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463U - 덕트의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덕트의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463U
KR20110000463U KR2020090008869U KR20090008869U KR20110000463U KR 20110000463 U KR20110000463 U KR 20110000463U KR 2020090008869 U KR2020090008869 U KR 2020090008869U KR 20090008869 U KR20090008869 U KR 20090008869U KR 20110000463 U KR20110000463 U KR 201100004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wall portion
connector
pack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8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형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롬
Priority to KR20200900088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0463U/ko
Publication of KR201100004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46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덕트와 덕트를 연결하는 덕트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덕트 및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는 제1 벽부, 상기 제1 벽부와 단차를 가지고 형성된 제2 벽부,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를 연결하는 안착부, 및 상기 제1 벽부의 내부 표면 및 상기 제2 벽부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덕트가 상기 연결구에 결합시, 상기 덕트의 단부는 상기 안착부에 접촉한다.
덕트, 연결, 패킹

Description

덕트의 연결 구조 {Connection structure of duct}
본 고안은 아파트 등의 건축물의 공조 설비에 사용되는 덕트를 연결 하는 덕트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덕트 및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는 제1 벽부, 상기 제1 벽부와 단차를 가지고 형성된 제2 벽부,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를 연결하는 안착부, 및 상기 제1 벽부의 내부 표면 및 상기 제2 벽부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덕트가 상기 연결구에 결합시, 상기 덕트의 단부는 상기 안착부에 접촉하여, 연결구에 덕트를 끼움에 있어서, 연결구의 벽부의 표면에 패킹을 부착하는 간편한 방법으로 덕트의 기밀성을 높여 공기 누설을 방지하고 덕트의 연결을 확실하게 할 수 있는 덕트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딩 등의 건축물의 시공에 있어서, 실내 환기 및 냉난방을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덕트가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덕트를 설치함에 있어서, 다수의 덕트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가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시공 환경에 따라 T형, L형, Y형, I형 또는 각도형 등의 다양한 연결 부재가 사용되고 있다.
연결 부재를 이용한 덕트간의 연결 구조는 시공의 간편성, 연결의 견고성, 및 연결된 덕트의 기밀성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덕트의 연결 시공시, 연결 부재나 덕트의 단부에 본드 등의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덕트를 연결 부재에 결합한 다음 그 부위에 실리콘을 채워서 고정시키는 방법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덕트 연결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본드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접착제에서 발생하는 유해 물질에 의해서, 특히 덕트가 설치되는 공간이 아파트 등의 주거용 공간인 경우에는 새집 증후군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접착제를 도포한 후 접착제가 마르기 전에 덕트를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 제한에 따른 시공상의 불편함이 있다. 실리콘으로 고정하는 경우, 덕트와 연결 부재가 결합한 부위가 매우 좁기 때문에 이 부위에 실리콘을 채우는 공정에 있어서 고도의 기술을 요구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드나 실리콘의 경우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접착력이 약화되거나 실리콘이 소실되어 덕트와 연결 부재 사이에 이격 공간이 생기게 되고, 그 결과 덕트 내부를 흐르는 공기가 외부로 새어나오거나 이로 인해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덕트의 시공 현장에서 시간 제한을 요하지 않는 간편한 방법으로 덕트 연결의 기밀성을 높여 공기 누설을 방지하고 덕트의 연결을 확실하게 할 수 있는 덕트의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덕트의 연결 구조는 덕트 및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는 제1 벽부, 상기 제1 벽부와 단차를 가지고 형성된 제2 벽부,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를 연결하는 안착부, 및 상기 제1 벽부의 내부 표면 및 상기 제2 벽부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덕트가 상기 연결구에 결합시, 상기 덕트의 단부는 상기 안착부에 접촉한다. 상기 안착부의 길이는 상기 덕트 및 상기 패킹의 두께의 합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덕트가 상기 제1 벽부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덕트의 외부 표면이 상기 제1 벽부의 내부 표면에 부착된 상기 패킹과 접하고, 상기 덕트의 단부는 상기 제1 벽부측 안착부에 접촉하고, 상기 제2 벽부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덕트의 내부 표면이 상기 제2 벽부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상기 패킹과 접하고, 상기 덕트의 단부는 상기 제2 벽부측 안착부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패킹은 무독성 및 난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덕트의 단부에 외주면에 접착되는 테이프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연결구는 상기 제1 벽부의 내측 단부 및 상기 제2 벽부의 외측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가이드는 상기 패킹의 두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덕트의 시공 현장에서 시간 제한을 요하지 않는 간편한 방법으로 덕트 연결의 기밀성을 높여 공기 누설을 방지하고 덕트의 연결을 확실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연결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연결 구조에서 덕트와 연결구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덕트의 연결 구조는 덕트(10) 및 연결구(20)를 포함한다. 덕트(10)는 내부에 공기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으며, 단면이 긴 타원형의 형태를 하고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한하지 않으며, 하나의 덕트 설비로 두 개의 유로, 예로서 흡기로와 배기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덕트의 내부에 구분막이 설치되는 I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 덕트일 수도 있으며, 그밖에 사각형 등의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의 단면을 갖는 덕트가 사용될 수 있다.
연결구(20)는 제1 벽부(21), 제1 벽부(21)와 단차를 가지고 형성된 제2 벽부(22), 제1 벽부(21)와 제2 벽부(22)를 연결하는 안착부(23, 23'), 및 제1 벽부(21)의 내부 표면과 제2 벽부(22)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패킹(30, 30')을 포함한다. 안착부(23, 23')는 제1 벽부(21)와 제2 벽부(22)가 만나는 부위에 제1 벽부(21)와 제2 벽부(22)의 단차에 의해 형성되며, 제1 벽부(21) 및 제2 벽부(22)와 거의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고 있는 연결구(20)는 I형이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T형, Y형, L형, 각도형 등 덕트의 연결 부위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연결구(20)의 내부는 덕트(10)와 마찬가지로 공기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도 1 및 도 2에서처럼 연결구(20)는 제1 벽부(21)의 내부에 덕트(10)의 단부가 끼워질 때 제1 벽부(21)가 외력에 의해 외부로 약간 벌어져 결합되며, 끼워진 후 제1 벽부(21)가 원상회복되는 탄성력 있는 사출된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벽부(21)의 외부에 덕트의 단부가 끼워지는 경우, 제2 벽부(21)가 외력에 의해 내부로 약간 오므라들어 결합되며, 끼워진 후 제2 벽부(22)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회복된다.
연결구(20)의 제1 벽부(21)측 안착부(23)는 제1 벽부(21)의 내부에 덕트(10)의 단부가 슬라이딩될 때, 덕트(10)의 단부가 접촉하여 슬라이딩을 멈추게 하기 위 해 형성된 부분이며, 패킹(30)과 덕트(10)의 두께만큼 또는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2 벽부(22)측 안착부(23')도 패킹(30')과 덕트의 두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2에서는 제1 벽부의 내부에 덕트(10)가 결합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제2 벽부의 외부에 덕트(10)가 결합할 수 있으며, 이때는 제2 벽부(22)측 안착부(23')에 덕트의 단부가 접촉하여 슬라이딩을 멈추어, 연결구(20)와 덕트가 연결된다.
패킹(30, 30')은 연결구(20)의 제1 벽부(21)의 내부 표면 및 제2 벽부(22)의 외부 표면에 각각 부착된다. 이때, 패킹(30, 30')은 제1 벽부(21)의 내부 또는 제2 벽부(22)의 외부로 덕트(10)가 슬라이딩할 때, 외력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덕트(10)의 단부가 제1 벽부(21)측 안착부(23) 또는 제2 벽부(22)측 안착부(23')에 접촉하여 결합이 완료되면, 덕트내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팽창되는 고무 등의 탄성력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패킹(30, 30')은 간단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테이프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친환경 소재인 무독성 소재 및 불에 잘 타지 않는 난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파트나 빌딩 등의 건축물에 사용되는 환기용 덕트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덕트는 이에 한하지 않으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모든 중공관에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본 고안의 덕트는 피팅 부재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사용되었음을 숙지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덕트가 연결구에 끼워 맞춰지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덕트(10)의 단부가 연결구(20)의 제1 벽부(21)의 내부로 삽입될 때, 제1 벽부(21)가 약간 밖으로 벌어지고 제1 벽부(21)의 내부 표면에 부착된 패킹(30)은 제1 벽부(21)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압축된다. 그리고 나서 덕트(10)의 단부가 안착부(23)에 도달하여 덕트(10)와 연결구(20)의 결합이 완료되면, 제1 벽부(21) 및 패킹(30)이 원상회복되면서 덕트의 연결이 고정되고 덕트내의 기밀성이 유지된다.
도 1 및 2에서는 연결구(20)의 제1 벽부(21)에 덕트(10)가 끼워지는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제2 벽부(22)에 끼워지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즉, 제2 벽부(22)의 외부로 덕트가 삽입되면, 제2 벽부(22)는 약간 안으로 오므라들고 제2 벽부(22)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패킹(30')은 제2 벽부(22)가 오므라드는 방향으로 압축된다. 그리고 나서 덕트의 단부가 안착부(23')에 도달하여 덕트와 연결구(20)의 결합이 완료되면, 제2 벽부(22) 및 패킹(30')이 원상회복되면서 덕트의 연결이 고정되고 덕트내의 기밀성이 유지된다.
이하,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연결 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연결 구조에서 연결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5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연결 구조에 대응하는 구성은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5를 살펴보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연결 구조는 연결구(20)에 있어서 제1 벽부(21)의 내측 단부 및 제2 벽부(22)의 외측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24, 24')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24, 24')는 덕트(10)가 제1 벽부(21) 의 내측 또는 제2 벽부(22)의 외측으로 삽입될 때, 덕트(10)를 패킹(30, 30')까지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10)가 제1 벽부(21)의 내측 단부에서 패킹(30)까지 삽입될 때, 가이드(24)는 패킹(30)의 두께만큼 덕트(10)가 덜걱거리는 것을 방지하고 덕트(10)의 단부가 패킹(30) 안으로 들어가 맞춰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가이드(24, 24')는 패킹(30, 30')의 두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24)는 제1 벽부(21)의 내측 단부에 패킹(30)과 인접하여 제1 벽부(21)와 일체로 형성되며, 가이드(24')는 제2 벽부(22)의 외측 단부에 패킹(30')과 인접하여 제2 벽부(22)와 일체로 형성된다. 즉, 가이드(24, 24')는 연결구(20)와 동일한 재료로 연결구(2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또한, 가이드(24, 22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1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덕트(10)가 삽입되는 쪽 단부가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본 고안에 따른 덕트의 연결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고안의 덕트의 연결 구조는 주거용 건물 또는 빌딩 등의 건축물의 시공에 있어서 배관이 설치되는 모든 중공관 연결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연결 구조는 환기용 덕트뿐만 아니라 세면대, 씽크대 등의 수도 파이프, 가스 배관, 전선ㅇ케이블 등의 배선, 기타 호스 연결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연결구는 설치되는 배관에 따라 각각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수도 파이프나 가스 배관에 사용되는 연결구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전선ㅇ케이블 등의 배선에 사용되는 연결구는 합성 수지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호스에 사용되는 연결구는 고무 등의 재질로 이 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연결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연결구를 이용하여 덕트를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연결 구조에서 연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덕트 20: 연결구
21: 제1 벽부 22: 제2 벽부
23, 23': 안착부 24, 24': 가이드
30, 30': 패킹

Claims (8)

  1. 덕트의 연결 구조에 있어서,
    덕트 및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는 제1 벽부, 상기 제1 벽부와 단차를 가지고 형성된 제2 벽부,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를 연결하는 안착부, 및 상기 제1 벽부의 내부 표면 및 상기 제2 벽부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덕트가 상기 연결구에 결합시, 상기 덕트의 단부는 상기 안착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의 연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길이는 상기 덕트 및 상기 패킹의 두께의 합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의 연결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가 상기 제1 벽부에 결합할 때, 상기 덕트의 외부 표면이 상기 제1 벽부의 내부 표면에 부착된 상기 패킹과 접하고, 상기 덕트의 단부는 상기 제1 벽부측 안착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의 연결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가 상기 제2 벽부에 결합할 때, 상기 덕트의 내부 표면이 상기 제2 벽부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상기 패킹과 접하고, 상기 덕트의 단부는 상기 제2 벽부측 안착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의 연결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무독성 및 난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의 연결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접착되는 테이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의 연결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제1 벽부의 내측 단부 및 상기 제2 벽부의 외측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의 연결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패킹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의 연결 구조.
KR2020090008869U 2009-07-09 2009-07-09 덕트의 연결 구조 KR2011000046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869U KR20110000463U (ko) 2009-07-09 2009-07-09 덕트의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869U KR20110000463U (ko) 2009-07-09 2009-07-09 덕트의 연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463U true KR20110000463U (ko) 2011-01-17

Family

ID=44205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869U KR20110000463U (ko) 2009-07-09 2009-07-09 덕트의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046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972A (ko) * 2015-07-13 2017-01-23 이상섭 배수관 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972A (ko) * 2015-07-13 2017-01-23 이상섭 배수관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48287T3 (es) Acoplamiento de conducto de ventilación y método de fabricación del mismo
KR100556213B1 (ko) 환기덕트 연결구 및 연결구조
CN108679316A (zh) 套管组件、穿墙管组件和空调
KR20110000463U (ko) 덕트의 연결 구조
CN208417798U (zh) 套管组件、穿墙管组件和空调
KR20060032619A (ko) 덕트 내부 삽입형 환기덕트 연결구
CN211315455U (zh) 管件马鞍接驳结构
KR200451839Y1 (ko) 덕트와 덕트 연결구의 조립구조
KR20090078569A (ko) 덕트 연결구
KR200447945Y1 (ko) 배관연결장치
JP2007278440A (ja) 合成樹脂管継手
CN110566744A (zh) 管件马鞍接驳结构
KR100780381B1 (ko) 공조설비의 배관결합장치
CN112797259B (zh) 一种模块化装配式低噪音无石棉硅酸钙板防火风管
KR102671934B1 (ko) 에어 벤트 일체형 드레인 배관
KR20210042189A (ko) 발포액 유입 방지 커버
CN108301598B (zh) 一种导流管及防火止回导流阀
KR20090005705U (ko) 다양한 직경의 다단 연결구를 갖는 덕트 결합구
RU2458622C2 (ru) Трубное соединение для вакуум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тали труб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CN210892074U (zh) 风管组件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KR100954269B1 (ko) 덕트용 체결밴드
JP4616504B2 (ja) 吸気弁の取付方法、吸気弁装置および管継手
KR101155848B1 (ko) 덕트 시공용 커넥터
KR100659596B1 (ko) 건물용 부스 연결체
CN202418981U (zh) 气囊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