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328A - 이더넷 장치 및 이더넷 장치의 레인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이더넷 장치 및 이더넷 장치의 레인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328A
KR20110000328A KR1020090057771A KR20090057771A KR20110000328A KR 20110000328 A KR20110000328 A KR 20110000328A KR 1020090057771 A KR1020090057771 A KR 1020090057771A KR 20090057771 A KR20090057771 A KR 20090057771A KR 20110000328 A KR20110000328 A KR 20110000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state
ethernet device
block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0538B1 (ko
Inventor
안계현
김승환
김용태
한경은
김광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57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538B1/ko
Priority to US12/638,002 priority patent/US8254291B2/en
Publication of KR20110000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14Channel dividing arrangements, i.e. in which a single bit stream is divided between several baseband channels and reassembled at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다중 레인을 갖는 이더넷 장치 및 레인 운용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다수의 레인 중 적어도 1 이상의 레인이 선택적으로 통신에 참여하지 않도록 더미 블록이 할당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수신 측에서는 이 더미 블록을 제거하여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전송 측과 수신 측은 레인 상태 메시지를 통해 더미 블록이 할당된 레인의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레인 상태 메시지는 이더넷 표준 상의 링크 실패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더넷(Ethernet), 다중 레인(Multi-Lane), RS 계층, PCS 계층, PMA 계층, 더미 블록

Description

이더넷 장치 및 이더넷 장치의 레인 운용 방법{Ethernet Device and Lane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은 다수의 레인을 갖는 이더넷 장치의 레인 운용 기술과 관련된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2008-F-017-02, 과제명:100Gbps급 이더넷 및 광전송기술개발].
초고속 광대역 전송 시스템을 위해 IEEE는 40Gb/s와 100Gb/s 이더넷(Ethernet) 통신 표준화를 위한 Task Force로서 IEEE 802.3ba를 형성하여 표준화 작업을 시작하였다.
이 표준화 작업을 통해 Draft 2.0 초안이 작성되었는데, Draft 2.0 초안에서는 10Gb/s 이상의 이더넷의 고속 전송을 위한 방안으로 다중 레인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다중 레인 구조란 고속 전송률을 갖는 링크를 만들기 위해 보다 낮은 전송률을 갖는 여러 개의 레인을 병렬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을 채택한 구조를 의미한다.
IEEE 802.3ba의 Draft 2.0에 따르면, 100Gb/s 이더넷 장치는 MAC 계층으로부 터 물리 계층으로 전달되는 100Gb/s 의 전송률을 갖는 데이터를, 10Gb/s 전송률을 갖는 전기적인 레인 10개 또는 25Gb/s 전송률을 갖는 전기적인 레인 4개를 사용하여 분산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다중 레인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기 위해 채택된 것이나, 일시적으로 임의의 목적(예를 들어 오류 제어나 소모 전력 감소 또는 배열(Array) 소자 관리 등)을 위하여 전송 가능한 전체 대역폭의 성능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0Gb/s 이더넷 시스템의 다중 레인 중 단 하나의 레인에서만 오류가 발생하였을 때 오류가 발생한 레인을 제외한 나머지 레인들만을 사용할 필요성이 있다. 또 다른 예로서 100Gb/s 이더넷 시스템이 처리해야 할 트래픽의 발생량이 수 십 Gb/s 이내인 경우에 선택적으로 레인의 일부만을 사용하도록 시스템을 운용할 필요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다중 레인 중 일부의 레인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더넷 장치는, 다수의 레인(lane)을 갖는 이더넷(Ethernet)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레인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하는 레인 상태 설정부 및 각각의 레인에 데이터 블록을 분배하되,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된 레인에 더미(dummy) 블록을 할당하는 블록 분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이더넷 장치는, 다수의 레인(lane)을 갖는 이더넷(Ethernet) 장치에 있어서, 더미(dummy) 블록이 할당된 비활성화 상태의 레인을 검출하는 레인 상태 판단부 및 더미(dummy) 블록을 제거하는 블록 제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더넷 장치의 레인 운용 방법은, 다수의 레인(lane)을 갖는 이더넷 장치의 레인 운용 방법에 있어서, 레인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레인 상태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레인 상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생성된 레인 상태 메시지에 따라 적어도 1 이상의 레인을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및 각각의 레인에 데이터 블록을 분배하되,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된 레인에 더미(dummy) 블록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이더넷 장치의 레인 운용 방법은, 다수의 레인(lane)을 갖는 이더넷 장치의 레인 운용 방법에 있어서, 레인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레인 상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레인 상태 메시지에 기초하여 더미(dummy) 블록이 할당된 비활성화 상태의 레인을 검출하는 단계, 및 더미(dummy) 블록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레인 상태 설정부와 레인 상태 판단부는 레인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레인 상태 메시지를 주고 받는 것이 가능하다. 레인 상태 메시지에는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된 레인에 관한 정보, 레인 패스 기능 수행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더미 블록의 형식에 관한 정보 등이 담길 수 있다. 그리고 레인 상태 메시지는 IEEE 802.3 표준에 정의된 링크 실패 메시지(link fault message)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레인 상태 메시지는 이더넷 통신 프로토콜 계층 상의 정합 부계층(RS)에서 처리되는 것이 가능하고, 더미 블록의 할당 및 제거는 물리 코딩 부계층(PCS)에서 처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개시된 내용에 따르면, 고속의 광대역 이더넷 장치를 구성하는 다중 레인을 임의의 목적에 따라 선택적이고 부분적으로 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저속의 이더넷 장치로서의 운영, 레인을 구성하는 배열 소자들의 효율적인 관리, 소요되는 에너지 감소, 다양한 레인 오류 제어 기법의 응용 등이 가능하다. 또한, 레인 상태 메시지 형식은 표준 이더넷의 LF, RF 메시지를 활용한 것이므로 레인의 상 태 및 임의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원격 이더넷 장치 간 전달 메시지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더넷 장치의 계층 구조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이더넷 장치의 계층 구조(100)는 RS 계층(Reconciliation Sublayer, 정합 부계층)(101), PCS 계층(Physical Coding Sublayer, 물리 코딩 부계층)(102), 및 PMA 계층(Physical Medium Attachment Sublayer, 물리 매체 접속 부계층)(103)을 포함할 수 있다.
RS 계층(101)의 상위에는 MAC 계층이 존재할 수 있으며, PMA 계층의 하위에는 PMD 계층 또는 물리 계층이 존재할 수 있다.
RS 계층(101)은 MAC 계층이 물리 계층의 종류에 관계없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변환해 주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RS 계층은 수신된 데이터를 MAC 계층이 인식할 수 있도록 PLS primitive로 변환하거나, MAC 계층에서 내려온 데이터를 링크의 종류에 따라 전송 가능한 형태로 변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PCS 계층(102)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코드 블록을 생성하거나 수신된 코드 블록을 디코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PCS 계층(102)은 64B/66B 블록 코딩 방식에 따라 코드 블록을 생성하거나 수신된 코드 블록을 디코딩하는 것이 가능하다.
PMA 계층(103)은 PCS 계층(102)으로부터 수신된 코드 블록을 물리 매체로 전달하거나 링크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을 PCS 계층(102)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이더넷 장치는 고속 전송을 위해 다수의 레인(Lane)을 갖는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레인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광 선로와 같은 고속 전송 링크가 도입됨에 따라 전송 링크의 바로 앞 단, 예컨대 PMA 계층(103) 또는 PMD 계층의 처리 속도도 빨라져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런데 전송 링크의 속도를 처리 속도가 따라가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신호 처리를 병렬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 때, 이더넷의 각 계층의 병렬적 신호 처리 단위 또는 병렬적 신호 전송 단위가 레인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CS 계층(102)과 PMA 계층(103) 사이에 10Gb/s의 전송률을 갖는 전기적인 레인(electrical lane)을 10개 형성하면, 100Gb/s의 전송률을 갖는 데이터를 10개로 분산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PMA 계층(103) 후단에 다수의 옵티컬 레인(optical lane)을 형성하여 데이터를 분산 처리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전기적인 레인의 개수와 옵티컬 레인의 개수의 상호 조합을 원활하게 지원하기 위하여 PCS 계층(102) 내에 다수의 가상 레인(virtual lane)을 정의하고 이들 가상 레인을 대상으로 코딩된 블록을 분배 또는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서, 레인이란 이러한 전기적 레인, 옵티컬 레인, 가상 레인 등 이 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PCS 계층(102)과 PMA 계층(103) 사이의 전기적인 레인(104)을 도시하였으나, 이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레인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더넷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이더넷 장치(200)는 레인 상태 설정부(201), 코딩부(202), 블록 분배부(203), 및 레인 정렬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인 상태 설정부(201)는 각각의 레인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한다. 활성화 상태란 레인이 통신에 참여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하고 비활성화 상태란 레인이 통신에 참여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어떠한 레인을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하는지 여부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속의 이더넷 장치로서의 운영, 레인을 구성하는 배열 소자들의 효율적 관리, 에너지 감소, 레인의 오류 제어 등과 같은 다양한 목적에 따라 비활성화되는 레인을 정할 수 있다.
코딩부(202)는 RS 계층(101)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코딩하여 데이터 블록을 생성한다. 예컨대, 코딩부(202)는 64비트를 66비트의 코드 블록으로 만드는 Encoder 및 비트열들의 전압 인지 오류를 줄이기 위해 직교성을 갖도록 스크램블링 처리를 하는 Scramble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블록 분배부(203)는 코딩부(202)로부터 데이터 블록을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된 데이터 블록을 각각의 레인에 분배한다. 이때 블록 분배부(203)는 레인 상태 설정부(201)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제어 신호에는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된 레인의 정보가 담겨 있다. 블록 분배부(203)는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된 레인에 더미(dummy) 블록을 할당한다. 더미 블록은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된 레인이 통신에 참여하지 않도록 하는 미리 약속된 형식의 비-기능 블록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 분배부(203)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각 레인에 데이터 블록을 분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데이터 블록을 분배하기 전에, 데이터 블록을 분배할 순서에 해당하는 레인 번호가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약 그 레인이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면 더미 블록을 할당하고, 그러하지 아니하다면 데이터 블록을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다.
레인 정렬부(204)는 데이터 블록이 분배된 다수의 레인을 정렬하고 이를 PMA 계층(103)으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레인 정렬부(204)는 얼라이먼트 블록을 특정한 레인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에서, 레인 상태 설정부(201)는 RS 계층(101) 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블록 분배부(203)는 PCS 계층(102)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레인 상태 설정부(201)는 RS 계층(101)의 링크 실패 감지(link fault detection) 기능을 이용하여 소정의 레인 상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레인 상태 메시지는 IEEE 802.3 표준에 정의된 링크 실패 메시지(link fault message)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더넷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이더넷 장치(300)는 레인 정렬부(301), 블록 제거부(302), 디코딩부(303), 및 레인 상태 판단부(304)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인 정렬부(301)는 PMA 계층(103)으로부터 다수의 레인을 통해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레인 정렬부(301)는 각각의 레인을 정렬한다. 예컨대, 레인 정렬부(301)는 수신된 비트 열들을 모아서 하나의 데이터 블록으로 만들고, 데이터 블록을 버퍼링하여 레인 정렬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블록 제거부(302)는 비활성화 상태의 레인에서 더미 블록을 제거한다. 더미 블록은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특정한 레인을 통신에 참여시키지 않기 위한 비-기능 블록이 될 수 있다.
어떠한 레인이 비활성화 상태인지 여부는 레인 상태 판단부(304)의 제어 신호에 의해 알 수 있다. 레인 상태 판단부(304)는 레인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레인 상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레인 상태 메시지에는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된 레인의 식별자 또는 더미 블록의 데이터 형식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레인 상태 판단부(304)는 수신된 레인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더미 블록이 할당된 비활성화 상태의 레인을 검출하고, 어느 레인이 비활성화 상태의 레인인지 블록 제거부(302)에게 알려주는 것이 가능하다.
블록 제거부(302)가 더미 블록이 제거된 데이터 블록을 디코딩부(303)로 전달하면, 디코딩부(303)는 데이터 블록을 디코딩하여 RS 계층(101)으로 전달한다.
도 3에서, 레인 상태 판단부(304)는 RS 계층(101) 내에 형성될 수 있고, 블록 제거부(302)는 PCS 계층(102)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에서 설명된 이더넷 장치(200, 300)가 통신을 수행할 때 다수의 레인을 어떻게 운용하는지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인 운용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4에서, 200은 전송 측의 이더넷 장치를, 300은 수신 측의 이더넷 장치를 나타낸다.
전송 측 이더넷 장치(200)는 레인 상태 메시지를 수신 측 이더넷 장치(300)로 전송한다(S101). 레인 상태 메시지는 각각의 이더넷 장치(200, 300)의 RS 계층(101)에서 처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레인 상태 메시지에는 비활성 상태로 설정되는 레인의 식별자(lane_id), 특정한 레인을 통신에 참여시키지 않겠다는 내용(pass_on), 더미 블록의 형식(dummy_str)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특정한 레인을 통신에 참여시키지 않는 것을 패스 기능이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레인 상태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 측 이더넷 장치(300)가 패스 기능에 동의한 경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102).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전송 측 이더넷 장치(200)는 레인 상태 메시지에 따라 적어도 1 이상의 레인을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한다(S103). 그리고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된 레인에 더미 블록을 할당한다(S104).
한편, 패스 기능에 동의하여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수신 측 이더넷 장치(300)도 패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수신된 레인 상태 메시지에 기초하여 초기 설정 과정을 마친다(S105).
전송 측 이더넷 장치(200)가 더미 블록을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을 다수의 레인에 분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면(S106), 데이터를 수신한 수신 측 이더넷 장 치(300)는 더미 블록이 할당된 비활성화 상태의 레인을 검출한다(S107).
어떠한 레인에 더미 블록이 할당되었는지는 레인 상태 메시지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레인 상태 메시지에 포함된 레인 식별자(lane_id) 또는 더미 블록의 형식(dummy_str)에 기초하여 비활성화 레인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미 블록이 할당된 비활성화 상태의 레인을 검출한 수신 측 이더넷 장치(300)는 더미 블록을 제거하고(S108), 더미 블록이 제거된 데이터 블록을 디코딩한다(S109).
이후, 전송 측 이더넷 장치(200)가 패스 기능 종료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레인 상태 메시지를 전송하면(S110), 수신 측 이더넷 장치(300)가 이에 대해 응답을 하여 패스 기능이 종료되는 것이 가능하다(S111).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인 상태 메시지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레인 상태 메시지는 RS 계층(101)의 링크 실패 감지(link fault detection) 기능을 이용하여 전송 및 수신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IEEE 802.3 표준에 정의된 링크 실패 메시지(link fault message)를 확장하여 도 5와 같은 레인 상태 메시지를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에서, Field 0 ~ Field 7은 MII(medium independent interface, 매체 독립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MII는 RS 계층(101)과 PCS 계층(102)의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다. 즉 RS 계층(101)과 PCS 계층(102)은 MII를 통해 8바이트의 정보를 주고 받는데, 각 Field는 1바이트를 나타낼 수 있다. Field 0에는 표준 상 정해진 시 퀀스가 쓰여지며 이것은 이 메시지가 링크 실패 메시지라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Field 3에는 local fault, remote fault와 같은 메시지 타입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패스 기능 개시와 관련된 레인 상태 메시지의 경우, Field 3에 0x03을 기록하고 Field 7에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된 레인의 식별자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예를 살펴보았다. 전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더넷 계층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더넷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더넷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더넷 장치의 레인 운용 방법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인 상태 메시지를 도시한다.

Claims (14)

  1. 다수의 레인(lane)을 갖는 이더넷(Ethernet)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레인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하는 레인 상태 설정부; 및
    상기 각각의 레인에 데이터 블록을 분배하되,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된 레인에 더미(dummy) 블록을 할당하는 블록 분배부; 를 포함하는 이더넷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 상태 설정부는 레인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레인 상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 상태 메시지는 IEEE 802.3 표준에 정의된 링크 실패 메시지(link fault message)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 상태 설정부는 정합 부계층(RS) 내에 형성되고,
    상기 블록 분배부는 물리 코딩 부계층(PCS)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장치.
  5. 다수의 레인(lane)을 갖는 이더넷(Ethernet) 장치에 있어서,
    더미(dummy) 블록이 할당된 비활성화 상태의 레인을 검출하는 레인 상태 판단부; 및
    상기 더미(dummy) 블록을 제거하는 블록 제거부; 를 포함하는 이더넷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 상태 판단부는 레인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레인 상태 메시지를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레인 상태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레인의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 상태 메시지는 IEEE 802.3 표준에 정의된 링크 실패 메시지(link fault message)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 상태 판단부는 정합 부계층(RS) 내에 형성되고,
    상기 블록 제거부는 물리 코딩 부계층(PCS)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장치.
  9. 다수의 레인(lane)을 갖는 이더넷 장치의 레인 운용 방법에 있어서,
    레인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레인 상태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레인 상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레인 상태 메시지에 따라 적어도 1 이상의 레인을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레인에 데이터 블록을 분배하되,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된 레인에 더미(dummy) 블록을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더넷 장치의 레인 운용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 상태 메시지는 상기 이더넷 장치의 정합 부계층(RS)에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장치의 레인 운용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 상태 메시지는 IEEE 802.3 표준에 정의된 링크 실패 메시지(link fault message)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장치의 레인 운용 방법.
  12. 다수의 레인(lane)을 갖는 이더넷 장치의 레인 운용 방법에 있어서,
    레인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레인 상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레인 상태 메시지에 기초하여 더미(dummy) 블록이 할당된 비활성화 상태의 레인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더미(dummy) 블록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더넷 장치의 레인 운용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 상태 메시지는 상기 이더넷 장치의 정합 부계층(RS)에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장치의 레인 운용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 상태 메시지는 IEEE 802.3 표준에 정의된 링크 실패 메시지(link fault message)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장치의 레인 운용 방법.
KR1020090057771A 2009-06-26 2009-06-26 이더넷 장치 및 이더넷 장치의 레인 운용 방법 KR101250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771A KR101250538B1 (ko) 2009-06-26 2009-06-26 이더넷 장치 및 이더넷 장치의 레인 운용 방법
US12/638,002 US8254291B2 (en) 2009-06-26 2009-12-15 Ethernet device and lane operat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771A KR101250538B1 (ko) 2009-06-26 2009-06-26 이더넷 장치 및 이더넷 장치의 레인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328A true KR20110000328A (ko) 2011-01-03
KR101250538B1 KR101250538B1 (ko) 2013-04-03

Family

ID=43380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771A KR101250538B1 (ko) 2009-06-26 2009-06-26 이더넷 장치 및 이더넷 장치의 레인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54291B2 (ko)
KR (1) KR1012505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07549A (ja) * 2016-02-01 2019-03-14 スター−ダンディー リミテッド マルチレーン通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63670B2 (en) * 2010-04-20 2013-01-29 Vitesse Semiconductor Corporation Framed flows over packet-switched fabrics
KR101338702B1 (ko) * 2010-04-26 2013-12-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레인 기반의 고속 이더넷에서 동적 레인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33059A (ko) * 2011-09-26 2013-04-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적 레인 운용을 위한 다중 레인 기반 이더넷 장치 및 이더넷 장치의 운용 방법
US8855248B2 (en) * 2011-10-25 2014-10-07 Cavium, Inc. Word boundary lock
US9065626B2 (en) 2011-10-25 2015-06-23 Cavium, Inc. Bit error rate impact reduction
CN103684672A (zh) * 2012-09-20 2014-03-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以太网数据传输速率的调整方法及装置
CN105432052A (zh) * 2013-12-16 2016-03-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设备及系统
US9413454B1 (en) * 2014-06-30 2016-08-09 Juniper Networks, Inc. Automatic bandwidth adjustment on multi-fiber optics
US20170170927A1 (en) * 2015-12-11 2017-06-15 Broadcom Corporation Network Interface Port Modes
US11271933B1 (en) 2020-01-15 2022-03-08 Worldpay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hosted authentication ser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8229B2 (en) * 1998-11-20 2003-07-22 Diva Systems Corp.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correcting a defective transmission channel in an interactive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US6956852B1 (en) * 1999-06-25 2005-10-18 Cisco Technology Inc. Multi-function high-speed network interface
US7352694B1 (en) * 2001-12-14 2008-04-01 Applied Micro Circuit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olerating data link faults in a packet communications switch fabric
KR100429911B1 (ko) * 2002-05-18 2004-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변길이 패킷 다중화 및 역다중화 장치와 방법
KR100440585B1 (ko) * 2002-05-24 2004-07-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용량 데이터의 분할 전송을 위한 다중 레인간의 비틀림정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기록매체
US7305047B1 (en) * 2003-03-12 2007-12-04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Automatic lane assignment for a receiver
US7174411B1 (en) * 2004-12-02 2007-02-06 Pericom Semiconductor Corp. Dynamic allocation of PCI express lanes using a differential mux to an additional lane to a host
US7782805B1 (en) * 2005-02-08 2010-08-24 Med Belhadj High speed packet interface and method
US7593323B2 (en) * 2005-08-17 2009-09-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aging nodes on a fault tolerant network
US7809969B2 (en) * 2005-12-28 2010-10-05 Intel Corporation Using asymmetric lanes dynamically in a multi-lane serial link
US7720068B2 (en) * 2006-08-23 2010-05-18 Solarflare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a multi-rate gigabit media independent interface
US8699514B2 (en) * 2007-01-12 2014-04-15 Broadcom Corporation Multi-rate MAC to PHY interface
US8615018B2 (en) * 2007-03-12 2013-12-24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determining when to train ethernet link partners to support energy efficient ethernet networks
US20090097401A1 (en) * 2007-10-12 2009-04-16 Wael William Diab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able data rate thresholds for energy efficient ethernet
JP5381305B2 (ja) * 2009-05-08 2014-01-08 富士通株式会社 受信装置、送受信装置、及び伝送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07549A (ja) * 2016-02-01 2019-03-14 スター−ダンディー リミテッド マルチレーン通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54291B2 (en) 2012-08-28
KR101250538B1 (ko) 2013-04-03
US20100329112A1 (en) 201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0538B1 (ko) 이더넷 장치 및 이더넷 장치의 레인 운용 방법
KR20130033059A (ko) 동적 레인 운용을 위한 다중 레인 기반 이더넷 장치 및 이더넷 장치의 운용 방법
US7835363B2 (en) Method and system to provide blade server load balancing using spare link bandwidth
KR101717296B1 (ko) 선택적 레인 운용을 위한 이더넷 장치 및 방법
KR101190859B1 (ko) 래인 장애 복구가 가능한 이더넷 장치,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EP2975858B1 (en) Method for processing data in the ethernet, physical layer chip and ethernet device
CN101399811B (zh) 多通道数据接收以及传输控制方法和相应的装置
US10341020B2 (en) Flexible ethernet logical lane aggregation
WO2017121158A1 (zh) 处理弹性以太网信号的方法和装置
US89826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and receiving ethernet physical-layer OAM overhead
WO2018059604A1 (zh) 一种信息传输的方法和设备、计算机存储介质
WO2011017986A1 (zh) 一种无源光网络中ploam消息的传输方法及组装方法
WO2014153784A1 (zh) 一种以太网中传输数据的方法、装置及系统
US2011026168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ynamic lane information in multi-lane based ethernet
KR20120017286A (ko) 얼라인먼트 장치 및 방법
WO2014166102A1 (zh) 一种数据处理的方法、装置及系统
US20230370191A1 (en)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WO2009076818A1 (zh) 一种处理以太网物理层操作、管理和维护开销的方法及装置
US20110110253A1 (en) Ethernet apparatus and method of adjusting transmission rate thereof
KR101315621B1 (ko) 다중 레인 기반 이더넷에서 동적 레인 운용을 위한 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8331788B2 (en) Encapsulation scheme for optical over Ethernet
US7327223B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management information over power networks
US20240106542A1 (en) Encoding method, decoding method, and optical module
EP4262093A1 (en) State notification method, optical module, network device, and network system
US20230133314A1 (en) Interface,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