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850A - 레일 스위치 - Google Patents

레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850A
KR20110000850A KR1020090058148A KR20090058148A KR20110000850A KR 20110000850 A KR20110000850 A KR 20110000850A KR 1020090058148 A KR1020090058148 A KR 1020090058148A KR 20090058148 A KR20090058148 A KR 20090058148A KR 20110000850 A KR20110000850 A KR 20110000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tongue
stock
head
material rem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8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앙드레 하제
알렉산더 라이델
Original Assignee
푀스트알피네 베베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파우아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푀스트알피네 베베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파우아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푀스트알피네 베베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to KR1020090058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0850A/ko
Publication of KR20110000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8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02Tongues; Associated constructions
    • E01B7/08Other constructions of tongues, e.g. tilt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rail, movable tongue blocks or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 헤드(16)를 가진 스톡 레일(12) 및 피크(20)로부터 연장된 스토퍼 측면을 가진, 스톡 레일의 헤드에 놓일 수 있거나 또는 이격될 수 있는 텅 레일(14)을 포함하는 레일 스위치(10)에 관한 것이다. 스톡 레일 및 텅 레일의 경로 변화 없이 또는 내측 플랭크에 내마모성 코팅층을 제공할 필요 없이 텅 레일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스톡 레일(12)의 레일 헤드(16)는 텅레일 스토퍼측 영역에서 재료 제거에 의해 일정한 크기 만큼, 해당 레일 스위치에 있어서 일반적인 기본 구조(30)에서 벗어나고, 상기 텅 레일(14)과 상기 스톡 레일(12)의 각각의 횡단면에서 상기 텅 레일은 재료 제거(24)의 크기에 상응하게 두꺼워지고, 재료 제거의 크기는 상기 텅 레일의 피크(20)로부터 상기 스톡 레일에 접촉하는 상기 텅 레일 영역의 단부(22)의 방향으로 계속해서 감소하는 것이 제안된다.
Figure P1020090058148
레일 스위치, 스톡 레일, 텅 레일, 재료 제거

Description

레일 스위치{Rail switch}
본 발명은 레일 헤드를 가진 스톡 레일 및 피크에서부터 연장된 스토퍼 측면을 가진, 스톡 레일의 헤드에 놓일 수 있거나 또는 이격될 수 있는 텅 레일을 구비한 레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전철기 영역에서는, 텅 레일에서 휠 플랜지의 연삭 운동 및 이와 관련하여 주행면에 있는 플랭크의 마모가 일어날 수 있다. 텅 레일은 피크 영역에서 폭이 매우 좁게 형성되기 때문에, 해당 레일 트랙 상부 부품의 집중적인 보수와 잦은 교체가 필요하다.
이러한 단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EP-B-O 295 573 호에는 휠과 레일 사이의 연삭 운동을 저지하는 방식으로 전철기를 지나가는 레일 차량의 휠 세트 또는 보기 대차의 원추형 지지 휠의 휠 접촉점에 작용하도록 스톡 레일의 기본 경로를 변경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DE-A-197 21 818 호에는 내마모성 전철기 부품들이 공지되어 있다. 이를 위해 휠 가이드 면에, 즉 텅 레일의 내측 플랭크에 내마모성 코팅층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톡 레일 및 텅 레일의 경로를 변경하거나 또는 내측 플랭크에 내마모성 코팅층을 제공할 필요없이, 텅 레일의 내구성을 높이는 것이다.
상기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스톡 레일의 레일 헤드가 텅 레일 스토퍼측 영역에서 재료 제거에 의해 일정한 크기 만큼, 해당 레일 스위치에 있어서 일반적인 상기 레일 헤드의 기본 디자인으로부터 벗어나고, 텅 레일은 재료 제거의 크기에 상응하게 보강되고, 재료 제거의 크기는 텅 레일의 피크로부터 스톡 레일에 텅 레일이 접촉하는 영역의 단부 방향으로 계속해서 감소한다.
본 발명에 따라, 텅 레일의 피크 영역이 두꺼워지므로, 내구성을 더 연장할 수 있는 마모 예비분이 형성된다. 텅 레일의 보강부 또는 두꺼운 부분은 피크로부터 텅 레일이 통상의 헤드 폭에 이르는 지점까지, 즉 텅 레일이 스톡 레일에 놓일 수 있는 길이에 걸쳐, 계속해서 감소한다.
특히 텅 레일 피크 영역에서 재료 제거의 크기는 3 내지 5 mm이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텅 레일의 피크 영역에 있는 스톡 레일 헤드 내의 재료 제거는 텅 피크가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리세스 내로 이행한다.
본 발명에 따라, 스톡 레일 내로 끼워진 텅 레일이 제안되고, 스톡 레일 및 텅 레일은 공지된 레일 스위치와 달리 기본 경로가 변경되지 않는다. 스톡 레일의 헤드의, 텅 레일이 접하는 내측 플랭크는 텅 레일이 접촉할 때 텅 레일의 주행면 플랭크의 경로가 일반적인 레일 스위치와 다르지 않도록 가공되거나 또는 플래닝 가공된다. 이는, 스톡 레일의 헤드 내의 재료 제거에 상응하게 텅 레일의 헤드가 두꺼워짐으로써 달성된다. 이로 인해 텅 레일의 피크 영역에 마모 예비분이 형성되고, 상기 마모 예비분은 텅 레일의 내구성을 높이므로, 일반적인 구조와 달리 더 많은 시간이 지난 후에야 텅 레일의 교체 또는 보수가 필요하게 된다. 동시에, 보수 작업 주기가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라 텅 레일의 피크 영역이 두꺼워지므로, 내구성을 더 연장할 수 있는 마모 예비분이 형성되고, 이것은 텅 레일의 내구성을 높이므로 텅 레일의 교체 또는 보수 주기가 더 길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세부사항, 장점들 및 특징들은 제시된 특징들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하고 있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하기 실시예 설명에 제시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제시된 기본도를 참고로 선행기술에 따라 형성된 레일 스위치와 비교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기본적으로 동일한 부품들에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도 2에는 일반적으로 스톡 레일(12)과 텅 레일(14)을 포함하는 선행기술에 따른 레일 스위치(10)의 부분이 도시된다. 전철기를 통과하는 열차에 따라 텅 레일(14)이 스톡 레일(12)에 대해 이격되거나 또는 상기 스톡 레일에 부딪히도록,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하도록, 텅 레일(14)은 조절기에 의해 조절될 수 있 다. 이를 위해, 일반적인 조절 프로파일을 가진 스톡 레일(12)의 헤드의 내측 플랭크는 헤드(16)의 외측 플랭크와는 달리, 텅 레일(14), 즉 텅 레일의 헤드(18)의 면 접촉이 가능하도록 가공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텅 레일(14)의 헤드(18)는 그 피크(20)를 향해 매우 좁아지게 테이퍼링되고, 그 결과 전철기를 지나가는 레일 차량의 휠이 텅 레일(14)의 내측 플랭크 또는 휠 가이드 면을 따라 미끄러짐으로써, 잦은 보수와 경우에 따라서 텅 레일(14)의 교체를 필요로 하는 마모가 발생한다.
도 2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레일 스위치(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구조에 해당하므로, 스톡 레일(12)의 헤드(16)는 텅 레일(14)이 내측 플랭크에 접촉하는 영역에서, 즉 상기 텅 레일의 스토퍼측에서, 레일 전철기에 있어서 '일반적인 디자인'을 갖고, 이것은 기본 디자인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디자인은 도 4에 제시되고, 빗금친 영역(40)은 본 발명에 따라 플래닝 등과 같이 가공된 영역이다.
본 발명에 따라, 스톡 레일(12)의 헤드(16)는 텅 레일 스토퍼측 영역, 즉 상기 텅 레일의 내측 플랭크에서 기본 디자인이 재료(영역 30)의 재료 제거에 의해 변경되지만, 스톡 레일(12)의 경로 자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텅 레일(14)의 피크(20)로부터, 텅 레일(14)이 스톡 레일(12), 즉 스톡 레일의 헤드(16)에 접촉하는 영역의 단부(22)까지 재료 제거가 계속해서 감소하도록, 즉 0이 되도록, 플래닝과 같은 재료 제거가 이루어진다. 피크(20)의 영역에서 전철기 디자인에 따라 재료 제거의 두께는 3 내지 5 mm이다.
스톡 레일(12)의 헤드(16)의 측면 플랜지 영역에서의 재료 제거의 범위와 재 료 제거의 형태가 텅 레일(14)의 헤드(18)의, 스톡 레일(12)을 향한 측면 상에서 확대되고, 즉 텅 레일(14)의 헤드(18)는 텅 레일(14)이 스톡 레일(12)에 접촉하는 영역에서 두꺼워진다. 스톡 레일 및 텅 레일(12, 14)의 각각의 횡단면에서 재료 제거와 두꺼워짐은 상쇄된다. 이는 도 1 및 도 3에 빗금친 부분(24)으로 나타난다. 특히, 이는 도 1에의 단면도에도 잘 나타나 있다. 즉 베이스(26), 바아(28) 및 헤드(16)를 가진 스톡 레일(12)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우측 플랭크는 소정 양 만큼 가공되어 있다. 플랭크의 상부 영역에서 기본 디자인은 일점쇄선(30)으로 도시된다. 절삭 가공에 의한 재료 제거 두께는 텅 레일(14)의 헤드(18)의 보강에 의해 보상되고, 그외의 변동은 없다. 헤드(18)의 두꺼운 부분(영역 24)에 의해 마모 예비분이 제공되고, 이것은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구조에 비해 텅 레일(14)의 내구성을 높인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텅 레일(14)이 접촉 위치에서 스톡 레일 헤드(16) 내로 끼워진 영역의 전방에, 스톡 레일(12)은 리세스(32)를 갖고, 상기 리세스 내에서 텅 레일(14)의 피크(20)는 길이 변동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래닝과 같은 가공시 텅 레일(14)의 피크(20)가 헤드(16)의 내측 플랭크에서 연장됨에도 불구하고, 텅 레일 피크(20) 전방의 스톡 레일 헤드(16)의 주행 플랭크로부터 텅 레일(14)의 주행 플랭크로의 연속하는 이행이 이루어지며, 상기 피크(20)가 내측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재료 제거는 텅 레일(14)의 접촉 영역의 길이에 걸쳐 쐐기 형태를 갖고, 텅 레일(14)의 피크(20) 영역에서의 재료 제거는 전철기 디자인에 따라 3 내지 5 mm 두께를 갖는다.
특히 도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플랭크의 절삭 재료 제거 후에 나타나는, 텅 레일(14)의 헤드(18)가 놓일 수 있는, 헤드(16)의 플랭크(36)의 외부면(34)은 도 2를 참고로 설명된 소위 기본 디자인을 갖는 스톡 레일의 내측 플랭크의 외부면(38)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라 재료 제거는 텅 레일(14)의 헤드(18)의 두꺼운 부분에 의해 보상되고, 이로써 마모 예비분이 형성되기 때문에, 두꺼운 부분(24)은 동일하게 쐐기 형태를 갖는다.
도 1은 스톡 레일이 접해 있는 텅 레일의 단면도.
도 2는 스톡 레일에 접해 있는 텅 레일을 포함하는 선행기술에 따른 레일 스위치의 부분 평면도.
도 3은 스톡 레일에 접해 있는 텅 레일을 포함하는 레일 스위치 부분의 평면도.
도 4는 일반적인 헤드 윤곽을 가진 스톡 레일의 단면도.

Claims (6)

  1. 레일 헤드(16)를 가진 스톡 레일(12) 및 피크(20)로부터 연장된 스토퍼 측면을 가진, 스톡 레일의 헤드에 놓일 수 있거나 또는 이격될 수 있는 텅 레일(14)을 포함하는 레일 스위치(10)에 있어서,
    상기 스톡 레일(12)의 레일 헤드(16)는 텅레일 스토퍼측 영역에서 재료 제거에 의해 일정한 크기 만큼, 해당 레일 스위칭에 있어서 일반적인 기본 구조(30)로부터 벗어나고, 상기 텅 레일(14)과 상기 스톡 레일(12)의 각각의 횡단면에서 상기 텅 레일은 상기 재료 제거(24)의 크기에 상응하게 두꺼워지고, 상기 재료 제거의 크기는 상기 텅 레일의 피크(20)로부터 상기 스톡 레일에 접촉하는 상기 텅 레일 영역의 단부(22)의 방향으로 계속해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텅 레일 피크(20) 영역에서 상기 재료 제거의 크기는 3 내지 5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스위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제거는 상기 텅 레일(14)이 상기 스톡 레일 또는 상기 스톡 레일의 헤드(16)에 접촉하는, 상기 스톡 레일(12) 영역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고, 상기 재료 제거는 3 내지 5 mm의 초기 값으로부터 계속해서 0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스위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텅 레일(14)의 상기 피크(20) 영역에서 상기 스톡 레일(12) 내의 또는 상기 스톡 레일의 헤드(16) 내의 재료 제거는, 상기 텅 레일의 상기 피크(20)가 종방향 이동할 수 있는 리세스(32) 내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스위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텅 레일(14)의 상기 헤드(18)의 두꺼운 부분(24)은 종방향으로 볼 때 쐐기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스위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텅 레일(14)의 상기 헤드(18)의 상기 두꺼운 부분(24)은 높이에 걸쳐 동일한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스위치.
KR1020090058148A 2009-06-29 2009-06-29 레일 스위치 KR201100008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148A KR20110000850A (ko) 2009-06-29 2009-06-29 레일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148A KR20110000850A (ko) 2009-06-29 2009-06-29 레일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850A true KR20110000850A (ko) 2011-01-06

Family

ID=43609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8148A KR20110000850A (ko) 2009-06-29 2009-06-29 레일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08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43559B1 (de) 2018-06-12 2022-03-16 voestalpine Turnout Technology Zeltweg GmbH Backenschie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43559B1 (de) 2018-06-12 2022-03-16 voestalpine Turnout Technology Zeltweg GmbH Backenschie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74877B (zh) 岔心件的翼轨以及用于制造岔心件的方法
KR20110000850A (ko) 레일 스위치
US9617689B2 (en) Passive switch for a railway track
US20070007394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ailroad turnout and derail lift frog
AU775150B2 (en) Cross frog
AU2013230678B2 (en) Rail switch having a main track and a branch track
AU2014270811B2 (en) Switch with straight line and turning line
KR20100098149A (ko) 차륜 세트의 제어식 가이드 장치
CN201495456U (zh) 辙叉心轨
US964186A (en) Art of renewing worn railroad-switch rails.
US765572A (en) Railroad-switch.
CN103669121A (zh) 一种双咽喉固定型锐角辙叉
CN103757996A (zh) 一种道岔侧向尖轨平面线型及设计方法
CN220789259U (zh) 一种60kg/m钢轨9号道岔
US20130206925A1 (en) Needle rail with an insert for railroad track switching
KR20120035369A (ko) 구형 철도 분기기의 개량을 위한 탄성식 포인트부를 갖는 철도분기기
TWI836365B (zh) 轍叉及用於轍叉之翼軌的製造方法
CN219862129U (zh) 道岔轨件激光抗磨强化层结构
CN109706797B (zh) 一种低等效锥度的直基本轨及道岔转辙器
RU119348U1 (ru) Остряк криволинейный касательный
US2149426A (en) Rail frog
CN201395752Y (zh) 一种辙叉
US1340205A (en) Railroad-crossing
CA3206574A1 (en) Frog, and method for producing wing rails for a frog
US826409A (en) Tongue-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