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381U - Mobilephone keeping box - Google Patents

Mobilephone keeping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381U
KR20110000381U KR2020090008770U KR20090008770U KR20110000381U KR 20110000381 U KR20110000381 U KR 20110000381U KR 2020090008770 U KR2020090008770 U KR 2020090008770U KR 20090008770 U KR20090008770 U KR 20090008770U KR 20110000381 U KR20110000381 U KR 201100003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phone
phone storage
storage box
power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770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54119Y1 (en
Inventor
윤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폰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폰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폰텔
Priority to KR20200900087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119Y1/en
Publication of KR201100003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38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1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11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6Furniture aspects of radio, television, gramophone, or record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폰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교실과 같은 장소의 벽에 비치하여 복수 개의 핸드폰을 보관함과 함께 충전도 할 수 있는 다목적 핸드폰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핸드폰 보관함은 학교나 공공기관과 같은 장소에서 복수 개의 핸드폰을 보관하면서도 동시에 충전도 할 수 있는 다목적 기능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storage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urpose mobile phone storage that can be charged with a plurality of mobile phones by storing on the wall of the same place as the classroom. Cell phone storage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purpose function that can be charged at the same time while storing a plurality of mobile phones in places such as schools or public institutions.

핸드폰, 보관함, 전자파, 충전장치 Cell phone, storage box, electromagnetic wave, charging device

Description

핸드폰 보관함{mobilephone keeping box}Mobile phone keeping box

본 고안은 핸드폰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교실과 같은 장소의 벽에 비치하여 복수 개의 핸드폰을 보관함과 함께 충전도 할 수 있는 다목적 핸드폰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storage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urpose mobile phone storage that can be charged with a plurality of mobile phones by storing on the wall of the same place as the classroom.

이동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핸드폰 보급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핸드폰은 전국민에게 보급되어 핸드폰 보급이 약 3000만대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특히, 10대 청소년의 핸드폰 보급률은 약 80%에 이른다고 한다. 한편, 청소년의 핸드폰 보급률이 증가함과 함께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학생의 경우 학교 수업 중에도 핸드폰을 사용하여 문자를 보내거나 게임을 하는 등의 행위로 인하여 수업분위기를 저해하기도 하며, 핸드폰 벨소리로 인하여 수업진행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학교나 직장, 식당 등의 장소에서 복수 개의 핸드폰을 한꺼번에 충전하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As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s, the penetration rate of mobile phones is increasing every year. It is reported that such mobile phones are distributed to the whole nation, reaching about 30 million mobile phones, and in particular, the teenage cell phone penetration rate is about 80%. On the other hand, a number of problems have arisen with the increase in the cellular phone penetration rate of the youth. In the case of students, even during school class, using the mobile phone to send a text or play a game, such as hampered the class atmosphere, and cell phone ringing has caused problems that interfere with the class progress.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harge a plurality of mobile phones at a time, such as school, work, restaurants.

본 고안자들은 복수 개의 핸드폰을 보관하면서 동시에 충전도 시킬 수 있는 핸드폰 보관함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복수 개의 핸드폰 수납부에 핸드폰 충전장치를 구비하면 보관의 효율 및 충전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어 본 고안을 완성하게 되었다.The present inventors researched to develop a cell phone storage box that can hold a plurality of mobile phones at the same time charging, as a result, by providing a cell phone charging device in a plurality of cell phone storage can maximize the storage efficiency and convenience of charging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학교나 공공기관과 같은 장소에 핸드폰 보관함을 설치함으로써 복수 개의 핸드폰을 보관하면서도 동시에 충전 가능한 핸드폰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ell phone storage that can be charged at the same time while storing a plurality of mobile phones by installing a cell phone storage box, such as school or public institutions.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핸드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단시켜 핸드폰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는 핸드폰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ell phone storage box that can stop the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by blocking the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the mobile phon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학교나 공공기관 등의 장소의 벽에 걸 수 있게 하여 공간의 효율 및 미관을 고려하였고, 서류보관부나 조명장치 및 시건장치 등의 편의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핸드폰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hang on the wall of a school or public institution, taking into account the efficiency and aesthetics of the space, and to provide a cell phone storage box equipped with convenient devices such as a document storage unit, a lighting device and a locker device. It is.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핸드폰 보관함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핸드폰이 수납되는 수납부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핸드폰 보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폰 보관부는 복수 개의 층과 복수 개의 열로 형성되는 수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ell phone storage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inner space is formed; And a mobile phone storage unit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for storing mobile phones, wherein the mobile phone storag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and a plurality of rows. .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납부는 핸드폰이 수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는 조명장치;를 구비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each of the receiving unit is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mobile phone is received or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And an illumination device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ensor.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핸드폰 보관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ody has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obile phone storage.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납부는 핸드폰이 수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작동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는 조명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가 열리게 되면 상기 센서는 작동하게 되고, 상기 센서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가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each of the receiving unit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mobile phone is generated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the sensor that operates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an illumination device tha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ensor. The sensor is operated when the door is opened, and the illumination device is turned on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ensor. It features.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 보관부는 상기 본체에서 분리되도록 구비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ell phone storage is provided to be separated from the body.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 보관부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ell phone storage un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핸드폰 보관부는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각 핸드폰 보관부는 보조패널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each cell phone storage unit is provided in the bod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each cell phone storage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auxiliary panel.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 보관부의 측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패널은 상기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a groov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cell phone storage portion, the auxiliary pane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groove.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복수 개의 층마다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패널은 상기 홈에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groove is provid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ayers, the auxiliary panel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inserted into the groove.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복수 개의 층마다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패널은 상기 홈에 각각 삽입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들이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둠으로써 생기는 상기 핸드폰 보관부 사이의 공간을 막는 전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groove is provid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ayers, the auxiliary panel is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groove, the cell phone storage portion generated by a certain distance from each other It further comprises a front portion blocking the space between.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 보관부는 사출법에 의해 제조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ell phone storage is manufactured by the injection method.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납부는 핸드폰 주인에 대한 사항이 기입되는 메모수단을 구비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each of the receiving unit is provided with a memo means for writ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owner of the mobile phone.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벽체에 걸리도록 하는 걸이수단을 구비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ody has hook means for hanging on the wall.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안쪽면에는 서류보관부가 구비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inside of the door is provided with a document storage.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는 전자파 차단막이 형성되어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main body and the door is formed with an electromagnetic shielding film.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납부에 돌출되는 충전커넥터를 구비하는 충전장치;를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harging device having a charging connector protruding from the respective receiving portion; includes.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전장치는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어댑터; 상기 어댑터에 연결되어 상기 직류 전원을 전송하는 주전원선; 상기 주전원선에 연결되며, 상기 주전원선을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복수 개의 직류 전원들로 분리하는 전원분리부; 상기 전원분리부에 연결되며, 상기 직류 전원을 전송하는 복수 개의 종속전원선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종속전원선들에 연결된 복수개의 충전 커넥터;들을 구비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harging device comprises an adapter for outputting a direct current power; A main power line connected to the adapter to transmit the DC power; A power separation unit connected to the main power line and separating the DC power input through the main power line into a plurality of DC power sources; A plurality of subordinate power lines connected to the power separation unit and transmitting the DC power; And a plurality of charging connector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ubordinate power lines.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분리부는 상기 핸드폰 보관부의 각 층마다 하나의 수납부에 각각 구비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ower separating unit is provided in one receiving unit for each layer of the mobile phone storage unit.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xcellent effects.

먼저, 본 고안의 핸드폰 보관함은 학교나 공공기관과 같은 장소에서 복수 개의 핸드폰을 보관하면서도 동시에 충전도 할 수 있는 다목적 기능을 제공한다.First, the cell phone storage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purpose function that can be charged at the same time while storing a plurality of mobile phones in places such as schools or public institutions.

본 고안의 핸드폰 보관함은 핸드폰 보관함을 본체와는 다른 재질로 분리하여 제조함으로써 제조의 용이함 및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 cell phone storage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ease of manufacture by separating the cell phone storage box with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main body.

본 고안의 핸드폰 보관함은 핸드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단시켜 핸드폰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는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The cell phone storage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blocks the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the mobile phone and provides convenience in use that can stop the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본 고안의 핸드폰 보관함은 학교나 공공기관 등의 장소의 벽에 걸 수 있게 하여 공간의 효율 및 미관을 향상시켰으며, 서류보관부나 조명장치 및 시건장치 등의 편의장치를 구비하여 편리성을 극대화하였다. The mobile phone storage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hanged on the wall of school or public institution,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aesthetics of the space. .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The terminolog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general term that is widely used at present. However, in some cases, the term i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In this case, the meanings described or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sidered, rather than simply the name of the terminology. The meaning should be grasped.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보관함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핸드폰 보관함의 수납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핸드폰 보관함에 구비되는 충전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A and 1B are views illustrating a mobile phone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storage unit of the mobile phone storage box, and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charging device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storage box. .

먼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보관함(100)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10)와 핸드폰 보관부(120)로 구성되어 있다.First, as illustrated in FIGS. 1A and 1B, the cell phone storage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and a cell phone storage part 120 having an internal space formed therein.

상기 본체(110)는 나무나 합판 등 다양한 재질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핸드폰 보관부(120)를 개폐하는 도어(130)가 구비되어 있다. The main body 110 may be manufactured using various materials such as wood or plywood, and the door 130 that opens and closes the mobile phone storage unit 120 is provided.

상기 도어(120)의 외부면에는 잠금장치(150)가 구비되어 있어 특정한 자만이 개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120 is provided with a locking device 150 can be opened and closed only a specific person.

상기 본체(110)는 걸이수단(140)을 구비하고 있어, 학교나 공공기관 등의 벽에 걸 수 있도록 하여 공간의 효율을 향상시켰다. 상기 걸이수단(140)은 다양한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벽걸이 TV와 같이 걸이수단을 벽에 고정하고 상기 본체(110)를 걸이 수단에 장착하는 방법이나, 상기 본체(110)의 뒷면을 나사 등의 체결부재(걸이수단)를 이용하여 벽에 고정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hook means 140, it is possible to hang on the wall of the school, public institutions, etc.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space. The hook means 140 may be provided by various means. For example, a method of fixing a hanging means to a wall and mounting the main body 110 to a hanging means such as a wall-mounted TV, or using a fastening member (hanging means) such as a screw on the back of the main body 110. Can be used.

상기 도어(130)의 안쪽면에는 서류보관부(160)가 구비되어 있어 각종 서류들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30 is provided with a document storage unit 160 to store various documents.

또한, 상기 본체(110)와 상기 도어(130)에는 전자파 차단막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파 차단막은 상기 본체(110)와 상기 도어(130)의 내면 또는 외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내면 및 외면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핸드폰이 켜져 있는 상태에서도 전자파가 차단되므로 핸드폰이 작동하지 않게 되어 수업 중에도 조용한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상기 전자파 차단막은 구리, 알루미늄, 에폭시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 본체(110)와 상기 도어(130) 뿐만 아니라 상기 핸드폰 보관부(120)에도 필요하다면 형성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n electromagnetic shielding film is formed on the main body 110 and the door 130, and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film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r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door 130, and both an inner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thereof. It may be formed in. Therefore, electromagnetic waves are blocked even when the mobile phone is turned on, so that the mobile phone does not work and can create a quiet atmosphere even during class. The electromagnetic wave blocking film may be formed using various materials such as copper, aluminum, and epoxy, and may be formed in the mobile phone storage unit 120 as well as the main body 110 and the door 130.

상기 핸드폰 보관부(120)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핸드폰이 수납되는 수납부(121)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The mobile phone storage unit 120 is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110, and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121 for storing the mobile phone is formed.

이때, 상기 수납부(121)는 복수 개의 층과 복수 개의 열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수납부(121)에는 이름이나 번호 등 핸드폰 주인에 대한 사항을 기입할 수 있는 메모수단(165)이 구비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accommodating part 121 is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and a plurality of columns, and each accommodating part 121 is provided with a memo means 165 for inputting a description of the owner of the mobile phone such as a name or a number. hav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수납부(121)는 핸드폰이 수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센서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는 조명장치(122)가 구비되어 있다. 즉, 핸드폰이 상기 수납부(121)에 수납되어 있음이 감지되면 상기 센서는 전기신호를 발생하고, 전기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122)는 점등된다. 상기 센서는 상기 조명장치(122)가 점등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소등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이 러한 센서로는 무게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each of the accommodating parts 121 includes a sensor (not shown) that detects whether or not a cellular phone is stored and generates an electric signal, according to the electric signal generated by the sensor. The lighting device 122 is turned on or off. That is,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cellular phone is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21, the sensor generates an electric signal, and the lighting device 122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electric signal. The sensor may transmit an unlit signal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lighting device 122 is turned on. As such a sensor, various sensors such as a weight sensor can be used.

또한 상기 센서는 상기 도어(130)의 개폐에 따라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130)가 열리게 되면 상기 센서는 작동하게 되고 상기 센서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122)가 점등되고, 상기 (130)가 닫히게 되면 상기 센서는 작동을 멈추게 되어 상기 조명장치(122)가 소등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ensor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130. That is, when the door 130 is opened, the sensor is activated and the lighting device 122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electric signal generated from the sensor, and when the 130 is closed, the sensor stops the operation. The lighting device 122 is configured to turn off.

따라서 상기 핸드폰 보관함(100)이 어두운 곳에 설치되어 있더라도 안전하게 핸드폰을 보관할 수 있다. Therefore, even if the mobile phone storage box 100 is installed in a dark place it can safely store the mobile phone.

한편, 상기 각각의 수납부(121)에는 핸드폰을 충전할 수 있는 핸드폰커넥터(175)가 돌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21, the mobile phone connector 175 for charging the mobile phone is protruded.

도 3은 핸드폰커넥터를 포함한 충전장치가 구비된 핸드폰 보관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cell phone storage box equipped with a charging device including a mobile phone connector.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핸드폰커넥터(175)를 포함한 충전장치(170)가 구비된 핸드폰 보관함을 볼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mobile phone storage box having a charging device 170 including the mobile phone connector 175 can be seen.

상기 충전장치(170)는 어댑터(171), 주전원선(172), 전원분리부(173), 종속전원선(174) 및 충전커넥터(175)를 구비하고 있다. The charging device 170 includes an adapter 171, a main power line 172, a power separation unit 173, a subordinate power line 174, and a charging connector 175.

상기 어댑터(171)는 입력되는 상용 전압을 저전압으로 변환하고 이를 정류하여 직류 전원을 출력한다. The adapter 171 converts an input commercial voltage into a low voltage and rectifies it to output a DC power.

상기 주전원선(172)은 상기 어댑터(171)에 연결되며, 상기 어댑터(171)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을 전원분리부(173)로 전송한다.The main power line 172 is connected to the adapter 171, and transmits the DC power output from the adapter 171 to the power separation unit 173.

상기 전원분리부(173)는 상기 주전원선(172)을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복수개의 직류 전원들로 분리하여 종속전원선들(174)에 전달한다.The power separating unit 173 divides the DC power input through the main power line 172 into a plurality of DC power sources and transfers the DC power to the slave power lines 174.

상기 종속전원선들(174)은 2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전원분리부(173)로부터 직류 전원을 받아서 상기 충전커넥터들(175)에 전달한다.The slave power lines 174 are composed of two or more pieces, and receive DC power from the power separation unit 173 and transmit the DC power to the charging connectors 175.

상기 충전커넥터들(175)은 상기 종속전원선들(174)에 하나씩 연결된다. 상기 충전컨넥터들(175)은 상기 수납부(121)에 돌출되어 있으며, 각각 핸드폰의 포트 입출력 슬롯에 직접 결합되어 핸드폰 배터리를 충전한다. The charging connectors 175 are connected to the subordinate power lines 174 one by one. The charging connectors 175 protrude from the accommodating part 121 and are directly coupled to the port input / output slots of the cell phones to charge the cell phone batteries.

이때, 상기 전원분리부(173)는 상기 핸드폰 보관부의 각 층마다 하나의 수납부(121)에 각각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드폰 보관부(120)는 7층과 7열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전원분리부(173)는 각 층의 가운데 수납부(121)에 구비되어 상기 종속전원선(174)들을 분기하고 있다. 한편, 상기 충전장치(170)를 이루고 있는 구성요소들은 핸드폰 보관함의 다양한 위치 및 다양한 배선방법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case, the power separation unit 173 is provided in one receiving unit 121 for each floor of the cell phone storage unit. As shown in FIG. 3, the cell phone storage unit 120 includes seven layers and seven columns, and the power separation unit 173 is provided in the center accommodating portion 121 of each layer to provide the dependent power line 174. Are branching). On the other hand,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harging device 170 may be provided by various locations and various wiring methods of the mobile phone storage box.

상기 핸드폰 보관부(120)는 상기 본체(110)에서 분리되도록 제조할 수 있다.The cell phone storage unit 120 may be manufact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10.

도 4a 내지 도 4d는 핸드폰 보관부가 본체에 결합되는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4A to 4D are views illustrating various forms in which the cellular phone storage unit is coupled to the main body.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핸드폰 보관부(120)는 상기 본체(110)에서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핸드폰 보관부(120)를 상기 본체(110)와는 별도로 제작한 후 상기 핸드폰 보관부(120)에 결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4a, it can be seen that the mobile phone storage unit 120 is provided to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10. That is, the cell phone storage unit 120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main body 110 and then coupled to the cell phone storage unit 120.

이때 상기 핸드폰 보관부(120)를 복수 개로 제조하여 결합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핸드폰 보관부(120)를 두 개로 제조하여 결합함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핸드폰 보관부(120)를 두 개로 제조하여 상기 본체(110)에 결합하여 복수 개의 층과 열의 수납부(12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드폰 보관부(120)를 각각의 열만큼의 개수로 별도로 제조하여 상기 본체(110)에 결합할 수도 있다. 도 3에서 설명한 상기 전원분리부(173)는 각각의 핸드폰 보관부(120)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부(121)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임의의 수납부(121)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ell phone storage unit 120 may be manufactured by combining a plurality. Referring to Figure 4b, it can be seen that the cell phone storage unit 120 is made of two. That is, the cell phone storage unit 120 may be manufactured in two and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to form a plurality of layers and rows of storage units 121. In addition, the cell phone storage unit 120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by the number of columns and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The power disconnecting unit 173 described in FIG. 3 may be loc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21 formed by each cell phone storage part 120, or may be located in an arbitrary accommodating part 121.

이때 상기 각각의 핸드폰 보관부(120)는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본체(1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각각의 핸드폰 보관부(120)는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있으며, 각 핸드폰 보관부(120)는 보조패널(41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핸드폰 보관부(120)의 측면에는 홈(420)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패널(410)들은 상기 홈(420)에 삽입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보조패널(410)을 상기 홈(420)에 삽입한 후 오픈되는 공간은 전면패널(440)로 막을 수 있다. 도 3에서 설명한 상기 전원분리부(173)는 각각의 핸드폰 보관부(120)와 상기 보조패널(41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430)에 위치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each of the cell phone storage unit 120 may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Referring to FIG. 4C, each of the cell phone storage units 120 is provided at the main bod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each cell phone storage unit 1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auxiliary panel 410. . On the other hand, grooves 420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mobile phone storage unit 120, it can be seen that the auxiliary panel 41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420. The space opened after the auxiliary panel 41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420 may be blocked by the front panel 440. The power separation unit 173 described in FIG. 3 may be located in the space 430 formed by each cell phone storage unit 120 and the auxiliary panel 410.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 홈(420)에 삽입되는 보조패널의 다른 형태를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홈(420)은 도 4c에서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층마다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패널(510)은 바닥부(511)와 전면부(512)를 구비하여 상기 핸드폰 보관함(120) 사이의 공간을 막고 있다. 상기 바닥부(511)는 상기 홈(420)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전면부(512)는 상기 바닥부(511)들을 연결하고 있고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둠으로써 생기는 상기 핸드폰 보관부(120) 사이의 공간을 막고 있다. 이때, 도 3에서 설명한 상기 전원분리부(173)는 각각의 핸드폰 보관부(120)와 상기 보조패널(51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530)에 위치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D, another form of the auxiliary panel inserted into the groove 420 may be seen. In this case, the groove 420 is provid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ayers as shown in Figure 4c, the auxiliary panel 510 is provided with a bottom portion 511 and the front portion 512 between the mobile phone storage box 120 Blocking the space. The bottom part 511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grooves 420, and the front part 512 connects the bottom parts 511 and is spaced between the mobile phone storage parts 120 gene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It is blocking the space. In this case, the power separation unit 173 described in FIG. 3 may be located in the space 530 formed by each cell phone storage unit 120 and the auxiliary panel 510.

상기 보조패널(410, 510)과 상기 홈(420)은 상술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비하여 핸드폰 보관부들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The auxiliary panels 410 and 510 and the grooves 420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orm to connect the cell phone storage units.

한편, 상기 핸드폰 보관부(120)는 사출법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아크릴 등 다양한 재질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the cell phone storage unit 120 can be manufactured using a variety of methods, such as injection method, it can be manufactured using a variety of materials, such as plastic, acrylic, of cours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이 구비된 수납장 도어가 결합되는 수납장의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 1A and 1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orage closet is coupled to the storage door with a display pane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이 구비된 수납장 도어의 도어 본체 분해도,2a and 2b is an exploded view of the door body of the cabinet door with a display pane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이 구비된 수납장 도어의 도어 본체 측면 단면도,3A and 3B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of a door body of a cabinet door having a display pane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이 구비된 수납장 도어의 도어 본체 이동수단을 설명하는 도면,4A and 4B are views illustrating door body moving means of a cabinet door provided with a display pane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이 구비된 수납장 도어(100)가 적용된 씽크대 수납장을 보여주는 도면,5 is a view illustrating a sink stand cabinet to which a cabinet door 100 equipped with a display pane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본체 이동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6 is a view illustrating a door body mov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핸드폰 보관함 110 : 본체100: cell phone storage box 110: body

120 : 핸드폰 보관부 121 : 수납부120: cell phone storage 121: storage

122 : 조명장치 130 : 도어122: lighting device 130: door

140 : 걸이수단 150 : 잠금장치140: hook means 150: locking device

160 : 서류보관부 165 : 메모수단160: document storage 165: memo means

170 : 충전장치 175 : 충전커넥터170: charging device 175: charging connector

Claims (18)

핸드폰 보관함에 있어서,In the cell phone locker,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및A main body having an inner space formed therein; And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핸드폰이 수납되는 수납부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핸드폰 보관부;를 포함하며, Includ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main body, the mobile phone storage unit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for storing the mobile phone, including; 상기 핸드폰 보관부는 복수 개의 층과 복수 개의 열로 형성되는 수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The cell phone storage unit is a cell phone storage box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layers and a storage unit formed of a plurality of row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각의 수납부는 Each of the storage units 핸드폰이 수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센서; 및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a mobile phone is stored and generating an electric signal; And 상기 센서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는 조명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Cell phone storage box comprising a; lighting device that is turned on or off in accordance with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는 상기 핸드폰 보관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The main body is a cell phone storage box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ell phone storag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각각의 수납부는 Each of the storage units 핸드폰이 수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작동하는 센서; 및A sensor that detects whether or not the cellular phone is stored and generates an electric signal and operates according to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상기 센서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는 조명장치;를 더 포함하며,It further includes a lighting device that is turned on or off in accordance with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ensor; 상기 도어가 열리게 되면 상기 센서는 작동하게 되고, 상기 센서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가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The sensor is activated when the door is opened, the cell phone storage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ing device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ensor.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핸드폰 보관부는 상기 본체에서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The mobile phone storage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phone storage unit is provided to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핸드폰 보관부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Cell phone storage uni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ell phone storage.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각각의 핸드폰 보관부는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각 핸드폰 보관부는 보조패널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Each cell phone storage uni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each cell phone storage unit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auxiliary panel.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핸드폰 보관부의 측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The groov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cell phone storage, 상기 보조패널은 상기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The auxiliary panel is a cell phone storage box, characterized in that inserted into the groove.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홈은 상기 복수 개의 층마다 구비되어 있으며,The groove is provid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ayers, 상기 보조패널은 상기 홈에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The auxiliary panel is a cell phone storage box, characterized in that inserted into the groove respectively.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홈은 상기 복수 개의 층마다 구비되어 있으며,The groove is provid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ayers, 상기 보조패널:은 The auxiliary panel: silver 상기 홈에 각각 삽입되는 바닥부; 및 Bottom portions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grooves; And 상기 바닥부들이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둠으로써 생기는 상기 핸드폰 보관부 사이의 공간을 막는 전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The bottom portion is connected, the mobile phone storage compartment further comprises; a front portion that prevents the space between the cell phone storage portion generated by a certain distance from each other.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핸드폰 보관부는 사출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Cell phone storage compart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cell phone storage is manufactured by the injection method.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각각의 수납부는 핸드폰 주인에 대한 사항이 기입되는 메모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Each of the storage unit has a cell phone storage box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emo means for filling in the details about the owner of the mobile phon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본체는 벽체에 걸리도록 하는 걸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The main body is a cell phone storage box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hook means to be hung on the wall.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도어의 안쪽면에는 서류보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Cell phone storage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document storage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는 전자파 차단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The main body and the door is a cell phone storage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magnetic shield is formed.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각각의 수납부에 돌출되는 충전커넥터를 구비하는 충전장치;를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Cell phone storage box comprising a; charging device having a charging connector protruding to each of the receiving unit.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충전장치는 The charging device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어댑터;An adapter for outputting DC power; 상기 어댑터에 연결되어 상기 직류 전원을 전송하는 주전원선;A main power line connected to the adapter to transmit the DC power; 상기 주전원선에 연결되며, 상기 주전원선을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복수 개의 직류 전원들로 분리하는 전원분리부;A power separation unit connected to the main power line and separating the DC power input through the main power line into a plurality of DC power sources; 상기 전원분리부에 연결되며, 상기 직류 전원을 전송하는 복수 개의 종속전원선들; 및A plurality of subordinate power lines connected to the power separation unit and transmitting the DC power; And 상기 복수 개의 종속전원선들에 연결된 복수개의 충전 커넥터;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And a plurality of charging connector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ubordinate power lines. 제 1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전원분리부는 상기 핸드폰 보관부의 각 층마다 하나의 수납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관함.The power separating unit is a cell phone storage box, characterized in that each one is provided in one storage unit for each layer of the cell phone storage.
KR2020090008770U 2009-07-07 2009-07-07 mobilephone keeping box KR20045411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770U KR200454119Y1 (en) 2009-07-07 2009-07-07 mobilephone keeping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770U KR200454119Y1 (en) 2009-07-07 2009-07-07 mobilephone keeping bo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381U true KR20110000381U (en) 2011-01-13
KR200454119Y1 KR200454119Y1 (en) 2011-06-16

Family

ID=44205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770U KR200454119Y1 (en) 2009-07-07 2009-07-07 mobilephone keeping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119Y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95830A (en) * 2014-03-04 2014-05-14 浙江水利水电学院 Simple college classroom cell phone rest station
CN103825989A (en) * 2014-03-04 2014-05-28 浙江水利水电学院 Folding-leg-supported mobile phone rest station for college classroom
KR20150050334A (en) * 2013-10-31 2015-05-0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Multi charging and sterilizing apparatus
US9356455B2 (en) 2012-03-23 2016-05-31 Samsung Display Co., Ltd. Dish having display device and apparatus for charging the same
USD769202S1 (en) 2012-02-29 2016-10-18 Samsung Display Co., Ltd. Dish shaped display device
KR101725958B1 (en) * 2016-08-25 2017-04-12 최원종 Public Charging Equipment Of Mobile Pho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11375A (en) * 2013-03-26 2013-07-24 无锡机电高等职业技术学校 Cell phone receiving bag used in classroom
CN103561187B (en) * 2013-09-26 2018-06-15 王民 Handset call device
KR200477541Y1 (en) * 2014-02-25 2015-06-22 임문수 A cabinet of double locking type
CN103825990B (en) * 2014-03-04 2016-05-18 浙江水利水电学院 University's classroom nido mobile phone rest station
CN103825987A (en) * 2014-03-04 2014-05-28 浙江水利水电学院 University classroom turnover plate type mobile phone rest station
CN103825988B (en) * 2014-03-04 2016-02-03 浙江水利水电学院 University classroom circumference deploying type mobile phone rest station
CN103812978B (en) * 2014-03-04 2016-05-18 浙江水利水电学院 University's classroom mobile phone rest station
CN104433336A (en) * 2014-12-23 2015-03-25 西南科技大学 Mobile phone storage cabinet for classroom
CN110141031B (en) * 2019-05-24 2021-01-05 安徽师范大学 Storage type storage rack for charging treasured
CN110973862A (en) * 2019-11-06 2020-04-10 安徽军号信息科技有限公司 Combined type office supply rack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2426A (en) * 2002-08-06 2004-03-04 Renesas Technology Corp Master slave flip flop circuit
JP2007114182A (en) 2005-09-22 2007-05-10 Denso Corp Mounting structure of ultrasonic sensor
KR200414160Y1 (en) 2006-02-03 2006-04-17 노병옥 The mobile phone Receipted Box
KR100868292B1 (en) 2007-06-21 2008-11-11 윤문도 The folding and unfolding bag keeping portable telephon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69202S1 (en) 2012-02-29 2016-10-18 Samsung Display Co., Ltd. Dish shaped display device
US9356455B2 (en) 2012-03-23 2016-05-31 Samsung Display Co., Ltd. Dish having display device and apparatus for charging the same
KR20150050334A (en) * 2013-10-31 2015-05-0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Multi charging and sterilizing apparatus
CN103795830A (en) * 2014-03-04 2014-05-14 浙江水利水电学院 Simple college classroom cell phone rest station
CN103825989A (en) * 2014-03-04 2014-05-28 浙江水利水电学院 Folding-leg-supported mobile phone rest station for college classroom
KR101725958B1 (en) * 2016-08-25 2017-04-12 최원종 Public Charging Equipment Of Mobile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4119Y1 (en)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4119Y1 (en) mobilephone keeping box
RU2603536C2 (en) Cas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9879467B2 (en) Secure access mirror
US9300162B2 (en) Wireless charging storage stand
US7813116B2 (en) Heart shaped structure with altering appearance
US20170163077A1 (en) Solar powered cell phone charging device
KR101657447B1 (en) Loss prevention versatile charger
US9807483B1 (en) Mobile device case with foldable speaker system
US20180175654A1 (en) Portable Speaker Charging Structure
KR20080005127U (en) Cellular phone case for school
CN204425264U (en) By the mobile phone protecting case type portable power source structure of solar recharging
KR20100020107A (en) Multi power supply unit
CN204425263U (en) A kind of mobile phone protecting case type portable power source by solar recharging
KR200478573Y1 (en) Module type furniture assembly for book reading
KR100887677B1 (en) Things receiving box for computer
GB2345595A (en) Multiple charger for mobile phones
CN205319723U (en) Remove expansion equipment
CN206575188U (en) Tabletop advertisement charging pile
KR101587440B1 (en) A case for tablet personal computer
TW200701740A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s
US20110275420A1 (en) 4-in-1 Box Integrating Paperweight, Name Card, Mobile Phone and Charger
US20180131217A1 (en) Sensor charger and calibration case
EP1962405A2 (en) Multiple charger for mobile terminals
JP3216624U (en) Suitcase with charging device
JP3219237U (en) accessory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