핑력 생성부를 통해 점핑스프링에 발생된 점핑력으로 본체가 장애물을 뛰어넘도록 본체를 점핑시키는 곳으로, 이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기어(51), 연동기어(52), 와이어휠기어(53), 래치핀(54), 와이어 감김롤러(55)로 구성된다.The jumping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모터기어(51), 연동기어(52), 와이어휠기어(53), 래치핀(54)은 구동바퀴와 좌측 원형지지판(14a) 사이에 구성되고, 와이어 감김롤러(55)는 와이어휠기어와 동일선상의 축으로 연결되어, 본체의 후단 중앙에 구성된다.Then, the
상기 모터기어(51)는 배터리부 후단에 설치된 윈치모터(50a)과 동일선상의 축으로 연결되어, 원치모터의 정역방향 회전력을 전달받아 연동기어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곳으로, 이는 원치모터(50a)가 동일선상의 축으로 연결되고, 상단방향에 연동기어와 상호 맞물림 결합된다.The
상기 연동기어(52)는 모터기어의 상단에 위치하고, 두개의 기어가 일렬로 나란히 구성되며, 후단기어쪽에 모터기어와 와이어휠 기어가 상호 맞물림 결합되어 모터기어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와이어휠 기어쪽으로 전달하고, 선단기어(52a)쪽에 래치핀이 상호 맞물림 결합되어 모터기어로부터 전달받은 정방향 회전력을 래치핀으로 전달하여, 래치핀을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유동시키고, 래치핀 헤드부의 강한 임팩트에 의해 와이어휠기어와 모터기어 사이의 상호 맞물림 결합이 안내레일홈을 따라 이탈되다가, 제1 탄성스프링(52c)의 복원력에 의해 안내레일홈을 따라 정위치로 복귀된다.The interlocking
이는 래치핀이 접촉되는 선단기어(52a)와, 와이어휠기어와 모터기어 사이에 상호 맞물림 결합되는 후단기어(52b)가 하나의 축(52-1)에 일렬로 나란히 연결되어 구성된다.This is composed of a
본 발명에 따른 연동기어(52)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 후단에 위치한 좌측 원형 지지판(14a)에 호형상의 안내레일홈(14a-1)이 형성되고, 연동기어의 축 끝단과 안내레일홈의 상단 일측 고정홀 사이에 안내레일홈(14a-1)을 따라 안내된 연동기어(52)를 와이어휠기어와 모터기어 사이에 정위치되도록 복원시키는 제1 탄성스프링(52c)이 형성된다.As illustrated in FIG. 8, the interlocking
여기서, 안내레일홈(14a-1)은 연동기어가 래치핀 헤드부의 강한 임팩트에 의해 와이어휠기어와 모터기어 사이에서 이탈될 때, 안내레일홈을 따라 안내레일홈의 상단까지 이탈되다가, 다시 안내레일홈을 따라 제1 탄성스프링(52c)의 복원력에 의해 와이어휠기어와 모터기어 사이에 정위치되는 위치인 안내레일홈의 하단까지 내려와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Here, the
그리고, 제1 탄성스프링(52c)은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이 연동기어 축(52-1) 끝단에 연결되고, 후단이 원형지지판(14a)에 고정 설치되어, 안내레일홈의 상단까지 이탈된 연동기어를 와이어휠기어와 모터기어 사이에 정위치되도록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And, as shown in Figure 11, the first
상기 와이어휠기어(53)는 와이어 감김롤러와 동일선상의 축으로 연결되어, 연동기어의 후단 기어 좌측과 상호 맞물림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와이어 감김롤러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와이어를 감고, 와이어 감김롤러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와이어를 풀어주는 역할을 하는 곳으로, 이는 동일선상의 축 중앙에 형성된 와이어 감김롤러가 연결되고, 우측에 연동기어의 후단기어가 상호 맞물림 결합된다.The
상기 래치핀(54)은 연동기어의 선단기어와 상호 맞물림 결합되어 연동기어의 선단기어로부터 정방향 회전력을 전달받아 연동기어의 선단기어 반대방향으로 유동되고, 장애물 감지시, 제어부의 제어하에 역방향 회전력을 전달받아 연동기어의 선단기어방향쪽으로 강한 임팩트를 가하여 와이어휠기어와 모터기어 사이에 상호 맞물림 결합된 연동기어의 선단기어를 원판지지판 일측에 형성된 호형상의 안내레일홈을 따라 이탈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본 발명에 따른 래치핀(54)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동기어의 선단기어와 접촉되는 헤드 부위(54a)가 삼각의 각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선단 일측에 원형지지판에 연결된 제2 탄성스프링(54b)이 설치된다.As shown in FIG. 5, the
그리고, 래치핀(54)은 하단에 연결된 동일선상의 회전축에 임팩트생성모터(54c)가 구성된다.And, the
여기서, 임팩트생성모터(54c)는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핀 하단에 동일선상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래치핀이 연동기어의 선단기어로부터 정방향 회전력을 전달받아 연동기어의 선단기어 반대방향으로 유동되면, 구동을 멈추고, 장애물 감지시, 래치핀에 제어부의 제어하에 연동기어의 선단기어로부터 역방향 회전력을 전달받으면, 래치핀을 역회전시켜 래치핀(54)의 회전축을 회전시킨다.Here, the
그리고,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핀(54)의 회전축이 회전되면, 래치핀 상단에 연결된 제2 탄성스프링을 연동기어의 선단기어 반대방향으로 1차 인장시키고, 제어부의 제어하에 인장된 제2 탄성스프링을 풀어 래치핀의 헤드부에 강한 임팩트를 생성시킨다.As shown in FIG. 10, when the rotation shaft of the
이때, 임팩트생성모터(54c)를 통해 래치핀의 헤드부에 강한 임팩트는 30N/m~80N/m의 탄성계수를 갖도록 제어부에 미리 설정된다. 여기서, 래치핀 헤드부의 탄성계수는 래치핀의 무게와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설계할 수가 있다.At this time, a strong impact on the head portion of the latch pin through the
그리고, 래치핀은 삼각의 각진 형상으로 형성된 헤드부(54a)가 연동기어의 선단기어 이 일측에 1:1 면접촉되고, 선단 일측에 연결된 제2 탄성스프링(54b)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In addition, the latch pin has a triangular angular shape of the head portion 54a,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end gear of the interlocking gear 1: 1 at one side,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econd
여기서, 제2 탄성스프링(54b)은 연동기어의 선단기어로부터 정방향 회전력을 전달받아 래치핀 헤드가 좌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탄력성있게 '탁탁탁' 소리를 내면서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Here, the second elastic spring (54b) receives the forward rotational force from the front end gear of the interlocking gear to act as a latch pin head to the left to flow in a sequentially 'tapped' sound.
또한 제2 탄성스프링(54b)은 임팩트생성모터(54c)을 통해 래치핀(54)의 회전축이 회전되면, 연동기어의 선단기어 반대방향으로 1차 인장시키고, 제어부의 제어하에 인장된 제2 탄성스프링을 풀어 래치핀의 헤드부에 강한 임팩트를 생성시킨다.In addition, when the rotation axis of the
이때, 래치핀은 와이어휠기어와 모터기어 사이에 상호 맞물림 결합된 연동기어의 선단기어에 강한 임팩트를 가하여 연동기어의 선단기어를 원판지지판 일측에 형성된 호형상의 안내레일홈(14a-1)을 따라 이탈시킨다.At this time, the latch pin applies a strong impact to the front end gear of the interlocking gear engaged between the wire wheel gear and the motor gear to form an arc-shaped
상기 와이어 감김롤러(55)는 와이어휠기어와 동일선상의 축으로 연결되어, 와이어로 감아 점핑레그부(Jumping Leg) 중앙에 장착되어 있는 점핑스프링을 인장시키고, 장애물 감지시, 감겨진 와이어를 풀어 인장된 점핑스프링에 점핑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곳으로, 이는 와이어휠기어와 동일선상의 축 중앙에 구성된다.The
그리고, 와이어감김롤러에 두 개의 와이어(55a)가 연결되어 감김동작을 하면서 점핑스프링을 인장시키고, 풀림 동작을 하면서 감겨진 와이어를 풀어 인장된 점핑스프링에 점핑력을 발생시킨다.Then, two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점핑로봇의 점핑레그부(Jumping Leg)(60)에 관해 설명한다.Next, a jumping
상기 점핑레그부(Jumping Leg)(60)는 본체의 후단 양측에 링크바가 좌우로 나뉘어 3축으로 연결되고, 좌측 링크바와 우측 링크바 사이에 점핑스프링이 형성되며, 점핑력 생성부를 통해 점핑스프링에 발생된 점핑력으로 본체가 장애물을 뛰어넘도록 본체를 점핑시키는 곳으로, 이는 좌측점핑링크바(61), 좌측 레그부(62), 우측점링링크바(63), 우측 레그부(64), 점핑스프링 박스부(65)로 구성된다.The jumping
상기 좌측점핑링크바(61)는 선단부가 본체의 원형 지지판 좌측에 형성된 제1 링크핀(61-1)에 1차축 결합되고, 후단부가 본체의 후단에 형성된 좌측 레그부의 제2 링크핀(62-1)에 2차축 결합되어, 점핑스프링의 점핑력과 레그부의 바닥방향 지지력을 전달받아 본체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left
본 발명에 따른 좌측점핑링크바(61)는 도 4 및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링크핀(61-1)에 결합되고, 선단 부위가 좌측 원형지지판에 고정된 제3 탄성스프링(61a)과 연결되어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and FIG. 4, the left
여기서, 제3 탄성스프링(61a)은 상단부가 좌측 원형 지지판에 상단 일측에 형성된 고정홀(14a-2)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좌측점핑링크바 선단과 연결된다.Here, the third
그리고, 제3 탄성스프링(61a)은 점핑레그부 중앙에 장착되어 있는 점핑스프링이 인장되면, 제3 탄성스프링 또한 인장되고, 인장된 점핑스프링이 풀어져 좌우측 레그부에 점핑력이 발생되면, 제3 탄성스프링 또한 급속한 복원력에 의해 본체의 좌측 방향으로 보조점핑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When the jumping spring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jumping leg is tensioned, the third
상기 좌측 레그부(62)는 일측이 좌측 점핑링크바(61)와 제2 링크핀(62-1)에 의해 2차축 결합되고, 타측이 점핑스프링이 연결된 이음바(65a)를 통해 우측 점핑링크바(64)와 연결되며, 본체로 전달되는 점핑스프링의 점핑력으로 인해 본체가 점프시 외압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좌측 바닥방향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본 발명에 따른 좌측 레그부(62)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과 접촉되는 부위에 주행보조바퀴(62a)가 연결되어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상기 우측 점핑링크바(63)는 선단부가 본체의 원형 지지판 우측에 형성된 제3 링크핀(63-1)에 결합되고, 후단부가 본체의 후단에 형성된 우측 레그부의 제4 링크핀(64-1)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점핑스프링의 점핑력과 레그부의 바닥방향 지지력을 전달받아 본체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right jumping link bar 63 has a front end coupled to a third link pin 63-1 formed at the right side of the circular support plate of the main body, and a rear end of the fourth link pin 64-1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It is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receives the jumping force of the jumping spring and the bottom portion of the leg portion of the supporting force to serve to transfer to the body.
본 발명에 따른 우측점핑링크바(63)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4링크핀(64-1)에 결합되는 선단 부위가 우측 원형지지판에 고정된 제4 탄성스프링(63a)과 연결되어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right jumping link bar 6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fourth
여기서, 제4 탄성스프링(63a)은 상단부가 좌측 원형 지지판에 상단 일측에 형성된 고정홀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우측점핑링크바 선단과 연결된다.Here, the fourth elastic spring (63a) is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fixing hole formed in the upper side on the left circular support plate,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tip of the right jumping link bar.
그리고, 제4 탄성스프링(63a)은 점핑레그부 중앙에 장착되어 있는 점핑스프링이 인장되면, 제4 탄성스프링 또한 인장되고, 인장된 점핑스프링이 풀어져 좌우측 레그부에 점핑력이 발생되면, 제4 탄성스프링 또한 급속한 복원력에 의해 본체의 우측 방향으로 보조점핑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When the jumping spring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jumping leg is tensioned, the fourth
상기 우측 레그부(64)는 일측이 우측 점핑링크바와 제3 링크핀(64-1)에 의해 1차축 결합되고, 타측이 점핑스프링이 연결된 이음바(65a)를 통해 좌측 점핑링크바와 연결되며, 본체로 전달된 점핑스프링의 점핑력으로 인해 본체가 점프시 외압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우측 바닥방향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본 발명에 따른 우측 레그부(64)는 도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과 접촉되는 부위에 주행보조바퀴(62a)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점핑스프링 박스부(65)는 좌측 레그부(62)와 우측 레그부(64) 사이에 형성된 이음바 중간에 사각박스가 설치되고, 그 사각박스 내부에 복수개의 점프 스프링이 설치되며, 선단방향에 형성된 점핑생성부의 와이어 감김롤러에 와이어가 감기면, 점프 스프링이 인장되고, 감겨진 와이어를 풀어주면 인장된 점프 스프링(65a)에 점핑력을 발생시켜, 주위의 좌측 레그부(62), 우측레그부(64), 좌측 점핑링크바(61), 우측 점핑링크바(63)를 통해 점프스프링의 점핑력을 본체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jumping
본 발명에 따른 점핑스프링 박스부(55)는 점핑 레그부 중앙에 장착되어 있는 점핑스프링이 인장되고, 인장된 점핑스프링이 풀어져 좌우측 레그부에 점핑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jumping
그리고, 점핑스프링 박스부(55)는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점핑스프링이 구성되고, 점핑스프링의 선단이 와이어 감김롤러와 연결된 와이어가 연결되며, 점핑스프링의 후단이 내부 고정홀에 고정된다.In addition, the jumpin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구동형 점핑레그부를 통한 점핑로봇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detailed operation process of the jumping robot through the wire-driven jumping le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점핑로봇의 전체적인 동작과정][Overall Operation Process of Jumping Robot]
먼저, 본체의 주행바퀴와 주행보조바퀴를 통해 목적지 방향으로 주행한다.First, the vehicle travels in the direction of the destination through the driving wheel and the driving auxiliary wheel of the main body.
다음으로, 주행시 전방에 계단이나 턱과 같은 제2 장애물이 있으면, 제2 PSD 센서부(23)에서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제2 장애물 감지신호를 보낸다.Next, if there is a second obstacle such as a stairway or a jaw in front of the vehicle, the second
다음으로, 제어부(40)에서는 제2 PSD 센서부(23)를 통해 제2 장애물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회피 또는 충돌, 그리고, 점핑할지를 판단하고, 점핑모드를 선택한다.Next, when the second obstacle detection signal is input through the second
이때, 제어부(40)에서는 JP-2 명령어를 통해 점핑스프링에 100N/m의 점핑력이 발생되도록 미리 설정하고, 설정된 점핑력에 따라 4cmcm의 높이를 갖는 제2장애물을 점핑하기 위한 제2점핑모드 구동 명령을 수행한다.In this case, the
다음으로, 제어부에서는 주행바퀴의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감속제어를 함과 동시에 윈치모터를 제어하여 감겨진 와이어를 풀어 인장된 점핑스프링에 점핑력을 발생시킨다.Nex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e motor of the driving wheel to perform the deceleration control and at the same time to control the winch motor to release the wound wire to generate a jumping force in the tensioned jumping spring.
즉, 래치핀의 제2 탄성스프링(54b)은 연동기어의 선단기어로부터 역방향 회전력을 전달받아 인장되고, 인장된 스프링이 풀어지면서 강한 탄성력이 발생되어 연동기어의 정방향쪽으로 유동되면, 와이어휠기어와 모터기어 사이에 상호 맞물림 결합된 연동기어의 선단기어에 강한 임팩트를 가하여 연동기어의 선단기어를 원판 지지판 일측에 형성된 호형상의 안내레일홈(14a-1)을 따라 이탈시킨다.That is, the second
이때, 래치핀에 의해 연동기어가 와이어휠기어와 모터기어 사이에서 이탈되면, 와이어휠기어에서는 연동기어를 통해 정방향 회전력을 전달받지 못하므로, 와이어휠 감김롤러에 감겨진 와이어가 풀어져서 역방향 회전력이 발생된다.At this time, when the interlocking gear is separated between the wire wheel gear and the motor gear by the latch pin, the wire wheel gear does not receive the forward rotational force through the interlocking gear, so that the wire wound on the wire wheel winding roller is released and the reverse rotational force is generated. do.
그리고, 와이어가 풀어지면 인장된 점핑스프링이 복원되면서 점핑스프링 박스부(65)를 중심으로 해서 이음바(65a)쪽으로 점핑력이 발생된다.Then, when the wire is released, the tensioned jumping spring is restored, and a jumping force is generated toward the
다음으로,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점핑레그부에서 점핑력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점핑력으로 본체가 장애물을 뛰어넘도록 본체를 점핑시킨다.Next, as illustrated in FIG. 12, the main body is jumped so that the main body jumps over the obstacle by the jumping force generated through the jumping force generating unit in the jumping leg part.
즉, 점핑스프링 박스부(65)에서는 선단방향에 형성된 점핑생성부의 와이어 감김롤러에 감겨진 와이어가 풀어지면, 인장된 점핑스프링이 복원되면서 점핑스프링 박스부(65)를 중심으로 해서 이음바(65a)쪽으로 점핑력이 발생되어, 이음바 주위의 좌측 레그부, 우측레그부, 좌측점핑링크바, 우측 점핑링크바를 통해 점프 스프링의 점핑력을 본체로 전달한다.That is, in the jumping
끝으로,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 구동형 점핑레그부를 통한 점핑로봇이 점핑한 후, 주행바퀴를 통해 계속 주행하게 된다.Finally, as shown in FIG. 13, after the jumping robot jumps through the wire-driven jumping leg part, the driving wheel continues to travel.
[래치핀을 통한 연동기어의 이탈과 복귀과정][Departure and Return Process of Interlocking Gears through Latch Pins]
먼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기어(51)에서는 윈치모터(50a)로부터 정방향(시계반대방향)회전력을 전달받아 연동기어로 전달하고, 연동기어(52)에서는 모터기어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와이어휠 기어쪽으로 전달하고, 선단기어(52a)쪽에 상호 맞물림 결합된 래치핀이 연동기어의 선단기어로부터 정방향 회전력을 전달받아 래치핀 헤드가 좌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탄력성있게 '탁탁탁' 소리를 내면서 동작된다.First, as shown in FIG. 8, the
여기서, 래치핀 헤드가 좌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탄력성있게 동작된다는 것에서 좌측방향은 연동기어의 반대방향을 의미한다.Here, the left direction means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interlocking gear in that the latch pin head is resiliently operated in the left direction.
이어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하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연동기어의 선단기어쪽에 래치핀이 상호 맞물림 결합되어 모터기어로부터 전달받은 역방향 회전력을 래치핀으로 전달하고, 래치핀(54)의 임팩트생성모터가 구동되어, 래치핀 상단에 연결된 제2 탄성스프링을 연동기어의 선단기어 반대방향으로 1차 인장시키고, 제어부의 제어하에 인장된 제2 탄성스프링을 풀어 래치핀의 헤드부에 강한 임팩트를 생성시킨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9, when an obstacle is detec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ch pin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on the front end gear of the interlocking gear to transfer the reverse rotational force received from the motor gear to the latch pins. The impact generating motor of the
즉, 래치핀(54)은 하단에 동일선상의 회전축에 연결된 임팩트생성모터(54c)를 통해 래치핀이 연동기어의 선단기어로부터 정방향 회전력을 전달받아 연동기어의 선단기어 반대방향으로 유동되면, 구동을 멈추고, 장애물 감지시, 래치핀에 제어부의 제어하에 연동기어의 선단기어로부터 역방향 회전력을 전달받으면, 래치핀을 역회전시켜 래치핀(54)의 회전축을 회전시킨다.That is, the
그리고, 래치핀(54)의 회전축이 회전되면, 래치핀 상단에 연결된 제2 탄성스프링을 연동기어의 선단기어 반대방향으로 1차 인장시키고, 제어부의 제어하에 인장된 제2 탄성스프링을 풀어 래치핀의 헤드부에 강한 임팩트를 생성시킨다.When the rotation shaft of the
이어서,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하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래치핀의 강한 임팩트로 인해 연동기어가 안내레일홈을 따라 와이어휠기어와 모터기어 사이에서 이탈되고, 이어서, 와이어휠기어와 모터기어 사이의 구동을 단절시키고, 와이어감김롤러를 통해 감겨진 와이어를 풀어 인장된 점핑스프링에 점핑력을 발생시킨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10, when an obstacle is detec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locking gear is separated between the wire wheel gear and the motor gear along the guide rail groove due to the strong impact of the latch pin. In addition, the drive between the wire wheel gear and the motor gear is disconnected and the wire wound through the wire winding roller is released to generate a jumping force in the tensioned jumping spring.
즉, 래치핀의 임팩트생성모터를 통해 생성된 임팩트를 연동기어의 선단기어쪽으로 가하면, 연동기어가 안내레일홈을 따라 와이어휠기어와 모터기어 사이에서 멀어져 안내레일홈 상단까지 이탈된다.That is, when the impact generated through the impact generating motor of the latch pin is applied toward the front gear of the interlocking gear, the interlocking gear is separated from the wire wheel gear and the motor gear along the guide rail groove and is separated from the top of the guide rail groove.
이때, 와이어휠기어와 모터기어 사이의 구동을 단절되기 때문에, 와이어휠기어쪽에는 역방향회전력이 생겨, 와이어감김롤러를 통해 감겨진 와이어를 풀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drive between the wire wheel gear and the motor gear is disconnected, reverse rotation occurs in the wire wheel gear side, and the wire wound through the wire winding roller is released.
이로 인해, 와이어감김롤러를 통해 감겨진 와이어가 풀어지면, 인장된 점핑스프링에 점핑력이 생기게 된다.As a result, when the wire wound through the wire winding roller is released, a jumping force is generated in the tensioned jumping spring.
이어서,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감겨진 와이어를 풀어 인장된 점핑스프링에 점핑력을 발생되면, 연동기어의 축 끝단에 연결된 제1 탄성스프링(52c)을 통해 안내레일홈(14a-1)의 상단까지 이탈된 연동기어를 와이어휠기어와 모터기어 사이에 정위치되도록 복귀시킨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11, when a jumping force is generated in the tensioned jumping spring by unwinding the wound wire, the
즉, 안내레일홈(14a-1)은 제1 탄성스프링(52c)의 복원력에 의해 와이어휠기어와 모터기어 사이에 정위치되는 위치인 안내레일홈의 하단까지 내려와 복귀시킨다.That is, the
그리고, 제1 탄성스프링(52c)은 선단이 연동기어 축(52-1) 끝단에 연결되고, 후단이 원형지지판(14a)에 고정 설치되어, 안내레일홈의 상단까지 이탈된 연동기어를 와이어휠기어와 모터기어 사이에 정위치되도록 복귀시킨다.The firs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구동형 점핑레그부를 통한 점핑로봇을 도시한 후면사시도,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jumping robot through a wire-driven jumping le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구동형 점핑레그부를 통한 점핑로봇을 도시한 정면사시도,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jumping robot through a wire-driven jumping le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구동형 점핑레그부를 통한 점핑로봇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jumping robot through the wire-driven jumping le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구동형 점핑레그부를 통한 점핑로봇의 구성요소를 분해한 분해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components of a jumping robot through a wire-driven jumping le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점핑력 생성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jumping force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점핑레그부의 선단부가 좌측 원형지지판(14a)에 형성된 제3 탄성스프링(61a)과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도시한 결합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tip end portion of the jumping le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thir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충전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battery charg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동기어의 선단기어쪽에 래치핀이 상호 맞물림 결합되어 모터기어로부터 전달받은 정방향 회전력을 래치핀으로 전달하여, 래치핀이 연동기어의 반대방향으로 유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8 is a latch pin coupled to the front end gear of the interlocking g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ransfer the forward rotational force received from the motor gear to the latch pin, a latch pin flow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interlocking gear. Exampl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하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연동기어의 선단기어쪽에 래치핀이 상호 맞물림 결합되어 모터기어로부터 전달받은 역방향 회전력을 래치핀으로 전달하고, 래치핀(54)의 임팩트생성모터가 구동되어, 래치핀 상단에 연결된 제2 탄성스프링을 연동기어의 선단기어 반대방향으로 1차 인장시키고, 제어부의 제어하에 인장된 제2 탄성스프링을 풀어 래치핀의 헤드부에 강한 임팩트를 생성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Figure 9, when the obstacle is detec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ch pin is engaged with each other to the front end gear of the interlocking gear to transfer the reverse rotational force received from the motor gear to the latch pin, the impact of the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하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래치핀의 강한 임팩트로 인해 연동기어가 안내레일홈을 따라 와이어휠기어와 모터기어 사이에서 이탈되고, 이어서, 와이어휠기어와 모터기어 사이의 구동을 단절시키고, 와이어감김롤러를 통해 감겨진 와이어를 풀어 인장된 점핑스프링에 점핑력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10 shows that when an obstacle is detec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locking gear is separated between the wire wheel gear and the motor gear along the guide rail groove due to the strong impact of the latch pin, and then the wire wheel gear and the motor gear. In one embodiment showing the process of disconnecting the drive between, and generating a jumping force in the tensioned jumping spring by unwinding the wire wound through the wire winding roller,
도 11은 감겨진 와이어를 풀어 인장된 점핑스프링에 점핑력을 발생되면, 연동기어의 축 끝단에 연결된 제1 탄성스프링(52c)을 통해 안내레일홈의 상단까지 이탈된 연동기어를 와이어휠기어와 모터기어 사이에 정위치되도록 복귀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11 is a wire wheel gear and the interlocking gear separa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guide rail groove through the first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구동형 점핑레그부를 통한 점핑로봇이 주행방향 전방에 장애물을 감지한 경우, 점핑하는 동작을 도시한 일실시예도,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jumping when a jumping robot via a wire-driven jumping leg unit detects an obstacle in a forward direction of a driv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구동형 점핑레그부를 통한 점핑로봇이 점핑한 후, 주행바퀴를 통해 주행 동작을 하는 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Figure 13 is an embodiment showing a process of the driving operation through the driving wheel after the jumping robot jumps through the wire-driven jumping le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 Brief 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
10 : 본체 20 : 센서부10: main body 20: sensor
22 : 울트라 소닉센서부 23 : 제1PSD 센서부22: ultra sonic sensor unit 23: the first PSD sensor unit
24 : 제2PSD 센서부 30 : 배터리부24: second PSD sensor unit 30: battery unit
40 : 제어부 50 : 점링력 센서부40
51 : 모터기어 52 : 연동기어51: motor gear 52: interlocking gear
53 : 와이어휠기어 54 : 래치핀53: wire wheel gear 54: latch pin
55 : 와이어 감김롤러 60 : 점핑레그부55: wire wound roller 60: jumping leg portion
61 : 좌측점핑링크바 62 : 좌측레그부61: left jumping link bar 62: left leg portion
63 : 우측점핑링크바 64 : 우측레그부63: right jumping link bar 64: right leg portion
65 : 점핑스프링 박스부 300 : 배터리충전부65: jumping spring box portion 300: battery charging portion
310 : 로테이터부 320 : 정류회로부310: rotator portion 320: rectifier circuit portion
330 : 충전회로부 340 : 충전컨넥터330: charging circuit unit 340: charging connector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8151A KR101097831B1 (en) | 2009-06-29 | 2009-06-29 | The jumping robot of jumping mechanis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8151A KR101097831B1 (en) | 2009-06-29 | 2009-06-29 | The jumping robot of jumping mechanis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0852A true KR20110000852A (en) | 2011-01-06 |
KR101097831B1 KR101097831B1 (en) | 2011-12-23 |
Family
ID=43609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8151A KR101097831B1 (en) | 2009-06-29 | 2009-06-29 | The jumping robot of jumping mechanis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97831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9156B1 (en) * | 2013-11-19 | 2015-02-06 | 한국과학기술원 | Overcoming the High Obstacle jumping robot |
US9004201B2 (en) | 2012-04-18 | 2015-04-14 | Board Of Trustees Of Michigan State University | Jumping robot |
CN109794951A (en) * | 2019-03-27 | 2019-05-24 | 北京深醒科技有限公司 | Patrol robot |
CN111113438A (en) * | 2019-11-29 | 2020-05-08 | 燕山大学 | Composite motion robot based on movement mechanism of bombyx |
CN111845999A (en) * | 2020-07-24 | 2020-10-30 | 北京深醒科技有限公司 | Multifunctional security patrol robot capable of being used for high-altitude throwing |
CN112046632A (en) * | 2020-09-11 | 2020-12-08 | 河海大学常州校区 | Locust-imitating bouncing device |
CN114275073A (en) * | 2022-01-25 | 2022-04-05 | 清华大学 | Jumping robo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648507A (en) * | 2015-01-22 | 2015-05-27 | 哈尔滨工程大学 | Double-joint jumping robot |
KR101766770B1 (en) * | 2016-03-25 | 2017-08-09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Active clutch mechanism and jumping robot hav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548982B1 (en) | 1999-11-19 | 2003-04-15 |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 Miniature robotic vehicles and methods of controlling same |
US7249640B2 (en) | 2001-06-04 | 2007-07-31 | Horchler Andrew D | Highly mobile robots that run and jump |
KR100857540B1 (en) | 2007-09-27 | 2008-09-08 | (주)컨벡스 | Mobile robot |
-
2009
- 2009-06-29 KR KR1020090058151A patent/KR101097831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004201B2 (en) | 2012-04-18 | 2015-04-14 | Board Of Trustees Of Michigan State University | Jumping robot |
KR101489156B1 (en) * | 2013-11-19 | 2015-02-06 | 한국과학기술원 | Overcoming the High Obstacle jumping robot |
CN109794951A (en) * | 2019-03-27 | 2019-05-24 | 北京深醒科技有限公司 | Patrol robot |
CN111113438A (en) * | 2019-11-29 | 2020-05-08 | 燕山大学 | Composite motion robot based on movement mechanism of bombyx |
CN111113438B (en) * | 2019-11-29 | 2021-03-02 | 燕山大学 | Composite motion robot based on movement mechanism of bombyx |
CN111845999A (en) * | 2020-07-24 | 2020-10-30 | 北京深醒科技有限公司 | Multifunctional security patrol robot capable of being used for high-altitude throwing |
CN112046632A (en) * | 2020-09-11 | 2020-12-08 | 河海大学常州校区 | Locust-imitating bouncing device |
CN114275073A (en) * | 2022-01-25 | 2022-04-05 | 清华大学 | Jumping robot |
CN114275073B (en) * | 2022-01-25 | 2023-01-20 | 清华大学 | Jumping robo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97831B1 (en) | 2011-1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97831B1 (en) | The jumping robot of jumping mechanism | |
EP3485792B1 (en) | Robotic cleaner | |
CN110340862B (en) | Autonomous mobile transfer robot | |
US11760221B2 (en) | Charging systems and methods for autonomous carts | |
CN110182511B (en) | Steering speed reduction device and steering speed reduction method of intelligent storage vehicle | |
JP7486546B2 (en) | REMOTELY OPERATED VEHICLE AND METHOD FOR DETECTING ITS POSITION RELATING TO THE TRACK ON WHICH IT IS TRAVELING - Patent application | |
CN100506648C (en) | Self-propelling machine for wrapping stacked loads with protective film | |
US20200401133A1 (en) | Autonomous Utility Cart and Robotic Cart Platform | |
CN101648377A (en) | Automatic charging self-regulation mobile robot device and automatic charging method thereof | |
CN103246285A (en) | Guidance apparatus of unmanned autonomous operating vehicle | |
CN102699894A (en) | Transfer robot system | |
KR20150063188A (en) | Cleaning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20170001490A1 (en) | Driving unit and cleaning robot comprising same | |
CN202897859U (en) | Vision-based obstacle avoidance pre-warning device of crown block robot | |
US20230286565A1 (en) | Autonomous Utility Cart and Robotic Cart Platform | |
CN109131630A (en) | A kind of control method of composite machine people and composite machine people | |
KR102298307B1 (en) | alternative maritime power system for ship | |
JP4996577B2 (en) |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with output limiting function for simple installation type robot and simple installation type robot equipped with the system | |
CN110525119A (en) | Omnidirectional's wheel apparatus and electric drive transfer car(buggy) with the structure | |
JP2014019279A (en) | Rescue driving device of cable traction type transportation facility | |
JP2014230409A (en) |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work automatic machine | |
KR20110129061A (en) | Balancing device of multiple-jointed movinging system | |
JP5899788B2 (en) | Legged robot | |
US12019451B2 (en) | Electric cart | |
CN110554689B (en) | Container dry ice cleaning robot moving system and clean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